• 정렬
  • 영역
  • 기간
  • 기자명
  • 단어포함
  • 단어제외

뉴스 검색결과 154건

MBC '세치혀', 美 뉴욕TV페스티벌 결선 진출…글로벌 방송가 주목
  • MBC '세치혀', 美 뉴욕TV페스티벌 결선 진출…글로벌 방송가 주목
  • [이데일리 스타in 김보영 기자] MBC 예능 프로그램 ‘혓바닥 종합격투기 세치혀’(이하 ‘세치혀‘, 연출 한승훈, 김진경)가 19일 ‘2023 뉴욕TV페스티벌’ 토크 인터뷰 예능 스페셜 부문(Entertainment Special: TALK/INTERVIEW SPECIAL) 결선에 노미네이트되는 쾌거를 이뤘다.MBC ‘세치혀’는 나이, 직업, 장르 불문 ‘혓바닥’으로 먹고 사는 입담꾼들이 오로지 이야기 하나만으로 맞대결을 펼치는 프로그램이다. 스토리텔링의 절정에서 이야기를 멈추는 ‘절단신공’이 시청자들의 몰입도와 호기심을 끌어올린다는 평가다. 혓바닥 종합격투기라는 독특한 콘셉트로 MC에 전현무, 배성재, 장도연, 유병재가 활약하고 있다.국내 시간으로 오늘(19일) 오전, 뉴욕TV페스티벌의 최종결선에 노미네이트 된 ‘세치혀’가 해외 관계자들의 높은 주목을 받고 있다. 뉴욕TV페스티벌은 1957년 시작된 시상식으로 매년 50여 개국의 뉴스, 다큐멘터리, 예능 등 창의적이고 우수한 프로그램들이 치열한 경쟁을 펼치는 권위 있는 시상식이다. MBC 예능 프로그램이 뉴욕TV페스티벌 결선에 오른 것은 2016년 ‘복면가왕’ 이후 7년 만이며 토크쇼 부문으로는 처음이다.앞서 ‘세치혀’는 오는 5월 대만에서 열리는 ‘2023 세계공영TV총회 (INPUT, International Public Television)’ 공식 상영작에 선정되기도 했다. 세계공영TV총회는 매년 프로듀서, 제작자, 작가를 비롯한 방송 전문가들이 전 세계에서 모여 장르를 불문한 약 80편의 프로그램을 시사하고 공영방송의 발전을 토론하는 컨퍼런스다. 역대 MBC 예능 프로그램 중 토크쇼 포맷으로 시사작에 올라간 사례는 ‘세치혀’가 최초다. 한편, MBC 세치혀는 매주 다양한 장르의 인물들이 화려한 혓바닥 플레이와 절단신공 스킬을 장착한 채 출격할 준비를 하고 있다. 오는 25일 방송에는 3전 3승을 거두고 챔피언 결정전에 진출한 ‘수사반장 세치혀’ 김복준과 최초의 2연승 챔피언 ‘불륜잡는 세치혀’ 양나래의 불꽃 튀는 배틀을 그릴 예정이다. 매주 화요일 오후 10시에 방송된다.
2023.04.19 I 김보영 기자
슈퍼노바 정윤학, 日 뮤지컬 페스티벌 출연…수준급 실력
  • 슈퍼노바 정윤학, 日 뮤지컬 페스티벌 출연…수준급 실력
  • 사진=정윤학[이데일리 스타in 김가영 기자] 그룹 슈퍼노바(SUPERNOVA) 리더 정윤학이 일본 뮤지컬 페스티벌에서 화려한 무대를 선보였다.정윤학은 지난 26일 일본 도쿄 시부야에 위치한 분카무라 오차드홀에서 개최된 ‘Japan Musical Festival 2022 Winter Season’에 출연해 무대를 꾸몄다. 이날 정윤학은 솔로 무대로 뮤지컬 ‘지킬 앤 하이드’의 ‘지금 이 순간(This is the Moment)’을 일본어로 부르며 현장을 찾은 관객들의 마음을 사로잡았고 이어 한국 뮤지컬의 우수성을 소개하기도 했다.또한 정윤학은 이날 솔로 무대뿐만 아니라 듀엣, 그룹 등 총 6곡의 무대에 올라 전천후 활약을 펼치며 자신의 존재감을 입증하며 강렬한 임팩트를 남겼다.‘Japan Musical Festival 2022 Winter Season’은 지난 26일부터 28일까지 3일간 일본 뮤지컬계 톱 배우들이 출연, 박진감 넘치는 가창과 화려한 연출이 돋보인 뮤지컬 페스티벌로 오프라인 공연은 물론 온라인 및 영화관에서 라이브 스트리밍이 동시에 진행됐다. 이날 무대는 2023년 2월 일본 니혼테레비 플러스를 통해 방송된다.한편 정윤학은 국내에서 2010년 대학로 ‘김종욱 찾기’로 뮤지컬 활동을 시작했고 이후 일본으로 무대를 이동, ‘RENT’, ‘프리실라’, ‘INTERVIEW~부탁이야, 누군가 날 구해줘~’, ‘당신의 첫사랑 찾겠습니다’ 등 다수의 작품에 출연하며 뮤지컬 필모그래피를 쌓았던 만큼 오는 2023년에도 활발한 활동으로 일본 팬들을 만날 계획이다.
2022.12.30 I 김가영 기자
DL건설, 올해 신입사원 90여명 채용…"탑10 도약 발판"
  • DL건설, 올해 신입사원 90여명 채용…"탑10 도약 발판"
  • [이데일리 오희나 기자] DL건설은 올해 약 90명 규모의 정규직 신입사원을 채용했다고 11일 밝혔다.입사 환영 키트(Kit) 이미지. (사진=DL건설)올해 신입사원 채용은 총 2회에 걸쳐 진행된 바 있다. 우선 지난 3월에 진행된 공개채용은 인턴십 형태로 전개됐다. DL건설은 △건축 △설비 △전기 △토목 △안전 △관리 등의 분야에서 총 51명의 신입사원을 선발했다. 이후 이달 1일부터 추가 공개채용을 통해 총 35명의 신입사원을 채용했으며 이들은 오는 16일부터 △건축 △설비 △전기 △안전 등의 분야에서 근무할 예정이다.올해 신입사원 채용은 하반기 예정된 대규모 신규 현장 착공에 따른 소요 인원을 조기에 확보하고자 마련됐다는 게 DL건설 측의 설명이다.DL건설 관계자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수주에 맞춰, 향후 대폭 증가할 현장 인력 수요에 대응하고자 신규 인력의 확대를 진행하고 있다”며 “이러한 계획에 발맞춰 장기적으로 당사와 함께 성장할 인재들의 역할이 중요한 시점이기에, 적극적으로 채용에 나섰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이번 채용이 회사의 성장을 이끌고, 나아가 사회적으로 고용 창출에 기여하는 마중물이 되길 바란다”고 덧붙였다.특히 이번 채용을 통해 DL건설은 보다 유연한 기업문화를 조성하는 동시에, 회사에 대한 더 큰 자부심을 부여하고자 하는 노력을 함께 병행했다.우선 면접 과정에서 최근 트랜드(Trend)로 떠오르고 있는 ‘리버스 인터뷰(Reverse Interview)’를 도입했다. 해당 프로그램은 면접자와 구직자의 역할을 뒤바꾼 상황에서 면접을 진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리버스 인터뷰를 통해 지원자는 면접 과정에 참여한 선배 사원에게 회사 및 직무 등을 질문하는 시간과 선배 사원으로부터 응원을 받는 시간을 함께 가졌다.또한 DL건설은 최종 합격자를 대상으로 ‘입사 환영 키트(Kit)’를 선물로 증정했다. 키트는 △황금 명함 △명함지갑 △볼펜 △텀블러 등으로 구성됐다. 이와 함께 합격자 부모님에게도 꽃바구니와 함께 대표이사 명의의 감사 카드도 제공했다.DL건설 관계자는 “이번 면접은 지원자들의 취업에 대한 깊은 고민, 그리고 당사에 대한 그들의 생각을 가감없이 청취하는 기회기도 했다”며 “이를 통해 당사의 발전 방향 수립에 구성원들의 의견을 반영함과 동시에, 다양한 구성원의 의견이 존중받는 기업문화가 자리잡길 희망한다”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 DL건설의 이름으로 함께할 신규 구성원들의 안정적 정착과 무한한 건승을 기원한다”고 덧붙였다.
2022.08.11 I 오희나 기자
제25회 서울세계무용축제, 9월 개막…9개국 34편 공연
  • 제25회 서울세계무용축제, 9월 개막…9개국 34편 공연
  • [이데일리 장병호 기자] 제25회 서울세계무용축제(SIDance2022)가 오는 9월 14일부터 10월 2일까지 서울 예술의전당 CJ토월극장·자유소극장, 서강대 메리홀, 서울남산국악당, 문화비축기지 등에서 열린다.제25회 서울세계무용축제 포스터. (사진=서울세계무용축제 조직위원회)올해는 코로나19 이후 3년 만에 한국을 포함한 총 9개국이 참가해 34개 작품을 대면 공연으로 선보인다. 주제는 ‘춤에게 바치는 춤들’이다. 이종호 예술감독은 “그동안 한국 무용계가 컨셉추얼 댄스, 다원, 융복합예술이 마치 전부인 듯 유행처럼 흘러가 춤의 본질에서 멀어지는 듯했다”며 “몸의 본질과 춤적인 춤을 되살리는 계기가 됐으면 한다”고 올해 축제 기획의도를 밝혔다.‘제25회 기념 특집’으로 △아트프로젝트보라 ‘유령들’ △독일 무부아르 무용단(MOUVOIR) ‘헬로 투 엠티니스’(Hello to Emptiness) △포르투갈 조나스 & 란더(JONAS&LANDER) ‘바트 파두’(BATE FADO) △김미애 ‘여 [女] 음’ △무용역사기록학회 ‘리커넥트 히스토리, 히어 아이 엠’(Reconnect History, Here I am) 등이 참여한다.한국과 이스라엘 수교 60주년을 맞아 기획한 ‘이스라엘 포커스’에서는 △솔 댄스 컴퍼니(SOL Dance Company) ‘TOML(Time of My Life)’ △휴먼 필즈(Human Fields) ‘플레이스 투 비’(Place to be), △샤하르 비냐미니(Shahar Binyamini) ‘이볼브’(Evolve) 등이 공연한다.‘해외 초청 프로그램’으로는 △네덜란드 인기 무용단 클럽 가이&로니(Club Guy & Roni) ‘프리덤’(Freedom) △덴마크 메테 잉바르첸(Mette Ingvartsen) ‘투 컴(익스텐디드)’(to come(extended)), △키프로스 에비에 데메트리우 ‘진즈 앤드 토닉’(Genes and Tonic) △룩셈부르크 질 크로비지에(Jill Crovisier) ‘더 히든 가든’(The Hidden Garden) 등을 선보인다.국내 무용단 공연으로는 △우보만리 ‘노동(勞動)’ △파란코끼리 ‘진동축하’ △윤푸름 프로젝트그룹 ‘정지되어 있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 △육미영 ‘...잃었다...’ △김윤정의 ‘인터뷰 1.5’(Inter-View1.5) △전통춤 유파전 ‘김백봉부채춤보존회’ 등이 무대에 오른다.기획제작은 지난해에 이어 ‘명무에서 신명무’ 2탄을 준비했다. △김춘희 ‘향발무’ △임성옥 ‘살풀이춤-홀연’ △이주연 ‘녹수청산(산조춤)’ △노현식 ‘현학무’ △김충한 ‘소고무’ △양승미 ‘진쇠춤’ △장유경 ‘선살풀이춤’ △정은혜 ‘학춤’ 등 전통무용의 다양한 매력을 선보인다. 이밖에도 유행가 한 곡에 안무를 입혀보는 ‘댄스있송’, 젊은 안무가들의 창작계 본격 진입을 지원하는 ‘시댄스 투모로우’ 등을 진행한다.
2022.07.27 I 장병호 기자
SK브로드밴드, KS-SQI '초고속인터넷 8년·IPTV 4년 연속' 1위
  • SK브로드밴드, KS-SQI '초고속인터넷 8년·IPTV 4년 연속' 1위
  • [이데일리 김현아 기자]SK브로드밴드 남산사옥SKT ICT 패밀리 5개社가 서비스품질지수 1위 인증서를 받는 모습. (왼쪽부터) 11번가 홍창영 고객중심경영담당, SK쉴더스 이용환 사업총괄, SK 텔레콤 홍승태 고객가치혁신담당, SK 브로드밴드 김동섭 고객가치혁신담당, SK 텔링크 김문겸 경영지원담당이다.SK브로드밴드(대표이사 사장 최진환)가 한국표준협회가 주관하는 2022년 ‘한국서비스품질지수(KS-SQI, Korean Standard-Service Quality Index)’에서 초고속인터넷 부문 8년 연속, IPTV 부문 4년 연속 1위에 올랐다. 두 부문 모두, 지난해에 이어 올해까지 2년 연속 단독 1위를 달성했다.KS-SQI는 산업별로 제공하는 서비스의 품질과 신뢰성, 전문성, 이용편리성, 사회적 가치 추구 등 다양한 서비스 항목을 분석해 수치화한 지표다. 국내에서 가장 신뢰할 수 있는 고객만족도 지표로 평가받는다.SK브로드밴드는 이번 성과에 대해 “소비 트렌드를 선도하는 상품과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선보이고, 고객의 다양한 ‘페인 포인트(pain-point·불편함을 느끼는 부분)’를 선제로 해결함으로써 고객 가치를 혁신한 결과”라고 자평했다.SK브로드밴드 B tv air(삼성 갤럭시 태블릿)Btv 잼키즈 ‘오늘의 학습’SK브로드밴드는 ‘Lovely B tv’의 고객 가치를 높이기 위해 다양한 상품·서비스를 지속 출시하고 있다. 영화 마니아 고객을 위해 국내 최대 편수를 제공하는 ‘OCEAN 월정액’ ▲맞춤형 프리미엄 홈스쿨링 콘텐츠 ‘ZEM키즈’ ▲집안 어디에서나 가볍게 들고 다니며 편안하게 TV를 즐길 수 있는 ‘B tv Air’ ▲국내 IPTV 최초 ‘Apple TV 4K’와 제휴 ▲다양한 콘텐츠를 즐기는 MZ세대를 위한 올인원 플레이박스 ‘PlayZ’ 등이 결과물이다.SK브로드밴드는 새 서비스에 대한 고객 목소리를 상시 청취할 수 있는 고객자문단도 9년째 운영하고 있다. 미디어 이용률이 가장 높고 트렌드에 민감한 ‘20대 그룹’과 키즈 콘텐츠를 소비하는 ‘키즈부모 그룹’, 디테일한 개선 포인트 발굴에 도움이 되는 ‘전문가 그룹’과 더불어 ‘시니어 그룹’을 수시로 모집해 신규 서비스 출시 전 사전체험, 과제수행, FGI(Focus Group Interview) 등의 방법으로 고객의 생생한 목소리를 듣는다. 신규 인원을 추가 선발해 더 많은 고객의 의견을 듣고, 서비스에 반영할 방침이다.회사는 고객 주요 접점인 고객센터에서 다양한 시도를 기획 중이다. 상담사와 통화 연결 없이 각종 문의·신청을 쉽고 빠르게 해결할 수 있는 ‘보이는 ARS 시스템’, 신규 상품·서비스를 고객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영상 매체를 활용한 ‘Live 상담’을 연내 도입할 계획이다.최진환 SK브로드밴드 사장SK브로드밴드는 미디어 서비스를 활용한 사회적 가치를 높여 ESG 경영을 실현하고 있다. 지난해 코로나19로 위축된 지역 상권을 회복하고 방송 광고 시장을 지역사업자에게 연결해 골목 상권에 활력을 불어넣는 ‘B tv 우리동네광고’를 출시, 소상공인이 합리적 가격에 효과적으로 TV 광고를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최진환 SK브로드밴드 사장은 “이번 KS-SQI 2년 연속 단독 1위 선정은 사업자 관점이 아닌 고객 관점에서 가치를 제공하기 위해 전사가 노력한 결과”라며 “고객에 대한 소통과 이해를 핵심키워드로 삼아, 새롭고 차별화된 가치를 제공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2022.06.30 I 김현아 기자
  • 한국 영유아 대상 자폐스펙트럼장애 조기 선별 도구 개발
  • [이데일리 이순용 기자] 분당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유희정 교수팀(봉귀영 발달검사 전문가)이 한국 영유아에게 맞는 자폐스펙트럼장애 조기 선별도구인 ‘걸음마기 아동 행동 발달 선별 척도(Behavior Development Screening for Toddlers, BeDevel)’를 개발하고 실효성을 입증했다.자폐스펙트럼장애는 태생기에 유전자와 환경의 상호작용으로 발생하는 장애이며, 각각의 문제 행동이 광범위하고 복잡한 스펙트럼을 갖고 있다는 의미에서 스펙트럼 장애라고 불린다. 관련 장애가 있는 영유아는 특정 물건이나 행동양식에 집착할 뿐만 아니라 눈 맞춤이 힘들거나 언어발달이 지연되는 등 사회적인 상호작용과 의사소통에서도 어려움을 보인다. 아울러 유아기는 뇌가 빠르게 성장하고 재생하는 뇌의 가소성이 높아 치료가 늦을 경우 이차적인 공존질환의 발생과 행동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이 장애는 전문의의 검사를 통해 빠르면 12~24개월 이내 진단하고 적절한 치료를 진행한다면 예후를 개선할 수 있다. 하지만 장애에 대한 인식 부족과 전문의를 만나는 데 오랜 시간이 소요되며, 자폐스펙트럼장애 고위험 행동에 대해선 전문가도 잘 모르는 경우가 많아 조기에 발견하고 진단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이에 많은 자폐스펙트럼장애 영유아들이 적절한 치료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많다.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유희정 교수팀은 영유아기 자폐스펙트럼장애 가능성을 조기에 선별할 수 있도록 우리나라 사회문화적 특성에 맞는 도구인 ‘BeDevel’을 개발하고 임상시험을 통해 실효성을 검증했다.BeDevel은 ▲호명 후 반응 ▲미소 ▲흥미 공유 ▲눈 맞춤 등 총 18가지 항목으로 오랜 시간 동안 일상에서 자녀를 관찰한 보호자의 면담보고 형식인 ‘BeDevel-Interview(BeDevel-I)’와 ▲간단한 단어 이해 ▲기초놀이 ▲사회적 놀이 ▲사회적 관계 등 총 19지 항목으로 아동의 행동을 직접 관찰하는 방법인 ‘BeDevel-Play(BeDevel-P)’로 구성됐다. 아울러 검사자가 참고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검사 지침서, 교육자료 등을 포함한 통합적인 선별 검사 패키지로 제작됐다.또한, 유 교수팀은 개발한 BeDevel이 우리나라 유아에게 맞는지 확인하기 위해 국내 42개월 이하인 영유아 621명을 대상으로 임상시험을 진행했다. BeDevel의 타당성 및 신뢰성을 위해 유아기를 18~23개월, 24~35개월, 36~42개월로 나눠 진행했다.임상시험 결과 자폐스펙트럼장애 진단 정확도는 평균 82~89%로 매우 높은 정확도를 보여 어린 아동들의 자폐스펙트럼장애 진단을 비교적 높은 수준으로 예측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BeDevel를 활용해 국내 영유아기 자폐스펙트럼장애를 조기에 진단 받을 수 있게 안내하고 해당 영유아가 적절한 치료를 받는다면 이차적인 문제를 많이 예방하고 경과를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분당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유희정 교수는 “기존 선별 방식들은 정확도가 낮았고 심화 진단 방법은 너무 접근도가 낮은 경향이 있었으며, 관련 전문의를 만나는 데 오래 걸려 자폐스펙트럼장애를 악화시키는 문제가 있었다”라며, “자폐스펙트럼장애를 조기에 선별하고 적절한 심층진단과 치료를 진행할 수 있도록 널리 사용되고, BeDevel이 영유아 건강검진 기관 등 기존의 시스템에 통합되어 적절하게 활용되길 바란다”고 말했다.한편, 연구팀이 개발한 검사 도구는 ‘BeDevel: 걸음마기 아동 행동 발달 선별 척도(인싸이트 심리검사연구소)’로 출판됐으며, 임상시험 결과는 국제 학술지 ‘Autism Research’ 12권과 14권에 게재됐다. 아울러 위 연구는 자폐스펙트럼장애 진단 연령을 낮추고 적절한 치료를 조기에 진행해 장기적인 예후를 개선하고자 보건복지부 사회서비스 R&D 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됐다.
2022.06.07 I 이순용 기자
민주당 텃밭 광주시민 "대선 패배, 후보 보다 당의 활동 부족"
  • 민주당 텃밭 광주시민 "대선 패배, 후보 보다 당의 활동 부족"
  • [이데일리 이성기 기자] 더불어민주당의 전통적 지지층이자 텃밭인 광주 시민들은 대선 배패 요인으로 현 정부와 민주당에 실망감, 부동산 문제, 야권 단일화 순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대선 후보의 활동 보다 당의 활동이 부족했다는 평가를 하고 있었다.민주당 광주광역시당(위원장 송갑석)은 지난달 18일~20일 광주 거주 만 18~69세 남녀 1500명을 대상으로 심층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4일 밝혔다. 광주시당은 이들을 상대로 온라인 패널 조사를 진행했으며, 동일 연령대를 다양한 직업군별로 총 5개 그룹(그룹당 7~8명)으로 나눠 표적집단 면접조사(FGI·Focus Group Interview) 방식으로 이뤄졌다. 자료=더불어민주당 광주시당.조사 보고서는 △20대 대선에 대한 평가 △더불어민주당에 대한 평가 △광주시민의 만족도 △요약 및 결론 등으로 구성됐다. 조사 결과 광주시민들이 압도적으로 지지한 이재명 후보가 낙선했음에도 불구하고 응답자의 75.3%는 `투표를 후회하지 않는다`고 응답했고, 응답자의 53.9%는 이번 대선에서 광주의 표심이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인정했다.이재명 후보가 최선을 다했다는 응답은 64.3%인 반면, 민주당이 최선을 다했다는 응답은 35%에 불과했다. 특히 35세 이하 남성층에서는 젠더 갈등도 대선 패배의 주요 원인으로 꼽고 있어 `이대남` 현상에 광주도 예외는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이재명 후보에 대한 84.82%의 지지와 윤석열 후보에 대한 12.72%의 광주 대선 지지율에 대해서는 변함 없는 민주당의 텃밭이라는 의견과 함께, 광주 표심도 변화하고 있다는 의견이 공존했다.민주당에 대한 이미지 평가는 `호남 민심을 대변하고 뚜렷한 정치적 이념이 있는 정당`이라는 데에는 비교적 동의했으나, `기득권에 맞서 싸운다`는 데 대해서는 공감·비공감이 비슷해 기득권 타파 이미지가 비교적 약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료=더불어민주당 광주시당.`도덕적으로 깨끗하다`와 `젊은 정당`이라는 이미지에 대해서는 `그렇지 않다`는 응답이 훨씬 많아 보수 정당과 가장 큰 차별점을 보였던 지점에서 우위를 잃어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정서적 일체감에 있어서 2030대와 4050대의 사이에 인식의 격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윤석열 정부` 출범 후 민주당에 바라는 모습으로는 민생 현안에 대해서는 협치하고, 부당한 정책에 대해서는 적극적으로 싸우는 균형 잡힌 야당의 자세를 주문했다.한편, 5·18 민주화운동이 역사적·사회적으로 인정 받고 있다는 점에 대해서 크게 공감하며, 광주의 시민 의식이 다른 지역보다 높고 진보적인 정치 성향을 가지고 있다고 인식했다. 광주시당 측은 “이번 조사에서 확인된 제20대 대선에 대한 냉정한 평가와, 민주당에 대한 가감없는 비판과 당부를 바탕으로 처절한 반성과 함께 혁신안을 마련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2022.04.04 I 이성기 기자

더보기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