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검색결과 10,000건 이상
- 10월 지방 분양시장 큰 장… 1만5000가구 공급
- [이데일리 김기덕 기자] 최근 2주에 걸친 징검다리 연휴가 끝나면서 10월 지방 분양시장이 본격적으로 막이 오른다. 서울 등 수도권에 비해 규제가 덜하고 상대적으로 저렴한 알짜 단지가 많아 수요자들은 주목할 만하다. 부동산시장 분석업체 부동산인포에 따르면 10월 중 지방권역에서 총 1만5043가구(일반분양 기준·임대 제외)가 분양할 계획이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2031가구)의 약 7.4배에 달한다. 분양 물량이 많았던 2016년 동기(1만5972가구)에 육박하는 수준이다. 지방 5대 광역시는 총 9165가구가 공급돼 지난해(1481가구)의 6.2배, 기타 지방도시는 5878가구로 지난 해(550가구) 보다 10.7배가 많은 물량이 쏟아진다. 권일 부동산인포 리서치팀장은 “다주택들에 대한 정부의 규제가 강화되면서 청약에도 매우 신중해지고 대구, 부산 등 전통적인 선호지역과 달리 지방중소도시는 실수요자 중심으로 청약 시장이 재편되는 모습”이라며 “분양권 전매를 통한 당장의 이익보다 준공 이후 가치를 중시하면서 전체적인 청약자수는 줄어들어 평균 청약률도 낮아지고 수백대 1 경쟁을 기록하는 곳은 더욱 귀해질 것”으로 전망했다.다음은 10월 중 지방권역에 공급되는 주요 분양단지다. 일동은 부산 동구 좌천동 좌천2구역에 전용면적 59~84㎡, 총 546가구 규모의 ‘부산항 일동 미라주 더오션’을 짓는다. 이중 513가구가 일반분양분이다. 부산지하철 1호선 좌천역을 걸어서 이용할 수 있으며 부산역도 가깝다. 한신공영이 부산 사하구 괴정동 괴정2구역에 전용면적 39~84㎡, 총 835가구 규모의 ‘괴정 한신더휴’를 공급한다. 전체 가구 중 496가구가 일반분양분. 전용 59㎡ 타입 중 69가구는 테라스하우스로 설계됐다. 부산지하철 1호선 대티역을 이용할 수 있고 괴정초, 동주대 부속유치원과 승학초, 동주여중 등이 가깝다. 동일과 동일스위트는 대전 대덕구 옛 남한제지 부지에 전용면적 기준 68~84㎡, 총 1757가구 규모의 ‘동일스위트 리버스카이’를 짓는다. 한화건설은 경남 거제시 장평동 주공1단지를 재건축 해 전용면적 59~99㎡, 총 817가구 규모의 거제 장평 꿈에그린을 짓는다. 이 중 262가구가 일반분양분. 삼성중공업 거제조선소가 가깝고 거제대로, 거가대교를 통해 차량이동하기 쉽다.호반건설은 경북 경산시 하양지구 A1블록에 전용면적 84~98㎡, 총 655가구 규모로 짓는 경산 하양지구 호반베르디움을 분양한다. 경산지식산업지구와 인접해 있다. 향후 대구도시철도 1호선 하양역이 개통되면 대구 도심방면 이동이 한층 수월해진다.
- 대림산업, 부산서 'e편한세상 연산 더 퍼스트' 분양..연산역 더블역세권
- e편한세상 연산 더퍼스트 조감도. LH 제공.[이데일리 성문재 기자] 대림산업(000210)이 이번 달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에서 ‘e편한세상 연산 더퍼스트’를 분양한다. 11일 대림산업에 따르면 e편한세상 연산 더퍼스트는 지하 4층~지상 39층, 4개동 규모다. 전용면적 59~84㎡, 455가구로 구성된 아파트와 전용면적 52㎡, 96실의 오피스텔 등 총 551가구가 일반에 분양된다. 전용면적별로는 △52㎡ 96실(오피스텔) △59㎡ 72가구 △76 ㎡ 99가구 △84㎡ 284가구다.이 단지는 부산지하철 1·3호선 연산역과 도보 5분 거리에 들어서며 중앙대로, 연산교차로,과정교차로,안락교차로 등의 도로 이용도 편리하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주변에 시청과 시의회, 부산지방경찰청, 국세청, 고용노동청, 부산지방법원(법조타운) 등 주요 관공서가 밀집해 있어 직주근접 수요가 적지 않다는 것도 장점이다.연서초가 단지 인근에 있고, 단지 반경 1.5km 내에 이사벨중, 연산중, 연일중, 연제중, 연제고 등이 위치한다. 이밖에도 홈플러스(연산점), 이마트(연제점), 부산의료원 등의 생활편의시설이 인근에 있으며 단지 반경 1km 내에 연제문화체육공원, 옛골공원 등이 자리하고 있다. e편한세상 연산 더퍼스트는 리모델링에 유리한 가변형 평면구조로 설계됐다. 기존보다 30mm 두꺼운 바닥 두께로 층간소음을 줄일 계획이다. 일부 세대에는 태양 빛을 집 안으로 끌어들여 전등 사용량을 감소시켜주는 집광채광루버 신재생 에너지 시스템이 적용됐다.분양 관계자는 “연제구에 최초로 공급되는 e편한세상 브랜드 아파트인만큼 기존 아파트에서 볼 수 없었던 세련된 인테리어와 다양한 특화설계가 두루 마련됐다”며 “어디든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는 중심입지에 브랜드 파워와 뛰어난 상품성까지 갖추고 있어 향후 미래가치가 뛰어날 것”이라고 말했다.e편한세상 연산 더퍼스트 모델하우스는 부산 연제구 연산동 일원에 위치하고 있다. 이달 중 개관한다. 입주는 2021년 11월 예정이다.e편한세상 연산 더퍼스트 위치도. LH 제공.
- 아파트 추첨제 물량 75% 이상 무주택자에게 우선 공급
- [이데일리 박민 기자] 다음달 말부터 아파트 신규 분양의 추첨제 물량 중 무주택 실수요자에게 물량의 75%를 우선 공급되고, 분양권이나 입주권 소유자는 무주택자에서 제외된다.국토교통부는 ‘9.13 주택시장 안정대책’의 후속 조치로 이같은 내용의 ‘주택 공급에 관한 규칙’ 일부 개정안을 오는 12일 입법예고한다고 11일 밝혔다. 개정안은 관계기관 협의, 법제처 심사 등을 거쳐 11월말 공포·시행할 계획이다.앞으로 청약에서 아파트 분양권과 입주권 소유자는 무주택자에서 제외해 유주택자로 간주한다. 기존에는 청약 당첨 후 입주 전 전매하는 경우는 무주택자 기간으로 계속 인정됐지만 이를 없앤 것이다.개정안 시행일부터 아파트 분양에 당첨(분양권) 또는 조합원 입주자로 선정된 지위(입주권)을 얻어 공급계약을 체결했거나 분양권·입주권을 매수해 매매잔금을 완납하는 날(실거래신고서상)부터 주택을 소유하고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단 미분양 분양권을 취득해 계약하는 경우 입주 전까지는 예외로 둬 무주택자로 인정하고, 대신 미분양 분양권을 최초 계약한 자에게서 다시 매수한 경우는 유주택자로 간주한다.또 아파트 청약가점제가 적용되지 않는 추첨제 당첨자를 선정할 때 무주택자에게 물량의 75%를 우선 공급한다. 이후 잔여 주택은 무주택자와 1주택 실수요자(기존 주택 처분 조건)에게 우선 공급하고, 이후에도 남는 주택이 있을 경우 유주택자에게 분양한다.특히 ‘기존 주택 처분’을 조건으로 주택을 우선 공급받은 1주택자는 입주 가능일부터 6개월 이내에 주택 매각을 완료해야 한다. 이를 이행하지 않을 경우 공급 계약이 취소되고 500만원 이하의 과태료 처분(시장 상황에 따라 불가피하게 처분하지 못한 경우)을 받거나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000만원 이하의 벌금 처벌(그외 경우)을 받게 된다.현행 추첨제 비율은 투기과열지구의 경우 전용면적 85㎡ 초과분은 물량의 50%를, 청약과열지역에서는 전용 85㎡이하는 25%, 85㎡ 초과분은 70%를 적용하고 있다. 수도권 공공택지는 전용 85㎡초과분은 50% 이하 범위에서 지자체장이 가점제 물량을 정하고 나머지는 추첨제로 공급하고 있다.부적격 당첨이나 계약 포기로 발생한 미계약분이나 미분양 주택을 선점하기 위한 ‘밤샘 줄서기’ 등의 행태도 사라질 전망이다. 앞으로는 이들 물량에 대해 청약시스템을 통해 사전 공급신청을 접수 받을 수 있도록 개선한다.또 그동안 민영주택 특별공급 주택은 무주택 세대원만 청약 신청이 가능했지만, 세대원의 배우자도 청약 자격을 부여한다. 그간 세대주 또는 세대원이 아닌 세대원의 배우자는 신혼부부·다자녀가구 특별공급 등을 신청할 수 없어 불합리함이 존재해 이를 개선했다.신혼기간 중 주택을 처분한 이력이 있는 경우 신혼부부 특별공급에서 제외한다. 그간 입주자 모집 공고일 현재 기준으로 무주택세대구성원이면 신혼부부 특별공급 자격이 부여됐으나, 신혼기간 중에 주택을 소유한 적이 있으면 신혼부부 특별공급 대상에서 제외해 실질적 무주택 실수요자에게 공급될 수 있도록 했다.이른바 금수저 자녀가 부모집(자가)에 같이 살면서 청약 가점항목에서 부양가족 점수를 받는 불합리함도 개선한다. 현재 60세 이상 직계존속이 주택을 소유하고 있더라도 무주택자로 간주함에 따라 자녀와 함께 사는 경우 부양 가족 점수를 부여했지만 이를 제외하기로 한 것이다.국토부 관계자는 “개정안 전문은 통합입법예고센터(http://opinion.lawmaking.go.kr)를 통하여 볼 수 있다”며 “개정안에 대해 의견이 있는 경우 국토부 홈페이지, 통합입법예고센터, 우편, 팩스 등을 체출하면 된다”고 말했다.
- 두산건설, 12일 '광주 계림3차 두산위브' 분양
- 두산건설이 12일 분양하는 광주시 계림동 ‘광주 계림3차 두산위브’ 투시도. 사진=두산건설[이데일리 경계영 기자] 두산건설(011160)은 광주시 동구 계림동에 ‘광주 계림3차 두산위브’를 12일 분양한다고 11일 밝혔다. 재개발되는 이 단지는 지하 2층~지상 24층, 10개 동, 총 908가구로 이뤄져있다. 이 가운데 전용 △59㎡ 229가구 △84㎡ 333가구 등 562가구가 일반 분양 대상이다. 단지 1㎞ 안엔 롯데백화점과 홈플러스, 이마트가 있으며 광주 최대 도심상권인 충장로가 가깝다. 단지 바로 옆엔 총 길이가 4.3㎞인 푸른길 공원 산책로가 있다. 또 계림초와 교대부설초, 충장중, 광주고, 전남여고 등 교육 여건도 우수하고 광주교대, 조선대, 전남대, 동강대 등도 주변에 있다. 필문대로를 이용해 광주 전역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동광주IC를 이용해 호남고속도로와 각화 IC를 통한 제2순환로 이용이 편리하다. 광주지하철 1호선 금남로4가역을 도보로 갈 수 있는 것도 장점이다. 단지 안엔 아이를 위한 테마형 놀이공간 4곳이 조성되며 배트민턴장, 체력단련시설, 순환형 조깅트랙 등 커뮤니티 공간도 들어선다. 단지는 남향 위주로 배치돼 일조권과 조망권을 최대한 확보토록 했다. 아울러 검침원 방문 없이 전기와 수도, 가스 사용량을 원격 검침할 수 있는 시스템이 적용되고 고효율 전열교환 환기 유니트로 쾌적한 실내 환경을 유지할 수 있도록 했다. 각 가구엔 에너지효율 1등급인 콘덴싱 보일러와 각 실별 디지털 난방온도 조절기가 각각 설치된다. 욕실 바닥에도 난방이 깔린다. 광주 계림3차두산위브 견본주택은 광주시 서구 광천동에 위치하며, 입주는 2021년 4월 예정이다.
- 연말까지 주상복합 아파트 1.4만여가구 분양
- [이데일리 정병묵 기자] 이달부터 지역 랜드마크급 주상복합 아파트 1만4000여가구가 쏟아진다. 서울, 인천, 경기 광주, 세종시 등 주요 지역에서 초고층·고급 주상복합 단지가 잇달아 공급될 예정이다.11일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12월까지 전국에 공급되는 주상복합 아파트는 17개 단지 1만3962가구이다. 지역별로는 서울 청량리, 경기 남양주, 인천 미추홀구 등을 포함한 수도권에서 8개 단지 8797가구, 부산 연제구, 대구 달성군, 세종시 등을 포함한 지방에서 9개 단지 5165가구가 공급된다. 주상복합은 교통 및 생활편의시설 등 입지 여건이 좋은 곳에 초고층으로 지어져 실수요자들에게서 인기가 많다. 실제 지난 3월 강원도 춘천에서 분양한 ‘춘천 센트럴타워 푸르지오’는 지상 49층 춘천 최고층 주상복합으로 지어지면서 춘천시 최고 청약경쟁률을 갈아치웠다. 특별공급을 제외한 870가구 모집에 2만 3517명이 몰리며 평균 27.03대 1, 최고 166대 1을 기록하며 1순위 당해에 마감됐다.주상복합은 지역내 랜드마크로 자리잡으면서 인근 시세를 주도하기도 한다. 서울지하철 2호선, 6호선 합정역 더블 역세권이자 34층 초고층으로 조성된 ‘마포한강2차 푸르지오’는 지난4월 전용면적 83.45㎡가 분양가의 두배가 넘는 12억원에 거래됐다. 서울 마포구 합정동 동일면적 시세인 6억~7억원보다 두배 가량 높은 수준이다.경기 부천 상동 초고층 주상복합 ‘상동스카이뷰자이’는 지난달 입주를 하면서 입주권에 웃돈이 형성됐다. 전용면적 84.95㎡는 지난 9월 5억8549만원(31층), 5억5743만원(27층)에 각각 거래가 되면서 분양가(4억1000만원) 대비 1억원 이상 웃돈이 형성됐다.한국창업부동산정보원 권강수 이사는 “주상복합 단지는 대부분 초고층으로 조성돼 조망권이 우수하고 교통 및 생활인프라 등 입지여건도 우수해 실수요자들의 선호도가 높다”며 “하반기 주요 지역 핵심입지에 물량이 공급되는 만큼 청약경쟁이 치열할 것”이라고 전했다.
- 연말까지 공공분양 아파트 1만여가구 공급
- [이데일리 권소현 기자] 올해 연말까지 상대적으로 분양가가 저렴한 공공분양 아파트 1만여 가구가 공급된다. 특히 검단신도시, 다산신도시, 구로 항동지구, 하남 감일지구 등 주요 신도시 및 택지지구에 공급될 예정이어서 실수요자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공공분양 아파트’란 국가나 지방자치단체나 토지주택공사 등 공적 사업주체가 공급하는 국민주택을 말한다. 최근에는 대형사가 시공하는 민간참여가 늘면서 브랜드 아파트를 인근 시세대비 저렴하게 마련할 수 있다. 특히 신도시나 택지지구에 공급되는 공공분양 아파트는 중심 입지에 지어지는 경우가 많아 눈여겨볼만 하다. ◇검단·다산·감일지구 등에서 연말까지 6000여 가구 공급10일 분양업계에 따르면 연말까지(10월~12월) 전국에 공급되는 공공분양 아파트는 9개 단지 총 1만692가구로 집계됐다. 지역별로는 △인천 검단시도시 1개 단지, 1452가구 △남양주 다산신도시 1개 단지, 878가구 △서울 구로 항동지구 2개 단지, 943가구 △하남 감일지구 2개 단지, 1,662가구 △수원 고등지구 1개 단지, 4086가구 △과천 지식정보타운 1개 단지 647가구 가구 △대구 연경지구 1개 단지, 1024 가구 등이다.수도권 마지막 2기 신도시인 인천 검단신도시에서는 금호건설이 다음달 초 첫 번째 공공분양 아파트 공급에 나선다. 검단신도시 AB14블록에 짓는 ‘검단 금호어울림 센트럴’은 지하 2층~지상29층, 13개 동, 전용면적 74㎡/84㎡, 총 1452가구 규모로 조성된다. 검단신도시 중심상업지구가 위치한 곳으로 단지 인근에 인천지하철 1호선 연장선 신설역이 2024년 개통될 예정이다. 분양관계자는 “검단신도시에 공급되는 첫 번째 공공분양 물량으로 합리적인 가격에 공급될 예정”이라며 “수도권에 거주하는 청약저축 또는 청약종합저축에 가입한 무주택세대구성원이라면 무주택 기간에 관계없이 누구나 청약이 가능하다”고 말했다.다음달 GS건설은 다산신도시 진건지구 B-3블록에서 전용면적 60~85㎡, 9개 동, 총 878가구를 분양할 예정이다. 단지인근에 공공청사 및 초등학교 부지가 예정돼 있다. 경의중앙선 도농역이 멀지 않고 차량을 이용하면 강변북로, 올림픽대로, 외곽 순환도로, 북부 간선도로 등으로도 진입이 수월하다. 대우건설도 같은 달 경기 수원시 고등지구에서 ’수원역 푸르지오자이‘를 분양한다. 전용면적 59~101㎡, 총 4086가구 규모로 이 중 749가구가 일반에 분양된다. 지하철 1호선· 분당선 수원역을 도보로 이용할 수 있다. 수원초교, 수원여자고교가 가깝다. LH는 12월 하남 감일지구 B3블록과 B4블록에 각각 815가구, 847가구 규모의 공공분양 아파트를 공급한다. 전용면적 74㎡, 84㎡ 중소형으로 구성되는 단지다. 하남 감일지구는 2010년 3차 보금자리주택지구로 지정된 하남시 감일동과 감이동 일원에 조성되는 택지지구다. 서울주택도시공사(SH)는 이달 서울 구로구 항동 항동지구에 공공분양아파트 ’항동지구 2·4단지‘를 분양한다. 2단지는 전용 59~84㎡, 총 646가구 중 394가구 일반에 공급되며, 4단지는 전용 59㎡, 총 297가구 중 190가구가 일반에 공급된다. 서부간선도로, 서울외곽순환도로 시흥IC가 인접해 서울과 수도권 전역으로 가기 쉽다. 이밖에 지방에서는 LH가 오는 12월 대구광역시 북구 연경지구 S1블록에서 1024가구 규모의 아파트를 공급할 예정이다. ◇위례·광교 등 6억원 웃돈…청약도 인기공공분양 아파트는 저렴한 분양가로 인해 수천만원 프리미엄(웃돈)이 붙기도 한다. 실제 국토교통부 실거래가에 따르면 위례신도시 A2-11블록에 위치한 ‘위례 자연앤 래미안이편한세상’ 전용면적 84.98㎡은 지난달 10억9600만원에 거래돼 분양가 대비 6억원이 넘는 웃돈이 붙었다. 광교신도시의 대장주 아파트로 꼽히는 ‘광교 자연앤 힐스테이트’의 전용면적 84.53㎡도 지난 8월 10억2500만원에 거래되면서 6억 2500만원이나 웃돈이 형성됐다. 분양시장에서 인기도 좋다. 지난 7월 구로 항동지구에 공급됐던 ‘항동지구 3단지’ 공공분양 아파트는 총 164가구 모집에 2691명이 청약을 신청해 16.4대 1의 1순위 평균경쟁률을 기록했다. 이보다 앞서 4월에 부산시 북구 만덕동 만덕5구역에서 공급된 e편한세상 금정산‘은 최고 7.24대 1의 경쟁률을 보이며 전 주택형 청약 접수를 마감했다. 평균 청약경쟁률은 2.41대 1을 보였다. 부산 분양시장이 침체된 상황임을 감안하면 선전한 결과다.권강수 한국창업부동산정보원 이사는 “치솟는 매매가로 무주택자들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공공분양아파트를 찾고 있다”며 “분양가가 합리적으로 책정하는 경우가 많아 가격 상승에 따른 시세차익도 기대할 수 있어 내 집 마련을 하는 실수요자라면 올해 막바지 공공분양 물량을 눈 여겨 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직주근접' 산업단지 주변 아파트 분양에 눈길
- 한화건설이 다음달 인천시 미추홀구 주안재정비촉진지구에서 분양하는 ‘인천 미추홀 꿈에그린’ 주상복합 조감도. 사진=한화건설[이데일리 경계영 기자] ‘직주근접’이 주거지를 선택하는 주요 이유로 떠오르는 가운데 일자리가 풍부한 산업단지를 배후에 둔 아파트로 이목이 집중된다. 분양 시장에서도 산업단지 인근 아파트의 청약 열기는 뜨거웠다. 남동국가산업단지와 시화기계유통단지, 반월특수지역 시화지구 등을 주변에 둔 경기 시흥시 택지지구에서는 지난해 이후 민간 분양된 10개 단지 가운데 9개가 1순위 마감됐다. 지난 2월 전남 순천시 광양만권 신대배후단지 B1 블록에 있는 ‘광양만권 신대배후단지 중흥S클래스’는 381가구 청약에 1만7065명이 몰려 경쟁률이 44.79대 1를 기록했다. 이는 올해 전남 분양단지 13곳 가운데 가장 높은 수준이다. 4분기에도 산업단지 인근 아파트가 분양을 앞두고 있다. 우미건설이 이달 경북 경산시 하양택지지구 A2블록에서 ‘경산 하양지구 우미린’을 분양한다. 지하 2층~지상 33층, 6개 동 규모이며 전용 84~113㎡ 737가구로 구성된다. 경산지식산업지구와 경산4일반산업단지 등 산업단지가 가까울 뿐 아니라 2021년 대구 도시철도 1호선이 연장될 예정이다. 대전 3·4일반산업단지와 대한이연 제1·2공장, KT&G 신탄진공장 등을 배후에 둔 대전시 대덕구 신탄진동에서는 동일이 ‘신탄진 동일스위트 1차’를 분양할 계획이다. 지하 2층~지상 38층, 전용 66~84㎡ 1782가구 규모다. 신탄진과 계룡을 잇는 충청권 광역철도가 내년 하반기 착공해 2022년 개통될 예정이다. 인천시에서도 2개 단지가 분양된다. 먼저 이달 동원개발이 영종하늘도시 A31블록에 ‘영종하늘도시 동원로얄듀크’를 분양한다. 이 단지는 지하 2층~지상 33층, 6개 동, 전용 74~84㎡ 420가구로 이뤄진다. 인천북항배후단지와 청라 제1지구 일반산업단지 등과 가깝다. 다음달엔 한화건설이 미추홀구 주안재정비촉진지구 내 도시개발 1구역에서 ‘인천 미추홀 꿈에그린’을 공급한다. 지하 8층~지상 44층, 4개 동, 전용 59~142㎡로 구성되며 총 864가구다. 주안국가산업단지와 인천기계일반산업단지와 가깝고 현대제철, 두산인프라코어, CJ제일제당 등도 인근에 있다. 또 이달 경기 화성시 병점동에서 HDC현대산업개발과 롯데건설이 ‘병점역 아이파크 캐슬’을 분양한다. 지하 2층~지상 26층, 27개 동, 전용 59~134㎡ 2666가구로 이뤄져있다. 단지는 삼성전자 나노시티 화성캠퍼스와 기흥캠퍼스가 차량 10분 거리에 있으며, 화성·오산가장일반산업단지, 일진산업단지 등과도 가깝다. 우미건설이 이달 경북 경산시 하양읍에 ‘경산 하양지구 우미린’을 분양할 예정이다. 사진=우미건설
- 서울 아파트 구입 이자비용 연간 1100만원… 3년 새 50% ‘훌쩍’
- [이데일리 김기덕 기자] 최근 1~2년 새 서울 아파트값 급등으로 주택담보대출을 통한 연간 이자비용이 사상 최고치에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내 기준금리 인상이 단행될 경우 금융비용 부담이 더욱 커져 집값 상승 동력이 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부동산정보 서비스업체 직방은 8일 아파트 실거래가격의 50%를 주택담보대출로 조달하는 시뮬레이션을 통해 주택 구매에 따른 연간 이자비용을 분석했다.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한국은행이 발표하는 신규 취급액을 기준으로 했다. 전국과 서울 아파트 실거래가 주택담보대출 연간 이자비용 시뮬레이션.(실거래가: 10월 2일 기준, 2018년은 8월 기준)[국토교통부, 한국은행 제공]이 결과 올 8월 현재 주택담보대출에 따른 연간 금융비용은 전국 579만원, 서울 1109만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은 지난 2006년 실거래가 발표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며, 서울은 2011년(1116만원) 이후 최고치다. 수도권에 속한 경기·인천은 아파트 구매비용의 50%를 대출로 조달할 경우 812만원, 지방은 356만원의 이자비용이 발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금융비용 상승의 기준인 된 주택담보대출 금리(신규 취급액 기준)은 2016년 2.91%까지 하락한 이후 점차 상승하면서 2017년 3.27%, 2018년 8월까지 평균 3.45%까지 올랐다. 주택담보대출 금리 인상이 이어지면서 이자비용 상승이 이어지고 있지만, 지난해와 올해 이자비용 급등은 아파트 거래가격 상승이 주된 원인으로 직방은 분석했다. 또 낮은 금융비용으로 서울 강남3구 등의 고가 아파트 구입 비중 증가도 이자 비용을 상승시켰다. 반면 서울과 경기·인천 등 수도권과 달리 지방은 금융비용 하락이 나타나고 있다. 경기 침체와 입주 물량 부담, 미분양 증가 등으로 지방 아파트값이 전반적으로 하락세를 보이고 있는 것과 무관치 않다는 분석이다. 시·도별 아파트 매입 연간 이자비용은 서울이 유일하게 1000만원 이상이며, 경기도가 615만원으로 두 번째로 높았다. 이자비용이 가장 낮았던 2015년에 비해 2018년 8월 기준 세종이 3년 새 81.4%로 가장 많이 증가했으며, 서울은 54.5%로 두 번째로 상승률이 컸다. 그 외 경기와 광주가 40%이상의 증가율을 기록했으며, 충북은 9.6%로 증가폭이 가장 낮았다. 연내 국내 기준금리 인상이 본격화하면 최근 잇따른 규제로 소강상태에 빠진 주택시장이 위축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함영진 직방 데이터랩장은 “최근 9·13 부동산 대책 등 잇따른 대출규제 강화에 국내 금리 인상까지 본격화하면 이자비용에 대한 부담도 동반될 전망”이라며 “종합부동산세 강화 등 보유세 부담 증가에 이어 금리 인상으로 금융비용이 증가하면 아파트값 상승 동력이 상실돼 주택시장 수요는 위축될 수 있다”고 말했다. 시도별 주택담보대출에 따른 연간 이자비용 시뮬레이션.[직방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