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검색결과 583건
- "아빠 없는 쥐" 첫 탄생
- [조선일보 제공] 난자만을 이용해 발생시킨 ‘아버지 없는’ 쥐를 한·일 공동 연구진이 탄생시켰다.
생명공학기업인 마크로젠(대표 서정선)은 22일 “일본 도쿄 농대 고노 도모히로(河野友宏) 교수팀과 함께 정자와 수정 없이 난자 2개만을 결합시키는 처녀생식(parthenogenesis·단성생식)을 통해 건강한 생쥐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세계적인 학술지인 네이처(Nature) 22일자에 게재됐다.
그러나 이 기술은 이론적으로 같은 포유류인 인간에게도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아버지 없는 생식’이 인간에게 일어날 경우 큰 윤리적·사회적 논란이 일 전망이다.
그동안 처녀생식으로 건강한 포유류의 새 개체를 만드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여겨져 왔으나, 연구팀은 난자의 유전자 중 처녀생식을 방해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유전자(h19)를 화학적 방법으로 제거한 뒤, 정상 난자에 결합시켜 건강한 생쥐를 탄생시켰다. 연구팀은 모두 343개의 수정란을 26마리의 대리모(代理母)에 이식, 이 중 8마리가 태어났고 두 마리가 최종 생존했다고 밝혔다.
이 연구는 고노 교수팀이 논문 저자 7명 중 5명으로 참여, 주도했으며 마크로젠 연구팀은 처녀생식으로 태어난 생쥐의 유전자를 분석하는 DNA칩 기술을 제공했다. 서정선 마크로젠 회장은 “부모의 유전자가 서로 상호작용해 자식에게 전달되는 생명의 신비를 풀 길이 열렸다”며 “질병 관련 유전자를 조절하는 연구를 비롯, 기존의 여러 생명공학 연구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고노 교수는 AP통신과의 인터뷰에서 “동물이 아닌 인간에 대해 이번 연구 성과를 직접 적용하는 것은 몰지각한(senseless) 일”이라고 지적했다. 마리아생명공학연구소 박세필 박사는 “기존의 교과서를 바꿔야 할 만큼 획기적인 연구 성과이지만, 자신의 난자 2개를 사용할 경우 대안적인 ‘인간복제’로도 활용될 수 있는 등 큰 논란을 일으킬 수 있는 만큼 신중히 접근해야 한다”고 말했다.
◆"男+女=새 생명" 공식 깨졌다
세계최초 "포유류 처녀생식" 성공
난자만을 이용한 처녀 생식으로 ‘아버지 없는 쥐’가 탄생한 것은 포유류에서 난자 한 쪽만으로는 개체가 발생할 수 없다는 기존 학계의 정설을 완전히 뒤엎는 ‘대사건’이다.
이를 인간에게 적용할 경우 이론적으로는 난자 2개로 자기 복제가 될 수 있다는 의미로, 염색체가 ‘XX’인 여성들만 이론적으로 자기복제가 가능하다.
그동안 생물학계에서 이 같은 처녀 생식(단성생식·單性生殖) 시도가 있었으나, 단일 성(single sex)의 생식세포를 아무리 합쳐 놓아도 정상적으로 개체가 발생하지 못하고 결국은 발생 며칠 만에 죽어버렸다. 자연계에서 단성생식은 벌·진딧물·물벼룩 등 곤충이나 어류, 민들레·옷굿나물 등 식물에서만 관찰돼왔다.
포유류에서 유성 생식만이 일어날 수밖에 없는 이유는 포유류 발생에는 양성(兩性)의 생식세포 융합을 통해 나타나는 유전자에 의해서만 발생 과정이 조절되는 체계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유전적 각인(Genomic Imprinting)이라고 한다. 그러나 포유류의 개체 발생 초기에 난자와 정자의 유전정보(DNA)가 똑같은 비중으로 기여하는 것은 아니다.
부계(Male)와 모계(Female)에서 받는 한 쌍의 유전자 중 ‘유전적 각인’ 과정을 거쳐 어느 한쪽의 유전자는 기능을 하고, 나머지 한쪽의 유전자는 기능을 하지 못하게 된다. 즉 2세의 특정 부분은 부계쪽 유전자에 의해서만 만들어지고, 어떤 부분은 모계쪽 유전자에 의해서만 만들어진다.
연구팀은 이 같은 부계·모계 유전자 발현 과정을 규명, 처녀 생식을 가능케 했다. 유전자를 분석하는 고밀도 DNA칩을 이용, 초기 발생 과정에 관여하는 유전자들을 밝혀냈고, ‘처녀 생식’에 관여하는 유전자들의 발현 양상을 발생 단계별로 분석했다. 이후 처녀 생식을 방해하는 유전자들을 유전자 조작으로 제거, 출산에 이르게 했다.
◆서정선 마크로젠회장 "유전자 분석기술 세계최고 검증"
서정선(徐廷瑄·52·사진) 마크로젠 회장은 고노 도쿄농대 교수 연구팀과 공동으로 세계 최초로 ‘아버지 없는’ 생쥐를 탄생시킨 것과 관련, 22일 기자에게 “세계적 과학잡지인 네이처에 게재될 정도로 한국의 유전자 분석기술이 세계 정상 수준임을 검증받은 것은 매우 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서 회장은 “2003년 초 연구 결과가 거의 마무리됐지만, 확인을 거듭하는 네이처의 검증절차 때문에 연구가 1년 뒤에야 게재됐다”고 말했다. 실제로 이번 연구성과는 ‘아버지 없이’ 태어난 쥐가 14개월이 지나 생식능력을 입증받은 뒤에야 네이처에 게재됐다.
서 회장의 마크로젠이 이번 연구에 기여한 부분은 유전자 분석 분야. 마크로젠이 개발한 DNA 칩은 ‘아버지 없는’ 생쥐의 유전자 1만개를 손쉽게 분석, 연구팀이 정상적인 생쥐의 유전자와 비교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서 회장은 국내의 대표적인 생명공학 벤처기업인. 1983년 서울대 의대 교수로 부임한 이래 선천성 면역결핍증 유발 생쥐 개발 등 생명공학 분야에서 굵직한 성과를 이뤄내왔다. 97년부터는 DNA칩 제조 업체 마크로젠을 설립, 유전자 분석 연구에 집중하고 있다.
- (초점)"백색가루" 공포의 확산..탄저병 10문 10답
- [edaily] 전세계적으로 탄저균으로 의심되는 "백색가루"에 대한 공포가 확산되고 있다. 영국 브라질 등에서도 탄저균으로 의심되는 백색가루가 공항 교회등에서 발견됐으며 벨기에에서도 의심가는 우편물의 배달이 전해지고 있다. 미국 당국은 최소한 탄저균 노출자가 5-6명 추가로 발견됐다고 전했다. 미국 CNN은 이에 따라 15일 일반인들이 탄저병에 대해 알아야 할 10가지 사항을 지적했다.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탄저병이란? 탄저균에 의해 감염되는 전염병으로 보통 소, 양, 염소 등의 포유류 동물에게서 나타나지만 감염된 동물에 노출되면 사람도 걸릴 수 있다.
2. 탄저병은 어떤 사람에게 전염되나? 탄저병은 동물에게서 자주 나타나는 것으로 농촌지역에서 흔하다. 탄저병이 자주 발생하는 지역에서 기른 육류를 다루는 사람들이 감염되기 쉽다.
3. 탄저병의 감염경로는? 피부감염, 호흡기 감염, 소화기 감염의 세가지 형태가 있다. 탄저균 포자는 흙속에서 몇년간 서식할 수 있는데 이를 만지거나 흡입하게 되면 이 병에 걸리기 쉽다. 감염된 육류를 제대로 익히지 않고 먹는 것도 위험하다. 미국에서는 이 병이 그리 흔하지 않다.
4. 증세는? 탄저병의 증세는 종류에 따라 다르나 잠복기는 공통적으로 7일 가량이다.
-피부감염: 감염된 동물의 털, 가죽등을 다룰때 탄저균이 피부의 상처를 통해 침투하는 경우가 95%다. 처음에는 가려운 혹 정도이나 곧 중앙에 검은 반점이 있는 궤양으로 발전한다. 간혹 감염부위 주변의 림프선이 붓기도 한다. 방치하면 20% 가량이 사망한다. 지난주에 NBC여직원이 걸린 것으로 보도된 것도 피부 탄저병이다.
-호흡기 감염: 초기 증상은 감기와 비슷하나 병세가 진전되면 심각한 호흡곤란과 쇼크를 보인다. 매우 치명적인 것으로 플로리다 지역의 감염자들이 사망하기도 했었다.
-소화기 감염: 감염된 육류섭취를 통해 걸리며 장기의 심각한 염증을 일으킨다. 메스꺼움, 식욕감퇴, 구토 및 열을 동반하며 각혈이나 설사 증세를 호소하기도 한다. 치사율은 25%-60%.
5. 주로 발견되는 지역은? 특정지역을 고를 수는 없으나 개발도상국이나 동물관련 검역 체계가 미흡한 지역에서 빈발한다. 중남미지역, 남부 및 동부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 중동 등의지역에서의 발병률이 다른 지역보다 높다.
6. 인체에서 인체로 감염될 수 있나? 전염성은 없다.
7. 탄저병에 대한 치료법은? 항생제가 효과적이나 초기에 투여하지 않으면 치명적으로 발전할 수 있다.
8. 예방책은? 발병률이 높고 백신을 충분히 갖추고 있지 않은 나라에서는 가축과의 접촉을 피하고 제대로 익히지 않은 육류는 섭취를 삼간다. 인체에 주입가능한 백신이 있으며 효과는 93%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9. 탄저병 백신이란? 바이오포트사가 백신의 제조와 유통을 담당하고 있다. 동물용 백신은 인체에 사용할 수 없다.
10. 어떤 사람에게 탄저병 예방접종이 필요한가?
-연구실에서 유기물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사람
-탄저병 예방대책이 미흡한 지역으로부터 수입된 모피나 가죽을 다루는 사람
-탄저병 발병률이 높은 지역에서 감염가능성이 높은 동물을 다루는 사람(수의사 등)
-발병률 높은 지역에 배치된 군인(생화학 무기로 사용가능)
-임산부는 꼭 필요한 경우에만 예방접종을 해야한다.
- 리얼미디어코리아, 20개 포탈과 가뭄지원 캠페인
- [edaily] 인터넷 미디어렙사인 리얼미디어코리아(www.realmedia.co.kr)는 국내의 대표적 인터넷 포탈 20여곳과 공동으로 가뭄지역에 양수기 보내기 대국민 운동을 지원하는 인터넷광고를 시작한다고 17일 밝혔다.
리얼미디어코리아의 이번 행사에 동참하는 인터넷 포탈은 세이클럽, 마이클럽, 코리아닷컴, SBSi, iMBC, 씽크풀, 인티즌, 다이얼패드, 엑스투게임, 네띠앙, 한겨레, 나인포유, infomail, 드림엑스, 두밥, 스포츠컴, 튜브뮤직, 하늘사랑, 포스트넛, 신비로 등이다.
리얼미디어코리아는 이번 행사를 계기로 향후 인터넷에 "안전벨트 생활화하기"나 "청소년 일찍 귀가하기" 등 비상업적 캠페인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 MSN, 인터넷 방송 채널 오픈
- [edaily] 마이크로소프트가 운영하는 포털 사이트 MSN(www.msn.co.kr)이 영화, 라디오, CF, 연예 등의 다양한 디지털 미디어 컨텐츠를 한 자리에 모아 놓은 "인터넷 방송 채널(www.msn.co.kr/webcast)" 을 오픈했다고 17일 밝혔다.
현재 컴퓨터, 인터넷, 엔터테인먼트 등 13개의 채널을 운영하고 있는 MSN은 이번 인터넷 방송 채널 오픈을 계기로 향후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를 집중 강화해 나갈 방침이다.
MSN 인터넷 방송 채널은 모든 컨텐츠가 윈도우 미디어용으로 제작되었기 때문에 윈도우 사용자라면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이용하기 위해 별도로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을 필요가 없다.
MSN 인터넷 방송은 영화 뉴스 및 리뷰, 영화 예고편, 라디오 모음, CF/연예/기타 등 네 가지 카테고리로 분류되어 있으며, 엔키노(www.nkino.com), 필름2.0(www.film2.co.kr), 씨네로닷컴(www.cinero.com), 튜브뮤직(www.tubemusic.com), 겟뮤직(www.getmusic.co.kr), 나인포유(www.nine4u.asiamusic.net), 스톤라디오(www.stoneradio.com), NGTV(www.ngtv.net), cm-net(www.cm-net.co.kr), 아이애드(www.ad-city.co.kr), 티비앤투데이(www.tvntoday.co.kr), mcc21(www.mcc21.com), 캐스트넷(www.castnet.co.kr) 등과 제휴, 컨텐츠를 제공한다.
- 정통부, 신S/W상품대상에 니츠· 월시스 2개사 선정
- [edaily] 정보통신부는 2월의 신 소프트웨어 상품 대상으로 일반 소프트웨어부문에서는 니츠의 "PC Shield", 컨텐트부문에서는 월시스의 "인터넷 노래방"을 각각 선정하고, 법인대표와 개발자에게 각각 시상한다고 16일 밝혔다.
"PC Shield"는 인터넷이 보편화되면서 최근 널리 확산되고 있는 악성프로그램에 의해 발생되는해킹, 기밀누출 등 정보보안 사고로부터 개인정보를 완벽하게 보호해 주는 PC보안 솔루션이다. 지난해 하반기에 출시되어 현재 LG전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민군겸용기술센터 등에 판매했으며, 일본 후지전기와 매월 2000만엔의 수출계약을 체결하는 등 국내·외 기업으로부터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는 수출유망 제품이다.
한편, "인터넷 노래방"은 3000여 곡의 대중가요를 포함한 팝송 등을 인터넷상에서 즐기면서 여러 가지 음악학습과 게임을 동시에 할 수 있는 음악학습 겸용 엔터테인먼트이다.
"인터넷노래방"에서는 반주음악과 동시에 노래가사와 악보를 함께 볼 수 있고, 피아노, 기타, 섹서폰, 플롯 등의 개별 악기에 맞는 운지도 자동적으로 보여주므로 처음 악기를 배우는 사람들도 혼자서 자율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우수한 소프트웨어다.
지난해 출시되어 현재 m.net, 크레이지오닷컴, 나인포유 등 20여개 업체와 대행판매 서비스계약을 체결하는 등 종래의 업소용 노래방의 수준을 한 단계 끌어올린 것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미국, 일본, 중국 등 해외교포를 상대로 한 서비스를 현재 준비중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