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검색결과 2,902건
- “억눌렸던 소비 보상심리 폭발”…서울시민 25% '보복소비' 경험
- [이데일리 김기덕 기자] 서울 서초구에 사는 김나연(33·가명)씨는 요즘 스트레스로 잠 못 이루는 날이 많다. 코로나19 장기화로 해외 여행길이 막히고, 사회적거리두기로 외출을 자제하면서 지인 모임이 부쩍 줄어들어서다. 김 씨는 재택 근무을 하면서 온라인상으로 평소 사고 싶었던 명품 옷이나 최신 전자기기를 사들이면서 우울한 마음을 달래고 있다. 서울시민 4명 중 1명은 코로나19로 억눌렸던 소비가 한꺼번에 분출하는 보복소비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민들의 체감경기를 반영하는 소비자태도지수는 코로나19 백신 접종, 거리두기 제한 완화 등으로 점차 호전될 것으로 보는 시각이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연구원은 7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1분기 서울시 소비자 체감경기와 보복 소비’를 주제로 한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조사 결과 소비자태도지수는 코로나19가 첫 발생한 지난해 1분기 82.8로 최저점을 기록한 이후 2분기 86.1, 3분기 87.9, 4분기 89.4로 3분기 연속 상승세를 보였다. 올 1분기는 89.0으로 전분기 대비 0.4p(포인트) 하락했다. 소비자태도지수는 100을 넘으면 경제전망이나 소비지출 전망을 긍정적으로 보는 것이며, 100보다 낮으면 부정적인 의견이 우세한 것을 의미한다. 연구원은 올 2월 국내 코로나19 백신 첫 접종을 시작으로 사회적 거리 두기와 영업 제한이 완화되고, 기저효과도 작용하고 있어 소비자태도지수가 코로나19 발생 전 수준인 90대까지 회복할 것으로 예측했다. 다만 코로나19 재확산, 인플레이션 우려 등은 경기 회복의 변수로 꼽힌다. 또한 소비자태도지수의 구성 요소 중 하나인 현재생활형편지수는 전 분기 대비 2.9p 하락한 72.9를 기록했다. 미래생활형편지수는 전 분기 대비 2.1p 상승한 96.0으로 집계됐다. 이는 가계소득 증가, 보유자산 가치 상승, 국내 코로나19 백신 접종 확대 등으로 가구 생활형편이 호전될 것이라고 예상하는 가구가 늘어난 것이라고 연구원은 분석했다.반면 올 1분기 서울시민의 내구재 구입태도지수와 주택 구입태도지수는 각각 직전 분기 대비 3.6p 하락한 77.6, 2.0p 하락한 53.8로 조사됐다. 주택 구입태도지수는 지난해 2분기 73.5로 상승한 이후 3분기 연속 하락 추세다.보복소비 분야와 평균 지출액(1순위 기준)코로나19 장기화로 억눌렸던 소비를 한꺼번에 분출하는 보복소비를 경험한 시민들도 적지 않았다. 조사 대상자 중 24.3%는 보복소비를 한 경험이 있으며, 이 중 지난해 4분기에 소비를 했다는 응답자(30.2%)가 가장 많았다. 보복소비 1순위 분야는 △건강식품, 식·음료 등 음식(44.0%) △전자기기(20.3%) △명품패션·잡화(13.1%) 등의 순이다. 보복소비 무경험자 중 앞으로 ‘보복소비 의향이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10.1%로 나타났다. 보복소비를 계획하고 있는 분야로는 국내·외 여행이 28.3%로 가장 높았다. 이어 전자기기(17.4%), 음식(16.3%)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보복소비를 하는 가장 큰 이유는 ‘우울해진 마음에 대한 보상심리’라고 응답한 비중이 36.4%로 가장 높았다. 이어 ‘외출 자제로 인한 미뤄둔 쇼핑 수요’(18.6%), ‘국내외 여행 등의 비용을 소모하는 대체 소비’(18.2%) 등의 순이었다.아울러 보복소비의 영향에 대해서는 유경험자의 41.6%가 개인의 행복 증진에는 긍정적이라고 응답했다. 이는 부정적(25.4%)이라는 응답보다 높은 수준이다. 다만 보복소비가 가계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유경험자의 50.9%가 부정적이라고 응답해 긍정적(17.5%) 응답보다 높게 나타났다.향후 보복소비 계획 분야.
- [보안 따라잡기]코로나에도 보안업계 웃었다…매출 4조 육박
- (자료=한국정보보호산업협회)[이데일리 이후섭 기자] 지난해 코로나19로 인한 경제 위축 여파에도 불구하고 국내 정보보안 업계는 실적 성장을 이어갔다. 비대면 보안솔루션 수요 증가에 힘입어 매출액이 4조원에 육박하며 전년대비 8% 성장했고, 특히 수출도 네트워크 보안장비 호조 덕분에 크게 늘었다.한국정보보호산업협회(KISIA)가 지난 3월 발간한 `2020년 정보보호산업 실태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전체 정보보호산업 매출액은 11조8986억원으로 전년대비 6.4% 증가할 전망이다. 이중 정보보안 매출액이 3조9074억원으로 전년대비 8.0% 늘었고, 물리보안도 5.7% 증가한 7조9912억원으로 집계됐다.코로나19로 재택근무가 계속되면서 공공·통신 등 분야를 포함해 비대면 보안 솔루션에 대한 수요가 늘었고 클라우드 보안, 인공지능(AI) 보안관제 솔루션 사업 등도 호조를 보였다. 이에 힘입어 SK인포섹, 안랩(053800), 윈스(136540), 이글루시큐리티(067920) 지니언스(263860) 등이 사상 최대 실적의 성과를 올렸다. 문서암호화(DRM), 화면 보안솔루션, 정보유출방지(DLP) 솔루션 등에 대한 수요도 계속되면서 마크애니는 지난해 원격보안 관련 솔루션 수주가 7배 이상 급증했고, 파수(150900)도 문서암호화, 화면 보안 솔루션에 대한 도입 문의가 30% 이상 늘었다. 정부가 지난해부터 총 6400억원을 들여 추진한 `비대면 서비스 바우처 사업` 수혜도 거들었다. 비대면 서비스 바우처 사업은 화상회의, 재택근무, 네트워크·보안솔루션 등의 서비스 이용을 희망하는 중소·벤처기업에 400만원 한도(자부담 10%)의 바우처를 지급하는 사업으로, 네트워크·보안솔루션 공급기업에는 58개 기업이 선정됐다.지난해 코로나19로 인해 해외 영업 및 마케팅이 힘든 상황에서도 정보보안 수출이 1466억원으로 전년대비 19.5% 늘었다. 특히 가상사설망(VPN), 차세대 방화벽, 침입방지시스템(IPS), 네트워크 접근제어(NAC) 등 네트워크 보안부문 수출이 46.4% 성장했다. 윈스의 일본 IPS 수출이 151억원으로 전년대비 25% 성장을 이어가는 등 두드러진 성과를 보였다.이 같은 실적 선방 속에 정보보안 업계의 외형도 성장을 이어갔다. 지난해 정보보안 기업 수는 531개로 전년(473개)에서 50개 이상 늘었으며, 종사 인력도 17.0% 증가했다. 지난해 1886명의 신규 인력을 채용했으며, 올해에도 1500명 이상을 뽑을 것으로 예상된다.KISIA 측은 “정보보안 분야에서 사업 기회가 많아지고 있기에 기업들의 참여도 높아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고, 그 규모도 커지고 있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며 “기업체 수 증가는 보안시장이 꾸준히 성장하고 있음을 뜻한다”고 진단했다.올해 보안업계 실적 전망도 밝다. 증권가에서는 윈스·지니언스·파수 등 주요 보안업체들이 올해 15% 이상의 매출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기대하며 눈높이를 올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