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검색결과 3,547건
- '공조2' 현빈 "다니엘 헤니, '김삼순' 이후 17년 만에…너무 반갑"
- 배우 현빈이 16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콘래드 호텔에서 진행된 영화 ‘공조2: 인터내셔날’ 제작보고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공조2’(감독 이석훈)는 글로벌 범죄 조직을 잡기 위해 다시 만난 북한 형사 림철령(현빈)과 남한 형사 강진태(유해진), 여기에 뉴페이스 해외파 FBI 잭(다니엘 헤니)까지, 각자의 목적으로 뭉친 형사들의 예측불허 삼각 공조 수사를 그린 작품이다. 2022.8.16/뉴스1[이데일리 스타in 김보영 기자] 배우 현빈이 다니엘 헤니와 ‘공조2’로 드라마 ‘내 이름은 김삼순’ 이후 17년 만에 다시 호흡한 소감을 전했다. 현빈은 16일 오전 서울 여의도 콘래드 서울에서 열린 ‘공조2: 인터내셔날’(감독 이석훈, 이하 ‘공조2’)의 제작보고회에 이석훈 감독 및 유해진, 임윤아, 진선규와 함께 참석했다. 다니엘 헤니는 해외 일정 소화로 인해 이날 화상으로 참석을 대신했다. 이날은 현빈이 배우 손예진과 결혼 이후 선 첫 공식 석상 자리라 눈길을 끌었다. 화상 연결로 깜짝 등장한 다니엘 헤니는 “정말 가고 싶었는데 미국 스케줄 때문에 못 갔다. 죄송하다”고 인사를 건넸다. 그는 “현빈, 유해진, 임윤아와 함께해서 너무너무 좋았다. 오랫동안 유해진 형 팬이어서 같이 해서 너무 영광이었다. 낚시 얘기도 많이 하고 재밌었다”라며 “현빈은 ‘내 이름은 김삼순’ 이후로 만나서 무척 반가웠다. 임윤아와도 2007년쯤 만난 인연이 있다. 그래서 다들 첫 촬영부터 친한 느낌이 있었다”라고 애정을 드러냈다.현빈 역시 “‘내 이름은 김삼순’이 2005년 찍은 작품인데 다니엘 헤니와 17년 만에 만났다. 정말 오랜 시간이 흐르고 만났다. 각자의 위치에서 연기를 잘 해오며 지내왔기에 이 순간, 자리에서 같이 작품을 할 수 있었지 않나 싶다. 재회해서 너무 반갑고 연기하기 전부터 너무 기대되고 좋았다”라고 소감을 언급했다. 9월 7일 개봉을 앞둔 ‘공조2’는 글로벌 범죄 조직을 잡기 위해 다시 만난 북한 형사 림철령(현빈 분)과 남한 형사 강진태(유해진 분), 뉴페이스인 해외파 FBI 잭(다니엘 헤니 분)까지, 각자의 목적으로 뭉친 형사들의 예측불허 삼각 공조 수사를 그린 작품이다.
- 코오롱글로벌, 상반기 영업이익 1232억원…전년 대비 1.6%↑(종합)
- [이데일리 이성기 기자] 코오롱글로벌은 올해 2분기 연결기준 영업이익 655억 6000만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2% 감소했다고 9일 밝혔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1조 2377억 9100만원으로 0.3% 줄었고 당기 순이익은 487억 2800만원으로 1%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과천 코오롱타워 전경. (사진=코오롱글로벌)상반기 기준으로는 매출액 2조 3682억원, 영업이익 1232억원, 당기 순이익 881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대비 매출액은 1.0%, 영업이익은 1.6%, 당기 순이익은 10.3% 늘어났다. 부문별로 건설은 상반기 매출액 1조 2억원(-3.2%), 영업이익 768억원(-8.2%)을 기록했다. 주택 및 건축 부문은 견조한 실적을 올렸으나, 해외 현장의 추가 원가 반영 등 일회성 비용 추가로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보다 소폭 줄어들었다. 상반기 신규 수주는 1조 6438억원(주택·건축 1조 1311억원, 인프라 5127억원)으로 수주 잔고는 10조 3000억원을 돌파했다. 지난해 건설 부문 매출 대비 4배 이상의 잔고를 보유해 건설 부문의 성장이 지속될 것으로 보고 있다.유통 부문은 상반기 매출액 9017억원(+7.7%), 영업이익 405억원(+25.4%)를 기록했다. 신차 판매 호조가 지속되면서 매출을 견인했다. 특히 BMW X시리즈 판매량이 같은 기간 판매가 크게 늘면서 수익성이 증가했다.자회사 부문은 상반기 매출액 2398억원(-3.7%), 영업이익 43억원(+816.7%)을 기록했다. 코오롱아우토(아우디) 등 자회사 손익개선으로 영업이익이 흑자로 돌아서며 수익성이 개선됐다.
- 하루 ‘8천원’ 예비군훈련비, 10년동안 식비 천원 올랐다
- [이데일리 장시온 인턴기자] 예비군 훈련비 중 식비 항목이 2012년 6000원에서 올해 7000원으로 1000원 인상된 가운데 최저임금의 20% 수준인 훈련비에 예비역들의 불만이 커지고 있다. 올해 일반훈련 기준 훈련비는 교통비 8000원과 식비 7000원을 합한 1만5000원으로 시급 1875원 수준이다. 외국군에 비해 처우가 열악하다는 지적이 나오면서 최저임금 수준으로 훈련비를 인상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공부 접고 장사 접고 가는데 시급 ‘1875원’군은 예비군법 제11조와 예비군법 시행령 제27조에 따라 급식비, 교통비 등 실비를 예비군 훈련비로 지급한다. 올해 예비군 훈련비는 일반훈련의 경우 식사 시 8000원이고 식사를 하지 않을 시 1만5000원이다.대학생 A씨(25)는 “도시락 신청하니까 8000원 주더라. 준비하는 시험이 있지만 빠질 수는 없으니 하루 시간을 내서 8시간 훈련하는데 편의점에서 1시간 일하고 받는 돈보다도 적게 주는 것이 말이 되느냐”고 말했다.이어 "선거관리원이나 개표사무원 아르바이트도 모두 최저임금 이상을 보장해주고 직업군인도 합당한 보상을 받고 있는데, 학업과 생업에 치이고 있는 예비역들에게는 시급 1875원을 쥐여주면서 훈련을 뛰게 하는 현실이 안타깝다"고 말했다.직장인 B씨(27)는 “휴전 국가이기 때문에 예비군 훈련을 받는 것 자체에 불만은 없다. 하지만 멀쩡히 직장에 다니거나 학교에 다니고 있는 사람들을 불러다 훈련을 받게 할 거라면 최소한 상식적인 수준의 보상은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이어 “이미 18~21개월의 징병을 겪은 이들을 계속 불러낼 거라면 최소 최저임금 수준은 줘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10년 동안 ‘5000원’ 인상...실제 지출액 못 미쳐지난 10년 동안 일반훈련 기준 훈련비는 단 5000원 인상됐다. 2012년도 예비군 일반훈련 훈련비는 1만원이었지만 올해는 1만5000원이다. 특히 식비는 2012년 6000원, 2022년 7000원으로 10년 동안 1000원 인상되는데 그쳤다.실제로 훈련 참가자들이 훈련비가 부족해 교통비를 사비로 충당하고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사진=한국전략문제연구소 ‘예비군 훈련 적정 보상비 연구’) 한국전략문제연구소의 ‘예비군 훈련 적정 보상비 연구’에 따르면, 대중교통 이용 시 훈련장별로 교통비 지출액은 왕복 8100원에서 3만8400원까지 분포했다.교통편 부족으로 택시 이용이 불가피한 경우 왕복 4만원에서 16만원까지 그 액수가 급격히 높아졌다. 외국군은 하루 평균 8~16만원 지급에 교통비 무료미국은 현역 수준의 급여 제도를 적용하여 예비군의 계급과 복무 기간, 훈련 일수를 고려하여 보상비를 지급하고 있다. 하루 훈련 시 평균적으로 병은 16만원, 장교는 37만원 수준을 보상하고 있다.이스라엘은 개별 소득수준을 감안해 하루 평균 8~14만원을 지급하고 있다. 이에 기본급, 특별급, 보조금, 세금공제 등의 혜택도 제공한다.독일은 훈련 기간 동안의 미수령 월급 100%를 지급하며 숙식, 의료, 교통 비용을 전액 지원하고 있다.반면 한국은 보상비 개념이 아닌 실제 지출된 ‘실비변상’ 개념으로 동원훈련은 교통비 및 식비 외 훈련비를 지급하고 일반훈련은 교통비와 식비만을 훈련비 명목으로 지급하고 있다. 예비역 과반수 “최저임금 수준 인상해야”...난항 전망생업과 학업을 포기하고 훈련에 참여하는 만큼 예비군 훈련비를 최소 최저임금 수준으로 인상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크다.지난 2018년 한국전략문제연구소가 국방부 의뢰로 예비군 1,262명을 포함한 총 2,029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일반예비군의 56.3%, 동원예비군의 58.8%가 예비군 훈련비를 최저임금 수준으로 지급하는 것이 가장 적절하다고 응답했다. (사진=한국전략문제연구소 ‘예비군 훈련 적정 보상비 연구’) 2022년 기준으로 하루 8시간 동안 진행되는 일반훈련의 식비와 교통비 1만5000원을 시급으로 계산하면 1875원으로 최저임금의 20.6%에 불과하다.이에 국방부는 지난 2019년 '예비전력 정예화 추진방향 설명회'에서 2022년까지 일반훈련 훈련비를 3만1000원까지 인상하고 2033년까지 6만원으로 인상하는 방안을 추진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그러나 올해 일반훈련 훈련비는 1만5000원에 그쳐 목표치보다 1만6000원 부족해 국방부의 예비군 처우 개선 방침이 난항을 겪을 것으로 보인다.
- 크레디트스위스 “증시랠리 지속될 것”…더 오를 종목은
- [이데일리 유재희 기자] 글로벌 투자은행 크레디트스위스는 증시 랠리가 당분간 이어질 것이라며 특히 아메리칸에어라인그룹(AAL)과 제네락(GNRC), 카니발(CCL) 등의 상승 탄력이 강할 것으로 내다봤다. 30일(현지시간) 크레디트스위스의 패트릭 팰프리 선임 애널리스트는 “많은 투자자들이 `이미 주식시장은 최악의 경기침체를 반영하고 있다`고 확신하면서 지난달 증시가 큰 폭의 상승세를 기록했다”고 분석했다. 앞서 27일 연방준비제도이사회(Fed)가 강력한 고용 시장을 바탕으로 미국 경제가 경기 침체에 빠지지 않았다고 발표한 것을 고려할 때 증시는 더 오를 수 있다는 설명이다. 주식시장에 반영된 경기 우려보다 실제 경기 상황은 더 양호하다고 볼 수 있기 때문. 크레디트스위스는 향후 인플레이션 부담도 더 완화될 것으로 봤다. 패트릭 팰프리는 “상품 가격이 떨어지고 경제 지표가 약화되면서 인플레이션은 향후 2년간 하향 안정화 될 것으로 본다”며 “이는 연준이 더 비둘기파적인(통화 완화) 정책으로 전환하는 데 큰 역할을 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실제 미국의 이코노미스트들도 오는 10일 발표될 7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대비 8.8% 상승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는 5월의 9.1%보다 낮은 수준으로, 인플레이션이 진정되고 있다는 게 확인될 경우 증시에는 강력한 모멘텀이 될 수 있다는 게 월가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크레디트스위스는 최근 상승탄력이 강했던 종목들의 공통점은 경기·물가 등에 대한 민감도가 높고, 비트코인과 상관관계가 높은 투기 종목, 주가수익비율(PER) 높은 고평가 종목이라고 분석했다. 실제 6월 저점 이후 투기 종목과 고PER주의 상승률은 각각 16.8%, 16.6%로 시장수익률(S&P500) 9.9%를 크게 웃돌았다. 크레디트스위스는 이들 종목 중 추가 상승 여력이 있는 종목으로 세리디언HCM홀딩스(CDAY)와 아메리칸에어라인그룹(AAL), 제네락홀딩스(GNRC), 카니발(CCL), 시저스엔터테인먼트(CZR), 엣시(ETSY), 노르웨이지언크루즈라인홀딩스(NCLH), 펜내셔널게이밍(PENN), 세일즈포스(CRM), 인튜이트(INTU) 등 10개 종목을 추천했다. 크레디트스위스 외에도 최근 이들 종목에 대해 긍정적 의견을 제시한 곳들이 있다. 우선 웰스파고는 제네락홀딩스에 대해 최근 기후변화 등으로 전력망이 불안정한 상황인 만큼 수혜가 예상된다며 ‘비중확대’ 의견을 제시했다. 제네락은 가정용 비상 발전기를 중심으로 다양한 에너지 솔루션 제품을 제공하는 기업이다. 이어 서스퀘하나는 크루즈 관련주의 랠리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며 특히 노르웨이지언크루즈라인홀딩스는 가격 결정력이 있다는 점에서 더 긍정적이라고 평가했다.
- 올해 온열질환 7명 사망, 환자 22.1% 증가
- [이데일리 박경훈 기자] 올해만 온열질환으로 885명의 환자가 발생하고 7명이 사망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격적인 무더위가 시작된 만큼 더운 시간 실외작업이나 야외활동을 자제하는 등의 주의가 필요하다.27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지난 25일 기준 온열질환자 885명이 발생해 전년 대비 160명(22.1%) 증가했다. 온열질환자 7명은 사망했다.열사병, 열탈진 등 온열질환은 뜨거운 환경에 장시간 노출될 때 두통이나 어지러움, 근육 경련, 피로감, 의식저하 등이 동반되는 질환으로, 방치 시 생명이 위태로울 수 있다.신고된 장소는 실외가 81.6%, 낮 12시부터 오후 5시 사이 낮 시간대, 65세 이상 노인층이 28.5%로 가장 많았다. 연령대별로 온열질환이 주로 발생하는 장소는 18세 이하는 운동장이 50%로, 30~64세 청장년층은 실외작업장 41.7%, 노인층은 논밭이 33.3%로 가장 많았다.기상청은 전국 대부분 지역에 폭염특보를 내리고 일 최고 체감온도가 33~35도로 무더울 것이라고 예보한 상태다. 폭염일 때 온열질환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물 자주 마시기, 더운 시간대에는 휴식하기 등 건강수칙을 준수하는 것이 중요하다.갈증을 느끼기 전부터 규칙적으로 수분을 섭취하고, 낮 12시부터 오후 5시 사이 위험시간대 활동을 줄이고, 불가피한 경우 챙 넓은 모자, 밝고 헐렁한 옷 등을 착용하면 온열질환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다.어지러움, 두통, 메스꺼움 등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실외활동을 중단하고 시원한 곳으로 이동해 휴식을 취해야 한다. 음주는 체온을 높이고 다량의 카페인이 함유된 커피나 탄산음료는 탈수를 유발할 수 있는 만큼 많이 마시지 않는 것이 좋다.고혈압 등 심혈관질환이나 당뇨병, 뇌졸중 등 만성질환이 있다면 더위로 증상이 더 악화될 수 있으므로 더위에 오래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어린이나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는 자동차나 집에 혼나 남지 않도록 하며, 부득이 외출할 때에는 이웃이나 친인척에게 보호를 부탁해야 한다.온열질환자가 발생하면 즉시 환자를 시원한 장소를 옮기고, 물수건과 물, 얼음 등으로 몸을 닦아 체온을 내려 증상이 호전되지 않으면 의료기관을 방문해야 한다. 의식이 없는 경우 신속히 119에 신고해 병원으로 이송해야 한다. 음료수는 억지로 먹이면 질식 위험이 있으므로 자제해야 한다.
- 선동열·최동원·이종범·이승엽…KBO 40주년 기념 레전드 '톱4'
- 선동열(해태), 최동원(롯데), 이종범(KIA), 이승엽(삼성)이 16일 KBO리그 레전드 40인 중 ‘톱4’로 선정됐다.(사진=KBO 제공)[잠실=이데일리 스타in 이지은 기자]선동열(해태), 최동원(롯데), 이종범(KIA), 이승엽(삼성)이 16일 KBO리그 레전드 40인 중 ‘톱4’로 선정됐다.한국야구위원회(KBO)는 이날 잠실구장에서 2022 신한은행 SOL KBO 올스타전을 앞두고 공식 행사를 열고 리그 40주년을 기념해 선정한 레전드 40인 중 최다 득표 상위 4걸을 발표했다. 선정위원회에서 추천한 177명의 후보 중 전문가 투표(80%)와 팬 투표(20%)를 합산해 40인의 레전드가 가려졌고, 최다 득표 순으로 선동열, 최동원, 이종범, 이승엽이 이름을 올렸다.‘무등산 폭격기’ 선동열은 전문가 투표 156표 중에서 155표(79.49점), 팬 투표 109만 2432표 중 63만 1489표(11.56점)를 받아 총점 91.05로 1위를 차지했다. 앞서 2011년 선정한 30주년 레전드 올스타 베스트10에도 선정된 바 있다.선동열은 1985시즌 데뷔한 이래 1996시즌 일본 주니치 드래곤즈로 이적하기 전까지 해태에서만 11시즌을 보냈다. 이 기간 6차례 한국시리즈 우승(86~89·91·93년)을 이끌어 왕조 건설의 선봉에 섰다. 커리어 막판 마무리 투수로 전향하면서 100승과 100세이브를 돌파했다. 역대 1000이닝 이상 소화한 투수 가운데 통산 평균자책점(1.20), 완봉(29), WHIP(0.80)에서 압도적인 1위를 차지하고 있다. ‘무쇠팔’ 최동원은 전문가 투표에서 156명 전원(80.00점), 팬 투표에서 545,431표(9.99점)를 얻어 총점 89.99로 2위를 기록했다.1984년 한국시리즈 4승은 최동원을 대표하는 기록이다. 통산 완투 2위(81개), 최다 연속 시즌 200이닝 이상 투구 공동 1위(5시즌) 등을 보유했다. 통산 평균자책점은 선동열에 이어 2위(2.46), 통산 WHIP는 3위(1.15)다.롯데의 우승을 이끌었던 1984시즌이 전성기였다. 그해 27승은 역대 단일 시즌 최다 승리 2위, 223탈삼진은 최다 탈삼진 2위에 해당한다. 이를 바탕으로 정규시즌 MVP와 투수 부문 골든글러브를 품에 안았다. ‘야구 천재’ 이종범은 전문가 투표에서 149표(76.41점), 팬 투표에서 59만 5140표(10.90점)를 얻어 총점 87.31로 3위에 자리했다.이종범은 현역시절 공수주 만능 플레이어였다. 유격수로 이름을 날렸던 90년대 4회(93·94·96·97년), 일본에서 복귀한 뒤 외야수로 2회(02·03)년 골든글러브를 수상했다. 정규시즌 MVP를 차지했던 1994년엔 시즌 막판까지 원년 백인천 이후 첫 4할 타자 탄생을 기대하게 했고, 역대 단일 시즌 최고 타율 2위(타율 0.393)로 마무리했다. 리그 최초의 시즌 200안타도 노렸으나 196안타로 시즌을 마감했고, 이는 역대 단일 시즌 최다 안타 4위에 해당한다. ‘바람의 아들’이라는 별명답게 통산 도루 2위(510개) 기록도 보유 중이다. 1994시즌 84도루는 여전히 역대 단일 시즌 최다 도루 기록이다.‘라이언 킹’ 이승엽은 전문가 투표에서 149표(76.41점), 팬 투표에서 55만 3741표(10.14점)으로 총점 86.55를 얻어 이종범과 근소한 차이로 4위를 기록했다.이승엽은 리그 홈런과 관련한 대부분의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통산 홈런 1위(467개), 역대 단일 시즌 최다 홈런 1위(56개·03년)를 비롯해 최연소 100홈런(22세 8개월 17일), 최연소·최소경기 200홈런(24세 10개월 3일·816경기), 최연소·최소경기 300홈런(26세 10개월 4일·1075경기), 7시즌 연속 시즌 30홈런 등이다.통산 타점, 득점, 루타, 장타율, OPS 부문에서도 1위를 수성 중이다. 골든글러브 10회(97~03, 12, 14, 15), 정규시즌 MVP 5회(97,99, 01~03) 수상으로 이 부문 최다 타이틀을 가졌다.한편, 허구연 KBO 총재는 이날 공식 행사에서 최다 득표 레전드 4명에게 트로피를 수여했다. 남은 레전드 36명은 후반기 순차 발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