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렬
  • 영역
  • 기간
  • 기자명
  • 단어포함
  • 단어제외

뉴스 검색결과 2,386건

삼성전자, 5만전자 중반서 고전… 증권가는 “초격차 초점”
  • 삼성전자, 5만전자 중반서 고전… 증권가는 “초격차 초점”
  • [이데일리 이정현 기자] 삼성전자(005930)가 5만전자 중반선에서 반등세가 꺾이는 모양새다. 외국인이 여전한 선호도를 보여주고 있으나 전일 미국 증시 하락 등 대외여건 악화에 투심이 약화되는 모양새다. 증권가에서는 장기적으로 분위기 전환할 수 있다고 판단하며 ‘매수 의견’를 제시했다.사진=연합뉴스20일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이날 전 거래일 대비 0.54%(300원) 하락한 5만5500원에 거래를 마쳤다. 3거래일 연속 하락세다. 전 거래일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가 상승하며 개인과 외국인이 매수에 나섰으나 기관이 매도에 나서면서 주가가 약세를 보였다. 반도체 업황에 대한 우려가 여전하나 증권가에서는 여전히 삼성전자를 선호주로 분류하고 있다. 업황 부진에도 경쟁사 대비 내년도 감익 규모가 제한적인데다 공정 우위를 바탕으로 시장 점유율을 확대해 추후 성장 가능성이 충분하다는 판단이다.외국인 역시 삼성전자를 계속해서 매집하고 있다. KRX정보데이터시스템에 따르면 외국인은 삼성전자가 약세를 보인 이날 하루에만 652억 원 가량을 순매수했다. 이달 들어서는 8488억 원어치 사들이는 중이다.삼성전자가 첨단 메모리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하며 메모리 시장의 불황을 넘고 ‘초격차’를 유지한다는 구상도 주목할만하다. 삼성전자는 최근 연산 기능을 갖춘 차세대 메모리반도체인 PIM(Processing-In-Memory) 기술을 활용한 메모리 솔루션(HBM-PIM)을 확보하고, 이를 구현하는데 필요한 소프트웨어에 대한 표준화도 완료했다.위민복 대신증권 연구원은 삼성전자의 이 같은 플랜을 바탕으로 투자의견을 ‘매수’, 목표가로 6만5000원을 제시했다. 그는 “경쟁사와 달리 수익성 방어보다 시장점유율 확대 전략을 펼칠 것으로 전망된다”며 “원가 우위를 바탕으로 치킨게임을 시작할 가능성이 존재하나 가격하락이 지나치게 가파른 상황에서는 삼성전자에도 부담스러운 결정이될 것”이라 말했다.
2022.10.20 I 이정현 기자
삼성전자, 테크데이서 "내년 5세대 10나노급 D램 양산한다"
  • 삼성전자, 테크데이서 "내년 5세대 10나노급 D램 양산한다"
  • [이데일리 최영지 기자] 삼성전자가 5일(현지시간)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삼성 테크 데이 2022’를 개최하고, 차세대 반도체 솔루션과 로드맵을 공개했다. 메모리반도체 분야에선 ‘5세대 10나노급’ D램을 내년 양산하며, 2024년 9세대 V낸드를 양산하겠다는 계획을 내놨다.▲10월 5일(현지시간)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열린 ‘삼성 테크 데이 2022’에서 메모리사업부장 이정배 사장이 발표를 하고 있는 모습 (사진=삼성전자)이정배 삼성전자(005930) 메모리사업부장 사장은 삼성 테크 데이 반도체 세션에서 5세대 10나노급(1b) D램과 8세대·9세대 V낸드 등 차세대 제품 로드맵을 공개했다. 삼성전자는 2023년 5세대 10나노급 D램을 양산하는 한편, 하이케이 메탈 게이트(High-K Metal Gate) 공정 등 새로운 공정 기술 적용과 차세대 제품 구조를 통해 공정 미세화 한계를 극복할 계획이다. 현재 D램은 4세대 10나노급이 생산 중이다.데이터 인텔리전스를 발전시킬 미래 D램 솔루션과 공정 미세화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다양한 D램 기술도 공개했다. 삼성전자는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데이터 사용량을 감당하기 위해 HBM-PIM, AXDIMM, CXL 메모리 등 다양한 시스템 아키텍처를 지원할 수 있는 차세대 D램 기술을 성장시킬 것이며, 이를 위해 글로벌 IT 기업들과 협력할 것이라고도 했다.▲10월 5일(현지시간)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열린 ‘삼성 테크 데이 2022’ 현장 (사진=삼성전자)낸드플래시의 경우, 올해 세계 최고 용량의 8세대 V낸드 기반 1TB(테라바이트) TLC(트리플 레벨셀) 제품을 양산할 계획을 밝혔다. 이어 2024년 9세대 V낸드를 양산하고 2030년까지 1000단 V낸드를 개발하겠다는 로드맵을 제시했다.또, 7세대 대비 단위 면적당 저장되는 비트(Bit)의 수를 42% 향상한 8세대 V낸드 512Gb(기가비트) TLC 제품도 공개했다. 이는 512Gb TLC 제품 중 업계 최고 수준이다.삼성전자는 데이터센터, 인공지능 등 대용량 데이터가 필요한 다양한 고객 니즈에 대응하기 위해 QLC(쿼드 레벨셀) 생태계를 확대하고, 전력 효율도 개선해 고객들의 친환경 경영에 기여해 나갈 계획이다.이 사장은 “삼성전자가 약 40년간 만들어낸 메모리의 총 저장용량이 1조 기가바이트(GB)를 넘어서고, 이중 절반이 최근 3년간 만들어졌을 만큼 우리는 급변하는 디지털 전환을 체감하고 있다”며 “향후 고대역폭, 고용량, 고효율 메모리를 통해 다양한 새로운 플랫폼과 상호진화하며 발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10월 5일(현지시간)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열린 ‘삼성 테크 데이 2022’에서 시스템LSI사업부장 박용인 사장이 발표를 하고 있는 모습. (사진=삼성전자)시스템반도체 제품 간 시너지 극대화를 통해 ‘통합 솔루션 팹리스’로 거듭나겠다고도 밝혔다. 삼성전자는 시스템온칩(SoC), 이미지센서, 모뎀, 디스플레이 구동칩(DDI), 전력 반도체(PMIC), 보안솔루션 등을 아우르는 약 900개의 시스템반도체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으며, 제품 기술을 융합한 ‘플랫폼 솔루션’으로 고객 니즈에 최적화한 통합 솔루션을 제공해 나갈 계획이다.박용인 삼성전자 시스템LSI사업부장 사장은 “사물이 사람과 같이 학습과 판단을 해야 하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서 인간의 두뇌, 심장, 신경망, 시각 등의 역할을 하는 시스템 반도체의 중요성은 그 어느 때보다 커질 것”이라고 강조했다.이어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초지능화(Hyper-Intelligence), 초연결성(Hyper-Connectivity), 초데이터(Hyper-Data)가 요구된다고 전망하고, 이를 위해 인간의 기능에 근접하는 성능을 제공하는 최첨단 시스템 반도체를 개발하겠다고 밝혔다. SoC에서는 NPU, 모뎀 등과 같은 주요 IP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글로벌 파트너사들과 협업해 업계 최고 수준의 CPU, GPU를 개발하는 등 SoC의 핵심 경쟁력을 강화할 계획이다.시스템LSI 사업부는 이날 부스 전시를 통해 SoC제품과 차량용 5G 모뎀 등 첨단 시스템반도체 제품도 공개했다.삼성 테크 데이는 삼성전자의 차세대 반도체 기술을 선보이는 자리로 2017년 시작됐다. 이번 행사는 2019년 이후 3년 만에 오프라인으로 진행됐다.올해 삼성 테크 데이는 글로벌 IT 기업과 애널리스트, 미디어 등 8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2022.10.06 I 최영지 기자
곽노정 SK하이닉스 사장 "한계 극복하려면 '맞춤형 메모리' 개발해야"
  • 곽노정 SK하이닉스 사장 "한계 극복하려면 '맞춤형 메모리' 개발해야"
  • [이데일리 최영지 이다원 기자] “메모리반도체의 한계 없는 성장을 위해선 소부장(소재·부품·장비) 업체들이 선제적으로 맞춤형 반도체 공동개발에 나서야 합니다. 국가 간 반도체 패권경쟁이 심화하는 상황에선 동반 성장을 넘어 지속가능 경영을 위한 협력이 필요합니다.”(곽노정 한국반도체산업협회장·SK하이닉스 대표이사 사장)“삼성전자가 시스템반도체·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분야에서 대만 TSMC를 못 따라가는 것 중 하나가 패키징입니다. 국내 패키징 활성화를 위해 연구개발(R&D)과 인재확보가 중요합니다.”(김형준 차세대지능형반도체사업단 단장)▲곽노정 SK하이닉스 대표이사(한국반도체산업협회장)가 5일 서울 강남 코엑스에서 열린 2022 반도체대전에서 키노트스피치를 하고 있는 모습.5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2022 반도체대전’(SEDEX)에서 우리나라가 반도체강국으로서 반도체 초격차를 수성하기 위해 소부장 기업간 협력과 후공정인 패키징 기술확보에 집중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이날 컨퍼런스룸 정원을 훌쩍 넘긴 반도체업계 관계자 400여명은 한자리에 모여 반도체 전략에 집중하는 모습을 보였다. 프레젠테이션 화면이 바뀔 때마다 곳곳에서 스마트폰으로 사진을 찍는가 하면 고개를 끄덕이며 공감하기도 했다.◇“데이터 성장 기반은 반도체…전 세계가 집중하는 이유”이날 키노트스피치를 맡은 곽노정 사장은 정보통신기술(ICT)환경의 변화를 언급, “2010년대까지 모바일인터넷에 기반한 데이터 소비가 있었고 지금은 클라우드 시대에서 훨씬 더 가파르게 데이터 사용량이 증가하고 있다”며 “예컨대 자율주행차의 경우 자동차 1대에 40TB(테라바이트)에 달하는 데이터양을 쏟아낼 것이고 2030년에 연 10조원 시장이 형성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그러면서 자율주행차뿐 아니라 사회 전반에서 데이터 성장이 이뤄질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앞으로 요구되는 메모리반도체 특성으로 빠른 속도와 큰 용량, 낮은 전력소비를 꼽았다.그는 “지난 20년간 150나노미터(㎚)급에서 1a(10나노 4세대) 나노 공정으로 발전했고 1d(10나노 7세대) 정도 가면 큰 벽이 있을 것”이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하이 NA EUV(극자외선) 반도체 노광장비가 반드시 필요하다”고도 했다. 이어 스케일 다운(공정 미세화) 뿐 아니라 낸드플래시에 적용됐던 스태킹(적층) 공정 연구도 시작했다고 밝혔다. 낸드플래시에 이어 D램도 쌓는 방식으로 성능을 개선하겠다는 것이다.▲곽노정 SK하이닉스 대표이사(한국반도체산업협회장)가 5일 서울 강남 코엑스에서 열린 2022 반도체대전에서 키노트스피치를 하고 있는 모습.곽 사장은 메모리반도체의 진화방향으로 고객사가 원하는 제품을 다양하게 개발해야 한다고 제시했다. 전력 효율성, 높은 데이터 처리량, 고용량을 적절하게 조합해야 한다는 것이다. HBM과 PIM, CXL 메모리를 예로 들며 메모리반도체와 시스템반도체의 융복합도 강조했다. 그는 소부장 업체간 협력과 인재확보가 중요하다고는 목소리도 냈다. 그는 “인재가 장비도 달고 기술도 발전시키고 투자도 결정하기에 결국 반도체는 인재싸움”이라며 “국내 소부장업체, 칩메이커가 동반성장을 넘어 생태계 구축을 위해 협력해야 한다”고 했다.▲김형준 차세대지능형반도체사업단 단장이 5일 2022 반도체대전에서 ‘반도체 초격차 경쟁력을 위한 패키지 선도전략’을 주제로 키노트 스피치를 하고 있는 모습.◇“삼성전자, TSMC 따라잡으려면 패키징에 집중해야”두번째 키노트 스피치를 맡은 김형준 단장은 맞춤형 반도체를 개발하기 위해선 반도체 후공정으로 불리는 패키징이 중요하다고 언급했다. 앞서 삼성전자(005930)도 전날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주최한 삼성 파운드리 포럼에서 선단 파운드리 공정 혁신과 함께 차세대 패키징 적층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고도 밝힌 바 있다. 김 단장은 “삼성전자가 TSMC를 못 따라는 것 중 하나가 패키징 기술”이라며 “유수한 회사들이 패키징에 수조원대를 투자하는 등 패키징 활성화에 집중하고 있다”고 했다. 인텔 주도 하에 삼성전자, TSMC 등 반도체 설계·생산업체들이 반도체 패키징 관련 업계 표준을 만들기 위해 ‘UCIe(Universal Chiplet Interconnect Express)’을 꾸린 것도 이 때문이다. 김 단장은 차세대지능형반도체사업단이 반도체 패키징 전문가 45명 의견을 바탕으로 국내 패키징 기술 확보 전략 방안을 마련했다며 목표를 공개했다. 그는 “세계 후공정(OSAT) 상위 25개 기업 중 국내 업체는 4곳에 불과하다”며 “2026년에는 3개 업체를 톱10에 진입하는 걸 목표로 하고 있다”고 했다. 이어 “패키징에서 소부장 국산화가 중요하기 때문에 2030년에는 소부장 자립화율을 80%로 올릴 것”이라며 “후공정 전문 인재들도 2020년에 500명 이하였다면 2030년에 2000명까지 확대할 것”이라고 했다.한편 이날 오전 코엑스에서 개최된 ‘KES 2022’(한국전자전)에 모습을 드러낸 한종희 삼성전자 부회장도 기술 혁신을 통한 초격차로 글로벌 전자·IT 산업계가 마주한 복합 위기를 돌파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KEA) 회장을 겸하고 있는 한 부회장은 환영사를 통해 “디지털 전환을 생존 전략으로 삼아 빅데이터, 인공지능(AI), IoT(사물인터넷) 등 혁신 기술을 적극 도입해 새로운 경험과 서비스를 제공해 새 수요를 창출하는 기회로 삼아야 할 것”이라며 “우리 전자산업이 다시 한 번 혁신을 통해 세계 시장에서 초격차를 유지할 수 있도록 여러분과 함께 힘차게 나아가겠다”고 했다.한종희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장(삼성전자 부회장)이 5일 오전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제17회 전자IT의 날 기념행사’에서 환영사를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2022.10.05 I 최영지 기자
큐알티, 정전기 방전(ESD) 서비스 강화…최대 2304핀까지 테스트 가능
  • 큐알티, 정전기 방전(ESD) 서비스 강화…최대 2304핀까지 테스트 가능
  • [이데일리 김현아 기자]최대 2304핀까지 테스트 가능한 큐알티, ‘MK4’ 시스템큐알티 로고반도체 및 전자부품 신뢰성 분석 기업 큐알티(QRT, 대표 김영부)가 최대 2304핀까지 테스트 가능한 ‘MK4’ 시스템으로 ESD(Electro-Static Discharge, 정전기 방전) 및 래치업(Latch-up) 신뢰성 서비스 강화에 나선다.MK4는 기계적으로 구동되는 기존 ESD 시험장비 대비 평균 10배의 빠른 속도를 자랑한다. 예전 장비는 최대 768핀까지 테스트 가능해, 그 이상을 초과하는 반도체의 경우 ESD 테스트 보드를 여러 세트로 제작한 후 각 보드 별로 검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반면, MK4는 보드 1세트로 최대 2304핀까지 테스트할 수 있어 약 3배 정도 생산효율성을 높여 고객사에 빠른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디바이스 손상을 유발하는 래치업(Latch-up) 테스트를 위한 파워서플라이도 7개가 장착되어, 신뢰성 평가가 필요한 반도체들의 개별 파워핀에 안정적으로 전원을 공급하며 시험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전기, 전자 제품을 만졌을 때 발생할 수 있는 ESD(정전기방전) 현상을 모사 재현한 HBM(인체모델) 시험과 도체 생산 장비(금속)에 있는 정전기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대전 현상을 모사한 MM(기계모델) 시험을 지원하며, 1500핀 이상 핀 수가 많은 AI 반도체 팹리스 기업 대상으로도 ESD 테스트가 가능하다.MK4는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되는 ESD 관련 규제 및 품질 표준에 맞춰 쉽게 업그레이드할 수 있고, 신속한 테스트 속도 덕분에 전 세계 주요 반도체 제조사 및 IC 설계사 등에서 사용하고 있다. 1대당 20억 원이 넘는 고가 장비로 현재 국내 반도체 시험소 중에서는 큐알티가 유일하게 보유 중이다.김동성 큐알티 책임연구원은 “최근 몇 년 사이 스마트폰 뿐만 아니라 스마트워치 등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다양해지고 차량용 전장장치 등에 고집적화 반도체들이 다수 활용되면서, ESD(HBM, CDM)가 심각한 위협으로 이어지는 사례도 다수 발생하고 있다”며, “다양한 환경 및 사용 조건에서 제품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려면 반도체는 물론, 시스템 자체에 대한 ESD 테스트가 중요하다. 큐알티는 최첨단 장비와 오랜 기간 쌓아온 노하우를 접목시켜 ESD 분야에 대한 적격성 요건을 완벽하게 충족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큐알티는 국내 최초 JEDEC, AEC 규격에 대한 ESD 평가 국가국제공인(KOLAS) 시험소다. 반도체 및 시스템 평가 장비를 다수 보유하고 있으며, 국내외 기업들을 대상으로 ESD 시험 평가 인증서를 제공하고 있다.
2022.09.22 I 김현아 기자
삼성 평택캠퍼스 가보니…메모리·시스템반도체 메카로 성장 중
  • [르포]삼성 평택캠퍼스 가보니…메모리·시스템반도체 메카로 성장 중
  • [평택=이데일리 최영지 기자] “삼성전자 평택캠퍼스 제3공장(P3)에 들어가는 철근의 양만 에펠탑 29개에 해당합니다.”(경계현 삼성전자 사장)“평택캠퍼스 제1공장(P1) 생산현장 이곳의 길이는 520m로, 잠실 롯데월드타워를 옆으로 눕힌 것과 맞먹습니다.”(삼성전자 관계자)▲멀리서 보이는 삼성전자 평택캠퍼스.▲삼성전자와 협력사 임직원들이 평택캠퍼스 내부 도로를 걸어가고 있는 모습. (사진=삼성전자)◇화성·기흥공장 합친 현존 최대 크기…“P1 생산현장 길이만 롯데타워 눕힌 정도”7일 오전 9시 서울 시청역에서 버스로 약 70분을 달리니 경기도 평택시 고덕면에 위치한 삼성전자(005930) 평택캠퍼스의 거대한 반도체 공장이 그 위용을 드러내기 시작했다. 이른 아침이었지만 안전모를 쓴 근로자들이 공장 안팎에서 분주하게 움직이는 모습도 볼 수 있었다. 평택캠퍼스는 총 면적 87만평에 이르는 대형 단지로 기흥캠퍼스(44만평)와 화성캠퍼스(48만평)의 면적을 합친 수준이다. 현재 가동 중인 3개 라인 외에 추가로 3개의 대형 반도체 생산시설이 들어올 수 있는 규모로, 현존 세계 최대 규모의 반도체 생산시설로도 불린다. 대한민국이 반도체 강국으로 거듭나는데 핵심 전초기지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된다.윤석열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지난 5월 경기 평택 삼성전자 반도체 공장에서 이재용 부회장의 안내를 받으며 시찰하고 있다. (사진=뉴시스)▲윤석열 대통령과 바이든 대통령이 지난 5월 평택캠퍼스 방문 당시 사인한 3나노 웨이퍼. (사진=삼성전자)평택캠퍼스는 앞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지난 5월 방한하자마자 찾은 곳으로도 잘 알려졌다. 바이든 대통령은 당시 1라인(P1)과 3라인(P3) 등 반도체 생산 현장을 둘러봤으며, 삼성전자가 세계 최초로 양산에 성공한 3나노 시제품을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으로부터 소개받기도 했다. 평택캠퍼스 내부에는 양국 대통령이 당시 서명한 웨이퍼도 전시돼 있다. 3나노 웨이퍼와 함께 엑시노스 2200, LPDDR5X, HBM3 등 삼성전자의 주력 메모리·시스템반도체 실물이 전시돼 있었다. 이날 기자 역시 바이든 대통령이 찾은 1라인을 찾아 반도체 생산 현장을 볼 수 있었다. 시창을 통해 본 클린룸의 규모는 어마어마했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이곳의 길이는 520m로 롯데월드타워를 눕힌 것과 맞먹는다”며 “창문으로 보이는 경계를 넘어서도 더 많은 공간이 있다”고 설명했다. 보안상 사진촬영은 할 수 없었다.▲삼성전자 평택캠퍼스 P1 내부 모습. 천장에 웨이퍼를 싣고 이동 중인 OHT가 보인다. (사진=삼성전자)거대한 공간에서 들리는 건 ‘위잉’ 거리는 기계 소리뿐이었다. 반도체 8대 공정을 거치는 웨이퍼를 운반하는 OHT(Over Head Transport)가 천장 레일을 따라 쉼 없이 움직이며 내는 소리였다. OHT는 24장의 웨이퍼를 옮기는 장비로, 1라인에만 1850여대의 OHT가 사람 대신 웨이퍼를 옮기는 작업을 24시간 내내 하고 있는 것이다. 파란색 삼성 로고가 크게 적혀 있는 OHT에는 모두 센서가 장착돼 있어 충돌할 일이 없다. 여러 대가 일정 간격을 두고 직선주로와 곡선주로에서 속도를 조절하며 유연하게 이동하는 모습이 인상적이었다.삼성전자 관계자는 “OHT로 반도체 공정이 100% 자동화로 진행될 수 있으며 제작공정의 효율이 더욱 높아졌다”며 “한 대당 가격은 풀옵션을 적용한 그랜저 한 대 값”이라고 했다. 해당 OHT는 국내 장비업체의 장비로 외국 장비를 쓰던 기존 공장과의 차별점으로도 볼 수 있다.움직이는 OHT에 초록색 경광등이 켜져 있으면 정상적으로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는 뜻이다. 반면 빨간색이나 주황색 불이 들어온다면 문제가 있는 것을 의미해 사람이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OHT 아래로는 흰색, 파란색의 방진복을 입은 직원들을 볼 수 있었다. 작은 미세먼지 하나만으로도 반도체 불량을 야기할 수 있는 탓에 클린룸에 들어갈 때는 폴리에스테르 방진복을 입어야 하며 ‘노메이크업, 노헤어’를 준수해야 한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또 방진복 색상으로 업무를 구분하고 있다. 흰색은 삼성전자 임직원, 하늘색은 엔지니어, 파란색은 협력사 직원인 식이다. 삼성전자는 2020년 말부터 기초공사에 들어간 3라인에 지난 7월부터 낸드플래시 양산 시설을 구축하고 웨이퍼 투입을 시작했다고 밝혔다. 3라인에서는 극자외선(EUV) 공정 기반의 D램과 5나노 이하 파운드리 공정 등 다양한 첨단 생산시설을 확대 구축해 나갈 계획이다.3라인 가동뿐만 아니라 미래 반도체 수요에 적기 대응하기 위해 4라인 착공을 위한 준비작업도 착수했다. 평택 4라인의 구체적인 착공시기와 적용 제품이 정해지지 않았지만, 삼성전자는 향후 반도체 시장의 수요 변화에 발 빠르게 대응할 수 있도록 기초공사를 진행하고 있다.경계현 사장은 “평택캠퍼스는 업계 최선단의 14나노 D램과 초고용량 V낸드, 5나노 이하의 첨단 시스템반도체가 모두 생산되는 첨단 반도체 복합 생산단지로 성장하고 있다”고 했다.▲삼성전자 평택캠퍼스 P1 내부 모습. 천장에 웨이퍼를 싣고 이동 중인 OHT가 보인다. (사진=삼성전자)▲클린룸 내 화재상황에 대비하는 교육을 진행 중인 모습.◇일자리 창출, 협력사 상생, 친환경 등 ESG 선도 사업장또한 삼성전자는 반도체 협력사의 환경안전 역량 향상을 위해 1700평 규모의 ‘평택 협력사 환경안전 아카데미’를 지난달 오픈했다. 협력사 직원들이 증강현실(VR) 등 최신 장비를 활용해 반도체 산업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상황 등에 대비하기 위한 것이다. 이는 국내 최대의 협력사 환경안전 전문 교육시설로 기흥·화성 캠퍼스 환경안전 아카데미보다도 3배 큰 규모다.현재 평택캠퍼스에는 임직원 1만여 명, 협력사와 건설사 직원 6만여명이 함께 근무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평택시와 안성시의 지역 상생 협력사 83개사와 상생협력 생태계를 구축하는 등 양질의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하고 있다고 밝혔다.삼성전자는 또 국내 반도체 사업장 최초로 폐페트병을 재활용해 만들어진 리사이클 방진복을 평택캠퍼스에 도입했다. 즉, 평택캠퍼스가 최대규모의 반도체 생산시설일 뿐 아니라 친환경 사업장 구축, 지역사회·협력사와의 상생활동을 통해 반도체 업계 내 ESG(환경·사회·지배구조) 활동을 선도하겠다는 방침이다. ▲삼성전자 평택캠퍼스.(사진=삼성전자)
2022.09.07 I 최영지 기자
한미반도체, 광대역 메모리 필수 'hMR 듀얼 TC 본더' 출시
  • 한미반도체, 광대역 메모리 필수 'hMR 듀얼 TC 본더' 출시
  • [이데일리 강경래 기자] 한미반도체(042700)가 TSV 공법으로 제작된 반도체 칩을 웨이퍼에 부착해 생산하는 광대역폭 메모리(HBM3) 필수공정장비인 ‘hMR 듀얼 TC 본더’(hMR Dual TC Bonder 1.0)를 출시, 해외 유수 반도체 기업에 납품을 시작했다고 5일 밝혔다.한미반도체 ‘hMR 듀얼 TC 본더’ (제공=한미반도체)곽동신 한미반도체 부회장은 “이번에 출시한 hMR 듀얼 TC 본더는 미래 반도체인 AI반도체(인공지능반도체, 연산과 메모리를 동시에 수행)에 핵심 역할을 하는 GPU와 함께, 그것을 구현하는데 있어 필수적인 HBM3반도체(광대역폭메모리칩)를 생산하는 최첨단 본딩장비”라며 “슈퍼컴퓨터, 빅데이터 기반 머신러닝과 같은 방대한 양의 데이터와 빠른 처리속도를 요구하는 AI반도체 시장 성장의 첫 시작 측면에서 최근 가장 주목받고 있다”며 “42년 노하우와 기술을 집약해 경쟁사 대비 4배 이상 높은 생산성과 정밀도를 통해 업계에 공급했다. 엔비디아, AMD 등 글로벌 IT 기업들이 향후 AI반도체 구현의 주요한 메모리 칩으로써 HBM3 채택이 증가하면서 필수 공정 장비인 hMR TC 본더 수주가 계속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1980년 설립된 한미반도체는 지난해 6월 국산화에 성공하며 업계 주목을 받은 반도체 패키지절단(SAW) 장비인 ‘마이크로 쏘’로 지난 4월 ‘IR52 장영실상’을 수상했다. 지난 5월에는 글로벌 반도체 리서치 전문기관인 테크인사이츠로부터 우리나라 반도체 기업 중 유일하게 ‘고객만족도 조사 부문 세계 10대 베스트 반도체 장비업체’로 선정됐다.한편, 세계 반도체 시장 통계기구인 WSTS가 지난 6월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글로벌 반도체 시장 규모는 올해 초 전망한 기존 10.4%에서 16.3%로 상향 조정, 6465억달러(약 845조원)로 예상하고 있다. 내년에도 5.1%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2022.08.05 I 강경래 기자
SK하이닉스, ESG 프레임워크 ‘PRISM’ 개발…중장기 전략 담았다
  • SK하이닉스, ESG 프레임워크 ‘PRISM’ 개발…중장기 전략 담았다
  • [이데일리 이다원 기자] SK하이닉스가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관련 세부 목표를 담은 ESG 전략 프레임워크 ‘프리즘(PRISM)’을 개발했다고 29일 밝혔다.SK하이닉스(000660)는 전날 PRISM을 기반으로 한 지속가능경영보고서와 기후변화 관련 재무정보공개 협의체(TCFD) 권고안 대응 활동 내용을 담은 ‘TCFD 리포트 2022’ 등을 발간하며 내용을 구체화했다.이를 구축하기 위해 SK하이닉스는 기존에 갖고 있던 로드맵인 ‘SV2030’과 연계했다. SV2030에서 미처 다루지 못했던 지배구조, 공급망 관리 분야 목표를 추가하고 세부적 수치를 정량화했다.PRISM의 가치를 이해관계자와 소통하기 위해 디자인된 PRISM 체계도. (사진=SK하이닉스)프리즘(PRISM)이란 명칭은 SK하이닉스의 ESG 관련 핵심 메시지를 다섯 개 글자 ‘P, R, I, S, M’으로 압축한 말이다. 앞으로 SK하이닉스의 ESG 전략과 계획, 실행 등을 보여줄 뼈대 역할을 하며 각 알파벳마다 주요 목표를 세운 점이 특징이다.첫 번째 글자인 P를 통해 SK하이닉스는 지역사회를 위한 사회공헌 활동을 펼쳐, 2030년까지 누적 1조원의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겠단 계획을 밝혔다. 또 성별 및 국적 다양성 비율을 30%로 늘리고 통합재해율 10% 저감, 대사증후군 10% 저감 목표도 세웠다.‘R’을 통해서는 직·간접 탄소배출량을 2020년 수준으로 유지하고 재생에너지 사용률 33%를 달성하겠단 계획을 내놨다. 또 물 관리를 위해 수자원 누적 절감 6억톤 달성, ZWTL 골드 등급 중 99% 달성 등도 구체화했다.‘I’는 친환경 프로젝트를 달성하기 위해 공정을 개선하는 목표를 담고 있다. 공정에서 사용하는 공정가스 배출량을 40% 줄이고, 스크러버(Scrubber) 처리 효율 95% 달성, 고대역폭 메모리(HBM) 제품 에너지 효율 2배 달성 등을 추진한다.‘S’는 지난해 공급망 관리 분야에서 새롭게 개편한 목표로 구성됐다. 모든 신규 협력사들을 대상으로 행동규범을 준수한다는 서약을 받고 있는 SK하이닉스는 1차 협력사에 ESG 온라인 자가평가를 지원 중이다. 고위험 협력사로 파악될 경우 2년 주기로 ESG 현장평가를 진행하는 등 중점 관리에 들어간다. 또 동반성장 기술협력 투자 금액도 누적 3조원 달성을 목표로 한다.마지막 ‘M’은 다양성과 구성원 성장을 위한 목표를 담았다. 여성 임원 비율을 3배 늘리고, 여성 팀장 비율도 10%로 만든단 계획이다. 또 구성원 역량 개발을 위해 연 200시간 이상 자기개발 교육 환경 및 제도도 마련한다.SK하이닉스는 향후 PRISM의 세부 목표 수행 과정을 공개하고, 목표도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하겠다는 계획이다.신관익 SK하이닉스 ESG추진 TL은 “PRISM은 SK하이닉스가 ESG 경영을 어떠한 방향으로 전개해 나갈지 이해관계자들과 효과적으로 소통하기 위해 만든 프레임워크”라며 “PRISM을 통해 ESG 각 영역별 계획을 더욱 체계적으로 실행해 나감으로써, 이해관계자들과 더 원활한 소통을 이끌 것”이라고 말했다.
2022.07.29 I 이다원 기자
경기침체에 흔들리는 반도체시장…삼성·SK의 타개책은?
  • 경기침체에 흔들리는 반도체시장…삼성·SK의 타개책은?
  • [이데일리 최영지 기자] 물류·원자잿값 폭등과 전 세계적인 인플레이션으로 경기침체 우려가 높아지며 반도체 시장 역시 타격을 입는 모양새다. 스마트폰과 가전제품 수요 감소로 다수 반도체 제조기업들이 하반기 설비 투자를 줄이는 모습이 감지되고 있어서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역시 경영전략 수정이 불가피해 보이는 가운데 차세대 반도체 기술을 앞세워 고부가제품을 개발하는 등의 대안을 강구하고 있다. ◇스마트폰·PC 출하량 감소세..반도체기업들 설비투자 줄일듯17일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리서치에 따르면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 출하량은 지난해 4분기 3억7140만대에서 올해 1분기 3억2640만대로 4500만 대(12.1%) 줄었다. 작년 1분기의 3억5490만대와 비교해도 2850만대(8.0%) 감소한 수치다.PC 시장 전망도 밝지 않다. 최근 시장조사업체 IDC는 올해 2분기 글로벌 PC 출하량은 전년 동기 대비 15.3% 줄어든 7130만대로 분석했다. 전 분기에 이어 감소세를 보이는 것으로, 불경기에 대한 공포가 지속적으로 커지면서 수요가 약화하는 것으로 보인다.특히나 메모리반도체인 D램 가격은 지난해부터 하락세를 보이고 있어 이에 주력하는 삼성전자(005930)와 SK하이닉스(000660)의 2분기 성적표가 좋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달 말 올해 2분기 실적발표 이후 진행하는 콘퍼런스콜에서 매출 및 영업익 추이를 토대로 한 대응책을 내놓을 것으로 보인다.벌써 일부 기업에 대한 하반기 투자 축소 소식은 들려오고 있다. 외신 등에 따르면 SK하이닉스의 경우 전자기기 수요 감소를 감안해 내년 자본 지출을 25%가량 줄여 16조원 수준으로 낮출 것을 검토하고 있다. 이를 두고 업계 관계자는 “장비업체들로부터 상황을 파악해보니 설비투자 축소 수순은 맞는 것으로 보인다”며 “그간 메모리반도체 공급 선점을 위한 경쟁이 치열했던 결과가 한 요인”이라고 했다.메모리반도체 업계 3위인 미국 마이크론도 지난달 실적발표에서 향후 수 분기에 걸쳐 공급 과잉을 피하기 위해 생산량을 조절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또 설비 투자 시기를 늦추겠다는 계획도 내놨다.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업체인 대만 TSMC도 생산 설비 신설 계획을 축소했다. 이를 두고 조중휘 인천대 임베디드 시스템공학과 교수는 “메모리반도체와 무관한 TSMC가 생산을 축소하는 건 반도체 업계 전체에 타격이 크다는 것을 방증한다”면서도 “우리 기업들도 제조에 대한 투자를 줄일 수밖에 없겠지만 연구개발(R&D)은 계속 진행하며 향후 경쟁력있는 사업 분야를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삼성전자가 개발한 업계 최고 속도의 ‘24Gbps GDDR6(Graphics Double Data Rate) D램. (사진=삼성전자)◇삼성·SK, HPC 등 D램 적용범위 확대…융복합 메모리 개발도우리 기업들은 가전제품 수요 감소라는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인공지능(AI), 머신러닝, 메타버스 등 차세대 산업에 필요한 고성능 메모리반도체 개발에 힘쓰고 있다. 이같은 전략은 TSMC의 2분기 영업익이 역대급을 기록한 배경으로 고성능컴퓨팅(HPC)과 AI 제품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기 때문이라는 분석과도 일맥상통한다.삼성전자는 최근 업계 최고 속도를 구현하는 그래픽 D램을 개발해 이달 중 고객사에 공급할 예정이다. ‘24기가비피에스(Gbps·1초당 전송되는 기가비트 단위의 데이터) GDDR6 D램’으로 극자외선(EUV)노광장비를 통해 개발한 메모리반도체로는 처음이다. 최근에는 메모리반도체뿐 아니라 업계 최소 크기의 화소(픽셀) 2억개를 탑재한 이미지센서 ‘아이소셀 HP3’를 공개하며 응용처별 매출 1위로 꼽히는 모바일 분야에서도 이미지센서 시장 선점에 속도를 내고 있다. ▲SK하이닉스가 세계 최초로 양산하는 HBM3. (사진=SK하이닉스)SK하이닉스도 차세대 D램인 HBM3 양산을 시작해 미국 엔비디아에 공급한다. HBM은 고대역폭 메모리(High Bandwidth Memory)의 약자로 여러 개의 D램을 수직으로 연결해 기존 D램보다 데이터 처리 속도를 혁신적으로 끌어올린 고성능 제품이다. 데이터 처리속도와 성능을 기존 D램 대비 현격하게 높인 HBM의 적용 범위를 AI와 슈퍼컴퓨터 등으로 빠르게 넓히는 게 관건이다. 조중휘 교수는 “3D D램 상용화에 박차를 가해야 할 것”이라며 “생산 원가를 줄이고 가격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 국내 소재·부품·장비 업체과의 협력도 필요하다”고 했다. SK하이닉스는 엔비디아 제품 출시 일정에 맞춰 HBM3 생산량을 늘려가기로 했다.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또 연산 기능을 갖춘 프로세스 인 메모리(PIM) 등 융복합 형태의 반도체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다. PIM은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반도체와 연산을 담당하는 시스템반도체 간 경계를 허문 차세대 반도체 기술로, 양사는 이 기술을 적용한 제품군 확대에 나서고 있다. 마이크론 등 메모리 후발 주자들도 PIM 개발을 진행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2022.07.17 I 최영지 기자
사들인 기술로만 투자 유치 성공한 美바이오테크
  • 사들인 기술로만 투자 유치 성공한 美바이오테크
  • [이데일리 이광수 기자] 미네럴리스 테라퓨티스(Mineralys Therapeutics)가 시리즈B 단계 투자를 유치했다. 미네럴리스는 투자사 캐탈리스 퍼시픽(Catalys Pacific)이 지난 2019년 설립한 바이오벤처다. 주목할 점은 지난해 일본 다나베 미쓰비시 제약으로부터 고혈압 후보물질을 사들여 이를 주력 파이프라인으로 곧바로 시리즈A 라운드를 마무리했고, 이번에 후속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는 것이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 미네럴리스 테라퓨틱스는 1억1800만달러(약 1500억원)규모의 시리즈B 투자를 유치했다. 4000만달러 규모의 시리즈A 투자를 유치받은지 약 1년만이다. 미네럴리스는 이번에 유치한 투자금으로 고혈압 치료제로 임상 중인 파이프라인 알도스테론합성 저해제 ‘MLS-101’에 투자할 계획이다. MLS-101은 현재 임상 2상을 진행 중으로 미네럴리스가 자체 개발하거나 발굴한 파이프라인은 아니다. 지난해 4월 일본 다나베 미쓰비시 제약으로부터 전 세계 개발, 판권을 사들인 것이다. 미네럴리스는 MLS-101을 사들이고 두 달 만에 시리즈A 펀딩에 성공했다.MLS-101은 미네랄코르티코이드 수용체를 저해하지 않고 ‘CYP11B2’ 경로를 선택적으로 저해한다. 코르티솔과 같은 호르몬에 영향을 주지 않고 혈장 알도스테론 농도를 저하시킨다. 알도스테론은 고혈압의 원인으로 알려진 호르몬으로 고혈압 환자의 25%이상이 알도스테론 증가가 원인으로 집계됐다. 다나베 미쓰비시 제약이 진행한 임상1상에서는 알도스테론 저하작용이 검증됐고, 안전하고 내약성 또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혈압을 넘어 말기 신장 질환과 심부전 및 심장 사망률을 줄이는데도 쓰일 수 있다는게 미네럴리스의 설명이다. 이번 라운드는 글로벌 바이오 전문 투자자인 RA 캐피탈 매니지먼트(Capital Management)와안드레아 파트너스(Andera Partners)가 주도했다. △RTW 인베스트먼트 △록 스프링스 캐피탈 △SR 원 캐피탈 매니지먼트 등이 신규 투자자로, △카탈리스 퍼시픽 △HBM헬스케어 인베스트먼트 △애덤스스트리트파트너스 등 기존 투자자도 참여했다.존 콩글턴(Jon Congleton) 미네럴리스 대표(CEO)는 “MLS-101은 미네랄 코르티코이드 수용체 차단의 부작용 없이 선택적으로 혈장 알도스테론 수치를 정상화해 패러다임을 바꾸는 치료제가 될 가능성이 있다”며 “이번 자금 조달로 MLS-101의 가치를 더 발전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2022.06.12 I 이광수 기자
SK하이닉스, 엔비디아에 'HBM3' D램 공급…업계 첫 양산
  • SK하이닉스, 엔비디아에 'HBM3' D램 공급…업계 첫 양산
  • [이데일리 최영지 기자] SK하이닉스가 고대역폭 D램 메모리반도체(HBM3)를 미국 엔비디아에 공급하기 시작했다고 9일 밝혔다. 이 제품을 실제로 양산한 뒤 업계에 공급한 것은 SK하이닉스가 최초다.HBM은 여러 개 D램을 수직으로 연결, 기존 D램보다 데이터 처리속도를 80% 정도 끌어올린 고성능 제품이다. SK하이닉스(000660) 측은 “이 제품을 적용하면 풀HD급 영화 163편을 1초만에 전송할 수 있다. 최대 초당 819기가바이트(GB/s) 속도를 구현한다”며 “현존하는 세계 최고 성능 D램”이라고 설명했다. HBM3는 HBM 4세대 제품이다. 그동안 HBM은 △1세대(HBM)△2세대(HBM2) △3세대(HBM2E) 순으로 개발됐다.SK하이닉스 관계자는 “지난해 10월 말 세계 최초로 개발한 HBM3을 단 7개월 만에 업계에 공급하며 시장 주도권을 잡았다”며 “초고속 인공지능(AI) 반도체 시장의 새 장을 열게 됐다”고 했다.이 제품을 업계에서 가장 빨리 공급받는 업체는 미국 팹리스(반도체 설계전문) 업체인 엔비디아다. 이 회사는 최근 SK하이닉스 HBM3 샘플에 대한 성능평가를 마친 뒤 오는 3분기 출시 예정인 그래픽처리장치(GPU) ‘H100’에 HBM3을 적용할 예정이다. SK하이닉스는 엔비디아 제품 출시 일정에 맞춰 HBM3 생산량을 늘려가기로 했다.엔비디아 H100에 초고속 메모리인 HBM3을 결합할 경우 데이터 병렬처리를 통해 속도를 크게 개선할 수 있다. 이 같은 가속컴퓨팅 방식은 AI와 슈퍼컴퓨터 등 사용 범위가 확대하고 있다고 SK하이닉스 측은 설명했다.최근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은 AI, 빅데이터 등 첨단기술 발전 속도가 빨라지면서 급격히 늘어나는 데이터를 빠르게 처리하는 데 고심한다. 이런 상황에서 데이터 처리속도와 성능을 기존 D램 대비 현격하게 높인 HBM은 이 과제를 풀어낼 제품으로 평가 받는다. 적용되는 범위 또한 넓어지고 있다.노종원 SK하이닉스 사업총괄 사장은 “엔비디아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프리미엄 D램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했다”며 “앞으로도 개방형 협업을 지속해 고객 필요를 선제적으로 파악해 해결하는 ‘솔루션 프로바이더’가 되겠다”고 말했다.SK하이닉스가 세계 최초로 양산하는 HBM3. (사진=SK하이닉스)
2022.06.09 I 최영지 기자
"D램에 AI연산기능 결합"…차세대 반도체 키워드는 '융합'
  • "D램에 AI연산기능 결합"…차세대 반도체 키워드는 '융합'
  • 삼성전자 화성캠퍼스 전경. (사진=삼성전자)[이데일리 최영지 기자]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메모리 미세공정 개발뿐 아니라 융복합 형태의 반도체 개발에 나서는 등 미래 먹거리 준비에 한창이다. 메모리반도체와 시스템반도체의 융복합 형태를 개발, 또 다른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행보로 풀이된다. 9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최근 M램(자기저항메모리)을 기반으로 한 ‘인-메모리 컴퓨팅’을 세계 최초로 구현했다. 기존 컴퓨터는 데이터 저장을 담당하는 D램이나 낸드플래시 등 메모리반도체, 데이터 연산을 책임지는 중앙처리장치(CPU) 등 프로세서가 별도로 탑재되지만, 이 기술을 통해 메모리반도체만으로 데이터 저장과 데이터 연산까지 가능해진 것이다.연구를 진행한 정승철 삼성전자 종합기술원 전문연구원은 “인-메모리 컴퓨팅은 메모리와 연산이 접목된 기술로 기억과 계산이 혼재된 사람의 뇌와 유사한 점이 있다”며 “이번 연구가 향후 실제 뇌를 모방하는 뉴로모픽 기술의 연구 및 개발에도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삼성전자와 함께 SK하이닉스도 연산 기능을 갖춘 프로세스 인 메모리(PIM)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다. PIM 역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반도체와 연산을 담당하는 시스템반도체 간 경계를 허문 차세대 반도체 기술이다. 두 반도체기업은 이 기술을 적용한 제품군 확대에 나서고 있다. 마이크론 등 메모리 후발 주자들도 PIM 개발을 진행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삼성전자가 지난해 만든 HBM-PIM 제품 역시 PIM 기술을 서버·데이터센터의 인공지능(AI) 가속기에 탑재되는 고대역폭 메모리 반도체인 HBM2에 이식한 것이다. 실제 시스템에 탑재할 경우 AI 가속기 성능과 에너지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실제 연구 결과, 자일링스에서 상용화 중인 AI 가속기 시스템 버텍스 울트라스케일+ 알베오에 HBM-PIM을 탑재했을 때 기존 제품 대비 성능은 약 2.5배 높아지고 시스템 에너지는 60% 이상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이같이 반도체업계에서는 초미세경쟁에 열을 올리면서도 차세대 반도체를 준비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다. 업계와 학계에서는 공정 단위가 0에 가까워질수록 기술 개발과 그 속도도 한계에 도달할 것으로 보고 있다. 여기에 기존 메모리반도체 가격에 따른 불황을 극복하기 위해서라도 미래 먹거리를 선점할 필요성이 제기됐다. 업계 관계자는 “지난 30년간 반도체업계는 공정 미세화에 주력해왔지만 한계에 다다르며 서로 다른 기능의 칩이나 메모리와 로직 반도체 결합을 통한 성능 향상에 관심이 높아졌다”며 “코로나 장기화로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하면서 AI, 메타버스 등 다양한 미래기술의 융합이 일어나고 있어 여기에 쓰일 반도체 수요도 늘고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2022.03.09 I 최영지 기자
SK하이닉스, 작년 매출 43조…2018년 '슈퍼호황' 넘었다
  • SK하이닉스, 작년 매출 43조…2018년 '슈퍼호황' 넘었다
  • [이데일리 신중섭 기자] SK하이닉스(000660)가 지난해 43조원에 육박하는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반도체 슈퍼 호황기였던 2018년 실적까지 뛰어넘으며 3년 만에 최대치를 경신했다.SK하이닉스는 지난해 연결기준 매출액이 42조9978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4.8% 증가했다고 28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147.6% 늘어난 12조4103억원이며, 순이익은 9조 6162억원으로 순이익률 22%를 기록했다.지난해 매출은 ‘반도체 슈퍼 호황기’였던 2018년 40조4451억원을 넘어서며 3년 만에 최고 기록을 갈아치웠다. 다만 영업이익은 2018년 최고 기록인 20조8438억원에는 미치지 못했다.SK하이닉스는 공급망 차질 등 불확실한 시장환경이 이어졌지만 비대면 정보기술(IT) 수요 증가와 적극적인 제품 공급 노력으로 사상 최대 매출 기록을 경신했다고 밝혔다.특히 D램 사업에서 PC, 서버향 제품 등 응용분야 수요에 탄력 대응해 수익성 확보에 집중했다. 또, 업계 최초로 개발한 DDR5, HBM3 등 차세대 고부가가치 제품에서 최고 수준의 품질 경쟁력을 확보한 것이 호실적을 이끌었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아울러 지난해 3분기 흑자전환에 성공한 낸드 사업에서는 128단 제품 경쟁력을 바탕으로 시장 평균을 크게 뛰어넘는 판매량 증가율을 기록함으로써 연간 기준으로도 흑자를 기록했다.지난해 4분기만 놓고 봐도 ‘호실적’을 기록했다. SK하이닉스는 작년 4분기 매출 12조 3766억원, 영업이익 4조 2195억원의 실적을 올렸다. 매출은 사상 처음으로 분기 기준 12조원을 넘어섰고, 영업이익은 2분기 연속 4조원대 기록을 이어갔다.SK하이닉스는 올해 하반기부터 공급망 이슈가 점진적으로 해소되면서 메모리 반도체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이에 D램 사업에서는 재고를 탄력적으로 운영해 시장의 변동성을 줄이면서 수익성에 집중하는 전략을 펼친다는 계획이다.낸드플래시 사업의 경우, 규모의 성장을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지난 연말 인텔 낸드사업부 인수 1단계 절차가 마무리되며 출범한 미국 자회사 솔리다임의 SSD 사업이 추가되며, 판매량이 지난해 대비 약 2배로 늘어날 것으로 SK하이닉스는 전망했다.이와 함께 SK하이닉스는 이날 1주당 1540원의 배당금을 지급한다고 발표했다. 전년 1170원 대비 30% 이상 상향됐으며, 배당금 지급 총액은 1조589억원이다. 또, 올해부터 2024년까지 새로운 배당 정책을 적용하기로 하고, 기존 1000원이었던 주당 고정배당금을 1200원으로 올리기로 했다. 잉여현금흐름(FCF)의 5%를 추가로 배당하는 기조는 유지하기로 했다. 더불어 SK하이닉스는 향후 3년간 창출되는 FCF의 약 50%를 주주환원 재원으로 쓰고, 상황에 따라 자사주 매입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한편, SK하이닉스는 올해 1분기 중 대졸 신입과 경력사원 공채를 시행한다.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구축, 미국 낸드 자회사 솔리다임 출범, 이천 M16 팹 본격 가동 등 미래 신성장동력 준비를 위해 예년 대비 채용 규모를 확대하기로 했다. 모집 분야는 공정, 소자, 설계, 테스트, 패키징, SoC, 소프트웨어, 데이터 사이언스, 상품기획·전략 등이며 다음달에 채용 일정을 홈페이지에 올릴 예정이다.
2022.01.28 I 신중섭 기자
한미반도체, 대만 타이페이 '세미콘 타이완' 참가
  • 한미반도체, 대만 타이페이 '세미콘 타이완' 참가
  • 세미콘 타이완 전시장 내 한미반도체 부스 전경 (제공=한미반도체)[이데일리 강경래 기자] 한미반도체(042700)가 오는 30일까지 대만 타이페이 난강전시장에서 열리는 ‘세미콘 타이완’ 전시회에 참가해 ‘마이크로 쏘 & 비전 플레이스먼트(micro SAW & VISION PLACEMENT) 장비를 선보인다고 29일 밝혔다.김민현 한미반도체 사장은 “코로나19 상황에서도 글로벌 반도체 시장의 중심인 대만의 중요성을 고려해 현지법인인 한미타이완을 통해 세계 판매 1위인 ‘마이크로 쏘 & 비전 플레이스먼트’를 앞세우며 대만 주요 고객사들에 한 걸음 더 가까이 적극적인 공략을 위해 참가를 결정했다”고 말했다.이어 “올해 6월 국산화에 성공한 ‘마이크로 쏘’ 장비 우수성을 알리고, 아울러 세계시장 점유율 1위인 ‘EMI 쉴드(Shield) 장비’와 최근 미국 인텔의 새로운 서버용 CPU 출시와 함께 3D 광대역폭(HBM) 메모리반도체 제작을 위한 필수공정 장비인 ‘TSV TC 본더’(TSV TC BONDER)’, ‘플립칩 본더’(FLIP CHIP BONDER), 그리고 VR/AR 글래스용 ‘스트립 그라인더’ (STRIP GRINDER) 등 장비 라인업을 적극 알릴 것”이라고 강조했다.코로나 팬데믹(감염병 대유행)으로 이달 열리는 세미콘 타이완 전시회는 반도체 장비재료 분야를 대표하는 글로벌 산업 전시회다. TSMC를 비롯해 어플라이드머티리얼스, 도쿄일렉트론, 세계 최대 OSAT(반도체 후공정) 기업인 ASE 등 650여개 주요 반도체 회사가 참여한다. 반도체 최신 트랜드와 통합 혁신 기술관, 친환경 제조 기술관 등 다양한 테마로 구성했다. 현재 대만은 내년 1월 10일까지 방역 2급 경보를 실시해 코로나19가 진정세를 보인다.1980년 설립된 한미반도체는 이달 초 열린 무역의 날 기념식에서 2억불 수출의 탑을 수상하는 등 42년 업력과 기술 노하우, 320개 고객사를 바탕으로 내년에도 매출 증가와 발전이 예상된다.
2021.12.29 I 강경래 기자
한미반도체, 6년 만에 'TC본더' 출시 "글로벌 회사 납품"
  • 한미반도체, 6년 만에 'TC본더' 출시 "글로벌 회사 납품"
  • 한미반도체 TSV용 TC본더 (제공=한미반도체)[이데일리 강경래 기자] 한미반도체(042700)가 반도체 TC본더(TC Bonder 2.0CS)를 6년 만에 출시, 글로벌 반도체 기업에 납품했다고 23일 밝혔다. TC본더는 열 압착 방식을 통해 반도체 칩을 회로기판(Substrate)에 부착하는 장비로 TSV(실리콘관통전극)용 3D 반도체 고성능 패키지(Advanced Package)에 필수로 적용된다. 김민현 한미반도체 사장은 “이번에 출시한 TSV용 TC본더는 반도체 생산의 미세공정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칩렛(Chiplet), 멀티칩(Multi-Chip) 등 반도체 고성능 패키지 분야에 적용되는 광대역폭 메모리반도체(HBM, High Bandwidth Memory) 생산 필수 공정 장비”라고 말했다.이어 “한미반도체 40년 노하우와 기술을 집약해 그동안 유럽과 일본 반도체 장비업체가 주도하던 시장에서 작은 장비 크기와 함께 높은 생산성, 정밀도를 강화한 제품으로 해외 시장에 진출했다”며 “최근 미국 인텔의 새로운 서버용 CPU 출시와 함께, 메타버스와 AI(인공지능), 전기자동차, 자율주행 등 4차산업 시장이 커짐에 따라 TSV용 TC본더 수요가 증가할 것”이라고 덧붙였다.1980년 설립된 한미반도체는 이달 초에 열린 제58회 무역의 날 기념식에서 2억불 수출의 탑을 수상했다. 이 회사는 세계 시장점유율 1위 장비인 ‘마이크로 쏘&비전 플레이스먼트’(MSVP)’, ‘EMI쉴드’, 이날 출시한 TSV용 ‘TC본더’, ‘플립칩 본더’, ‘스트립 그라인더’ 등 다양한 반도체 장비 라인업을 갖췄다.한편, 반도체시장통계기구인 WSTS에 따르면 전 세계 반도체 시장은 올해 5530억달러(약 658조원)에서 내년 6015억달러(약 716조원)로 8.8% 증가할 전망이다.
2021.12.23 I 강경래 기자
30년생 소나무 1억그루 심은 효과 낸 삼성전자…비결은?
  • 30년생 소나무 1억그루 심은 효과 낸 삼성전자…비결은?
  • 탄소저감 인증 획득한 제품군[이데일리 김상윤 기자] 삼성전자가 이전세대보다 크기가 줄어들고 생산성이 향상된 차세대 메모리칩을 생산하면서 탄소 저감 효과를 톡톡히 보고 있다. 원자재량을 감축하고 에너지효율을 높인 덕분이다.삼성전자는 차세대 메모리 반도체 제품 20종이 카본 트러스트로부터 ‘제품 탄소 발자국’ 인증을 취득하고, 지난해 ‘제품 탄소 발자국’ 인증을 받은 메모리 반도체 5종의 후속 제품은 탄소 저감을 인정받아 ‘탄소저감 인증’을 획득했다고 22일 밝혔다.2001년 영국 정부가 설립한 비영리 기관 카본 트러스트는 탄소 배출 저감을 위한 신기술, 혁신 등에 대한 지원과 정보 공유를 담당하고 탄소 발자국 인증도 한다. 탄소발자국이란 제품의 생산, 유통, 사용, 폐기 등 모든 과정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이산화탄소) 발생량을 재는 단위다.삼성전자는 지난 9월 시스템 반도체 제품 4종에 이어 SODIMM(8GB/16GB), LPDDR5(8GB/12GB/16GB) 등 메모리 제품 20종에 대해서 ‘제품 탄소 발자국’ 인증을 추가로 획득했다. 또한, 메모리 제품 5종(HBM2E(8GB), GDDR6(8Gb), UFS 3.1(512GB), Portable SSD T7(1TB), microSD EVO Select(128GB)은 ‘탄소저감 인증’을 받았다. ‘탄소저감 인증’은 ‘제품 탄소 발자국’ 인증을 받은 제품 또는 그 후속 제품의 생산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 배출량을 실제로 감소시켰을 때 부여 받는 인증이다. 해당 5개 제품의 생산과정에서 저감한 탄소 배출량을 환산하면 약 68만t이다. 삼성전자 측은 “5개 제품 각각의 출시일로부터 2021년 7월까지 판매된 제품 수 기준으로 탄소배출량 저감량은 68만t이다”면서 “이는 30년생 소나무 약 1억 그루가 한 해 흡수하는 탄소량과 동일하다”고 설명했다.삼성전자가 탄소를 저감할 수 있는 배경은 생산성 향상이다. 삼성전자는 이전 세대보다 크기가 줄어들고 생산성이 향상된 차세대 메모리 칩으로 인해 제품 당 전력 사용량과 투입 원자재량 감축에 성공할 수 있었다. 아울러 제품의 소비전력 효율을 높이는 동시에 일부 제품의 포장재 소재를 플라스틱에서 종이 포장재로 변경해 제품의 생산과 유통 전 과정에서 탄소 발생을 최소화했다. 삼성전자의 전장 LED 패키지 제품 4종 ‘C-Series’ (Gen3 3W White, Gen3 3W Amber, Gen2 3W White, Gen2 3W Amber)는 업계 최초로 UL의 ‘탄소발자국 인증’을 받았다. UL은 전세계 기업 및 조직이 안전, 보안 및 지속 가능성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제품 안전 시험 및 인증을 비롯해 환경 시험, 헬스케어 인증, 교육 등 안전, 보안, 지속가능성과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글로벌 안전 과학 기업이다.장성대 삼성전자 DS부문 지속가능경영사무국 전무는 “지속가능경영을 위한 삼성전자의 환경친화적인 활동이 전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다”며 “삼성전자는 반도체 제품의 전과정에서의 탄소 배출을 줄이기 위한 노력을 통해 초격차 기술력을 넘어 친환경 반도체 제품 개발 노력을 계속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탄소발자국 인증‘을 받은 삼성전자 LED 패키지 제품 4종
2021.11.22 I 김상윤 기자
SK바이오팜, 신약 파이프라인 중국 판권 기술수출해 현지 법인 설립
  • SK바이오팜, 신약 파이프라인 중국 판권 기술수출해 현지 법인 설립
  • [이데일리 김유림 기자] SK바이오팜(326030)이 상해 소재 글로벌 투자사 6 디멘션 캐피탈(6 Dimensions Capital, 이하 6D)과 중추신경계(CNS) 제약사 이그니스 테라퓨틱스(Ignis Therapeutics, 이그니스)를 설립해 중국 시장에 진출한다고 11일 밝혔다. SK바이오팜 조정우 사장(左)이 11일 경기도 성남 판교 본사에서 6 디멘션 캐피탈 레온 첸 대표이사(中), 이그니스 테라퓨틱스 에일린 롱 CEO(右)와 화상으로 중국 기술수출 및 법인 설립 계약 체결을 위한 조인식을 진행한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SK바이오팜 제공)이번 법인 설립으로 SK바이오팜은 미국, 유럽, 일본, 중국까지 글로벌 TOP 4 제약시장에 모두 진출했다.SK바이오팜은 미국·유럽에서 판매 중인 뇌전증 신약 세노바메이트를 포함 6개 CNS 신약 파이프라인의 중국 판권을 이그니스에 기술수출해 1억5000만 달러 규모의 지분을 획득했다. 계약 조건에 따라 선계약금 2000만 달러, 개발 단계별 마일스톤 1500만 달러, 판매에 따른 로열티 등 수익을 확보했다.양사는 이그니스 설립을 위해 1억8000만 달러의 투자도 유치했다. 이는 올해 중국 제약업계 에서 진행된 시리즈A 투자로는 최대 규모다. 펀딩에는 골드만삭스, WTT 인베스트먼트, HBM 헬스케어 인베스트먼트, 무바달라, KB 인베스트먼트 등이 참여했다.SK바이오팜은 이번 협력으로 중국 내 신약 개발 및 상업화 플랫폼 구축을 본격화할 계획이다. 양사는 이그니스 CEO에 전 사노피 중국지사 CNS 사업 총괄책임자인 에일린 롱(Eileen Long)을 선임했다.SK바이오팜 조정우 사장은 “이번 법인 설립은 중국 시장에서 SK바이오팜의 입지를 넓히고 환자들에게 혁신적인 치료 옵션을 제공하는데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이라며 “중국 진출을 토대로 SK바이오팜의 글로벌 성장 전략을 가속화하면서 사회적 가치 실현에 주력하겠다”고 말했다.6D 레온 첸(Leon Chen) 대표이사는 “글로벌 혁신신약 개발 기업 SK바이오팜과 파트너십을 맺는 중대한 성과를 달성했다“며 “이그니스는 R&D·상업화 모두에서 우수한 역량을 갖춘 CNS 분야 혁신 리더로 성장할 것“이라고 밝혔다.이그니스 에일린 롱(Eileen Long) CEO는 “중추신경계 질환은 새로운 치료제에 대한 미충족 수요(unmet needs)가 높은 분야”라며 “SK바이오팜과의 협력으로 이그니스의 포트폴리오를 확장하고, 중화권 환자들에게 새로운 치료 옵션을 제공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2021.11.11 I 김유림 기자
삼성전자, 고성능 반도체 패키징 솔루션 'H-Cube' 개발
  • 삼성전자, 고성능 반도체 패키징 솔루션 'H-Cube' 개발
  • [이데일리 최영지 기자] 삼성전자(005930)가 반도체 패키징 기술 혁신을 통해 고성능 반도체용 2.5D 패키징 솔루션 ‘H-Cube’(Hybrid-Substrate Cube)를 개발하고, 공급을 확대한다.삼성전자는 기존 2.5D 패키징 솔루션 ‘I-Cube’에 이어 이번에 고대역폭 메모리(HBM)를 6개 이상 탑재할 수 있는 업계 최고 사양의 ‘H-Cube’를 확보했다고 11일 밝혔다. 데이터센터·AI·네트워크 등을 중심으로 폭넓게 사용할 수 있게 됐다.‘H-Cube’는 실리콘 인터포저 위에 CPU, GPU 등의 로직(Logic)과 HBM을 배치한 2.5D 패키징 솔루션으로, HPC, 데이터센터, 네트워크용 고사양 반도체에 사용된다.‘H-Cube’는 고사양 특성 구현이 용이한 메인 기판 아래, 대면적 구현이 가능한 보조 기판을 추가로 사용하는 2단 하이브리드 패키징 구조를 갖는다. 로직과 함께 HBM 6개 이상을 효율적으로 탑재 가능한 장점이 있다.삼성전자는 메인 기판과 보조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솔더볼(Solder ball)의 간격을 기존 대비 35% 좁혀 기판의 크기를 최소화했다. 다수의 HBM 탑재로 인해 대면적 기판 제작이 어려워질 수 있지만 이를 극복했다고 밝혔다.또한, 메인 기판 아래 보조 기판을 추가해 시스템 보드와의 연결성을 확보했다.다수의 로직과 HBM을 적층하면서도 칩에 안정적인 전원을 공급하고 신호의 손실이나 왜곡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칩 분석 기술도 적용해 이번 솔루션의 신뢰도를 높였다는 것이 삼성전자 설명이다.삼성전자 파운드리사업부 마켓전략팀의 강문수 전무는 “‘H-Cube’는 삼성전자와 앰코테크놀로지, 삼성전기가 오랫동안 협력해온 결과로 많은 수의 칩을 집적해야하는 고사양 반도체를 위한 최적의 솔루션”이라며 “앞으로도 파운드리 파트너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기술적 한계를 넘어서는 다양한 패키징 솔루션을 제공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한편, 삼성전자는 미국 서부 시간 기준 오는 17일(한국시간 18일) 파운드리 생태계 강화를 위한 ‘제3회 SAFE(Samsung Advanced Foundry Ecosystem) 포럼’을 온라인으로 개최한다.삼성전자가 개발한 차세대 2.5D 패키징 솔루션 ‘H-Cube’ 모습. (사진=삼성전자)
2021.11.11 I 최영지 기자
글로벌 경쟁 치열해진 AI반도체…삼성·SK 어디까지 왔나
  • 글로벌 경쟁 치열해진 AI반도체…삼성·SK 어디까지 왔나
  • [이데일리 최영지 기자] 인공지능(AI)의 중요성이 커지는 가운데 삼성전자(005930)와 SK하이닉스(000660) 등 국내 대표 반도체 생산업체와 팹리스 업체들이 AI 반도체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다.AI 반도체는 AI에 들어가는 메모리·비메모리 반도체를 통칭한다. SK하이닉스는 최근 업계 최초로 4세대 HBM D램인 ‘HBM3’를 개발했다. HBM은 다수의 D램을 수직으로 연결해 기존 D램보다 데이터 처리를 빠르게 끝낼 수 있는 고성능 메모리 반도체다. 향후 HBM3는 고성능 데이터센터에 탑재되며 AI의 완성도를 높이는 머신러닝과 기후변화 해석, 신약개발 등에 사용되는 슈퍼컴퓨터에도 적용될 전망이다. SK하이닉스는 이 제품을 통해 4차산업 기반 시스템에 적합한 고사양 메모리 솔루션 시장을 선점하겠다는 계획이다. HBM3는 내년 중반 이후 본격적으로 양산될 것으로 전망된다.메모리반도체와 AI프로세서를 결합한 메모리 반도체도 나왔다. 삼성전자는 올해 초 세계 최초로 HBM과 AI프로세서를 결합한 형태의 메모리 반도체인 ‘HBM-PIM’을 공개했다. 현재 양산에 앞서 검증을 진행 중이다. HBM-PIM은 D램 셀에 통합된 인공지능 엔진을 통해 메모리뱅크에서 병렬 연산을 실행해 에너지 효율성이 높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반도체 기업뿐 아니라 일반 제조 기업에서도 AI 반도체를 자체 개발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SK텔레콤(017670)은 최근 데이터센터에 쓰일 AI 반도체 ‘사피온’을 자체 개발했다. AI 연산과 데이터 처리를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게 됐다. LG전자(066570)의 경우에도 가전제품용 AI 반도체를 개발해 이미 가전에 적용 중이다. 대기업들이 속속들이 반도체 개발에 나서자 반도체를 설계하는 팹리스 스타트업들도 AI 반도체 시장에 뛰어들고 있다. AI 스타트업인 리벨리온은 데이터센터용 AI 반도체인 ‘아톰’과 을 개발 중이다. 또, 국내 팹리스 최초로 삼성전자의 5나노 미세공정을 활용해 AI 반도체 ‘리벨’ 양산에 돌입하기로 했다.또 다른 팹리스 기업인 퓨리오사AI는 AI 성능을 높이는 데 초점을 맞춘 시스템반도체인 AI가속기 개발에 한창이다. 최기창 서울대 교수는 “전 세계가 AI칩 개발을 동시에 시작한 만큼 앞으로 글로벌 기업들과의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이라며 “표준화 및 글로벌 레퍼런스를 선점하는 것이 관건일 것”이라고 조언했다.SK하이닉스가 업계 최초로 개발한 HBM3 D램. 사진=SK하이닉스
2021.11.06 I 최영지 기자
영화 163편을 1초만에 '뚝딱'…SK하이닉스, HBM시장 리더십 잡다(종합)
  • 영화 163편을 1초만에 '뚝딱'…SK하이닉스, HBM시장 리더십 잡다(종합)
  • SK하이닉스가 업계 최초로 개발한 HBM3 D램. 사진=SK하이닉스[이데일리 이준기 신중섭 기자] SK하이닉스(000660)가 현존 최고 사양 D램인 ‘HBM(High Bandwidth Memory)3’를 업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20일 밝혔다. 초당 819GB(기가바이트)의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수준으로, SK하이닉스로선 지난해 7월 업계 최초로 3세대인 HBM2E D램을 양산한 데 이어 단 1년 3개월 만에 HBM3을 내놓으며 시장 주도권을 확고히 하는 모습이다.SK하이닉스 측은 20일 “이번 HBM3를 통해 지금까지 나온 HBM D램 중 최고 속도, 최대 용량을 구현한 것은 물론, 품질 수준도 크게 높였다”며 이렇게 밝혔다. HBM은 여러 개의 D램을 수직으로 연결해 기존 D램보다 데이터 처리 속도를 혁신적으로 끌어올린 고부가가치·고성능 제품이다. 2013년 처음으로 HBM을 선보인 이후 2세대 HBM2를 거쳐 지난해 7월에는 3세대 제품인 HBM2E를 양산했었다. 그리고 단 1년3개월 만에 새로운 제품인 HBM3까지 공개하며 HBM 시장을 선도하고 있는 것이다. SK하이닉스의 HBM에 공을 들이고 있는 건 HBM 시장 수요가 꾸준히 늘어날 것으로 기대하고 있기 때문이다. 올해 반기보고서에서 SK하이닉스는 “고성능 컴퓨팅 시스템 가속화를 위해 GDDR6/HBM2E 제품이 탑재된 고사양 제품 수요는 지속 증대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언급한 바 있다.초당 819GB의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는 건 5GB짜리 풀HD(FHD) 급 영화 163편 분량의 데이터를 단 1초 만에 처리할 수 있다는 얘기와 같다. 3세대 제품인 HBM2E와 비교하면 속도가 약 78% 빨라졌다는 게 SK하이닉스 측의 설명이다. 또 이 제품에는 오류정정코드(On Die-Error Correction Code)도 내장돼 있는데, 이를 통해 D램 셀(Cell)에 전달된 데이터의 오류를 스스로 보정할 수 있어 제품의 신뢰성도 크게 높아졌다는 평가다.이번 HBM3는 16GB와 24GB 두 가지 용량으로 출시될 계획이다. 24GB는 업계 최대 수준의 용량이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SK하이닉스 기술진은 TSV 기술을 활용했다. TSV는 D램 칩에 수천 개의 미세한 구멍을 뚫어 상층과 하층 칩의 구멍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전극으로 연결하는 상호연결 기술이다. 즉, 단품 D램 칩을 A4 용지 한 장 두께의 3분의 1인 약 30마이크로미터(μm, 10-6m) 높이로 갈아낸 후 칩 12개에 수천 개의 미세한 구멍을 뚫어 각각의 칩 구멍을 수직으로 연결해냈다.업계에선 HBM3가 고성능 데이터센터를 비롯해 인공지능(AI)의 완성도를 높이는 머신러닝과 기후변화 해석·신약개발 등에 사용되는 슈퍼컴퓨터에도 적용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차선용 SK하이닉스 부사장(D램개발담당)은 “세계 최초로 HBM D램을 출시한 당사는 HBM2E 시장을 선도한 데 이어 업계 최초로 HBM3 개발에 성공했다”며 “앞으로도 프리미엄 메모리 시장의 리더십을 공고히 하는 한편, ESG 경영에 부합하는 제품을 공급하여 고객 가치를 높이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SK하이닉스가 업계 최초로 개발한 HBM3 D램. 사진=SK하이닉스
2021.10.20 I 이준기 기자
풀HD 영화 163편 1초만에…SK하이닉스, 업계 첫 'HBM3' D램 개발
  • 풀HD 영화 163편 1초만에…SK하이닉스, 업계 첫 'HBM3' D램 개발
  • [이데일리 신중섭 기자] SK하이닉스(000660)가 현존 최고 사양 D램인 ‘HBM3’를 업계에서 처음으로 개발했다고 20일 밝혔다.SK하이닉스가 업계 최초로 개발한 HBM3 D램(사진=SK하이닉스)HBM(High Bandwidth Memory)은 여러 개의 D램을 수직으로 연결해 기존 D램보다 데이터 처리 속도를 혁신적으로 끌어올린 고부가가치, 고성능 제품이다. 이번 HBM3는 HBM의 4세대 제품이다. HBM은 1세대(HBM)·2세대(HBM2)와 2세대 HBM에서 일부 성능을 개선한 확장 버전인 3세대(HBM2E) 순으로 개발돼 왔다. SK하이닉스는 지난해 7월 업계 최초로 3세대인 HBM2E D램을 양산한 데 이어, 1년 3개월 만에 HBM3을 내놓으며 시장 주도권 강화에 박차를 가하는 모습이다. SK하이닉스 측은 “이번 HBM3를 통해 지금까지 나온 HBM D램 중 최고 속도, 최대 용량을 구현한 것은 물론, 품질 수준도 크게 높였다”고 강조했다.SK하이닉스에 따르면 HBM3는 초당 819GB(기가바이트)의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이는 5GB짜리 풀HD(FHD)급 영화 163편 분량의 데이터를 1초 만에 처리하는 수준이다. 전 세대 제품인 HBM2E와 비교하면 속도가 약 78% 빨라졌다는 설명이다.또한 이 제품에는 오류정정코드(On Die-Error Correction Code)가 내장돼 있다. HBM3는 이 코드를 통해 D램 셀(Cell)에 전달된 데이터의 오류를 스스로 보정할 수 있어 제품의 신뢰성도 크게 높아졌다. 이번 HBM3는 16GB와 24GB 두 가지 용량으로 출시될 계획이다. 특히 24GB는 업계 최대 수준의 용량이다. SK하이닉스 기술진은 24GB를 구현하기 위해 단품 D램 칩을 A4 용지 한 장 두께의 1/3인 약 30마이크로미터(μm, 10-6m) 높이로 갈아낸 후 이 칩 12개를 TSV 기술로 수직 연결해냈다. TSV는 D램 칩에 수천 개의 미세한 구멍을 뚫어 상층과 하층 칩의 구멍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전극으로 연결하는 상호연결 기술이다.업계는 HBM3가 고성능 데이터센터를 비롯해 인공지능(AI)의 완성도를 높이는 머신러닝과 기후변화 해석·신약개발 등에 사용되는 슈퍼컴퓨터에도 적용될 것으로 전망한다. 차선용 SK하이닉스 부사장(D램개발담당)은 “세계 최초로 HBM D램을 출시한 당사는 HBM2E 시장을 선도한 데 이어, 업계 최초로 HBM3 개발에 성공했다”며 “앞으로도 프리미엄 메모리 시장의 리더십을 공고히 하는 한편, ESG 경영에 부합하는 제품을 공급하여 고객 가치를 높이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2021.10.20 I 신중섭 기자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I 청소년보호책임자 고규대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