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TS '팬심'은 얼마‥회계 새 기준 만든다

FRC 등 국제 회계기관, 보고 개선 연구 돌입
회계기준원, 대학·회계법인에 평가방법 연구용역
실제 도입 알 수 없지만…“의미 있는 첫 걸음”
  • 등록 2019-06-28 오전 5:10:00

    수정 2019-06-28 오전 7:47:14

[이데일리 이명철 기자] 공장이나 기계처럼 눈에 보이지는 않지만 실제 이익을 창출하는 수단인 무형자산의 중요도가 날로 커지고 있다. 아마존이나 구글 등 글로벌 기업은 물론 국내서도 BTS(방탄소년단)나 영화 ‘기생충’ 등 콘텐츠 산업의 확산으로 무형자산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그러나 현재 회계기준은 무형자산의 가치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는 지적이 일자 국제회계기준을 개선하려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27일 회계업계에 따르면 한국회계기준원은 지난달 한 대학교수 연구팀과 대형 회계법인 대상으로 재무제표에 무형자산을 반영하기 위한 연구용역을 발주했다. 지난해부터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무형자산 관련 연구에 나선 회계기준원은 그간 연구를 통해 마련한 무형자산 평가 방법을 공유하고 실제 재무제표에 어떤 방식으로 반영할지를 논의하기 위한 킥오프 회의를 지난달 열었다. 이는 사실상 국내 처음으로 시도하는 무형자산 회계처리 관련 연구 활동이다.

무형자산 연구는 국내 주력 콘텐츠인 게임산업과 관련해 이뤄질 예정이다. 가상의 대형 게임회사를 설정하고 주요 게임들의 지적재산권(IP)이나 고객 충성도 등 무형자산의 평가 방법을 개발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대차대조표처럼 무형자산을 재무제표에 어떤 형식으로 기재할지에 대한 연구도 진행될 전망이다.

국제회계기준을 바꿔야하는 것인 만큼 전세계 회계 관련 기관들도 비슷한 연구를 진행 중이다. 영국의 회계감독기관인 재무보고위원회(FRC)의 경우 지난해 무형자산에 대한 보고를 개선키로 발표한 후 연구에 들어갔다. 유럽재무보고자문그룹(EFRAG)도 최근 재무보고에서 무형자산 정보의 유용성 제고를 위한 연구에 착수했다.

이처럼 무형자산 회계인식 개선 논의에 착수한 것은 산업 환경 변화로 글로벌 기업들의 기업가치에서 무형자산이 차지하는 비중이 커졌기 때문이다. 국제 평가기관 브랜드 파이낸스는 2017년 기준 아마존의 기업가치 95%, 구글은 65%, 애플 62%가 무형자산에서 발생한 것으로 추산했다. 코카콜라나 존슨앤존슨 등 소비재기업의 가치 역시 무형자산 비중이 90% 안팎에 달한다는 평가다. 삼성전자(005930) 뿐 아니라 네이버(035420), 엔씨소프트(036570) 등 국내 기술기업들도 무형자산의 비중이 커지는 추세다.

하지만 보수적인 회계기준에 재무제표와 기업가치간 격차는 점점 벌어지고 있다. 회계기준원 조사에 따르면 2016년 기준 상장사의 총자산대비 무형자산의 비중은 6.0%에 그쳤다. 실제 시장 평가와 장부상 가치의 괴리가 발생하는 것이다. 이에 다양한 무형자산을 재무제표에 반영할 수 있는 일정한 공식 개발이 화두가 됐다.

재무제표에서 폭넓은 무형자산을 인식하게 되면 유명 콘텐츠를 지닌 영화나 게임, 음악 관련 업체들의 장부상 가치 또한 크게 늘어날 전망이다. 브랜드 충성도가 높은 대기업이나 혁신 신약을 개발한 바이오업체들의 장부 가치 또한 높아지게 된다. 인수합병(M&A) 등에서 활용하는 기업가치 산출에도 보탬이 될 전망이다.

다만 재무제표 도입 후 유형자산 위주로 이뤄졌던 회계처리가 무형자산까지 다루게 되기까지는 상당 기간 시일이 걸릴 전망이다. 한 회계업계 관계자는 “실제 회계기준에 무형자산 회계가 반영되려면 10년 이상이 걸릴지도 모른다”며 “주석으로 기재만 하던 수준인 무형자산을 계량화하는 방법을 알아보는 첫 걸음이라고 보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데일리
추천 뉴스by Taboola

당신을 위한
맞춤 뉴스by Dable

소셜 댓글

많이 본 뉴스

바이오 투자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왼쪽 오른쪽

스무살의 설레임 스냅타임

왼쪽 오른쪽

재미에 지식을 더하다 영상+

왼쪽 오른쪽

두근두근 핫포토

  • 우리 엄마 맞아?
  • 개더워..고마워요, 주인님!
  • 공중부양
  • 상큼 플러팅
왼쪽 오른쪽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I 청소년보호책임자 고규대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