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2일 발표한 추가경정예산(추경)안에 따르면 소상공인 385만여명 대상으로 6조7000억원 규모의 피해지원금(버팀목자금 플러스)을 지급한다. 이는 올해 초 제공한 버팀목자금 대상인 280만명(4조1000억원)보다 100만명 이상 늘어난 수준이다.
상시근로자수 5인 이상 사업체(39만8000개)와 일반업종 지원 대상을 연매출 4억원 이하에서 10억원 이하로 확대해 24만4000개를 각각 추가했다.
지원 대상을 기존 3개 그룹에서 5개로 늘렸고 일반 업종 중에서도 매출이 더 감소한 경우 경영위기 업종으로 따로 분류해 더 많은 지원금을 지급한다. 한명이 사업체 2개를 운영할 경우 지원금의 150%, 4개 이상은 200%를 각각 지급한다.
버팀목자금 플러스는 △실내체육시설·노래방·유흥시설 등 집합금지 11개 연장 업종(11만5000개) 500만원 △학원 등 2개 집합금지 완화 업종(7만개) 400만원 △식당·카페·숙박·PC방 등 10개 집합제한 업종(96만6000개) 300만원 △업종평균 매출 20% 이상 감소한 여행·공연 등 10개 일반업종(26만4000개) 200만원 △매출이 감소한 일반업종(243만7000개) 100만원을 각각 지급한다.
국세청 부가세 데이터베이스(DB) 구축을 완료한 후 이달 29일께부터 지급 절차를 시작할 수 있을 것으로 정부는 예상했다.
지원 대상을 대폭 늘려 사각지대를 해소하자는 게 이번 대책의 목표지만 아직 일부 소상공인은 여전히 지원에서 소외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코로나 충격을 견디다 못해 폐업한 자영업자가 대표적이다. 폐업은 지금까지 재난지원금 대상에서 제외됐다. 이를 대신해 2차 재난지원금 당시 20만명 대상으로 재도전 장려금 50만원을 지원했고 이번 4차에서도 8만1000명에게 50만원을 신규 지원할 예정이다.
윤동열 건국대 경영학과 교수는 “폐업한 자영업자의 영업이 어떻게 진행됐고 (손실 피해 등을) 명확히 산출해 지원할 수 있어 한계가 있다”면서도 “폐업 지원금액 50만원은 현실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2~3차 재난지원금 지급에서 제외된 5인 이상 또는 4억원 초과 사업자에 대한 소급 적용도 논쟁거리다. 4차 재난지원금의 경우 코로나19 3차 확산에 따른 방역조치 피해 업종을 대상으로 산정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지난해부터 상시근로자 5명이 종사하던 음식점의 경우 계속 집합 제한 조치를 적용했지만 지원금은 이번 4차 300만원에 그친다. 반면 5인 미만 음식점은 2~3차에서 이미 350만원을 더 받은 상태다.
2차에서 지급한 생계지원 규모(55만가구)보다는 확대했지만 지원 금액은 지원 금액은 최대 100만원(4인가구 이상)에서 가구당 50만원으로 오히려 줄었다.
학부모의 실직·폐업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대학생에게는 5개월간 250만원의 특별 근로장학금을 지급하기로 했지만 피해계층과는 직접 연관은 없는 편이다. 이에 생계 어려움을 겪는 저소득층을 더 폭넓게 지원해야 한다는 게 의견도 있다. 특수고용직노동자(특고)·프리랜서에 대해서는 기존 지원자는 50만원, 신규는 100만원의 고용안정지원금을 지급키로 했지만 누적된 피해에 비해 지원이 다소 부족하다는 의견도 있다.
직접 지원 대상에서 빠진 농민들도 불만을 토로하고 있다. 한국농업경영인중앙연합회는 이날 성명을 통해 “이번에도 농업 분야에 대한 별도 언급이 없어 현장에선 ‘농민은 국민도 아니다’라는 자조적 비판이 나온다”며 국회 협의 과정에서 농업인 지원을 포함할 것을 촉구했다.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번 지원과 관련해 “(이전 재난지원금은) 280만 업체가 수혜를 받았지만 이번에는 385만 업체가 지원 대상이 됐고 노점상이나 한계 근로빈곤층, 위기가구 지원을 대폭 늘렸다”며 “정부로선 할 수 있는 최대한 범위에서 두텁게 폭넓게 지원하고자 노력했다”고 강조했다.
코로나19 누적 피해가 커지고 있는 만큼 앞으로도 두터운 선별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전언이다.
길은선 산업연구원 부연구위원은 “지금까지 재난지원금은 방역조치에 따른 배상의 성격이 있었지만 앞으로는 자영업자 지원 안에서도 사업체간 형평성이 떨어지는 부분을 보완해야 한다”며 “항공운수업이나 도소매업, 숙박음식점업 등은 코로나19 피해가 상당 부분 누적된 만큼 앞으로 산업 재편 과정에서 연착륙하기 위한 정책 지원이 추가로 필요할 것”이라고 제언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