뜻밖의 난관은 교통비다. 열 정거장 거리의 학원을 매일 왔다 갔다 할 때마다 드는 교통비는 줄이기가 어렵다. 단말기에 한번 찍히는 요금은 자칫 저렴해 보이지만 한 달 동안 매일 쌓이는 교통비야말로 ‘티끌 모아 태산’을 실감하게 한다. 이러한 와중에 들려오는 대중교통 요금 인상 계획은 20대 저소득층들에겐 청천벽력 같은 소식이다.
서울시 대중교통 요금 인상 추진
서울시는 8년 만에 버스와 지하철 요금을 올리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요금 인상은 확실시됐고 300원과 400원 사이의 인상 폭 결정이 이달 열릴 공청회의 주요 골자다. 이후 실질적인 요금 인상은 4월 말쯤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대중교통을 이용한 원거리 이동이 잦은, 2030 청년들에게는 부담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만약 400원의 인상안으로 결정된다면 대중교통 일반요금은 카드기준 시내버스 1,600원, 지하철 1,650원이 된다. 출퇴근 시 하루 두 번, 주 5일 근무를 가정했을 때 한 달 동안 교통비로만 지출하게 되는 고정비용은 최소 6만 4천원이다. 이마저도 출퇴근 외에는 외출하지 않는다는, 다소 비현실적인 가정 아래서 산출된 값이다. 만일 주말에도 외출하거나 광역 교통 등을 이용한다면 한 달에 10만원을 웃도는 비용을 교통비로 지출하게 된다.
2021년 시행된 설문조사에 따르면, 서울에 거주 중인 2030 세대 중 71.5%가 통근·통학을 위해 대중교통을 이용한다. 시민 전체 평균(57.9%)보다 확연히 높은 비율이다. 주로 이용하는 교통수단은 지하철(25.5%), 버스·지하철(23.4%), 버스(22.6%) 순이며 승용차로 이동하는 비율이 가장 낮았다. 이들 중 55.4%는 다른 시도나 서울의 다른 구로 통근(통학)한다.
고물가에 ‘무지출 챌린지’ 유행, 교통비도 ‘무지출’ 할 수 있나요?
그간 MZ 세대들은 ‘피할 수 없다면 즐겨’왔다. 천정부지로 오르는 금리와 물가에도 좌절보단 돌파를 선택했고 이른바 ‘짠테크’, ‘소비제로’, ‘무지출 챌린지’ 등의 새로운 소비 트렌드로 이어졌다. 인스타그램에 ‘무지출데이(하루 동안 소비 0원 달성하기)’를 인증하는 B씨는 “이것도 나름의 생존전략”이라고 설명했다. “애초에 소비가 많이 없는 편이지만 웬만한 거리는 다 걸어 다니면서 교통비를 아끼려고 노력 중이다”고 말했다. 네이버 블로그를 통해 무지출 챌린지에 참여한다는 20대 C씨는 31일 동안 무려 17일의 ‘무지출데이’를 완수했다. “주거·통신·교통비는 아무래도 고정지출이니까 줄이기가 어렵다. 매달 예산을 잡아두고 지출을 하는데 지난달에는 퇴근하고 운동할 겸 집까지 종종 걸어왔더니 교통비가 여유 있게 남았다. 이렇게 다양한 방식을 쓰다 보면 콘트롤할 수 있는 영역이 많아진다”고 답했다.
그렇다고 출퇴근을 안 할 수는 없으니까. 교통비, 더 절약하고 싶다면?
실제로 서울시는 지난해 만 19~24세 청년들의 경제적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청년 대중교통비지원사업’을 실시한 바 있다. 해당 사업은 이용 금액의 20%, 연간 10만원 한도의 교통 마일리지를 지급하는 방식으로 지원됐으며, 15만 명 이상의 청년들이 몰렸다. 결과적으로 거주 청년 1인당 월 6000원 정도를 절약하는 효과를 냈지만 일각에선 소득수준과 재직 여부 등에 상관없는 일괄 지원 방식을 두고 실효성 논란이 제기되기도 했다.
서울시 관계자는 “올해도 이와 유사한 지원사업을 계획했다”면서 “3월 말에서 4월 초에 시행될 예정”이라고 말했다. 대상 및 지원금액에 대해서는 “대중교통 요금 인상이 결정되면 앞으로 변동될 가능성도 있지만, 현재로선 작년과 같은 것으로 본다”고 덧붙였다.
이외에도 온라인에는 교통비를 절약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들이 소개돼있다. 그중에서도 정부가 지난 해 도입한 ‘알뜰교통카드’가 대표적이다. 대중교통과 보행, 자전거 이용 거리에 따라 마일리지를 적립해 최대 30%까지 대중교통 요금을 할인받을 수 있다. 매일 지하철을 이용한다면 정기승차권이 더 합리적이다. 서울 전용 정기권의 경우는 월 5만 5000원의 금액을 지불하고 44회분의 지하철 이용이 가능하다. 최대 60회까지 수도권 지하철 이용이 가능해, 월 2만원을 절약하는 효과를 볼 수 있다.
금전적 여유와 자본이 부족한 20대 청년들에겐 ‘절약만이 살길’이라는 필승공식이 생겼다. 정부 차원에서 경제적 부담이 필요한 청년들에게 더 세분화된 정책을 내놓을 필요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