탁 자문위원은 22일 페이스북을 통해 “우리가 상대국에 결례를 범했다면 아주 공식적으로 분명하게 상대국으로부터 항의를 받게 된다. 그러니 상대국가가 어떤 말도 없는데 ‘외교결례’ 운운하는 것이야말로 상대국에 대한 결례”라며 “근거가 박약한 트집은 대통령뿐 아니라 상대국가에 대한 큰 결례”라고 밝혔다.
그는 “대통령 순방행사에선 정상이 앉는 자리에 놓이는 물컵 위치와 컵 받침까지도 양국 담당자들이 협의한다”며 “건배는 물론이고 건배사, 그 이후 음식 순서까지 당연히 협의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상대국은 아무 불만이 없는데, 자국의 대통령이 실수했다고 야당이 나서서 이렇게 얼척(‘어처구니’의 사투리)없는 주장을 하는 경우는 흔치 않은 것 같다. 의전이 뭔지 모르는 건지, 모르는 척하는 건지, 모르지만 아는 척을 하는 건지”라고 주장했다.
|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13일 아세안 순방 일정 중 말레이시아 총리와 만난 자리에서 인도네시아 말로 잘못 인사해 외교 결례를 범했다는 논란이 일었다.
특히 자유한국당은 이를 두고 “외국의 인사가 우리나라에 와서 ‘곤니치와’라고 인사한 것과 마찬가지”라며 전문성 없는 외교·안보팀의 독점이 원인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이에 대해 정계 밖에서도 “두 나라의 어원이 같아 자연스러운 표현 중 하나이며, 한국에서 일본 인사를 한 것이라는 비판은 과하다”는 의견과 “20세기 중반 국가가 성립되는 과정에서 영토 분쟁이 있던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의 인사를 헷갈린 것은 외교적 결례”라는 의견이 충돌했다.
청와대는 “친숙함을 표현하고자 현지어 인사말을 작성하는 과정에서 혼선이 발생했다”며 “이러한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