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양성자와 접촉했어도…“손씻었으면 출근하라”?
지난달 24일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는 ‘***대학교 **병원의 두 얼굴’이라는 제목의 청원이 게재됐다.
자신을 해당 병원(S병원) 소속 간호사라고 소개한 청원인 B씨는 “병원과 감염 관리팀의 무능함으로 집단감염이라는 결과를 초래했다”고 주장했다.
B씨는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수도권 중심으로 확산하기 시작했을 때 병원이 내놓은 코로나 바이러스 관리 방안은 부실하기 그지 없었다”고 주장했다. B씨는 “병원 직원이 돌아가면서 병원 출입을 통제했는데 그 직원이 확진자 또는 잠복기 상태의 사람과 접촉 후 다시 병원 내로 들어와 근무를 했다면 과연 감염 통제가 이뤄졌을까”라고 반문했다.
이어 “직원들이 전수조사 검사 후 ‘음성’결과가 나오지 않은 상태에서도 출근하라는 지시를 받았다”며 “병원 내 감염의 확산을 막지 못하고 있는 상태에서 음성 결과가 확인되지 않은 직원이 환자 또는 다른 직원들과 접촉해 코로나 바이러스가 확산됐다면 원내 감염 확산을 부추겼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그는 “병원 측은 13일 정오부터 전 직원 코로나 검사가 가능하다고 했지만 검사를 받지 못한 몇몇 근무자들은 마감 시간인 오후 6시가 임박해서야 검사가 가능했다”라고 덧붙였다.
S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C씨도 자가격리자와 능동 감시자를 구분하는 병원 자체 지침을 잘못 설정해 무리한 출근 지시를 내렸다고 비판했다.
그는 “병원 측은 양성자와 접촉했어도 접촉 후 손을 씻었으면 출근하라고 지시하기도 했다”면서 “병동 간호사들은 오프(업무 휴무)까지 반납하며 청소했지만 추가 수당을 받지 못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자가격리에 들어가야 할 인력도 무리하게 출근을 시킨 형국인데 애초 폐쇄 결정을 내리지 않은 병원 측의 안일한 대응을 이해하기 어렵다”고 토로했다.
이에 대해 S병원측은 ‘이데일리’와의 통화에서 집단감염 발생 초기 혼란스러운 상황 속 직원들과 소통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데서 비롯된 오해라고 밝혔다.
병원 관계자는 “병원 차원에서 대응팀을 꾸려 인력배치와 방역·소독을 정부지침에 따라 진행했다”며 “방역업체를 통한 소독 작업이 다소 늦어진 것은 준비 과정까지 시간이 걸려 중요하다고 여긴 ‘표면소독’을 먼저 지시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또 전수검사 결과가 나오기 전 ‘출근’을 지시했던 것에 대해선 “초기 역학조사를 통해 능동, 자가격리자로 구분되지 않은 이들에게도 출근하지 말 것을 지시했다가 양성자와 노출되지 않은 직원들까지 근무를 하지 않을 경우 혼란이 초래될 것을 우려했다. 때문에 방역수칙을 준수해 출근할 것을 지시내린 것”이라고 설명했다.
3~4월 코로나19 4차 대유행이 우려되는 가운데 서울시에 공공병원 간호사들과 긴급돌봄 노동자들이 매뉴얼 수립 및 인력 확충을 촉구하는 주장도 나왔다.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는 지난달 22일 서울시청 앞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의료전문가들은 3~4월 2000명 대 코로나 대유행을 우려하고 있다”며 “현재 감염병동의 중증도별 인력이 마련돼 있지 않아 코로나19 병동 간호사들은 1년이 넘는 기간 동안 혼란에 빠져 일하고 있다”라고 주장했다.
이어 “코로나 확진자의 70% 이상이 수도권에 집중된 상황인데도 불구하고 서울시는 그동안 1년 넘게 매뉴얼 하나 없이 즉흥적으로 대응해오고 있다”라고 지적했다. 이들에 따르면 서울 동작구 보라매병원 간호사들은 코로나19 확진자가 급증했을 당시 외상환자를 포함 간호사 1인당 9~10명의 환자를 담당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은 대구시가 노동시민사회단체와 소통하며 ‘감염병 재유행 대비 매뉴얼’을 수립한 것처럼 서울시도 현장 노동자들의 의견을 반영해 매뉴얼을 준비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박해철 노조 수석부위원장은 “서울시도 ‘공공병원 감염병동 중증도별 간호인력 기준 및 병상 확보’ 매뉴얼을 마련하라”면서 “방역 최전선에서 싸우는 노동자들을 쥐어짜는 서울시의 행태에 분노를 금할 수 없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