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이데일리 김범준 기자] 5·18광주민주화운동 피해자와 유족들은 사죄 없이 세상을 떠난 할아버지 고(故) 전두환 전 대통령 대신 손자 전우원(27)씨가 처음으로 사죄의 뜻을 밝히자 화답했다.
| 전두환 전 대통령 손자 전우원씨가 31일 5·18 피해자와 유족들에게 사죄의 뜻을 밝히고 큰절을 하고 있다.(사진=김범준 기자) |
|
31일 5·18 공법3단체(유족회·부상자회·공로자회)와 5·18기념재단, 5·18 피해자와 관계자 100여명은 이날 오전 광주 서구 5·18기념문화센터 리셉션홀에서 전씨와 처음으로 만났다.
전씨가 “제가 이 자리에 있는 것 또한 죄악이라고 생각하지만, 이런 자리를 마련해 주고 따뜻한 마음으로 받아주셔서 감사하다”고 울먹이자 5·18 유족과 피해자들은 참았던 눈물을 쏟아냈다.
5·18 유족인 김길자 여사는 주머니에서 꺼낸 메모지를 들고 “큰 용기를 내 여기까지 와서 감사하다”며 “광주에 처음으로 온 걸 진심으로 환영한다”고 말했다. 김 여사는 5·18 당시 고등학생 시민군으로 항쟁에 뛰어들었다가 사망한 문재학 열사의 어머니다.
발언 내내 눈물을 훔친 김 여사는 “전씨가 이런 결정을 하기까지 얼마나 큰 고통을 겪었을지 생각하면 가슴이 아프다”며 “광주를 제2의 고향처럼 생각해달라. 차분히 얽힌 실타래를 함께 풀어가자”고 강조했다.
| 고(故) 전두환 전 대통령의 손자인 전우원씨가 31일 오전 광주 북구 국립5 ·18민주묘지 내 희생자들의 묘소를 찾아 자신의 옷으로 묘비를 닦고 있다.(사진=김범준 기자) |
|
5·18 당시 구금돼 고초를 겪다 풀려나 부상 피해를 안고 살아온 김관씨는 “20대 초반에 군홧발에 짓이겨 만신창이였다”며 “지금은 60대 중반이 됐지만, 정신적 고통과 트라우마는 치료받지 않으면 연명할 수가 없다”고 토로했다. 그러면서 “전씨가 오늘 사죄한 용기에 대해 진짜 꼭 안아주고 싶다”며 “이제는 진실이 규명될 때”라고 말했다.
전씨 사과를 계기로 5·18 가해자들의 사죄가 이어졌으면 좋겠다는 바람도 이어졌다.
정성국 5·18 공로자회장은 “할아버지의 잘못을 대신 사죄하기 위해 먼 길을 마다하지 않고 광주를 방문한 용기에 박수를 보낸다”며 “전씨의 뒤를 이어 다른 일가족들도 5·18 이후 43년이 지난 만큼 이제는 용기를 내야 할 때”라고 당부했다. 5·18 유족 측 한 관계자는 “전씨가 끝까지 노력해주면 좋겠다”며 “전두환이 죽고 나서 많은 가해자가 아무 말도 안 하고 있는데 많은 양심 고백이 나왔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전씨와 유족들의 만남을 지켜본 한 광주 시민 A씨는 “오래 살고 볼 일이다. 이런 날도 온다”며 “죽은 자는 말이 없어도 망자의 영들이 다 보고 있을 것”이라고 소감을 전했다.
| 고(故) 전두환 전 대통령의 손자 전우원씨가 31일 오전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 5·18민주묘지에서 5·18 유가족인 김길자 여사를 위로하고 있다. (사진=김범준 기자) |
|
이날 5·18 피해자와 유족들 간 첫 공식 만남 이후 전씨는 5·18 당시 가족을 잃은 유족들 앞에서 큰 절을 올리기도 했다. 이에 울먹이던 5·18 유족들은 “용기를 내줘서 고맙다”며 전씨를 꼭 안아주며 화답했다.
이후 전씨는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 5·18 민주 묘지로 이동해 5·18 최초 희생자인 김경철 열사와 공식 사망자 중 가장 어린 전재수군(당시 11세), 고등학생 시민군이었던 문재학 열사의 묘소를 참배하며 희생자들의 넋을 기렸다.
전씨는 김 열사와 전군, 문 열사의 묘소에서 묵념했다. 전씨가 입고 온 검은 코트를 벗어 묘비석을 닦자 한 시민이 흰 수건을 건넸지만, 그는 “괜찮다”며 본인의 옷으로 묘비석을 닦았다.
전씨가 묵념을 마치자 김 여사는 “광주로 올 때 얼마나 마음속으로 두려웠냐”며 “그 피를 이어받은 사람이 와서 사과한다니 마음이 풀린다. 위로 받았다”고 말했다.
전씨는 필요하다면 5·18 진상규명조사위원회 조사와 5·18 기념식 등에 참석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 고(故) 전두환 전 대통령의 손자 전우원씨가 31일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 5·18 민주 묘지를 찾아 방명록을 작성하고 있다.(사진=김범준 기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