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전망]①삼성·LG전자 중국업체 도전에 '진검승부'

스마트폰, 중국 중저가 공세에 반격카드 고심
스마트홈, 삼성·LG 독주에 샤오미·하이얼 등 가세
삼성, 경영권 승계·스마트폰·미래 먹거리 '관심'
  • 등록 2015-01-01 오전 4:53:15

    수정 2015-01-01 오전 4:53:15

[이데일리 장종원 기자] 을미년 새해에는 글로벌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국내 전자업계가 중국·일본 업체들의 거센 도전에 치열한 생존경쟁을 벌이는 ‘진검승부’가 펼쳐질 전망이다. 스마트폰과 TV 등 백색가전뿐 아니라 미래 신기술인 사물인터넷과 웨어러블 등 곳곳에서 이런 양상이 벌어질 것으로 예측된다. 반도체의 경우 삼성전자의 독주가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예측된다.

스마트폰 시장 치킨게임 시작하나

국내뿐 아니라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은 프리미엄폰에서 중저가폰으로 무게 중심이 이동하고 있다. 특히 지난해부터 샤오미·화웨이·레노버 등 중국업체들이 공격적으로 중저가 제품을 쏟아내면서 거대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프리미엄 제품에 집중하던 삼성전자는 영업이익이 크게 감소했고, 중국 휴대폰 시장 1위 자리를 샤오미에 빼앗기기도 했다.

새해에도 이런 흐름은 계속될 전망이다. 시장조사기관 스트래티지애널리틱스(SA)에 따르면 스마트폰시장에서 중저가폰 비중은 연평균 10%씩 증가해 올해는 50%, 2015년에는 52~55%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샤오미 등이 특허 분쟁으로 잠시 주춤하고 있지만, 스마트폰 기술이 상향 평준화되면서 중저가 시장의 성장은 필연적으로 받아들여진다.

이에 맞서 국내 기업들은 차별화된 폰으로 프리미엄시장을 개척하는 동시에 중저가 시장을 노리는 투트랙 전략을 사용할 가능성이 높다. 특히 기술적으로 플렉시블(Flexible) 화면, 2000만 화소 카메라, 64비트 운영체제(OS) 등 보다 진화된 기술을 가지고 중국 후발업체들과 차별화를 시도할 전망이다.

중저가 시장에서는 삼성전자가 갤럭시A5를 앞세워 글로벌 중저가 스마트폰 시장 공략에 나선다. LG전자는 올해 1분기 중저가 보급형인 L시리즈와 F시리즈의 후속모델들을 차례로 내놓을 예정이다. 이런 투트랙 전략이 실패로 돌아가 삼성전자와 LG전자 등이 고마진을 포기하고 공격적인 가격정책으로 중저가 시장에 뛰어든다면 스마트폰 시장은 ‘치킨게임’이 시작될 수 있다.

삼성·LG전자 글로벌 주도권 놓고 ‘스마트홈’ 경쟁

전자업계는 정체된 가전시장을 활성화하기 위해 혁신적인 기술로 소비자의 구매욕구를 자극하려는 시도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특히 모든 사물(가전)에 인터넷을 연결하는 사물인터넷이 미래 먹거리로 주목받으면서, 이를 활용한 스마트홈 서비스가 확산될 것으로 보인다. 글로벌 선두에 있는 삼성전자와 LG전자가 각각 자체 운영체계인 타이젠과 모바일 메신저를 통한 ‘홈챗’을 내세워 시장 공략에 나선다.

중국업체들은 기하급수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중국 스마트홈 시장을 발판으로 경쟁력을 쌓고 있다.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의 새로운 아이콘으로 떠오른 샤오미는 수년 전부터 스마트 TV 및 셋톱박스, 스마트 라우터 등을 잇따라 출시하며 스마트홈 시장의 강자가 되기위한 작업을 속속 진행해왔다. 하이얼은 중국 업체로는 최초로 스마트홈 시스템인 ‘U-홈(Home)’ 솔루션을 출시했다.

LG전자 직원이 지난해 12월 26일 미국 뉴저지에 위치한 LG전자 미국 법인에서 스마트폰을 이용해 홈챗으로 냉장고와 대화를 나누고 있다. LG전자는 스마트홈 ‘홈챗(Home Chat)’을 미국 시장에 출시했다. (LG전자 제공)
또한 사물인터넷의 ‘플랫폼‘ 역할로 주목받는 TV를 두고는 구글의 ’안드로이드‘와 삼성전자의 ’타이젠‘, LG전자의 ’웹OS‘간의 경쟁도 치열할 전망이다. 글로벌 TV시장에서는 소니와 TCL이 먼저 뛰어든 퀀텀닷 TV시장에 삼성전자와 LG전자가 가세하면서 경쟁이 본격화된다.

’세탁기 파손 논란‘으로 갈등을 빚고 삼성전자와 LG전자의 세탁기 전쟁도 볼 만하다. 삼성전자는 세탁기 역사 최초로 애벌빨래까지 가능한 신개념 세탁기 ’액티브워시‘를 공개하면서 시장 선점에 나섰다.

반도체의 경우 기술력에서 앞선 삼성전자의 독주가 당분간 이어질 전망이다. 모바일과 PC용 D램 시장이 견고한 성장을 이어가고 있고 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SSD), 서버 시장과 함께 사물인터넷(IoT)과 웨어러블 등 새로운 시장의 성장도 기대되기 때문이다.

’절치부심‘ 삼성 명예회복하나

지난해 이건희 회장의 와병과 스마트폰 실적악화라는 두가지 악재를 만난 삼성이 올해에는 내부 문제를 수습하고 글로벌 시장에서 명예회복을 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삼성은 지난해 삼성SDS에 이어 그룹 지배구조의 최정점에 있는 제일모직을 상장시키면서 경영권 승계를 위한 사전작업을 진행해왔다. 세계 시장에서 효율적인 사업 추진을 위해서라도 최고경영자 자리를 비워둘 수는 없는 만큼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체계로의 변화가 시도될 전망이다.

애플 아이폰과 중국 업체들의 공새로 실적이 고꾸라진 스마트폰 사업에서 삼성이 반전에 성공할 수 있을지도 관심사다. 베일 속에 가려진 갤럭시S6 모델이 얼마나 새로운 혁신성을 담을지가 관건이다. 사물인터넷, 바이오, 의료기기 등 새로운 미래먹거리 사업이 얼마만큼 가시적 성과를 낼 지도 지켜봐야 한다.

이데일리
추천 뉴스by Taboola

당신을 위한
맞춤 뉴스by Dable

소셜 댓글

많이 본 뉴스

바이오 투자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왼쪽 오른쪽

스무살의 설레임 스냅타임

왼쪽 오른쪽

재미에 지식을 더하다 영상+

왼쪽 오른쪽

두근두근 핫포토

  • 이런 모습 처음이야!
  • 이제야 웃는 민희진
  • 나락간 '트바로티' 김호중
  • 디올 그 자체
왼쪽 오른쪽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