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어촌 취업 1년새 10만명 급증 왜?…'고용절벽+워라밸'

고용한파 속 농림어업 취업자 20개월째 나홀로 증가
‘워라밸 찾아 농촌으로’…외환위기 때와는 다른 양상
40년째 이어진 고령·공동화에 ‘단비’…“더 늘어날 것”
  • 등록 2019-02-26 오전 6:59:31

    수정 2019-02-26 오후 5:32:49

이개호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올 1월22일 전북 순천에서 귀농·귀촌 청년과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농식품부 제공
[세종=이데일리 김형욱 기자] 일자리를 찾아 농어촌으로 떠나는 청년들이 늘고 있다. 농림어업 취업자는 1년새 10만명 넘게 늘었다.

다. 1970년대 이후 급속한 도시화로 40년째 고령·공동화로 시름을 앓던 농업·농촌에 가뭄 속 단비 같은 소식이다. 경기 불황에 따른 일시적 현상이 아니라 ‘워라밸’(일과 삶의 균형)을 찾는 사회적 이주가 시작된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반면 아직 갈길이 멀다는 지적도 많다.

취업자 증가폭의 대부분이 60대 이상이었고 단시간·저임금 근로자 비중도 도시지역에 비해 월등히 높다. 농림어업분야 취업이 ‘질보다 양’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다는 얘기다.

[이데일리 이동훈 기자]
농림어업 취업자 수 20개월째 나 홀로 증가…“더 늘어날 것”

통계청 고용동향 조사에 따르면 올 1월 농림어업 취업자 수는2017년 6월 증가세로 돌아선 이후 20개월 연속 증가추세다.

2017년에는 농림어업 취업자 수(127만9000명)가 6000명 늘었다. 지난해에는 134만명으로 1년새 4.8%(6만2000명) 증가했다. 작년 우리나라 전체 취업자 수 증가분(9만7000명)의 3분의 2에 육박한다.

농림어업 취업자 수가 앞으로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국책 농업연구기관인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은 올해 농림어업 취업자 수가 지난해보다 1.5%(2만명) 늘어난 136만명을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다. 2023년에는 138만4000명에 달할 것으로 추산했다.

농촌 취업자수 증가는 40년만에 찾아온 변화다. 우리나라 농림어업 취업자 수는 급속한 도시화로 인해 1976년 551만4000명을 정점으로 매년 줄어 왔다. 외환위기가 닥친 1998년 11만2000명 늘어나기는 했으나 일시적 현상에 그쳤다.

농가인구 추이. 통계청·한국농촌경제연구원 제공
작년 귀농인구 50만명 넘어서…20대도 1만1600명 달해

도시를 떠나 시골에서 인생을 새로 시작하려는 귀농·귀촌인구가 이같은 흐름을 주도하고 있다.

통계청 귀농어·귀촌인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처음으로 귀농·귀촌인이 50만명을 넘어섰다. 대다수는 귀촌 49만7187명이지만 귀농·어인도 2만989명(귀농 1만9630명·귀어 1359명) 2만명을 넘었다. 매년 2만명 이상이 새로운 평생직장을 찾아 옮겨온다는 것이다.

특히 20대 귀농·귀촌인 증가가 두드러진다. 지난 한해만 1만1600명이 늘었다. ‘농촌에서 태어나도 도시로 진학해 취업한다’ 수십년간 이어온 불변의 공식이 깨지기 시작한 것이다.

대량 실업·실직으로 귀농한 외환위기 때와도 다른 양상이다. 단순히 경제적 이유 때문이 ‘워라밸’, 즉 삶의 질을 찾는 모습이 나타나고 있다.

KREI가 귀농·귀촌 원인을 분석한 결과 2009년 이후부터 생계형보다 새로운 대안적 삶이나 또 다른 경제적 기회를 찾는다는 응답이 두드러지게 늘었다.

소득수준도 높아졌다. 65세 이상 가구가 40%를 육박하는 초고령화 탓에 농가 평균소득은 도시 근로가구의 60% 수준에 그치고 있지만 65세 미만으로 한정하면 상황은 다르다.

2016년 기준 전체 농가의 평균 가구소득은 5307만원으로 도시 근로 가구의 5605만원과 큰 차이가 없었다. 자영업자나 실업자 등 도시 비근로자 가구(4345만원)보다는 오히려 농가 소득이 높다.

일손이 부족한 탓에 농촌은 이미 수년 전부터 사실상 완전고용 상태다. 지난해 농가 경제활동참가율(76.2%)과 고용율(75.3%)은 도시 가구(각각 62.5%, 59.9%)를 훌쩍 웃돌았다. 실업률 역시 1.2%로 도시 가구(4.0%)보다 낮다.

2009년 귀농·귀촌자 연령대별 귀농동기.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제공
한국농촌경제연구원(KERI)이 분석한 최근 농림어업 취업자수 증가 요인. KERI 제공
농촌 공동체 기업화·대형화로 활로 모색

농촌 공동체도 기업화·대형화로 활로를 찾고 있다. 25일 농림축산식품부 농업법인조사 통계에 따르면 지난 2017년 농업법인 수는 2만200개로 처음 2만개를 넘어섰다. 10년 전(2008년) 4478개에서 3.6배 늘었다. 농업법인 종사자도 같은 기간 3만5392명에서 14만1454명으로 4배 늘었다.

특히 매출액 10억원 이상의 대형 농업법인은 같은 기간 1031개에서 4472개로 4.3배 늘었다. 이중 593개는 매출액 100억원을 돌파했다.

이중 상당수는 단순 농작물 생산이란 1차산업에서 벗어나 상품을 만들어 인터넷에 팔거나 관광상품화하는 제조·서비스업(2~3차산업)으로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있다. 농가 인구 감소와 고령화와는 별개로 경제력은 커지고 있다는 것이다.

마상진 KREI 농정연구센터장은 “역도시화는 선진국에서 이미 오래 전부터 나타난 현상”이라며 “현 상황을 단순히 경기 악화에 따른 일시적 현상이 아니라 사회적 이주의 출발점으로 이해하고 관련 정책을 마련해야 할 시점이 됐다”고 말했다.

2017년 농업결산법인 매출액 구분. 농림축산식품부 제공
농촌내 부익부 빈익빈 현상 심화

그러나 농업·농촌 현실이 크게 달라졌다고 보기는 어렵다. 보편적인 농가 경제 수준은 여전히 열악하고 고령·공동화도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KREI는 올해 취업자 수가 2만명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으나 이와 별개로 전체 농가 인구는 234만2000명으로 4만명 줄고 65세 이상 농가비율도 43.3%로 0.3%포인트(p)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고령화 속 도시 가구와 농가의 평균소득 격차는 계속 벌어지고 있다. 2017년 2141만원(도시 5861만원·농가 3720만원)까지 벌어졌다. 전체 인구의 40% 이상이 65세 이상인 초고령화 사회의 단면이다.

도농 소득격차뿐 아니라 농촌 내 ‘부익부 빈익빈’도 커지며 또 다른 사회문제의 요소가 되고 있다. KREI 조사 결과 2016년 소득 상위 20% 농가의 평균 가계소득은 8893만원으로 하위 20% 787만원의 11.3배였다. 도시 가구의 격차 5.7배(1억89만원 대 1765만원)보다 두 배나 크다.

최근 늘어난 농림어업 취업자 수 상당 부분이 단기 일자리라는 추정도 나온다. 농림어업 분야의 단기 근로자 비중이 월등히 높기 때문이다. 통계청은 국제 기준에 맞춰 주 1시간 이상만 일해도 농림어업 취업자로 분류하고 있다.

지난해 농림어업 취업자의 취업시간을 보면 136만명 중 37.1%인 50만5000명이 주당 36시간 미만 근로자였다. 10.5%인 14만3000명은 근로시간이 17시간 이하다. 주5일 기준 2~3시간 근무에 그친 것이다. 이 비중은 전체 근로자의 두 배 이상이다. 전체 근로자 중 36시간 미만 근로자 비중은 18.4%, 17시간 이하는 5.4%였다.

이데일리
추천 뉴스by Taboola

당신을 위한
맞춤 뉴스by Dable

소셜 댓글

많이 본 뉴스

바이오 투자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왼쪽 오른쪽

스무살의 설레임 스냅타임

왼쪽 오른쪽

재미에 지식을 더하다 영상+

왼쪽 오른쪽

두근두근 핫포토

  • 사람 맞아?…가까이 보니
  • 상큼한 'V 라인'
  • "폐 끼쳐 죄송"
  • 아슬아슬 의상
왼쪽 오른쪽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