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엽 길, 눈길만큼 위험해요

모여라! 늦가을 산행 필수품
  • 등록 2008-11-27 오후 12:15:00

    수정 2008-11-27 오후 12:15:00

[조선일보 제공] 경쾌하고 폭신할 것만 같은 낙엽 산행. 그러나 낙엽이 쌓인 길은 눈길만큼이나 미끄러워 다치기 쉽다. 낙엽 산행을 떠나기 전 마음에 새기자.


■ 바람막이, 장갑, 스틱은 필수

나무들이 헐벗을수록 바람이 숲을 지배한다. 바람막이 옷을 꼭 입어줘야 하는 이유다. 바지도 어지간한 바람에 견딜 수 있도록 도톰한 소재의 옷을 골라 입는 게 좋다. 장갑도 꼭 낄 것. 손이 추위에 곱으면 바위를 타고 올라가기가 쉽지 않다.

등산용 스틱은 반드시 챙길 것. 산을 오르내릴 때 몸의 균형을 잡아주고 미끄러지는 것을 막아줄 뿐 아니라 관절도 보호해준다. 하나만 짚고 다니는 것보단 두 자루로 양옆을 모두 지탱해주는 게 더 효과적이다. 아랫부분 받침 '폴링'이 넓은 것이 눈이 쌓인 길에도 잘 빠지지 않아 균형 잡는 데는 더 편하다는 것도 알아둘 것.


■ 눈밭에만 찬다고? 낙엽 덤불 위에서도 '스패츠'는 필수

발목에 차서 눈이 들어오는 것을 막아주는 '스패츠(spats)'. 흔히들 겨울철에만 차는 등산용품이라고 생각하는데 낙엽 산행할 때도 차는 게 좋다. 낙엽 산행을 하다 보면 먼지가 많이 날리는 데다 발목까지 낙엽이 쌓인 곳이 많아 바짓단 속으로 나뭇잎들이 잔뜩 들어가기 마련이다. 스패츠를 차면 옷 속으로 먼지가 차는 것을 막을 수 있어서 효과적. 이게 무겁고 덥다면 바짓단을 여밀 수 있는 옷을 선택해서 입자.


■ 보온병은 작은 걸로 두 개

따뜻한 물은 늦가을부터 겨울까지 등산을 다니는 사람에게 꼭 필요한 준비물. 보온병에 물을 담을 땐 큰 보온병 하나에 가득 담는 것보다 작은 보온병 두 개에 나눠 담는 게 효과적이다. 보온병 뚜껑을 여닫는 횟수만큼 물이 빨리 식기 때문. 등산 배낭에 두 개의 보온병을 넣어주는 게 몸의 균형을 잡기에도 좋다.


■ 도시락 대신 초콜릿… 여자들은 핫팩 챙기세요

도시락을 싸가는 건 권하지 않는다. 찬바람 부는 낮은 온도에서 도시락을 펼쳐놓고 앉아 있다 보면 몸의 온도가 낮아진다. 체하기 딱 좋다. 등산객들이 간편한 행동식을 선호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초콜릿이나 뜨거운 꿀차, 양갱 등을 준비할 것.

산행할 때 가장 좋은 식사법은 산행을 떠나기 2~3시간 전에 평소 식사량의 2/3만 먹는 것이다. 위에 부담을 덜어주면서도 배고픔을 느끼지 않을 수 있는 방법이다.

여자들의 경우는 몸에 붙이는 핫팩을 챙기는 것도 좋다. 배꼽 바로 아래 핫팩을 붙이고 등산에 나서면 추위를 거의 느끼지 않고 산행을 즐길 수 있다.


■ 30분 걷고 5분 쉬세요

산행에 익숙한 사람들 중엔 몸을 가볍게 흔들면서 리듬감 있게 걷는 이들이 많다. 호흡과 걸음걸이가 탄력적일수록 오래 걸어도 덜 피로하기 때문이다. 적절하게 균형을 유지하면서 리듬을 실어 걸으면 산행이 더욱 즐거워 진다.

초보자일수록 잘 쉬어주는 것도 중요하다. 쉬지 않고 걸으면 금세 지친다. 30분을 걸었다면 5분씩 쉬어줄 것. 익숙해지면 50분 걷고 10분 정도 쉬는 식으로 쉬는 간격을 늘려준다. 

▲ (왼쪽위부터)핫팩 / 등산배낭 / 보온병 / 등산용 렌턴 / 등산용 스틱 / 스패츠 / 사진=월간 산 제공

■ 비싼 기능성 재킷은 노(NO), 랜턴은 필수!

굳이 비싼 기능성 재킷을 장만할 필요는 없다. 등산복은 방수·방풍·투습이 잘될수록 비싸지기 마련인데, 매번 암벽을 타는 등산 전문가가 아니라면 필요할 때마다 적절히 지퍼를 열어주고 올려주는 것만 잘해도 어느 정도의 습기는 배출할 수 있으니 크게 걱정할 것 없다.

비싼 재킷보다 꼭 필요한 아이템은 바로 등산용 랜턴. 해가 짧아지면서 일찍 어두워지기 때문에 랜턴이 없으면 길을 잃거나 다치기 쉽다.


■ 아이젠보단 스틱… 배낭은 무거워도 꼭 메세요

겨울 산행을 위해 아이젠을 많이들 챙기는데, 사실 우리나라는 바위산이 많아 오히려 아이젠이 거추장스러울 때가 많다. 스틱을 두 개 챙겨가면 아이젠 대용으로 쓸 수 있을 뿐 아니라 살얼음이 낀 개울을 가볍게 건널 수도 있어 오히려 더 편리하다.

배낭이 없으면 몸이 더 가벼워 그만큼 쉽게 산행을 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배낭은 반드시 메줘야 한다. 발이 미끄러져 몸이 뒤로 넘어질 경우, 척추나 머리 뒷부분이 땅에 바로 부딪혀 크게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가급적 등판이 평평하고 큰 배낭을 메는 게 좋다. 가급적이면 35L 이상 크기의 배낭을 권한다.


▶ 관련기사 ◀
☞모닥불에 앉아 고구마·밤도 구워먹어요
☞최고등급 암소 한우의 고소하고도 깊은 맛, 광시한우
☞낙지 등 생물자원 풍부한 ''어민들의 삶터''


이데일리
추천 뉴스by Taboola

당신을 위한
맞춤 뉴스by Dable

소셜 댓글

많이 본 뉴스

바이오 투자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왼쪽 오른쪽

스무살의 설레임 스냅타임

왼쪽 오른쪽

재미에 지식을 더하다 영상+

왼쪽 오른쪽

두근두근 핫포토

  • 우리 엄마 맞아?
  • 개더워..고마워요, 주인님!
  • 공중부양
  • 상큼 플러팅
왼쪽 오른쪽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I 청소년보호책임자 고규대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