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인텔, IoT 기기에 실시간 통신 기술 심는다

인터넷 실시간 영상·음성·데이터 통신기술 ‘WebRTC’ 활용 쇼핑몰 및 배달 전문 업체 用 IoT 기기 제작 가능
고객은 버튼 클릭만으로 원하는 물품 주문
  • 등록 2016-08-17 오전 8:44:04

    수정 2016-08-17 오전 8:44:04

[이데일리 김현아 기자] 도봉구 쌍문동 주택가 일대에서 직접 만든 두부를 판매하는 김씨(40)는 100여명의 단골 고객들을 위해 특별한 IoT 기기를 제작해 제공했다. 고객이 집에서 와이파이 연결이 되어있는 IoT 기기의 버튼을 누르면 김씨와 음성 통화를 할 수 있는 것. 버튼을 누르는 것 만으로 원하는 시간에 두부를 주문할 수 있게 됐다.

직장맘 김 씨(45)는 얼마 전 IoT 기기가 탑재된 장난감을 아들에게 선물했다. 아들이 하교이후 장난감의 어깨 장식을 누르자, 직장에 있는 김 씨 스마트폰 앱이 활성화 됐다. 김 씨는 장난감 눈에 설치된 카메라를 통해 아들과 숙제 이야기를 할 수 있었다.

SK텔레콤(017670)(대표이사 사장 장동현, www.sktelecom.com)이 세계 최대 반도체 칩 제조사인 인텔(CEO 브라이언 크르자니크, Brian Krzanich, www.intel.com)과 실시간 커뮤니케이션이 기술이 탑재된 혁신적 IoT 기기 공동 개발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고 17일 밝혔다.

美 샌프란시스코 ‘인텔개발자포럼(IDF)’ 현장에서 열린 체결식에는 SK텔레콤 최진성 CTO(사진 오른쪽)와 인텔 마이클 그린 소프트웨어 솔루션 그룹 부사장이 참석했다.
17일(현지시각 16일) 美 샌프란시스코 ‘인텔개발자포럼(IDF)’ 현장에서 열린 체결식에는 SK텔레콤 최진성 CTO(최고기술경영자)와 인텔 마이클 그린(Michael A. Greene, VP) 소프트웨어 솔루션 그룹 부사장이 참석했다.

‘WebRTC(Web Real-Time Communication)’는 웹 브라우저에서 실시간으로 영상·음성·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기술로, ‘W3C(World Wide Web Consortium)’에서 제정한 차세대 웹 표준 기술이다. 이 기술을 IoT 기기에 적용되면 스마트폰을 이용하지 않아도 영상·음성 통신이 가능해진다.

온라인 쇼핑몰이나 배달 전문 업체가 이 기술을 이용해 주문 전용 IoT 기기를 만든다면, 고객은 버튼 클릭만으로 간편하게 원하는 물품을 주문하고 통화 할 수 있다.

양사는 인텔의 IoT 기기 제작 보드인 ‘에디슨(Edison)’에 ‘WebRTC’ 적용이 가능한 기술을 공동 개발하며, 이를 통해 PC와 스마트폰 탑재에 한정됐던 ‘WebRTC’ 영역을 다양한 IoT 기기로 확장시킬 계획이다.

에디슨 보드란 새로운 IoT 제품 개발을 쉽게 할 수 있도록 고안된 인텔의 초 소형 컴퓨팅 모듈이다.

SK텔레콤은 지난 12월 ‘WebRTC’를 상용화 하기 쉽도록 업그레이드한 ‘PlayRTC’를 국내에서 처음으로 공개한 바 있다. ‘PlayRTC’를 이용하면 고가의 서버 구축 없이 적은 비용으로 쉽고 빠르게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출시 및 운영 할 수 있어, 새로운 형태의 비즈니스 모델 창출이 가능해진다.

양사는 각사가 보유한 개발자센터를 통해 ‘WebRTC’ 개발 도구(x86 CPU用 WebRTC SDK)를 개발자들에게 무상으로 제공하는 등 IoT 개발 생태계 활성화에도 적극 나설 예정이다.

SK텔레콤 차인혁 플랫폼기술원장은 “PlayRTC가 O2O·커머스·완구·스마트공장 등 다양한 산업 영역에서 혁신의 도구로 활용되기를 바란다”며, “IoT 기기 활용도를 높이고 고객에게 차별화된 통화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개발자 및 중소·벤처 기업과 연구개발 협력을 지속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인텔 마이클 그린 부사장은 “IoT 기기에 최적화된 소프트웨어 제공을 통해 고객이 인텔의 기술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 것”이라며, “양사가 보유한 IoT 서비스 개발 경험과 WebRTC 기술을 바탕으로, 실시간 소통이 가능한 혁신적인 IoT 기기 개발 및 상용화를 위한 노력을 이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SK텔레콤은 커뮤니케이션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인 성능과 품질에서 차별화된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는 이동통신사의 특성을 살려, 다양한 산업군과 협업해 고객들이 편리하고 재미있게 커뮤니케이션 할 수 있는 서비스를 개발하고 있다.

6월 7일 시스템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체 ‘투비소프트’와 동대문 패션타운 점주들을 위한 간편 주문 IoT 기기 개발·공급 계약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이 기기를 이용하면 동대문 패션타운 점주들은 IoT 기기 ‘원클릭’으로 운송기사를 호출해 예약·주문·통화 할 수 있다.

5월에는 영·유아 교구제 업체인 ‘에듀챌린지’와 음성 통신이 가능한 완구 시제품 공동 개발을 완료했다. 아이들은 완구를 통해 부모에게 전화를 걸 수 있으며, 부모들은 아이들의 습관 형성을 위한 음성 생활지도 및 동화 구연 등의 기능을 원격지에서 스마트폰으로 작동 시킬 수 있다.

SK텔레콤의 ‘PlayRTC’는 해외 스타트업에게도 주목을 받고 있다. 중국 ‘허이(HEYI)’社는 2015년부터 전세계 중국어 학습자들에게 1:1 개인 교습을 제공하는 서비스 ‘판다린’에 ‘PlayRTC’를 적용하고 있다.



▶ 관련기사 ◀
☞[등기이사 연봉] 장동현 SK텔레콤 사장, 상반기 보수 10억
☞SKT, 美 통신사 버라이즌과 5G 공동연구 제휴
☞갤노트7, 65%가 SKT로 가입하겠다..“구매 할인혜택”때문


이데일리
추천 뉴스by Taboola

당신을 위한
맞춤 뉴스by Dable

소셜 댓글

많이 본 뉴스

바이오 투자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왼쪽 오른쪽

스무살의 설레임 스냅타임

왼쪽 오른쪽

재미에 지식을 더하다 영상+

왼쪽 오른쪽

두근두근 핫포토

  • 고양이 닮은꼴...3단 표정
  • 아스팔트서 왜?
  • 한혜진 시계가?
  • 이런 모습 처음
왼쪽 오른쪽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