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건희 시대 25년··삼성 100배 커졌다

삼성그룹, 25년사이 순이익 100배 이상 급성장
매출·자산·시가총액·브랜드가치 등도 수직상승
이건희 "오직 새로운 것만 생각해야"..25주년 화두 주목
  • 등록 2012-11-19 오후 2:33:27

    수정 2012-11-20 오전 8:08:59

[이데일리 김정남 기자] 지난 87년 12월1일 오전 10시 서울 호암아트홀. 46세의 이건희 회장은 고(故) 이병철 삼성그룹 창업주가 타계하자마자 그룹을 떠안으며 몇 가지 약속을 그룹 임직원들에게 했다. “앞으로 도전적인 경영을 통해 삼성을 세계적인 초일류 기업으로 성장시킬 것입니다. 첨단 기술 분야를 더욱 넓히고 해외사업의 활성화로 그룹의 국제화를 가속시킬 것입니다. 국가와 사회가 필요로 하는 인재를 교육시킬 것입니다. 지금 사회가 우리에게 기대하고 있는 이상으로 봉사와 헌신을 적극 전개할 것입니다.”

부친인 고(故) 이병철 삼성 선대회장(왼쪽)과 삼성 본관에서 단란한 한때를 보내고 있는 이건희 삼성 회장. 삼성 제공.
25년이 지난 현재, 그의 이 비장한 외침은 모두 현실이 됐다. 아니, 그 이상을 해내고도 남았다. 기업을 경영하는 능력으로만 본다면 이 회장은 ‘경영의 신’이라 불려 마땅해 보인다.

1987년 당시 국내 여러 대기업집단 가운데 하나였던 삼성은 이젠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온리원(only one)’으로 성장했다. 미국·일본을 어떻게 빨리 베낄지 궁리하던 처지에서 IBM·HP·인텔 등 쳐다보지도 못했던 업체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게 됐다. 소니·마쓰시타·파나소닉 등 일본 업체들은 제친 지 오래다. 브랜드 조사업체 인터브랜드가 선정한 전 세계 브랜드 순위에서 올해 삼성은 9위를 기록해 처음 10위 안에 들었다. 도요타(10위)·디즈니(13위)·HP(15위) 등 굴지의 브랜드는 이미 삼성의 뒤에 위치했다. 1980년대 이 회장이 그렇게 선망하던 IBM(3위)도 목전에 두고 있다.

경영능력의 바로미터인 실적에서도 이 회장의 진가를 엿볼 수 있다. 1987년 2100억원 수준이었던 순이익은 10년 만인 1997년(2조7700억원) 10배 이상 급증하더니 24년 만인 지난해에는 20조3000억원으로 불었다. 25년 사이 삼성의 내실이 100배 가까이 튼실해진 것이다.

1987년 17조4000억원에 불과했던 매출 역시 지난해 274조3000억원까지 커졌다. 올해는 무려 383조원까지 증가할 전망이다. 그 사이 1조원 정도였던 주식의 시가총액은 303조원(지난달 기준)으로 300배 이상 불어났다. 10조원 규모의 자산은 440조원 안팎으로, 63억달러 규모의 직접 수출액도 올해는 1567억달러 안팎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핵심 계열사인 삼성전자(005930)는 어느새 세계 최대 전자업체에 등극했다. 그 바탕에는 반도체가 굳건히 버텨줬다. 이 회장의 반도체 사랑은 현재도 남다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삼성전자의 창립기념일이 11월1일인 것도 1988년 당시 삼성전자가 삼성반도체통신을 흡수 합병한 날을 기념한 것이다. 모태인 삼성전자공업주식회사의 창립일이 1969년 1월13일임에도 말이다.

지난 25년 삼성그룹의 경영실적. 삼성 제공.
초기 삼성 반도체는 자체기술이 전무하다시피다. 방법은 단 하나. 베끼는 것 뿐이었다. “반도체 사업 초기는 기술확보 싸움이었다. 내가 거의 매주 일본으로 가서 반도체 기술자를 만나 조금이라도 도움이 될 만한 것을 배우려 했다.” 이 회장의 회고다. 1992년 세계 최초로 개발한 시제품 16M D램부터 시작된 그의 반도체 신화는 지금도 굳건하다. 반도체 외에 디스플레이·TV·휴대폰 등 주요 제품군에서도 삼성은 세계 시장을 호령하고 있다.

그 사이 삼성은 무수히 많은 스타 경영자도 배출했다. 윤종용·이윤우·이기태·황창규·진대제 등 이름만 들어도 누구나 알 수 있는 명장들이 탄생했다. 현재 삼성 미래전략실을 이끌고 있는 최지성 부회장을 비롯해 권오현·윤부근·신종균 등도 글로벌 시장에서는 가장 영향력 있는 스타다. 국가가 필요로 하는 인재를 키우겠다는 이 회장의 다짐이 이들을 만들었다고 해도 과언은 아니다. 1987년 10만명 수준이었던 삼성 임직원도 25년 사이 42만명(2012년 예상)까지 증가했다. 삼성의 주요 계열사는 대졸 인재들이 가장 취업하고 싶어하는 대상이 됐다.

그럼에도 이 회장은 여전히 목말라하고 있다. 안주할 법도 하지만 그의 눈은 여전히 미래를 향해 있다. “앞으로 예상하지 못한 변화들이 나타날 것이다. 기존의 틀을 모두 깨고 오직 새로운 것만을 생각해야 한다.”(2012년 신년사 중에서) ‘경영의 신’ 이 회장은 이미 새로운 25년을 내다보기 시작했다. 다음달 1일로 회장 취임 25주년을 맞는 이 회장의 입에서 어떠한 화두가 나올지 주목된다.

이건희 삼성 회장은 1996년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위원으로 선출돼 지금까지 활동하고 있다. 삼성 제공.


이데일리
추천 뉴스by Taboola

당신을 위한
맞춤 뉴스by Dable

소셜 댓글

많이 본 뉴스

바이오 투자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왼쪽 오른쪽

스무살의 설레임 스냅타임

왼쪽 오른쪽

재미에 지식을 더하다 영상+

왼쪽 오른쪽

두근두근 핫포토

  • 7년 만의 외출
  • 밥 주세요!!
  • 엄마야?
  • 토마토탕
왼쪽 오른쪽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I 청소년보호책임자 고규대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