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금리 같아졌다…韓 외국인 자금 향방은

'돈풀기 시대' 저문다…外人투자자 선택 '촉각'
우려 속에 IIF "올해 한국 300억달러 유입 전망"
  • 등록 2017-06-15 오전 9:23:09

    수정 2017-06-15 오전 9:23:09

재닛 옐런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의장. 사진=로이터


[이데일리 경계영 기자] 예상한 대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14일(현지시간) 기준금리를 인상했다. 이로써 미국의 기준금리(1.00~1.25%) 상단이 우리나라 기준금리(연 1.25%)와 같아졌다.

연내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을 여전히 열어둔 데다 그간 사들였던 자산까지 되파는 ‘테이퍼링(양적완화 축소)’까지 올해 안에 시행할 것을 공식화했다. 미국이 돈줄 죄기에 나서면서 우리나라로 들어왔던 외국인 자금의 향방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자료=미국 연방준비제도, 한국은행
주식·채권 사들이던 외인 ‘변심’할까

“성장 물가 유동성, 3박자가 맞아떨어졌다.”(정미영 삼성선물 리서치센터장) 우리나라를 포함해 전세계 금융시장이 호황기를 누린 이유였다. 초저물가 기조에서 벗어난 데다 성장세는 좋아지고 주요국 중앙은행이 풀어낸 돈까지 더해진 덕분이었다.

우리나라 금융시장에도 외국인 자금이 대거 들어왔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해 들어 5월까지 국내 주식과 채권시장으로 들어온 외국인 자금은 각각 91억6000만달러, 113억4000만달러로 총 205억달러에 이른다. 특히 주식시장은 16개월 연속 외국인의 ‘사자’가 이어졌다.

이제 걱정은 앞으로다. 한·미 정책금리가 똑같아진 데다 연내 한 차례 더 인상한다면 역전까지 가능하다. 자금을 굴리는 입장에서는 금리가 같다면 신용도와 안정성이 높은 나라를 택하기 마련이다. 더욱이 금리 인상보다 더욱 강력할 수도 있는 보유자산 축소까지 예고됐다. 자산 축소 규모는 월 100억달러에서 시작해 3개월 간격으로 한도를 늘릴 것이고 시장을 놀라게 하지 않겠다고는 했지만, 긴장을 늦출 수 없는 이유다.

다만 외국인 자본 유출 압력은 강하지 않으리란 전망이 우세하다. 안동현 자본시장연구원장은 “외국인 자본 유출 가능성에 대비해야 하지만 비관적으로 공포감을 가질 단계는 아니다”라고 진단했다.

지난 2015년 12월 미국 연준이 제로(0) 금리에서 벗어나 금리 인상을 네 차례 단행했지만 자금이 빠져나가기는커녕 외려 들어오고 있다는 것. 한·미 시중금리가 역전됐는데도 외국인은 국내 채권에 ‘러브콜’을 보냈다.

정미영 센터장은 “지난 3월 연준이 금리를 인상했는데도 미국 채권 금리가 하락(채권 값 강세)하고 달러화 값이 떨어지는 등 정반대 현상이 나타나기도 했다”며 “한·미 금리 역전 자체가 당장 외국인의 투자행태를 바꿀 만한 재료로 보긴 어렵다”고 봤다.

◇한은 “유출 가능성 제한적”


한은 또한 지난달 발표한 ‘통화신용정책보고서’에서 대규모로 외국인 자본이 빠져나갈 가능성이 제한적이라고 평가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에서 대규모로 자본이 빠져나간 때는 △아시아 외환위기 1997~99년 △글로벌 금융위기 2008~09년 △중국·자원수출국의 경제불안기 2015~16년 등 세 차례였다. 이들 시기의 공통점은 국제 금융시장에서 불안이 전이됐고 국내 경제도 취약했다는 점이 꼽혔다.

한·미 금리가 역전되더라도 자본 유출로 이어지지 않았다고 한은은 설명했다. 미국 금리 인상과 겹친 2015~16년 자본이 대거 빠져나가긴 했지만 한·미 정책금리가 역전된 1999~2001년과 2005~07년, 시장금리가 역전된 2004년 10~12월엔 외려 자본이 들어왔다는 이유에서다.

최근 국제금융협회(IIF)에서는 한국에 대해 IIF는 △새 정부의 경기부양책 △지정학적 리스크 감소 등을 꼽으며 외국인 자금 유입 규모가 300억달러를 웃돌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는 지난해 순유입액 85억달러를 뛰어넘는 수준이다.

IIF는 “미국 연준이 통화정책 정상화의 고삐를 조였지만 유럽중앙은행(ECB), 일본은행(BOJ) 등 다른 중앙은행이 아직 완화적 기조를 보이며 이를 상쇄할 것”이라며 “한국을 포함한 세계 성장세도 탄탄해 신흥국 자산의 투자 매력이 여전하다”고 판단했다.

이데일리
추천 뉴스by Taboola

당신을 위한
맞춤 뉴스by Dable

소셜 댓글

많이 본 뉴스

바이오 투자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왼쪽 오른쪽

스무살의 설레임 스냅타임

왼쪽 오른쪽

재미에 지식을 더하다 영상+

왼쪽 오른쪽

두근두근 핫포토

  • 처참한 사고 현장
  • 미모가 더 빛나
  • 빠빠 빨간맛~♬
  • 이부진, 장미란과 '호호'
왼쪽 오른쪽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