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까만 갯벌’ 무엇이 바위고 무엇이 뻘인가

영흥도 검은여
  • 등록 2009-07-24 오후 5:06:00

    수정 2009-07-24 오후 5:06:00

[경향닷컴 제공] 영흥도는 행정구역상 인천 옹진군에 속하지만 그곳에 들어 가려면 반드시 경기도 땅을 밟아야 하는 희한한 섬이다. 2001년 선재도와 영흥도를 잇는 영흥대교가 준공되면서 시화방조제를 지나 선재대교, 영흥대교를 지나야만 섬에 다다를 수 있다. 지도상 직선거리로 따지면 금방이라도 닿을 것처럼 보이지만 인천 시내에서 출발해 도착하기까지 1시간 하고도 30분은 족히 달려야 한다. 영흥도 검은여포구로 가는 길은 그래서 ‘떠난다’고 표현할 만하다. 닿을 듯 가까운 곳이지만 행정구역을 넘나들며 숲이 우거진 길을 따라 섬을 두 개나 거쳐야 포구에 이른다. ‘떠난다’는 말에 담긴 ‘해방’의 기분을 느낄 만큼의 거리, 그곳에 검은여포구가 있다.

▲ 물은 저만치 물러나있다.뭍을 등지고 바다쪽으로 걸어나가자 온통 굴과 고동,칠게들의 세상이다.여느 갯벌과는 완연히 다르다.사위가 고요했기 때문일까. 사각 사각거리는 저들의 숨소리가 귓전을 때렸다.

검은여포구로 출발하기 전 ‘의외로’ 지도를 펼쳐들어야 했다. 지명에서 이름을 따 쉽게 찾을 수 있는 포구들과 달리 검은여포구는 인터넷으로는 정확한 위치조차 찾을 수 없었다. ‘검은여’라는 이름에 대한 유래를 찾아볼 요량으로 인터넷을 뒤적여봤지만 자료는커녕 단서가 될 만한 작은 조각도 찾지 못했다. 관광지도를 펼쳐 봤지만 허사였다. 결국 영흥도의 한 낚시터에 전화를 걸어서야 검은여의 대략적인 위치나마 알 수 있었다. 장맛비가 한바탕 쏟아져 하늘도 제풀에 지친 날, 영흥도로 차를 몰았다. 세상에 존재를 드러내길 원치 않았던 포구, 검은여는 어떤 모습일까.

▲ 영흥대교를 건너자마자 오른쪽에 자리잡은 진두선착장은 주말이면 낚시꾼들과 연인들로 붐빈다.

영흥대교를 기준으로 왼쪽과 오른쪽으로 바닷가 마을이 눈에 들어온다. 수협공판장 주변으로 횟집들이 즐비하게 늘어선 왼쪽 풍경과 달리 오른쪽 해안은 비교적 소박하고 아담하다. 단체관광 온 손님들이라면 왁자지껄한 왼쪽의 영흥 선착장을 택할 것이고, 가족이나 애인과 알콩달콩한 시간을 보내려 한다면 오른쪽의 진두선착장이 맞을 듯 싶다.

굴·고동·바지락이 ‘주렁주렁’

다리를 건너자마자 진두방면으로 우회전해 100여m 들어가자 조용한 섬마을이 한눈에 들어온다. ‘첫 눈에 반했다’는 의미의 한눈이라기보다 작고 소담해서 한눈에 든다. 평일 점심 무렵인데도 삼삼오오 무리 지은 사람들이 심심찮게 주차장과 횟집을 오간다. ‘꾼’이라 하기에는 아마추어 분위기를 풍기는 낚시꾼 서넛이 진두선착장 끄트머리에 파라솔을 치고 앉아 세월을 낚고 있다. 선착장 주변으로 마련된 주차장에 차를 세우고 걸어서 검은여로 향했다. 검은여포구는 진두선착장 바로 옆을 지나 도로가 굽어지는 곳에 있었다.

▲ 바지락과 굴 등이 풍부해 영흥면 내리 어민들에게 마을 앞 갯벌은 오랫동안 생계의 터전이었다. 외지인의 불법채취를 막기 위해 낮 당번인 어민 두 사람이 한가로이 바다 쪽을 바라보고 있다.

200m쯤 걷자 드문드문 눈에 띄던 횟집들이 사라지고 왕복 2차로의 좁은 도로를 따라 단층 건물의 빨간 벽돌 주택이 줄지어 나타난다. 8월 중순부터 시작되는 조업기를 앞둬서인지 잘 손질된 부표들이 알록달록한 깃을 뽐내고 있다. 여남은 가구의 벽돌 주택의 끝, 도로가 둥글게 굽은 위치에 검은여포구가 눈에 들어온다. 해안가 갯벌이 굽어지는 지점에 100m 가량의 선착장이 북두칠성 모양으로 뻗었다. 앞서 본 진두선착장에 비하면 작고 초라하다. 선착장 입구에 서있는 두 칸짜리 남녀 화장실이 고즈넉한 바닷가 마을 분위기와는 영 어울리지 않는다. 화장실 뒤로 물 빠진 갯벌을 내려다 보니 거뭇거뭇한 바윗덩이들이 굴껍데기와 따개비를 온몸에 매단 채 납작 엎드려 있다.

검은여는 말 그대로 ‘검은 바위’가 많다는 데서 유래한 이름이다. 영흥도 오석(烏石)은 수석을 수집하는 이들 사이에서는 이름을 떨치는 돌이다. 색깔은 까마귀처럼 까맣고 파도에 쓸려 동글동글해진 자갈들은 웬만한 보석보다 반들반들 윤이 난다. 10년 전 선착장이 생기고 2년 전 해안으로 신식 도로가 나기 전까지만 해도 검은 보석을 구하기 어렵지 않았다. 그 중에서도 이곳 영흥면 내리에는 갯벌 한가운데 검은 바위가 우두커니 버티고 서 있었다.

‘여’는 물에 잠겨 보이지 않는 바위를 뜻하는 우리말이다. 밀물 때 모습을 드러냈다가 썰물 때 물에 잠기고마는 바위도 ‘여’에 속한다. ‘검은여’는 물이 끝까지 차면 정수리만 내밀고 있다가 물이 빠지면 모습을 드러낸다. 물에 닿으면 색이 더욱 까맣고 윤이 난다. 그래서 조상대대로 ‘물 속에 있는 검은 바위’라는 뜻에서 이곳을 검은여라 불렀다. 갯벌이 원래 까맣다 보니 무엇이 바위고 무엇이 뻘인지 구분하기도 힘들지만 분명히 바위가 마을 사람들 입에 오르내렸다. 바위 위에서는 굴도 잘 열려서 사람들은 바위를 타고 오르내리며 희망을 주워 담았다.

낚시하러 온 차림새도, 관광 온 모양새도 아닌 외지인이 바위 주변을 서성이자 꽃게를 잡을 자망을 손질하던 동네 사람 몇이서 관심을 보인다. 검은여를 찾으러 왔다는 말에 사람들은 기억을 더듬어 검은여를 추억한다. “벽돌 집 할머니가 토박이니까 알려는가.” “저기 보이는 바위가 까매서 검은여라지 아마.” “그냥 조상 때부터 그렇게 불렀어.” “제일 큰 바위는 이제 안 보여.” 조용한 포구의 오후에 몇 차례 대화가 오간다. 마을 사람들이 손으로 가리키는 곳으로 시선을 옮겼다. 사람들이 서 있는 콘크리트 선착장 바로 아래쪽이다. 해변의 갯벌과 뒤섞인 바위말고 선착장 바로 아래에서도 검은 돌의 잔가지가 드러난다. 선착장을 만들면서 검은여의 몸통격인 가장 큰 바위는 그 밑에 깔렸다. 인류보다 먼저 이곳에 자리를 잡고 앉아 세월을 견디던 거대한 자연을 인공 돌덩이가 깔고 앉아 제 자리인 양 하는 폼이 영 마뜩치 않다.

동네 사람들의 대화는 이내 독백이 된다. 오래 전 마을을 회상하노라면 꽃다운 젊은 시절의 자신을 돌아보게 되고 이야기 끝은 항상 초라한 현재의 모습과 마주하는 것으로 마무리된다. 자망을 손질하던 무리 옆에서 대화를 거들던 한 아주머니에게 언제부터 영흥에 살았냐고 말을 보태본다. 창이 넓은 모자 사이로 발갛게 탄 피부를 가진 그는 몸이 많이 아파 걷지도, 먹지도 못했을 때 휴양을 위해 영흥을 찾았다고 한다. 그러고는 눌러앉았다. “그렇게 기운도 없고 말도 없던 내가 사람구실하게 될 줄 누가 알았나. 바다가 날 살린 거지.” 이름을 묻자 그는 “그저 영흥면 내리 어장관리 아줌마”라고만 했다.

한때 오석(烏石) 수집꾼들 몰려

영흥면 갯벌은 주민들에게는 밥줄이다. 검은여선착장 왼쪽 건너편으로 아득하게 펼쳐진 갯벌에서는 굴이며 바지락을 양식한다. 갯벌도 갯벌이지만 뻘 사이사이로 뾰족이 솟은 검은 돌덩이에서도 굴이 잘 자란다. 동네 사람들은 그래서 검은여를 목숨 걸고 지킨다.

▲ 영흥대교 위에 서면 진두, 검은여 일대의 멋진 야경이 한눈에 들어온다. 가운데 보이는 송전탑이 옥의 티처럼 눈에 거슬린다.

검은여뿐 아니라 영흥도 전체는 주말, 특히 여름철이면 관광객들과 전쟁을 치른다. 가족단위의 관광객들은 보이는 갯벌마다 무작정 뛰어들어 ‘생태 체험’을 하려 든다. 영흥대교 초입에서 가까운 검은여 앞 뻘은 두말할 나위없다. “우리한테는 밥줄인데 그 밭을 다 망가뜨려놓고는 되레 큰 소리를 치니 조용하게 타일러서 되겠어. 나도 큰 소리 좀 쳐야지.”‘어장관리 아줌마’는 그렇게 병을 이겨냈다고 한다.

걸음을 벽돌 주택 쪽으로 옮긴다. 검은여가 내다보이는 이 마을 사람들 중 거동이 가능한 이들은 썰물 때 배를 타고 가까운 뻘로 나가 바지락을 캔다. 일흔살이 넘은 할머니도 예외 없다. 요즘은 오전 8시에 배를 타고 나가 12시면 다시 검은여선착장으로 돌아온다. 집으로 돌아온 마을 사람들은 간단히 점심을 먹고 서넛씩 모여앉아 바지락을 깐다. 군데군데 자리를 펴고 앉아 바지락을 까는 풍경 또한 이색적이다. 깐 바지락은 1㎏ 단위로 포장에 1만 원에 판다. 주말이면 관광객들에게 인기가 많다. 한 무리에 끼어들어 검은여에 대해 물었더니 “조상 때부터 그런 걸 왜 묻느냐”며 까던 바지락만 계속 깐다. 우문현답이다.

해를 가리기 위해 엉성하게 천막을 치고 그 안에서 바지락을 까는 공복순씨(71)의 천막 안으로 들어가 앉았다. 50년을 함께 산 남편 김기석씨(76) 옆에 앉아 파리를 쫓는다. 평안남도 남포가 고향인 김씨는 1·4후퇴 때 내려와 전국을 떠돌다가 11년 전 검은여에 자리를 잡았다. 함경남도 흥남 출신으로 역시 1·4후퇴 때 월남한 부인 부인 공씨와는 부산에서 만났다. 젊어서 검은여 앞바다에서 21년 배를 부리다가 3남매 교육 때문에 인천 시내로 이사를 했다. 그리고 아이들을 모두 출가시키고 ‘인생의 종착역’으로 다시 돌아왔다. 검은여에서 3년 전까지 배를 몰았는데 마지막 배의 이름은 고향 이름을 따 ‘남포호’라고 했다. 50년을 함께 산 노부부의 눈에 그동안의 세월이 주마등처럼 스쳤다. 바지락을 까는 부인 공씨의 손등이 검은여만큼이나 까맣고 거칠었다.

반나절을 검은여 주변을 서성이며 바위와 붙어사는 이들을 만나고 오는 길, 검은여포구 사람들은 검은여를 닮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세월의 풍파에 깎이고 도려내진다해도 마침내 종착역으로 택한 삶의 터전에서 그들만의 모습으로 갈고 닦인 사람들. 누군가 주워가 장식장에 진열한 매끄럽고 윤기나는 오석이 아닌, 드러나지 않을 뿐 여전히 그 자리를 지키고 있는 검은여. 무엇이 무엇을 닮아가고 있는지는 모르지만 검은여포구는 콘트리트에 묻힌 과거가 아닌 현재이자 미래였다.

청마 유치환은 <바위>에서 ‘내 죽으면 한 개 바위가 되리라… 두 쪽으로 깨뜨려져도/ 소리하지 않는 바위가 되리라’고 노래했다. 청마가 그토록 애절하게 되고 싶어했던 바로 그 ‘바위’를 영흥도 검은여포구에서 보았다.


▶ 관련기사 ◀
☞제주의 푸른 바다, 그 속의 별미를 맛보다
☞온천·뮤지컬… ''테마파크'' 바캉스 짜릿
☞''광천수 스파'' 노는 물이 달라요


이데일리
추천 뉴스by Taboola

당신을 위한
맞춤 뉴스by Dable

소셜 댓글

많이 본 뉴스

바이오 투자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왼쪽 오른쪽

스무살의 설레임 스냅타임

왼쪽 오른쪽

재미에 지식을 더하다 영상+

왼쪽 오른쪽

두근두근 핫포토

  • 한라장사의 포효
  • 사실은 인형?
  • 사람? 다가가니
  • "폐 끼쳐 죄송"
왼쪽 오른쪽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