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국제강 "브라질제철소 공정률 76%"..고로 정초식 개최

장세주 회장 "세계에서 제일가는 공장" 기원
9월까지 설비 설치 완료, 12월 고로 화입 목표
  • 등록 2015-01-23 오전 11:14:44

    수정 2015-01-23 오전 11:14:44

장세주(왼쪽 네번째) 동국제강 회장이 22일(현지시간) 브라질 제철소 CSP에서 합작사 대표들과 함께 고로 연와 정초식 행사에 참여하고 있다. (왼쪽부터) 세르지오 레이찌 CSP CEO, 김진일 포스코 사장, 무릴로 페헤이라 발레 CEO, 장 회장, 엘리오 까브라우 CSP 이사회 의장. 동국제강 제공.
[이데일리 성문재 기자] 동국제강의 브라질 제철소 CSP(Companhia Siderurgica do Pecem)가 완공에 한발 더 다가갔다.

브라질 제철소 CSP는 22일(현지시간) 브라질 세아라주(州) 뻬셍(Pecem) 산업단지에 있는 제철소 건설 현장에서 ‘CSP 고로 연와 정초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연와 정초식은 내화벽돌에 염원하는 글자를 적어 고로의 안전과 성공적인 가동을 기원하는 행사다.

이 행사에는 장세주 동국제강(001230) 회장, 무릴로 페헤이라 발레(Vale) 회장, 김진일 포스코(005490) 철강생산본부장(사장) 등 150여명이 참석했다.

장세주 회장은 고로 축조에 사용될 내화벽돌에 친필로 ‘꿈이 현실이 되어 세계에서 제일가는 공장이 되기를 기원합니다’라는 문구를 적어 2007년말부터 추진해온 브라질 제철소 성공에 대한 강렬한 염원을 드러냈다.

제철소의 핵심 설비인 고로는 철광석과 코크스를 넣어 1500℃의 쇳물(용선)을 뽑아내므로 고로 안쪽에 강한 열과 쇳물의 무게를 견뎌내는 내화벽돌을 쌓아 고로의 외피를 보호한다. 고로는 한번 불을 붙이면 15~20년 동안 사용되므로 내화벽돌의 견고함은 고로의 수명을 좌우한다.

브라질 제철소 CSP에 도입되는 고로는 내용적 3800㎥ 로 연간 최대 312만t의 쇳물(용선) 생산이 가능하다. 특히 브라질의 엄격한 환경규제에 능가하는 집진설비를 보강해 원료 장입 시 발생되는 비산 먼지 농도를 같은 규모의 고로보다 평균 20%까지 줄이도록 설계했다.

동국제강 관계자는 “고로 건설은 오는 9월까지 내화물 축조와 설비 설치를 완료하고 단계별로 시운전을 거쳐 12월 고로 화입을 목표로 하고 있다”며 “브라질 제철소 CSP는 1월 현재까지 76%의 종합 공정률(건설 공정율 57%)을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CSP 제철소는 동국제강과 포스코, 발레가 각각 30%, 20%, 50%의 지분으로 합작해 브라질 북동부 세아라주에 건설하는 300만t급 고로 1기의 제철소다. 자본금 24억 3000만달러를 포함해 총 54억6000만달러가 투자된다.

브라질 제철소 CSP 전경. 동국제강 제공.
▶ 관련기사 ◀
☞ 장세욱 동국제강 부회장 "100년 지속 가능한 미래 만들겠다"
☞ 인터지스 이인식 대표 등 동국제강 계열사 승진 인사
☞ [인사]동국제강
☞ 동국제강 장세욱 사장, 부회장 승진
☞ 동국제강, 유니온스틸 합병 승인..내년 1월 통합법인 출범
☞ '사생결단' 장세주 동국제강 회장, NICE 외친 까닭?
☞ 합병 앞둔 동국제강, 신용등급 '빨간불'
☞ 한기평, 동국제강 신용등급 'A-' 강등
☞ 동국제강, 3Q 실적부진 지속..상승모멘텀 제한적-HMC
☞ 동국제강 3분기 매출 1.5조..영업손실 177억, 적자전환


이데일리
추천 뉴스by Taboola

당신을 위한
맞춤 뉴스by Dable

소셜 댓글

많이 본 뉴스

바이오 투자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왼쪽 오른쪽

스무살의 설레임 스냅타임

왼쪽 오른쪽

재미에 지식을 더하다 영상+

왼쪽 오른쪽

두근두근 핫포토

  • 사실은 인형?
  • 사람? 다가가니
  • "폐 끼쳐 죄송"
  • '아따, 고놈들 힘 좋네'
왼쪽 오른쪽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