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사회공헌 진화.. 청소년·지역밀착형 지원사업 활발

전경련, 2015년도 주요 기업 신규 사회공헌 프로그램 분석
아동·청소년기 진로교육 미래세대 꿈 키우기
지역사회 기업 노하우·전문성 살려 맞춤형 투자
  • 등록 2016-10-25 오전 11:26:51

    수정 2016-10-25 오전 11:26:51

[이데일리 이진철 기자] 기업 사회공헌이 국민밀착형 방식으로 진화하고 있다. 일반 청소년이나 대중을 대상으로 하는 사업을 확대하거나 지역사회 맞춤형 투자를 통해 취약계층은 물론 국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를 도출하기 위해 노력을 기울이는 모습이다.

25일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가 255개 기업을 대상으로 ‘2015년도 신규 사회공헌 프로그램’을 분석한 결과, 주요 기업들이 가장 주목한 분야는‘미래세대 진로탐색 지원’으로 나타났다.

신규 사회공헌 프로그램 사업 대상의 40.4%가 아동·청소년으로 조사됐으며, 기업이 보유한 전문 인력, 기술을 활용한 강연 및 체험형 교육이 주를 이뤘다.

특히 중학교 자유학기제와 연계해 사회공헌 프로그램을 신설한 기업들이 많았다. 삼성물산(028260) 건설부문은 주거 공간을 직접 설계해보는 직업체험형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SM엔터테인먼트는 오디션을 통해 선발된 청소년에게 소속 가수의 전문 트레이닝을 제공하는 등 각사의 전문성을 활용해 청소년들의 꿈과 희망을 키워주는 사업들을 신설했다.

교육환경 개선 및 격차 해소를 위한 노력에도 나섰다. 삼성카드는 이른바 ‘수포자(수학과목을 포기한 학생)’로 불리는 학생에게 관심을 두고 게임을 통해 수학적 사고력을 기르는 프로그램을 개발, 중학교에 보급했다. 제일기획(030000)은 탈북 청소년들이 알기 어려운 단어들을 북한어로 손쉽게 번역해주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글동무)을 개발해 학습과 언어 정착을 돕고 있다.

심리치유, 일상 속 힐링 기회 마련 등 우리 사회 내면을 보듬는 정서복지 활동도 강화되고 있다.

과거 사회공헌이 취약계층의 경제적 지원 차원이었다면 이제는 한발 나아가 사회적 약자는 물론 현대인의 심리 안정을 지원하고 스트레스 속 일상을 보듬는 단계로 나아가는 추세다. 대상 역시 감정 노동자, 워킹맘, 다문화여성, 학교 밖 청소년, 환우가족 등 전통적인 취약계층의 범위에서 확대되고 있다.

한화(000880)는 감정노동자와 다문화 여성을 위한 공예교육을 진행하고 작품 전시회를 통해 이들의 자존감을 높이고 세상과의 소통을 지원하고 있다. ING생명은 음악을 통해 위로와 행복을 전하고자 직장인, 간호사, 수험생, 콜센터 상담원 등을 대상으로 찾아가는 콘서트를 열었다.

이밖에도 유한킴벌리는 워킹맘 공감대 형성을 위한 육아 웹툰을 제작하고, 현대해상은 병원 내 환자와 보호자를 위한 문화공간을 마련하는 등 일상을 치유하고 정서적 안정을 지원하는 활동을 펼쳤다.

기업들의 신규 사회공헌 프로젝트의 절반 이상은(54.3%) 사업장 인근 또는 특정 지역에 기반한 것으로 조사되는 등 지역밀착형 사업을 통해 전반적인 삶의 질을 높이려는 노력도 진행됐다.

롯데면세점은 서울 숲 인근 공터에 공익문화공간을 조성함으로써 시민들의 휴식공간을 마련했고, KT(030200)는 낙후 지역에 초고속 통신 인프라를 조성해 교육·의료·안전 등 다방면에 걸쳐 주민 생활을 편리하게 개선한 사례가 대표적이다.

기업의 전문성과 노하우를 살려 동력을 잃어가는 지역 상권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기도 한다. 두산은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해‘동대문미래창조재단’을 설립하고 동대문 지역 발전을 위한 씽크탱크 역할에 나섰다. 신세계는 남대문 시장을 도심관광 명소로 만들기 위한 ‘글로벌 명품시장 육성 프로젝트’에 돌입했다.

이용우 전경련 사회본부장은 “기업 사회공헌이 성숙기에 접어듦에 따라 소외계층은 물론 사회 전반에 걸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활동에 대한 기업들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면서 “지역사회 가치 증대를 통해 전반적인 삶의 질을 높이고, 일상을 보듬는 국민체감형 프로그램이 확산되는 추세”라고 말했다.

2015년도 주요기업 신규 사회공헌 프로그램 분석. 전경련 제공


▶ 관련기사 ◀
☞삼성물산, 충북 보은서 농가 일손돕기 봉사활동 실시
☞[hot issue] 美 희귀난치병 신약개발 제약사에 국내제약사 200억 계약체결! 국내제약사 최초공개!
☞[VI특공대] 10조원 규모의 글로벌 백혈병 ... ‘최초공개’


이데일리
추천 뉴스by Taboola

당신을 위한
맞춤 뉴스by Dable

소셜 댓글

많이 본 뉴스

바이오 투자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왼쪽 오른쪽

스무살의 설레임 스냅타임

왼쪽 오른쪽

재미에 지식을 더하다 영상+

왼쪽 오른쪽

두근두근 핫포토

  • 우리 엄마 맞아?
  • 개더워..고마워요, 주인님!
  • 공중부양
  • 상큼 플러팅
왼쪽 오른쪽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I 청소년보호책임자 고규대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