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관 10명 중 4명, 소방장비 자비로 구매

소방직 627명 조사, 37% '장갑·랜턴·안전화 등 자비로 구입'
장비 노후·수량 부족 때문..74% "열악한 장비로 위험 느껴"
외상후스트레스 심각..교대근무·초과수당조차 없어
박남춘 "처우개선 대책 수립해야"..안전처 "연내 100% 해결"
  • 등록 2015-09-21 오후 3:47:57

    수정 2015-09-21 오후 3:47:57

[이데일리 최훈길 기자] 소방관들이 화재 진압에 필요한 소방장비마저 자비로 구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국회 안전행정위원회 박남춘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이 시도 소방본부·소방학교 24곳 627명의 소방공무원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를 이데일리가 입수해 확인한 결과, 응답자 616명 중 229명(37.2%)이 ‘장갑, 랜턴, 안전화 등 개인 안전장비를 자비로 구입한 적 있다’고 응답했다.

자비로 장비를 구입한 횟수는 2~3건이 가장 많았다. 응답자 64명 중 40명(62.5%)이나 이같이 답했다. 이어 1건(15명, 23.4%), 3~4건(7명, 11%), 5건 이상(2명, 3.1%) 순으로 답변이 나왔다.

소방공무원들이 자비로 장비를 구입하는 이유는 장비 수량이 부족하고 노후 장비가 많기 때문인 것으로 조사됐다. 응답자 606명 중 194명(32%)이나 ‘장비가 충분치 않다’(매우 불충분 포함)고 답했다. ‘매우 충분하다’는 응답은 2.3%(14명)에 그쳤다.

장비 노후화 및 수량 부족으로 구조 활동에서 위험을 느낀 소방공무원이 응답자 928명(복수응답 포함) 중 688명(74.1%)에 달했다. ‘장비성능 미달’(152명, 16.4%), ‘정비불량’(50명, 5.4%)을 호소한 응답도 적지 않았다.

근무여건도 심각한 상태였다. 응답자 615명 중 67명(10.9%)은 외상후스트레스를 경험했거나 겪는 중이었다. 하지만 응답자 67명 중 22명(32.8%)이 치유지원 프로그램에서 도움을 받지 못했다. 부상을 당한 소방공무원 120명 중 99명(82.5%)은 자비로 치료비를 부담했다.

더군다나 응답자 615명 중 206명(33.5%)이 교대근무 없이 일했고, 근무일이 아닌 날 근무해도 응답자 520명 중 385명(74%)은 초과근무수당을 받지 못했다. 응답자 172명 중 78명(45.3%)이나 ‘3번 이상 초과근무 수당을 받지 못했다’고 답했다.

21년 경력의 한 지자체 소방공무원은 “지방재정 문제로 소방예산이 부족하기도 하지만, 재정여건이 좋아도 소방안전 분야가 예산 순번에서 뒷전으로 밀리는 게 다반사”라며 “중앙부처에 근무하는 인력도 적다 보니 아무리 현장에서 힘들다고 외쳐도 국가 소방예산·정책까지 반영되는 게 쉽지 않다”고 토로했다. 국가직 소방공무원은 전체 소방공무원 정원 4만 1991명 중 485명(1.2%, 8월 기준)에 불과하다.

박남춘 의원은 “소방관들의 열악한 처우 개선이 없이는 국민 안전도 담보할 수 없다”며 “소방관들이 자비로 장비를 구입하지 않도록 국민안전처가 나서서 종합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윤순중 안전처 소방정책국장은 “소방장갑 등의 안전장비는 개인 필요에 따라 선호하는 장비를 구입해 사는 경우가 있어 정확한 실태 파악이 필요하다”며 “소방안전교부세, 노후소방장비 지원예산이 집행되면 올해 안에 노후된 안전장비를 100% 교체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남춘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이 시도 소방본부·소방학교 24곳 627명의 소방공무원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출처=박남춘 의원).
▶ 관련기사 ◀
☞ 소방관 10명 중 8명, 근무중 다친 치료비 자비로 부담
☞ '매맞는 소방관' 연 108명..10건 중 9건 음주폭행
☞ 누리꾼 뭉클하게 한 소방관의 컵라면.. "360명 모두 고생 많으셨습니다"
☞ [사설] 소방관서에 납품된 ‘짝퉁 방화복’들
☞ 환경훼손 벌떼의 '역습'..119 피해신고 한달새 4만건


이데일리
추천 뉴스by Taboola

당신을 위한
맞춤 뉴스by Dable

소셜 댓글

많이 본 뉴스

바이오 투자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왼쪽 오른쪽

스무살의 설레임 스냅타임

왼쪽 오른쪽

재미에 지식을 더하다 영상+

왼쪽 오른쪽

두근두근 핫포토

  • 이런 모습 처음이야!
  • 이제야 웃는 민희진
  • 나락간 '트바로티' 김호중
  • 디올 그 자체
왼쪽 오른쪽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