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신경영 20년, 향후 20년이 더 큰 과제

경영권 승계·신수종 사업·휴대폰 쏠림 등 현안과제 산적
  • 등록 2013-10-28 오후 7:30:00

    수정 2013-10-28 오후 7:30:00

[이데일리 류성 산업 선임기자 박철근 기자] ‘마누라와 자식만 빼고 다 바꿔라’.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이 지난 1993년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그룹 임원들을 모아놓고 ‘신경영’을 주도한 지 올해로 20주년을 맞았다.

이른바 ‘프랑크푸르트 선언’ 이후 삼성은 ‘양(量) 중심 경영에서 질(質) 경영’으로 경영 패러다임을 전환하는 데 성공하면서 초일류 기업의 반열에 올랐다. 이 기간 삼성의 세계 1위 품목은 D램 하나에서 스마트폰, 박형 TV, 액정패널, NAND형 플래시메모리, 리튬이온 전지 등으로 대폭 확대됐다. 당시 29조1000억원이던 그룹 매출은 지난해 383조9000억원으로 13.2배가 늘었다. 이익 역시 같은 기간 8000억원에서 38조원으로 47.5배 커졌다.

신경영의 성과는 브랜드 가치에서도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브랜드 평가업체 인터브랜드에 따르면 삼성은 지난 2005년 브랜드 가치 195억 달러(20조6895억원)로 세계 20위권에 머물렀다. 하지만 월드 베스트 상품이 늘고 스마트폰 시장에서 맹주 애플을 제치면서 올해 396억 달러(42조156억원)의 브랜드 가치로 세계 8위를 차지했다.

이처럼 승승장구하며 최절정기를 맞이하고 있는 삼성이지만 앞으로 헤쳐나가야 할 길은 과거 20년보다 더욱 험난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도 이날 신경영 20주년을 기념해 열린 서울 신라호텔 만찬 자리에서 들고 나온 경영화두도 역시 ‘위기의식’이었다. 이 자리에는 삼성그룹 사장단·부사장단, 협력사 대표 등 350여명이 참석했다. 이 회장은 이날 “앞으로 우리는 자만하지 말고 위기의식으로 재무장해야 한다”며 “실패가 두렵지 않은 도전과 혁신, 자율과 창의가 살아 숨쉬는 창조경영을 완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회장은 이에 앞서 지난 6월에도 신경영 선포 20주년을 맞아 그룹의 전 임직원에게 “앞으로 우리는 1등의 위기, 자만의 위기와 힘겨운 싸움을 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보내 조직에 위기의식을 불어넣기도 했다.

삼성의 미래를 불투명하게 하는 가장 큰 현안 과제로는 기형적으로 커져버린 스마트폰 사업이 꼽힌다. 올 3분기 삼성전자(005930)는 휴대전화 사업(IM)에서 전체 매출의 62%, 영업이익의 68%를 각각 거뒀다. 현재는 삼성의 효자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지만 스마트폰 사업이 부진을 겪는다면 삼성그룹 전체가 크게 흔들릴 수 밖에 없는 구조인 셈이다. 스마트폰 사업이 ‘양날의 칼’로 작용할 리스크가 상존하고 있는 것이다.

삼성의 한 관계자는 “이 회장이 지속해서 금융분야에서도 삼성전자와 같은 회사를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한 것도 전자 계열사로 쏠려 있는 사업 구조를 재편하기 위한 포석”이라고 전했다.

미래 먹거리 확보가 지지부진한 것도 삼성의 미래를 불투명하게 만드는 주요 요인이 되고 있다. 지난 2010년 삼성은 그룹차원에서 ▲태양전지 ▲자동차 배터리 ▲발광다이오드(LED) ▲의료기기 ▲바이오 등 5대 신수종 사업의 육성계획을 발표했지만, 3년이 지나도록 이렇다 할 성적을 내지 못하고 있다. 삼성의 한 고위 관계자는 “세계 경영환경과 업황등을 감안할 때 이 사업들이 이 회장 시대에 만개하기는 사실상 어려울 것”이라고 내다봤다.

삼성그룹의 경영권 승계 작업을 원만하게 마무리해 오너 리스크를 최소화해야 하는 문제도 자주 거론되고 있다. 지난 8월 이 회장이 폐렴으로 병원에 입원했을 때 금융가를 중심으로 이 회장의 건강 위독설이 급속하게 퍼질 정도로 민감하게 반응 했다. 이는 이 회장의 건강문제는 개인이나 삼성그룹 차원에 국한되지 않고 국가 경제에도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반증이기도 하다.

재계 한 고위 관계자는 “이 회장의 건강문제는 지속해서 제기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라며 “삼성이 국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력을 고려할 때 이 회장이 건강할 때 세 자녀에 관한 경영권 승계 문제가 깨끗하게 정리돼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은 지난 1993년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양 위주의 경영에서 질 위주의 경영으로 패러다임을 전환하는 ‘신경영’을 선언했다. 삼성그룹 제공


▶ 관련기사 ◀
☞이건희 회장 "자만하지 말고 위기의식으로 재무장해야"
☞삼성전자 '애널리스트데이'에 관심가는 이유
☞[포토]삼성전자, 한국시리즈에서 '갤럭시노트3+기어' 체험존 설치


이데일리
추천 뉴스by Taboola

당신을 위한
맞춤 뉴스by Dable

소셜 댓글

많이 본 뉴스

바이오 투자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왼쪽 오른쪽

스무살의 설레임 스냅타임

왼쪽 오른쪽

재미에 지식을 더하다 영상+

왼쪽 오른쪽

두근두근 핫포토

  • 이런 모습 처음이야!
  • 이제야 웃는 민희진
  • 나락간 '트바로티' 김호중
  • 디올 그 자체
왼쪽 오른쪽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