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군(軍)과 각 지방자치단체 소유의 헬기를 즉시 동원할 수 있는 헬기 지휘체계를 산림청으로 일원화하고, 강원·경북 동해안 일원에 ‘산불방지통합지휘본부’를 설치·운영하기로 했다.
산림청은 31일자로 봄철 산불조심기간을 종료하고, 이 같은 내용의 ‘2017년 봄철 산불방지대책 추진결과 및 대응체계 강화방안’을 발표했다.올 봄철 산불은 고온·건조한 날씨가 지속됐고, 영동지방의 강풍 특보 등 기상요인과 휴일 증가 등으로 예년에 비해 산불이 발생 건수와 피해 면적이 크게 증가했다.
산불조심기간인 1~5월 모두 494건의 산불이 발생해 1281㏊의 산림이 소실됐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건수는 54%, 피해 면적은 253% 증가한 수치다.
이 기간 중 산불발생의 주요 원인으로는 △입산자 실화(157건·32%) △쓰레기 소각(82건·16%) △논·밭두렁 소각(81건·16%)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
지역별로는 건조특보가 많았던 경기(139건)와 강원(83건)이 전체 산불의 절반 가까이를 차지했고, 피해면적은 강원(1104㏊)과 경북(105㏊)이 전체의 94%를 점유했다.
피해 규모별로는 1㏊ 미만 465건(94%), 1~5㏊ 25건(5%) 등이 주를 이뤘고, 30㏊ 이상의 산불은 모두 4건(1%)이었다.
산림청은 이번 강원 강릉·삼척과 경북 상주 산불 대응과정에서 드러났던 문제점들을 진단하고, 재난성 대형 산불에 대비한 헬기자원 확충, 전문인력 양성, 산불방지 법·제도 개선 등 산불대응체계를 강화할 방침이다.
우선 강풍에 강하고, 야간 진화가 가능한 중·대형급 산불 진화헬기 15대를 2025년까지 확충하기로 했다.
중·대형급 진화헬기는 물을 2000ℓ 이상을 저장할 수 있는 기종으로 동시다발적인 대형 산불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모두 90대가 필요하지만 현재 산림청이 보유한 헬기(소형급 포함)는 45대에 머물고 있다.
산림청은 산불방지 주관기관으로 동시다발적인 산불의 초동진화를 위해 유관기관(군·소방 등) 헬기를 신속히 동원할 수 있는 헬기 지휘체계도 구축한다.
또한 산불감시원과 산불예방진화대, 감시카메라 등 산불 감시와 예방, 가해자 검거능력을 높일 예정이다.
산림 내 산불 확산 요인으로 지적된 목재 부산물도 제거하기로 했으며, 봄철 대형 산불 위험이 높은 강원·경북 동해안 지역에 신속한 초동 대응을 위해 동해안 산불방지통합지휘본부를 설치·운영하기로 했다.
논란이 됐던 산불 재난 문자 알림체계도 개편될 예정이다.
국민안전처와 협의해 발송주체를 지자체로 일원화하고, △산불 발생 △대피 권고 △대피 명령 등 산불상황 단계별로 발송 기준을 명확히 해 재난정보가 신속히 전달될 수 있도록 개선된다.
김용하 산림청 차장은 “이번 산불을 교훈 삼아 미흡했던 산불대응 체계를 개선하고, 재난성 대형 산불이 발생되지 않도록 철저히 대비하겠다”면서 “우리의 소중한 산림을 지킬 수 있도록 전 국민들이 산불 예방에 적극 동참해 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