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스닥 한때 13.6% 폭락(종합)

  • 등록 2000-04-05 오전 6:45:29

    수정 2000-04-05 오전 6:45:29

4일 뉴욕 증시는 지옥까지 곤두박질했다가 막판에 겨우 한숨 돌렸다. 나스닥지수는 한때 포인트뿐 아니라 퍼센트기준으로도 사상 최대인 13.6%나 폭락했다가 막 판에 겨우 하락폭을 줄였고, 나스닥의 영향을 받은 다우지수도 한때 500포인트이상 떨어졌 었다. 나스닥은 일순간에 4천대가 무너지면서 3천대로 주저앉을 뻔했고, 다우지수도 1만선까지 위협당할 처지에 놓였었다. 이날 나스닥지수는 막판에 시스코, 인텔, 델, 선마이크로 등 대형 첨단기술주의 선전에 힘입어 겨우 하락폭을 74.79포인트, 1.77%로 줄이며 4,148.89로 마감했다. 이날 최저치는 3,649.11로 전일대비 574.57포인트, 13.6% 하락한 수준으로 종전 최고치인 87년10월19일 블랙먼데이의 11.35%를 훨씬 뛰어넘는 것이었다. 나스닥지수는 초반 한때 전일대비 60포인트까지 올랐다가 이처럼 급락해 하루 변동폭이 634.34로 사상 최고수준을 나타냈다. 다우지수도 초반 196.31포인트까지 올랐으나 나스닥 폭락의 영향을 받아 한때 504포인트, 4.5%까지 하락했다가 막판에 한숨돌려 57.09포인트, 0.51% 하락한 1만1,164.84로 마감했다. 다우지수 역시 이날 하루 변동폭이 700포인트를 넘어 사상 최고기록였다. 이날 오후장에 나스닥 폭락을 불러온 것은 마진 콜였다. 마진 콜은 증거금대출 상환요청. 지난해부터 온라인증권사를 중심으로 신용대출로 주식을 사는 투자자가 크게 늘어난 상황에서 최근 나스닥의 첨단기술주가 폭락하면서 증거금이 부족해 상환요청이 크게 늘어난 것이다. 최대 온라인 증권사의 챨스 슈왑의 경우 최근 마진 콜이 평상시의 2배수준으로 늘어났고 아 메리트레이드도 지난 이틀간 마진콜이 연초보다 40%이상 늘어났다고 밝혔다. 이처럼 마진콜이 급증하면서 증거금대출을 갚기 위한 주식 매도가 급증할 것이란 소문이 나 돌면서 투매현상이 빚어진 것이다. 가뜩이나 첨단기술주의 약세와 마이크로소프트 사태로 인해 출렁거리는 나스닥시장에 마진 콜이란 결정타가 한때 사상 최대 폭락을 불러온 것이다. 또 마진 콜에 대처하기 위해 투자 자들이 첨단기술주뿐 아니라 보유중인 블루칩까지 팔 수 밖에 없게 될 것이란 인식이 확산 되면서 다우지수까지 급락한 것이다. 이날 막판에 나스닥시장을 살린 것은 시스코, 인텔, 델, 선마이크로 등 대형 첨단기술주였다. 이들은 장중 크게 하락했다가 막판에 바닥권까지 떨어졌다고 인식한 투자자들이 덤벼들면서 강보합세로 반등, 나스닥지수 하락폭을 크게 줄였다. 하지만 이들 첨단기술주의 간판스타들외에는 전반적으로 컴퓨터 소프트웨어, 인터넷, 반도 체, 네트워킹 주식들이 약세였고, 바이오테크주식은 크게 떨어졌다. 뉴욕 증권거래소(NYSE)에서는 제약주가 초강세였다. 존슨앤존슨, 머크, 화이저 등 제약주들 이 일제히 상승하면서 다우지수를 지탱했다. 반면 은행, 증권 등 금융주가 큰 폭으로 떨어졌고, 유통주도 전반적으로 하락했는데 지난달 초반 수익감소 발표로 폭락했던 프록터 앤 갬블이 올라 눈길을 끌었다. 프록터 앤 갬블은 DLJ의 애널리스트 앨리스 롱리가 매수추천을 하는데 힘입어 상승했다. 이날 뉴욕 증시는 사상 최대 변동폭을 기록하는 불안정한 장세속에서도 거래량은 사상최고 기록을 세웠다. 뉴욕 증권거래소는 15억주, 나스닥시장은 28억주로 모두 최고 기록이다. 뉴욕 증권거래소에서는 2,076개종목이 하락, 1,021개종목이 상승했으며 나스닥시장에서는 3,369개종목 하락, 1,030개종목이 상승했다.

이데일리
추천 뉴스by Taboola

당신을 위한
맞춤 뉴스by Dable

소셜 댓글

많이 본 뉴스

바이오 투자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왼쪽 오른쪽

스무살의 설레임 스냅타임

왼쪽 오른쪽

재미에 지식을 더하다 영상+

왼쪽 오른쪽

두근두근 핫포토

  • 이런 모습 처음이야!
  • 이제야 웃는 민희진
  • 나락간 '트바로티' 김호중
  • 디올 그 자체
왼쪽 오른쪽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