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포를 즐기는 뇌 [조성진 박사의 엉뚱한 뇌 이야기]

  • 등록 2021-11-13 오전 12:05:00

    수정 2021-11-13 오전 12:05:00

조성진 순천향대 서울병원 신경외과 교수가 뇌 이야기를 합니다. 뇌는 1.4 키로그램의 작은 용적이지만 나를 지배하고 완벽한 듯하나 불완전하기도 합니다. 뇌를 전공한 의사의 시각으로, 더 건강해지기 위해, 조금 더 행복한 인생을 살기 위해 어떻게 뇌를 이해해야 하고, 나와 다른 뇌를 가진 타인과의 소통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의학적 근거를 토대로 일상에서 일어날 수 있는 재미있는 이야기들과 함께 탐구해보겠습니다. 일주일 한번 토요일에 찾아뵙습니다.

[조성진 순천향대 부속 서울병원 신경외과 교수] 우리는 살면서 많은 공포를 체험한다. 인간으로 태어날 때 첫 울음은 첫 호흡을 하기 위함이지만 세상 밖으로 나왔을 때 공포감을 느껴 우는 것이 아닐까라는 생각도 든다. 공포에 노출되면 모든 동물들의 반응은 아드레날린이라는 호르몬이 분비되어 동공이 확장되고, 호흡과 심박수가 증가되어 많은 양의 산소와 혈액을 근육에 보내 최대의 힘을 발휘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모공이 수축하여 머리카락이 뻣뻣해지며 소름이 끼치게 되는데 만약 인간이 털이 많은 동물이었다면 더 크고 무섭게 보이게 만들었을 것이다.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공포를 불쾌한 감정으로 생각하지만 반대로 많은 사람들이 이런 공포를 즐기고 체험하는 것을 즐기는 경우도 흔하다. 공포영화를 보고, 롤러코스트를 타기도 하며, 스카이 다이빙과 번지점프와 같이 높은 곳에서 떨어지는 경험은 엄청난 순간적인 공포를 느낄텐데 오히려 쾌감을 느끼는 것이 이상하다. 두려움과 즐거움은 완전히 반대되는 감정은 아닌 듯하다. 극한의 공포가 끝이 났을 때 종종 쾌감을 느끼는데 이것은 단지 살아남았다는 것에 대한 안도감은 아니며 복잡한 뇌의 변화로 인해 발생한다.

공포반응을 제어하는 뇌의 구조물은 편도체이다. 이는 뇌의 원시구조인 변연계에 해당하는 구조물로써 공포에 노출되면 편도체가 뇌의 시상하부를 자극하여 결국 뇌하수체에서 부신피질자극호르몬을 혈액으로 방출시키게 된다. 결국 코티졸이라는 스트레스 호르몬이 분비되어 혈압을 높이고 혈당수치를 증가하여 신체가 최대 활동할 준비를 시키는 것이다. 과학자들은 이러한 반응은 원시시대부터 포식자로부터 살아남기 위해 만들어진 것으로 생각한다.

공포가 끝나면 이완감이 나타나는데 뇌의 전전두엽에서 위험이 현실이 아니라는 것을 깨닫고 나면 안도감을 느끼게 하는 것이다. 공포의 체험은 혼자하는 것보다는 여러 명이 같이 하는 것을 즐긴다. 다른 사람들과 함께 두려운 상황에 처하게 되면 서로 유대감이 생기게 되는데, 이때 옥시토신이라는 호르몬이 분비되기 때문이다. 옥시토신은 집단기억과 유대감을 형성하는데 관여하는 호르몬으로 흔히 ‘사랑호르몬’ 이라고 알려져 있다. 이런 유대감은 즐거움의 필수적인 부분이며, 공포를 함께 이겨낸 모든 사람들이 훌륭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옥시토신뿐만 아니라 엔도르핀도 공포 후에 분비되어 행복감을 주게 된다. 엔도르핀은 우리 몸에서 분비되는 천연 마약 성분이며 30분 이상 달리기를 한 경우 더 이상 달려도 지치지 않을 것 같고 계속 달리고 싶은 상태인 ‘러너스 하이(runner’s high)‘라고 하는 상태에 도달하는 데 관여한다. 마지막으로 신체는 세로토닌이라는 신경전달 물질을 방출하여 행복감을 느끼게 한다고 한다. 이렇듯 공포는 우리 뇌에서 여러가지 호르몬과 신경전달 물질의 변화로 결국 쾌감을 느끼게 되는 것으로 많은 사람들이 공포 체험을 즐기게 만드는 것은 모두 이러한 화학 물질 때문이다.

진정으로 생명을 위협하는 상황을 즐기는 사람들은 없을 것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진정한 위험이 없는 안전한 공포를 즐기는 것이다. 장기적인 두려움은 혈압 상승 및 방어 행동과 같은 역효과를 가져오는 반면 단기적 공포체험은 안전한 공간에서 두려움에 대한 신체의 반응을 연습하게 만들어 생존 능력을 키우고 감정을 조절할 수 있으며 자기 보호를 위해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줄 수 있게 하는 이점이 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정기적으로 공포 영화를 즐기는 사람들이 COVID-19 기간 동안 심리적으로 더 회복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화에 관한 한 공포감은 고대 원시사회로부터 위험 상황에서 살아남을 수 있게 만든 인간의 기본 감정으로 진화 전반에 걸쳐 생존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공포의 경험이 때론 병적인 불안장애로 이어질 수 있는데 이를 공포증(phobia)라고 한다. 예를 들면 높은 장소에서 비정상적으로 심리적 불안감과 공포를 느끼는 고소공포증이 있고, 좁을 공간을 견디지 못하는 폐쇄 공포증, 자기가 도움을 받을 수 없거나 급히 빠져나갈 수 없는 넓은 장소를 불안에 하는 광장 공포증도 한 예이다. 이런 공포증은 인지행동치료나 약물치료가 필요한 정신 장애에 해당한다.

지난 2년간 우리는 COVID-19의 판데믹으로 인한 타인과의 접촉 공포증과 손소독과 마스크 착용으로 인한 강박증과 같은 새로운 불안 증후군이 발생 된 듯하다. 그러나 공포와 불안을 극복하고 인류가 발전하였듯이 인류는 COVID-19을 극복하고 또 하나의 공포를 이겨낸 행복감을 느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이데일리
추천 뉴스by Taboola

당신을 위한
맞춤 뉴스by Dable

소셜 댓글

많이 본 뉴스

바이오 투자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왼쪽 오른쪽

스무살의 설레임 스냅타임

왼쪽 오른쪽

재미에 지식을 더하다 영상+

왼쪽 오른쪽

두근두근 핫포토

  • 고양이 닮은꼴...3단 표정
  • 아스팔트서 왜?
  • 한혜진 시계가?
  • 이런 모습 처음
왼쪽 오른쪽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