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디 한번 풀어보시오"…뒤엉킨 단서, 꼭꼭 숨긴 암호[정하윤의 아트차이나]<30·끝>

▲중국 MZ세대 작가 '왕쯔핑'
中 비약적 발전 누리고 美 디자인스쿨 졸업
선배 작가들과 다른 20대 후반 라이징 스타
갖가지 이미지 흩뿌려 그린 '풍요·과잉시대'
단서 찾아 암호 해독…각자 관점 '열린 감상'
여러 관점들 포용 中 젊은 세대 희망 엿보여
  • 등록 2023-05-12 오전 12:01:00

    수정 2023-05-12 오전 12:01:00

왕쯔핑의 ‘강의 맥박’(Pulse of the River·2022). 인물·풍경·건물·문자 등 현대사회의 다양한 지점에서 잘라내 오려붙인 듯한 구성이다. 첫눈엔 단순한 이미지 나열쯤으로 보이지만, 점차 과포화한 문물이나 상품·정보가 넘쳐나는 풍요로운 시대를 겨냥한 작가 나름대로의 분석이 읽힌다. 결국 중국 MZ세대를 대표하는 작가가 세상을 뜯어본 방식이자 보편적인 상징인 셈. 그 의미 하나하나를 풀어내는, 마치 복잡한 암호를 풀어내는 듯한 새로운 감상법을 제안한다. 캔버스에 오일, 100×80㎝, ⓒ왕쯔핑·페레스프로젝트 제공.


중국 그림을 보지 못한 지 한참입니다. 한국 미술시장이 자못 뜨거웠던 지난해와 올해, 세계의 작가와 작품이 우리를 기웃거리던 때도 중국은 없었습니다. 중국 ‘큰손’ 컬렉터의 규모와 수가 미국을 제쳤다는 얘기도 이미 2~3년 전입니다. ‘으레 미술은, 그림은 그런 것’이라며 반쯤 우려하고 반쯤 체념했던 한국화단을 뒤흔든, 기발한 감수성으로 뒤통수를 내리쳤던 중국 작가들이 하나둘 사라졌습니다. 예술을 예술이 아닌 잣대로 들여다봤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예술에 기대하는 희망 역시 그런 게 아니겠습니까. 정치에도 경제에도 답이 없다 생각할 때 결정적인 열쇠를 예술이 꺼내놨습니다. 오랜시간 미술사를 연구하며 특히 중국미술이 가진 그 힘을 지켜봤던 정하윤 미술평론가가 이데일리와 함께 그 지점 그 장면을 들여다봅니다. 때마침 ‘한중 수교 30주년’입니다. 다들 움츠리고 있을 때 먼저 돌아보는 시간이고 먼저 찾아가는 길입니다. 매주 금요일 독자 여러분을 깊고 푸른 ‘아트차이나’로 안내합니다. <편집자 주>

[정하윤 미술평론가] 네모난 캔버스 안에서 분주히 교차하는 현란한 이미지들. 단박에 알아보기가 힘들다면, 시간을 들여 천천히 보는 것이 답이다. 어디 보자. 일단 눈에 먼저 들어오는 것은 붉은색으로 쓴 영어와 한자다. 왼쪽의 ‘POC’, 가운데 부분의 ‘奇’(기). 이것으로 단서 하나 수집 완료! 그 옆으론 사람 모습이 보인다. 흰옷을 풀어헤친 남자 몸통 하나(왼쪽)와 회색의 중국식 옷을 입은 (아마도) 여자 한 명(오른쪽). 이로써 두 번째 단서 획득! 배경으로는 뭐가 있으려나. 푸른색 여러 과일과 식물 따위가 복잡하게 엉켜있고, 흰색과 회색의 격자무늬, 예쁜 색 타일 위에 놓인 분홍색 꽃송이들이 보인다. 오른쪽 상단에는 전혀 어울리지 않는 삭막한 빌딩까지.

이 모두는 작가가 흩트려 놓은 단서들이다. 대충 다 뜯어본 것 같은데. 이상하다. 종합하려니 아직 모르겠다. 보통 이 정도로 자세히 살피면, 대개는 뭔지 감이 오던데, 이 그림은 여전히 아리송하다.

마오쩌둥·덩샤오핑 시대 겪지 않은 ‘대륙의 신인류’

그렇다면 작가를 알아보자. 이 작품을 그린 미술가는 중국의 라이징 스타 왕쯔핑(王子平·28)이다. 1995년 선양지역에서 태어난 중국의 MZ세대. 채 서른 살이 되지 않은 그녀는 글로벌 스타 반열에 오른 이전의 선배 미술가들과는 전혀 다르다. 마오쩌둥 시대를 겪지도 않았을뿐더러 덩샤오핑의 개방정책도 한참 지난 후에 태어난 ‘신인류’라고나 할까. 중국이 막강한 세계강국으로 성장하는 시기에 태어났고, 중국이 한창 세계화에 발을 맞추던 시기에 성장했기에 중국의 비약적 발전을 누릴 수 있었으며, 1가구 1정책 아래 태어난 ‘소황제’ 세대기도 하다.

덕분에 왕쯔핑은 2017년 미국 로드아일랜드 디자인스쿨을 졸업하고, 2020년 뉴욕의 프랫 인스티튜트에서 순수미술 석사과정을 마쳤으며 현재도 선양을 기반으로 하되 국제적인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이러저런 국제 레지던시에 입주하는 것도, 세계 유수의 굵직굵직한 화랑과 일하는 것도 그녀에게는 꽤나 익숙한 일이다(일단 이 정보만으로도 화면에 영어와 중국어가 교차하는 것이 일단 이해가 간다).

자, 작가를 알았으니 이제 다시 화면으로 돌아가 보자. 심호흡을 하고 한번 더 살펴보면 아는 물체들이 하나둘씩 나타난다. 복잡하게 엉켜 있지만 사실은 우리가 다 아는 것들이니까. 해독하자면 이렇다. 영어 POC는 과자 포키(POCKY)의 앞 세 글자를 딴 거다(포키를 우리 식으로 하면 빼빼로다). 한자 ‘奇’는 포키의 중국식 표기인 百奇(백기)의 두 번째 글자다. 포키 외에도 왕쯔핑의 화면에는 아이들의 장난감이나 상품의 로고, 제품의 포장지 등 동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은 알아볼 수 있는 것들이 놓여 있다. 고전예술 작품으로부터 시작해서 인터넷게임의 아이콘까지 말이다. 거기에 더해 왕쯔핑은 이미지 편집 소프트웨어의 투명한 배경을 연상시키는 흰색과 회색의 격자무늬도 삽입했다. 현대사회의 환경을 반영하는 것이라면 오프라인이든 온라인이든, 상품이든 예술작품이든 모두 왕쯔핑의 작품에 출입할 수 있는 것이다.

왕쯔핑의 ‘다라라라’(Dalalala·2002). 외눈박이 문어 한 쌍, 벽지에서나 볼 법한 꽃무늬, 한글 ‘봉’자가 선명한 캔 음료 등 종잡을 수 없는 이미지들로 나름의 질서를 찾는 듯한 작품이다. 하지만 그 형체를 식별할 수 있는가 없는가는 작가의 작업에서 그다지 중요치 않다. 파편화한 요소들은 보는 이들의 시선을 집중시키는 역할뿐, 결국 그림을 뜯어보는 각자의 관점이 중요하다는 것을 암시한다. 나무패널에 오일, 50×40㎝, ⓒ왕쯔핑·페레스프로젝트 제공.


당국 검열 피하기 위한 ‘중국식 암호’ 그림에 녹여

그렇다면 왕쯔핑은 왜 이렇게 많은 이미지를 한 화면에 구겨넣는 것일까. 결론부터 말하자면 이런 복잡한 모습이야말로 왕쯔핑이 보는 현대사회의 본모습이기 때문이다. 온갖 상품과 정보가 넘쳐나는 풍요 또는 과잉의 시대. 이것이 복잡한 화면이 표상하는 바이자 왕쯔핑이 경험한 세상이다. 왕쯔핑의 바로 윗세대 작가만 하더라도 세상의 모습을 이렇게 그리지는 못했을 거다. 선배 중국 작가들에게는 ‘가난’이나 ‘이념’ 같은 단어가 ‘풍요’나 ‘과잉’보다 익숙했을 테니까.

바꿔 말하면 왕쯔핑의 복잡한 화면은 중국의 경제가 극도로 성장하고, 온라인·오프라인 모두에서 세계화가 당연한 시대를 누렸기에 가능한 것이다. 특히 왕쯔핑은 뉴욕에 머물면서 경험했던 도시의 전체적인 느낌을 작품에 담고 싶었다고 말한다. 총천연색 불빛과 온갖 잡다한 소리가 난무하는, 잠들지 않는 도시 뉴욕. 세상의 모든 상품과 자본이 집결되는 빅애플. 왕쯔핑은 그곳에서 살던 경험이 자신의 작품을 카오스처럼 만드는 데 일조했다고 말한다. 왕쯔핑의 작품에서 숨막히는 물질의 압박을 느낀다면, 그것은 거대한 코스모폴리탄 뉴욕의 특성이자 거기서 느꼈던 왕쯔핑의 감정이 전해져 왔기 때문일 거다.

왕쯔핑의 ‘피부 아래서 싹이 트는’(Sprouting Under Your Skin·2022), 캔버스에 오일, 80×60㎝, ⓒ왕쯔핑·페레스프로젝트 제공.


만약 왕쯔핑이 여러 상품과 이미지를 단순히 나열하기만 했다면 그저 팝아트의 후예 정도로 머무르고 말았을 거다. 하지만 왕쯔핑은 이미지의 일부만 내보이고 정신없이 교차시키는 편집과정을 거친다. 스스로도 상당히 공들인다는 편집과정에서 왕쯔핑 작품은 유니크해진다. 그 덕분에 관람자들은 찔끔찔끔 남긴 단서를 모으며 암호를 해독하는 방법으로 작품을 감상하게 되기 때문이다. 이것이 바로 ‘신의 한 수’다.

화면에서 단서를 찾아 맞추는 것은 단지 즐거운 감상방법 같지만, 사실 이것은 동시대 중국사회에 대한 은유다. 그간 중국의 행동주의자들은 당국의 검열을 피해 인터넷에서 서로 소통하기 위해 거의 시구에 가까운 방법으로 정치에 대해 논하는 방식을 개발했다. 일례로 ‘민물게’(河蟹)가 인터넷 속어로 ‘검열’을 뜻하듯이 말이다. 중국에서 자신이 인터넷에 포스팅한 글이 검열당하면, 작성자는 “내 포스팅이 검열당했어”가 아니라 “내 포스팅이 민물게 됐어”라고 말한다. 왕쯔핑은 중국에서 자라면서 이런 식의 중국식 암호를 체득했으며 자신의 그림에 녹여냈다. 관람자들 역시 왕쯔핑의 화면 안에 담긴 이미지들을 암호를 풀듯 해석하며 중국식의 ‘암호화된 언어’를 간접적으로 체험하게 된다.

왕쯔핑의 작품이 여전히 국제미술계가 동아시아 작가들에게 기대하는 ‘지역성’을 갖고 있다면, 바로 이 지점이라 할 수 있을 거다. 겉모습은 분명 뉴욕인데, 한꺼풀 벗겨보니 너무도 중국스러운 것. 물론 왕쯔핑은 선배 작가들보다는 세련되고 영리한 방식을 취했다. 윗세대 중국 미술가들이 마오쩌둥 시대의 복장(예를 들면 장샤오강)이나 한자(예를 들면 쉬빙)처럼 누가 봐도 중국적인 것을 노골적으로 드러낸 것과는 달리 왕쯔핑은 중국성을 작품 뒤로 숨겨 놓은 거다. 익숙한 표면 뒤에 숨긴 낯선 이면은 매력적이지 않을 수가 없다.

왕쯔핑의 ‘여름비 속에 잠이 들다’(Sleeping Through Summer Rain·2022), 캔버스에 오일, 160×120㎝, ⓒ왕쯔핑·페레스프로젝트 제공.


복잡한 화면…뉴욕의 혼잡함이거나 서울의 빽빽함이거나

재미있는 점은 또 있다. 감상방법은 암호를 해독하는 과정과 비슷하지만 왕쯔핑의 작품에는 정답이 없다. 왕쯔핑의 그림을 보는 감상자는 각자가 나름의 과정을 거쳐 각기 다른 이미지들을 다른 순서로 파악하게 되며, 모든 정보를 종합해 내리는 결론 또한 모두 다를 수 있다. 누군가에게는 그 혼란스러운 화면이 자신의 집안 어느 구석 같아 보일 수도 있고, 오늘 장을 보고 온 슈퍼마켓이나 온라인 마트일 수도 있으며, 또 다른 누군가에게는 복잡한 자기 머릿속처럼 보일 수도 있다. 왕쯔핑에게는 뉴욕의 혼잡함이었지만, 다른 이에게는 서울의 빽빽함일 수도, 자카르타의 숨막힘일 수도 있다.

어떻게 읽고 받아들여도 상관없다. 정답은 없으니까. 오직 다른 관점만이 존재할 뿐이다. 왕쯔핑은 이렇게 열린 감상을 권함으로써 그 모든 관점을 포용하는 세계를 작품 안에서나마 이루고자 했다.

많은 이들이 중국 미술의 미래를 염려 속에 지켜보고 있다. 절대 권력자 아래 단 하나의 답만이 존재하는 세상으로 회귀하는 것은 아닐까 걱정하는 이들도 많다. 앞으로의 날들이 어찌 될지는 아무도 모른다. 다만 왕쯔핑이 작품을 통해 담고 싶었던 세상을 보니, 중국의 젊은 세대에게 희망을 걸어 보고 싶은 생각이 조심스레 피어오른다.

왕쯔핑의 ‘새벽을 가르는 작은 불빛’(Small Lights through Daybreak·2022), 캔버스에 오일, 100×80㎝, ⓒ왕쯔핑·페레스프로젝트 제공.


△정하윤 미술평론가는…

1983년 생. 그림은 ‘그리기’보단 ‘보기’였다. 붓으로 길을 내기보단 붓이 간 길을 보고 싶었단 얘기다. 예술고를 다니던 시절 에른스트 곰브리치의 ‘서양미술사’에 푹 빠지면서다. 이화여대 회화과를 졸업했지만 작가는 일찌감치 접고, 대학원에 진학해 미술사학을 전공했다. 내친김에 미국 유학길에 올라 캘리포니아주립대 샌디에이고 캠퍼스에서 중국현대미술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사실 관심은 한국현대미술이었다. 하지만 그 깊이를 보려면 아시아란 큰물이 필요하겠다 싶었고, 그 꼭대기에 있는 중국을 파고들어야겠다 했던 거다. 귀국한 이후 미술사 연구와 논문이 주요 ‘작품’이 됐지만 목표는 따로 있다. 미술이 더 이상 ‘그들만의 리그’가 아니란 걸 알리는 일이다. 이화여대 등에서 미술교양 강의를 하며 ‘사는 일에 재미를 주고 도움까지 되는 미술이야기’로 학계와 대중 사이에 다리가 되려 한다. 저서도 그 한 방향이다. ‘꽃피는 미술관’(2022), ‘여자의 미술관’(2021), ‘커튼콜 한국 현대미술’(2019), ‘엄마의 시간을 시작하는 당신에게’(2018) 등을 펴냈다.

이데일리
추천 뉴스by Taboola

당신을 위한
맞춤 뉴스by Dable

소셜 댓글

많이 본 뉴스

바이오 투자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왼쪽 오른쪽

스무살의 설레임 스냅타임

왼쪽 오른쪽

재미에 지식을 더하다 영상+

왼쪽 오른쪽

두근두근 핫포토

  • 고양이 닮은꼴...3단 표정
  • 아스팔트서 왜?
  • 한혜진 시계가?
  • 이런 모습 처음
왼쪽 오른쪽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