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학연기에 재택근무까지…들끓는 층간소음 민원

외출 극도로 꺼리며 자체 격리 가정 늘어
초교 개학 지연 등에 층간 소음 민원 증가
"문 닫을바엔 영업"…전체시설 대관 영업도
위험의 보편화…"사회 안전 시스템 중요성↑"
  • 등록 2020-03-05 오전 12:39:00

    수정 2020-03-05 오전 7:19:38

[이데일리 김기덕 기자] “각 세대는 이웃 주민을 배려해 소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각별히 유의해 주십시오.”

서울 마포구 A아파트에 사는 가정주부 이모씨는 최근 관리사무소의 안내 방송을 듣고 불안하기만 하다.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해 두 자녀가 다니는 유치원이 무기한 휴원에 들어간데다 남편도 일주일째 재택근무 중이라 소음 발생이 이전보다 확 커진 것을 스스로 체감하고 있어서다. 설상가상으로 바로 옆 단지에 확진자가 다녀갔다는 소식에 현관문 밖으로 나갈 엄두조차 내지 못하고 있다. 매일 같이 집안에만 갇혀 있는 아이들에게 매번 감시하며 뛰거나 조용히 얘기하라고 주의시키는 것도 힘에 부쳐 곤란한 적이 한두 번이 아니다.

서울 시내 한 키즈카페 앞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예방 차원으로 임시휴무를 알리는 안내문이 붙어 있다.(연합뉴스 제공)


코로나19 사태로 집 밖에 나가지 않는 이른바 `방콕족(族)`이 늘고 있다. 각종 행사와 모임이 취소되고 마스크 구하기도 하늘의 별따기로 어려워지자 집안에서 모든 것을 해결하며 자체 격리에 나선 가정도 늘고 있는 추세라 자연스레 아파트 내에서의 층간소음 민원이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 특히 사상 초유의 개학 연기와 학원의 영업 중단 등으로 집안이 아이들의 유일한 생활 공간이자 놀이터가 되면서 이웃 간 갈등도 커지는 모양새다.

4일 서울시에 따르면 올 2월 한달 간 층간 소음으로 접수된 민원(전화·온라인포함)은 총 76건으로 전월(53건)에 비해 43%가 늘었다. 지난해 월별 평균 층간소음 접수건수(56건)에 비해서는 20건이나 많은 수준이다. 전국 층간소음 민원접수를 받는 층간소음이웃사이센터가 접수한 층간소음 민원도 올 1월 875건에서 2월 현재 1422건으로 한 달새 62.6%나 급증했다.

다만 아래층이나 위층이 시끄럽다고 이웃 주민을 직접 대면하기 보다는 전화나 세대 방송을 통해 주의를 주는 경우가 많다. 혹시나 모를 전염 위험성 때문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코로나19 영향으로 낮에도 컴퓨터를 두드리며 재택을 하거나 개학을 하지 않고 집에 있는 아이들이 많아지면서 층간소음 민원이 계속 늘고 있는 추세”라며 “감염 문제로 이웃을 대면하지 않고 외부 출입이 줄어든 것을 감안해 신고되지 않는 것을 감안하면 실제 소음 분쟁은 훨씬 많을 것”이라고 말했다.

유아나 아동을 둔 가정이 외출을 극도로 자제하자 손님이 뚝 끊긴 키즈까페 등은 키즈족을 겨냥한 생존 영업 전략을 펼치고 있다. 일정 시간 내 소규모 그룹을 받아 전체 시설을 모두 빌려주거나, 매일 소독을 하고 있다는 홍보에도 적극적으로 나섰다. 영등포구 D키즈까페 사장은 “어차피 손님이 아예 없어서 문을 닫기보다는 서로 친분이 있는 소규모 그룹이 기존 가격 그대로 2~3시간여를 아예 통째로 빌릴 수 있는 영업을 당분간 하기로 했다”며 “하루 몇 팀을 받지 못해 손해가 크긴 하지만 아예 문을 닫는 것보다는 이게 낫다고 판단했다”고 푸념했다.

코로나19 지역 사회 감염 확산이 본격 나타나면서 아파트 공동생활구역 내 갈등도 적지 않게 발생하고 있다. 가령 엘리베이터를 탈 때 마스크를 끼지 않거나 헛기침이라도 하면 눈치를 주거나 항의를 하기도 한다. 또 엘리베이터 버튼을 손으로 누르지 않고 우산 꼭지 등으로 눌러 이웃 간 싸움이 벌어지는 일도 발생한 사례도 있다. 서울 서대문구에 서는 이모씨는 “최근 비가 오는 날 아파트 엘리베이터를 같이 탄 사람이 본인 층수 버튼 뿐만 아니라 공용으로 사용하는 열림, 닫힘 버튼도 물이 뚝뚝 떨어지는 우산 꼭지로 누르는 사람이 있어 말다툼을 벌였다”며 “아무리 감염 예방이 최선이지만 기본 예절을 지키지 않는 행동을 이해할 수가 없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코로나19가 통제할 수 없는 사회 불안를 가중시키고 있다는데 주목한다. 일반 생활 자체가 올스톱된 상황에서 개인이나 사회에 대한 신뢰 관계를 더욱 멀어지게 할 수도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석재은 한림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코로나19 사태로 본인이나 주변 사람의 의지로 컨트롤 할 수 없는 이른바 ‘위험의 보편화’에 대한 인식 변화가 이뤄지고 있다”며 “사회적 안전시스템을 개선하자는 목소리가 높은 만큼 바이러스 종식 이후에도 많은 일상생활의 변화가 나타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데일리
추천 뉴스by Taboola

당신을 위한
맞춤 뉴스by Dable

소셜 댓글

많이 본 뉴스

바이오 투자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왼쪽 오른쪽

스무살의 설레임 스냅타임

왼쪽 오른쪽

재미에 지식을 더하다 영상+

왼쪽 오른쪽

두근두근 핫포토

  • 고양이 닮은꼴...3단 표정
  • 아스팔트서 왜?
  • 한혜진 시계가?
  • 이런 모습 처음
왼쪽 오른쪽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