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의도TMI]빅히트 청약 눈치작전 무색…`공모주 배정 기준 깜깜이`

증권사별로 다른 배정 기준..어디에도 공개 안 해
키움에선 250주 청약도 1주..미래에셋은 500주도 0주
미래에셋 청약자, 금감원에 민원 제기
  • 등록 2020-10-09 오전 10:01:00

    수정 2020-10-09 오전 10:01:00

[이데일리 최정희 기자] 빅히트엔터테인먼트(이하 빅히트) 공모주 청약은 SK바이오팜(326030), 카카오게임즈(293490) 청약 때와는 좀 달랐습니다. 카카오게임즈 때까지만 해도 청약 초반에 승부수를 띄우며 증거금이 몰려들었죠. 그러나 빅히트는 공모주 청약 마감 시각 6일 오후 4시에 가까워질수록 급속도로 자금이 몰려들었습니다.

6일 오전 11시까지만 해도 청약 증거금은 24조원에 불과했습니다. 이후 마감까지 5시간 만에 34조원이 넘게 들어오면서 총 증거금이 58조4000억원으로 카카오게임즈 당시 몰려들었던 사상 최고치, 58조5000억원에 육박했습니다.

마지막까지 기다렸다가 청약 경쟁률이 낮은 증권사를 통해 청약하려는 투자자가 많았던 것일까요? 많은 투자자들이 경쟁률이 낮은 증권사에 청약하면 혹여나 1주라도 더 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을 것입니다. 그러나 공모주 배정 결과를 보면 경쟁률 낮은 증권사를 찾아 헤맨 수고로움은 별 의미가 없어보입니다.

(출처: 각 증권사)
◇ 이번엔 키움증권이 유리..운빨로 투자 희비 가리라고?


빅히트 청약을 중개한 국내 증권사는 주관사인 NH투자증권, 한국투자증권 외 미래에셋대우, 키움증권 총 4곳이 있습니다. 이들이 공모주 청약을 받은 후 주식을 어떻게 배정하는지, 배정 기준이 무엇인지는 상당히 불투명합니다.

투자설명서를 보면 4개 증권사별로 투자자에게 배분할 수 있는 공모주가 다르고 청약 주수 단위도 조금씩 차이가 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NH투자증권, 한국투자증권의 배정 가능 주식 수는 각각 64만8182주, 55만5584주로 비교적 많고 미래에셋대우와 키움증권은 18만5195주, 3만7039주로 적은 편입니다. 물량이 많은 증권사에 청약하면 유리할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이를 고려, 그쪽으로 투자자들이 몰려갈 경우엔 경쟁률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이런 심리가 반영돼 경쟁률이 가장 낮은 곳은 NH투자증권, 가장 높은 곳은 한국투자증권이 됐죠. 청약 주수 단위도 NH와 한국, 키움은 500주 초과~1000주 이하에 대해선 100주 단위로 청약하지만 미래에셋대우는 100주 초과~1000주 초과까지 100주 단위로 다릅니다.

어찌됐든 각 증권사는 청약 신청 주식을 투자자에게 `잘` 배분해야 할 것입니다. 투자설명서에선 청약 주식 수에 비례해 안분 배정하고 1주 미만의 단수주는 ‘5사 6입(소수점 자리 5미만은 버리고 5초과는 반올림)’ 처리하고 그래도 남은 주식은 추첨을 통해 재배정(증권사 자체 인수 가능)한다고 돼 있습니다. 그 외에는 어떻게 배정이 이뤄지는지 알 수 없습니다.

공모주 배정 결과를 보면 증권사 별로 제각각입니다. 키움증권에 청약한 투자자는 250주, 증거금 1687만5000원만 넣어도 1주를 받는데 미래에셋대우에 청약한 투자자는 그 두 배인 500주, 3375만원을 넣어도 1주도 못 받습니다. 두 증권사 경쟁률에서 차이가 나냐고요? 아니요. 미래에셋대우는 589.74 대 1, 키움증권은 585.23 대 1입니다. 그런데 왜 이런 결과가 나온 것일까요?

각 증권사는 청약 주수 단위별로 증거금을 받고 각각의 청약주수를 청약경쟁률로 나눠 공모주를 배정합니다. 예컨대 NH투자증권의 경우 300주를 청약하고 이를 경쟁률(564.69)로 나누면 0.53이 나오고, ‘5사 6입’ 원칙에 따라 반올림에 1주를 배정합니다. 한국투자증권, 키움증권도 마찬가지입니다. 그런데 미래에셋대우는 청약 주수를 경쟁률로 나눠 1미만이 나오면 아예 0으로 취급해버립니다. 1이상부터 ‘5사 6입’을 적용해버리죠. 그래서 미래에셋대우에서 빅히트 1주를 받으려면 600주를 청약했어야 합니다.

그런데 키움증권은 어떻게 250주 청약도 1주를 받았냐고요? 공모주에 따라 배정기준이 살짝씩 달라진다고 하는군요. 이번엔 청약주수 단위별로 증거금이 많이 들어온 순으로 줄을 세운 후 배정하는 방식을 추가했다는데 그냥 운이 좋았다고 밖에 할 말이 있을까 싶네요.

`깜깜이` 공모주 배정 기준 공개해야

증권사별로 그때 그때 다른 공모주 배정 기준은 어디에도 공개가 안 됩니다. 겉으로 보이는 경쟁률만 보고 어느 증권사에 청약할까를 고심하는 투자자들만 엄한 데 시간과 마음을 쓰게 된 것입니다. 그러니 공모주 배정 결과를 받아든 투자자들은 불만이죠.

미래에셋대우를 통해 빅히트에 청약한 한 투자자는 금융감독원에 민원을 제기하기도 했습니다. 이 투자자는 “미래에셋대우의 배정 방식은 타 증권사와 비교해 임의적이고 불합리할 뿐 아니라 이를 외부에 공개하지 않아 불공정하다”며 “정부가 잔고가 많은 계좌만 유리한 구조(증거금 많을수록 공모주 많이 가져가는)를 억제하는 정책을 펼치려고 하는데 미래에셋대우의 배정 기준은 이런 정부 기조와도 정면 대치된다”고 밝혔습니다.

증권사들은 ‘이리오세요. 저희한테 계좌 트고 공모주 청약하세요.’라고만 영업하기 이전에 ‘깜깜이 공모주 배정 기준’이나 성실하게 공개했으면 좋겠습니다. 증거금에 따라 어느 증권사를 택하는 것이 유리한 지 제대로 좀 따져보고 청약할 기회를 갖는 것은 투자자의 당연한 권리입니다. 모처럼 공모주 열풍이 부는데 이런 분위기를 증권사 스스로 망치진 말았으면 합니다.

이데일리
추천 뉴스by Taboola

당신을 위한
맞춤 뉴스by Dable

소셜 댓글

많이 본 뉴스

바이오 투자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왼쪽 오른쪽

스무살의 설레임 스냅타임

왼쪽 오른쪽

재미에 지식을 더하다 영상+

왼쪽 오른쪽

두근두근 핫포토

  • 우리 엄마 맞아?
  • 토마토에 파묻혀
  • 개더워..고마워요, 주인님!
  • 공중부양
왼쪽 오른쪽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I 청소년보호책임자 고규대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