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동, 아프리카 시장 진출에 공들인다

[대동유럽공습]④박준식 대동 C-BIZ부문장 "유럽 전초기지 삼아 아프리카 공략 검토"
농식품부 한국형 라이스벨트 조성에 관심
정부와의 협력 통한 현지 인프라 구축 모델 검토
  • 등록 2023-11-05 오후 12:00:00

    수정 2023-11-05 오후 1:11:44

[델프트(네덜란드)=이데일리 노희준 기자] 국내 대표 농기계 기업 대동(000490)이 아프리카 진출에 공을 들인다.

박준식 대동 C-BIZ부문장(국내외 영업총괄, 전무이사) (사진=대동)
박준식 대동 C-BIZ부문장(국내외 영업총괄, 전무이사)은 지난달 31일(현지시각) 네덜란드 델프트시의 한 호텔에서 기자들과 만나 “아프라키 사업에 상당히 많은 공을 들이고 있다”며 “논의 속도에 따라 내년에 사업이 구체화 될 확률이 높다”고 말했다.

아프리카는 전세계 쌀 소비량의 20%를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도시화, 산업화로 인구가 늘면서 쌀 소비량이 매년 늘고 있어서다. 문제는 쌀 생산 기술이 부족해 생산량이 이를 따라가지 못한다는 점이다.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2020년 기준으로 아프리카 전체 쌀 소비량은 5487만7000t이지만, 생산량은 3620만2000t 수준이다. 생산량이 소비량의 65%에 그친 셈이다. 아프리카에서 K농업기술 지원을 바라는 배경이다.

이런 맥락에서 농식품부는 올해 대통령 업무보고를 통해 가나·카메룬·케냐 등 쌀이 부족한 아프리카 7개국을 대상으로 국산 벼 종자를 심어 보급하는 ‘한국형 라이스벨트’(K-Rice Belt)를 구축하고 중고 농기계 지원 등에 나선다고 밝혔다.

박 전무는 “한국형 라이스벨트는 물이 부족한 환경에서도 잘 자랄 수 있게 개량된 벼 종자를 아프리카 국가에 무상으로 지원해 현지 식량 문제 해결을 돕는 프로젝트”라며 “여기에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려면 농기계가 필요해 이 프로젝트에 관심을 갖고 사업을 준비해보려고 한다”고 설명했다.

앞서 대동은 방문규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지난 9월 29일(현지시간) 윤석열 대통령 특사 자격으로 아프리카 서부 도서국(섬나라)인 카보베르데를 방문할 당시 경제사절단 일원으로 동행했다. 방 장관은 당시 카보베르데 대통령을 예방하고 농업 협력 및 2030 부산세계박람회(엑스포) 유치 지지를 요청했다. 대동은 카보베르데 농업환경부와 업무협약(MOU)를 맺고 농기계 기부와 농기계 관련 기술 이전을 통해 카보베르데 농업 생산성 향상을 지원하기로 했다.

박 전무는 “보통 서양에서는 아프리카 지역을 EMEA(Europe, the Middle East and Africa, 유럽, 중동, 아프리카)라는 용어로 유럽과 하나의 통합된 시장으로 바라본다”며 “유럽을 대동 그룹의 신사업의 전초기지로 활용하되 유럽 법인의 규모나 역량이 준비가 되면 유럽뿐 아니라 인근 지역국가까지 커버할 수 있는 전초기지로 활용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대동은 아프라카 사업 진출 모델로 총판 체제(대동→수입총판→딜러/대리점)와는 다른 정부와의 협업을 통한 농업 인프라 구축 모델을 모색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데일리
추천 뉴스by Taboola

당신을 위한
맞춤 뉴스by Dable

소셜 댓글

많이 본 뉴스

바이오 투자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왼쪽 오른쪽

스무살의 설레임 스냅타임

왼쪽 오른쪽

재미에 지식을 더하다 영상+

왼쪽 오른쪽

두근두근 핫포토

  • 이제야 웃는 민희진
  • 나락간 '트바로티' 김호중
  • 웃으며 시작
  • 디올 그 자체
왼쪽 오른쪽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