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 ENM, 디지털콘텐츠에 올인..자체제작 연간 4천편→1만5천편으로

타겟/장르 특화 9개 디지털 전문 스튜디오 가동
, <다다 스튜디오> 등 통해 4000만 구독자 확보, 50억 뷰 목표
콘텐츠 사업에서 디지털은 필수, 재미와 공감 주는 디지털 콘텐츠로 시장 리딩
  • 등록 2019-01-29 오전 7:59:14

    수정 2019-01-29 오전 7:59:14

[이데일리 김현아 기자]
지상파연합 인터넷스트리밍(OTT) ‘푹’과 SK브로드밴드 ‘옥수수’의 통합을 계기로 콘텐츠 시장 경쟁이 치열해질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국내 최대의 콘텐츠 제작집단 중 하나인 CJ ENM이 자체 제작하는 디지털 콘텐츠를 4배 정도 늘리겠다고 선언했다.

지난해 7월 1일 CJ E&M-CJ오쇼핑 합병법인으로 CJ ENM이 출범했을 때까지만 해도 디지털 콘텐츠 기획·제작으로 연간 4000편(하루 10편 이상)의 디지털 오리지널 콘텐츠를 선보인다고 했지만, 28일 올해 연간 1만5000여 편의 디지털 콘텐츠를 선보이겠다고 공식 발표했다.

이는 하루 41편 이상에 달하는 숫자로, 이를 위해 CJ ENM은 타겟/장르별로 특화된 9개의 디지털 전문 스튜디오를 만들었다.

이를 통해 페이스북 유튜브 등의 디지털 플랫폼에서 4000만 명 이상의 구독자를 확보하고, 연간 50억 조회수를 발생시킨다는 목표다.

디지털 콘텐츠에 올인하는 CJ

CJ계열 메조미디어가 지난 해 9월, 전국 15세~59세 남녀 1천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2018 디지털 동영상 이용 행태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일주일 평균 동영상 콘텐츠 시청 시간은 9.2시간이었다. 특히 10대의 시청시간은 13.2시간으로 가장 높았다.

CJ ENM은 이 같은 미디어 이용 행태 변화에 따라, TV 채널 산하에 디지털 스튜디오를 신규 편제하고 2015년부터 디지털 전문 제작PD를 채용해왔다.

올해는 디지털 콘텐츠 사업을 더욱 강화해, 브랜디드 스튜디오를 신설하고 일부 스튜디오를 개편해 총9개의 디지털 스튜디오를 운영하며 1만5000여 개의디지털 콘텐츠 를 선보인다는 계획이다. 하루 41편 이상의 디지털 콘텐츠를 선보이는 셈이다.

예능·드라마·뷰티·상품리뷰·광고주 맞춤형 등 다양

기존 <흥베이커리>와 <스튜디오 온스타일>을 통합 개편해, 디지털 스튜디오 를 새롭게 선보인다. tvN D는 ▲디지털 예능 전문 , ▲디지털 드라마 전문 , ▲K패션, K푸드, K뮤직 등 K컬처 전반을 다루는 디지털 팩츄얼 스튜디오 , ▲뷰티, 스타일 전문 <온스타일> 4개의 하위 전문 스튜디오로 구성된다.

에서는 여행, 스포츠, 게임 등 다양한 장르의 디지털 예능 및 tvN의 스핀오프 (spin-off) 디지털 예능 콘텐츠를 제작한다. 정준영, 로이킴, 에디킴이 출연해 일주일 만에 누적 조회수 100만뷰를 돌파한 ‘FC앙투라지’, ‘짠내투어’의 스핀오프인 ‘죽네투어’ 등의 콘텐츠를 선보일 계획이다.

에서는 지난 해 누적 4천만 조회수를 기록한 <좀 예민해도 괜찮아> 시즌 2 등 1534 여성 타겟의 디지털 드라마를 지속 선보이게 된다.

K컬쳐 기반의 팩츄얼(factual) 콘텐츠를 제작하는 도 2월 초 신설한다. 정창욱 셰프와 면 요리의 세계를 탐구하는 ‘면식범’, 시즌 1에서 큰 반향을 이끌어낸 ‘최자로드’, 브랜드의 A부터 Z까지 히스토리를 담은 컬쳐 다큐멘터리 ‘오리진 오브 에브리씽’, 한국 최정상 래퍼 두 명의 성장 다큐멘터리 ‘리유나이트 (가제)’ 등의 콘텐츠를 순차적으로 선보일 예정이다.

<온스타일>에서는 2034 여성 타겟의 뷰티/스타일 콘텐츠를 제작한다. ‘겟잇뷰티’의 스핀오프 및 디지털 플랫폼에 최적화된 뷰티 콘텐츠를 선보인다.

지난 해 ‘MPD직캠’으로 총 5억뷰 이상, ‘릴레이 댄스’로 2억 5천만 뷰 이상을 기록한 성과를 거둔 는 올 해도 음악 기반 디지털 콘텐츠를 지속 선보인다. ‘릴레이 댄스’는 ‘2019 AVA Digital Awards’ 의 Web based production부문에서 ‘3분 이내 숏 비디오 음악’으로 Gold를 수상하며 가시적 성과를 보였다. 올 해도 는 Mnet 방송과 연계한 스핀오프 콘텐츠, 아이돌 관련 콘텐츠 등 음악 기반 디지털 오리지널 콘텐츠로 국내외 팬들을 사로잡을 계획이다.

<뭅뭅>은 최신 영화 정보 및 OCN 오리지널 콘텐츠 기반의 다양한 콘텐츠를 선보인다. 박성광이 매주 개봉신작 영화를 솔직하게 리뷰하는 ‘개감독’, 유세윤과 장도연의 영화/드라마 레전드 패러디 ‘패러디의 제왕’ 등 다양한 콘텐츠를 선보이고 있다.

지난 해 400여편의 디지털 콘텐츠를 자체 제작해 1억 회 이상의 조회 수를 달성한 <스튜디오 다이알>은, 올 해 <스튜디오 다이아>로 리뉴얼한다. 1400팀의 DIA TV 파트너 크리에이터들과 협업해 오리지널 콘텐츠를 제작하며, 커머스와 융복합 시너지도 적극 추진한다.

이데일리
추천 뉴스by Taboola

당신을 위한
맞춤 뉴스by Dable

소셜 댓글

많이 본 뉴스

바이오 투자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왼쪽 오른쪽

스무살의 설레임 스냅타임

왼쪽 오른쪽

재미에 지식을 더하다 영상+

왼쪽 오른쪽

두근두근 핫포토

  • 고양이 닮은꼴...3단 표정
  • 아스팔트서 왜?
  • 한혜진 시계가?
  • 이런 모습 처음
왼쪽 오른쪽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