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지럼증·호흡곤란·사망까지...부작용 두려워
백신 접종을 기피하는 20대 대다수는 부작용에 대한 불안감을 첫손에 꼽았다.
조은성(가명·24)씨는 “백신을 맞아도 어차피 변이바이러스에는 효능이 없다”며 “사람 목숨이 달린 문제인데 정부는 제대로 된 책임도 안지고, 온라인에는 백신 부작용 얘기가 계속 나와 맞기 무섭다”고 말했다. 조씨는 "부작용이 무서워 접종을 거부한다고 하면 주위에서 한심하게 볼까봐 백신을 맞지 않았다는 사실을 숨기고 있다"고 털어놨다.
조씨는 지금은 백신을 맞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체계적으로 잡혀가고 있지만, 초반에는 갑작스러운 백신 접종이 마치 '임상실험' 같았다고 했다.
건강상의 이유로 어쩔 수 없이 맞지 못하는 사람들도 있다. 기존 기저질환, 알레르기, 체질 등으로 백신을 신청하지 않은 경우다.
특히 이전 독감 백신을 맞았을 때 후유장해가 있었던 사람들은 코로나 백신에서도 이상반응을 겪을까 두려워한다.
박주연(가명·28)씨는 “이전 약물 부작용이 많았기에 아직 맞지 않았다. 아직 겁이 나긴 하지만 맞는게 좋을 것 같아 컨디션 조절 후에 맞을 예정”이라며 “주변에서 백신을 맞았냐는 물을 때마다 질환이 있다고 매번 답하기도 힘들뿐더러 남들 다 맞았는데 아직 안 맞았다 하면 죄짓는 느낌이라 눈치보인다”고 했다.
백신 접종 후 사망이, 백신이 영향을 줬는 지 여부를 파악하기 어렵다는 게 가장 큰 문제다.
신현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질병관리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코로나19 백신 접종 후 발생한 사망 및 중증 이상반응 신고중 0.4%만이 예방접종과의 인과성을 인정받았다.
그러나 고(故) 이유빈씨 사례와 같이 사망 당시 백신 접종과의 인과성이 없다는 판단이 내려졌으나 뒤늦게 해외서 인과성이 있을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오기도 하는 등 불안감을 해소하기엔 백신 부작용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상황이다.
백신 접종은 '개인의 선택'vs'공동체 이익을 위한 것'
미접종자의 경우 유전자증폭(PCR) 음성 확인서를 지참해야만 주요 시설을 이용할 수 있다. 사실상 미접종자에 대한 패널티라는 게 이들의 생각이다.
박경민(22)씨는 “아직 백신을 맞을 생각이 없다. 백신 패스를 도입한다는 것은 접종을 강요하면서 그로 인한 위험 부담은 개인에게 떠넘기겠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백신을 거부는 자유나 그에 따른 이동과 활동의 제약은 그에 대한 댓가인 만큼 불가피하다는 의견이 많다.
박기용(33·가명)씨는 “나도 맞고 싶어서 맞았겠냐. 전체의 이익과 빠른 회복, 가족을 위해서 맞은 것”이라며 "백신은 단순히 감염을 피한다는 개인의 이익을 넘어 사회적 피해를 줄이기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홍윤철 서울대 예방의학과 교수는 "백신은 개인이 아닌 집단 면역을 위한 것"이라며 "공공의 이익에 협력하는 것이 맞지만 건강상의 이유 등으로 맞지 않는 사람들을 (백신 패스 등으로) 차별해서는 안된다"고 말했다.
천은미 이대목동 호흡기내과 교수는 "어떤 백신이든 100% 접종률은 불가능하다"라며 "이미 백신에 불신을 가지거나 체질적 문제로 맞지 않는 사람들은 어차피 안맞을 것"이라고 말했다.
천 교수는 백신 패스를 미접종자들이 불이익으로 느끼지 않으려면 정부가 모든 다중이용시설을 제한해 '불이익을 주겠다'가 아닌 '미접종자와 접종자 모두를 보호하겠다'는 쪽으로 정책을 추진해 나가야 한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