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격의 코오롱FnC…3년 만에 연매출 1조 탈환

영업익 지난해 -107억 적자서 '흑자 전환'
균형 잡힌 포트폴리오에 골프 브랜드 강화
"CSO 신설, 조직개편으로 디지털 전환 박차"
  • 등록 2021-12-30 오전 11:57:44

    수정 2021-12-30 오후 11:22:40

[이데일리 김범준 기자] 코오롱인더스트리FnC부문(이하 코오롱FnC)이 올해 매출 1조원 재돌파에 성공하며 흑자 전환할 전망이다. 유석진(57·사진) 코오롱FnC 사장의 ‘뚝심 경영’이 패션 시장에 통했다는 평가다.

▲유석진 코오롱인더스트리FnC부문 사장.(사진=코오롱FnC)
30일 코오롱FnC는 올해 연매출 1조원을 시현했다고 밝혔다. 지난 2018년 이후 3년 만이다. 영업이익 역시 큰 폭으로 늘면서 지난해 -107억원 적자에서 올해 흑자 전환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코오롱FnC는 이번 호실적을 두고 최근 2~3년간 코오롱스포츠 등 기존 브랜드들의 약진과 골프 브랜드 강화, 신규 온라인 브랜드의 시장 안착 등이 어우러진 결과라고 분석했다.

균형 잡힌 포트폴리오, 골프 브랜드 강화 효과 톡톡

코오롱FnC는 아웃도어·골프부터 남성복, 여성, 액세서리까지 균형 있는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고 있다. 포트폴리오 다각화 구축으로 일시적인 트렌드 영향을 덜 타면서 사업을 전개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는 평가다.

‘코오롱스포츠’는 아웃도어 트렌드 변화 속에서 지난 2019년부터 진행한 리브랜딩(re-braning) 결과 올해 약진의 발판을 마련했다고 보고 있다. 2030대 소비자들의 신규 진입이 늘면서 아웃도어 초심자를 위한 의류·신발과 캠핑용품 판매가 증가했다.

이 밖에도 ‘시리즈’, ‘커스텀멜로우’, ‘헨리코튼’, ‘럭키슈에뜨’, ‘쿠론’, ‘슈콤마보니’ 등 론칭 10년 안팎을 맞은 패션 브랜드들이 약 10~20% 매출 신장을 이뤘다.

골프웨어 역시 효자 노릇을 톡톡히 했다. 한국 골프 역사와 함께 한 ‘엘로드’와 ‘잭니클라우스’부터 지난 2016년 2030대 영(young) 골퍼를 타깃으로 론칭한 브랜드 ‘왁(WAAC)’이 각각 다른 수요층을 흡수하며 균형적인 골프 비즈니스를 이끌어왔다는 분석이다.

특히 왁의 올해 매출 신장율은 전년 대비 약 3배(200%)를 보이며 캐릭터 골프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는 평가다. 여기에 올해 초 새롭게 선보인 프리미엄 골프 브랜드 ‘지포어’ 역시 빠른 흥행을 이끌고 있다.

코오롱FnC는 올 한 해 해외에서도 긍정적인 신호탄을 쏘아 올렸다. 일본 시장 진출에 이어 중국 시장에서도 가능성을 확인 받으면서다. 지난해 5월 출시한 골프 전문 플랫폼 ‘더 카트 골프(THE CART GOLF)’는 골프를 라이프스타일로 확장했다. 단순한 상품 판매가 아닌 트렌디한 상품 큐레이션과 골프 콘텐츠로 커뮤니케이션하는 온라인 셀렉숍으로 성장하면서 누적 회원수 및 월평균 거래액 모두 전년보다 10배씩 신장했다.

“2022년, 디지털 전환 원년…온라인 비즈니스 강화”

코오롱FnC는 지난 2019년부터 7개 신규 브랜드를 새롭게 출시해 왔다. ‘아카이브앱크’, ‘24/7’, ‘럭키마르쉐’, ‘아모프레’, ‘엠퀴리’, ‘지포어’, ‘볼디스트로’ 등 여성 잡화부터 워크웨어까지 다양하다. 7개 브랜드 중 지포어를 제외한 6개 브랜드는 코오롱몰을 중심으로 하는 ‘온라인 전용 브랜드’다.

이 브랜드들은 태생부터 ‘디지털 네이티브 버티컬 브랜드’(Digital Native Vertical Brand)를 지향하고 있다. 빠르게 변화하는 트렌드에 발맞춤과 동시에 젊은 MZ세대와의 접점을 최대한 활용하고자 했다. 모든 브랜드가 소위 ‘카테고리 킬러’ 아이템을 제안하는 감성 브랜드 특징을 활용해 틈새 시장을 공략하며 빠른 시장 안착을 이뤘다는 평가다.

코오롱FnC는 오는 2022년 새롭게 개편한 조직을 기반으로 다방면에 도전한다는 계획도 내비췄다.

우선 패션 사업에서 윤리의식과 사회적 책임경영을 강화하기 위해 ‘CSO’(Chief Sustainability Officer) 조직을 신설했다. 지난 10년간 ‘래코드’를 총괄해온 한경애 전무가 CSO 총괄 디렉터를 맡는다. 래코드는 코오롱FnC가 지난 2012년 선보인 업사이클링 패션 브랜드다.

또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전환) 확장을 위해 3D 콘텐츠를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가상현실 속 메타버스 플랫폼 활용도 검토하고 있다.

유석진 코오롱FnC 사장은 “눈에 보여지는 숫자는 ‘1조’로 정의되지만 그 안에 담고 있는 의미는 더 크다”며 “브랜드와 조직 모두 체질 개선을 통해 어떤 변화에도 능동적이고 적극적으로 헤쳐나갈 수 있는 자신감 또한 포함한다”고 말했다.

유 사장은 이어 “코오롱FnC는 이제 도약을 위한 출발점에 서 있다”면서 “앞으로 ‘K(한국식)-패’션을 이끄는 대표 브랜드 하우스가 되기 위해 도전에 앞장서는 회사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데일리
추천 뉴스by Taboola

당신을 위한
맞춤 뉴스by Dable

소셜 댓글

많이 본 뉴스

바이오 투자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왼쪽 오른쪽

스무살의 설레임 스냅타임

왼쪽 오른쪽

재미에 지식을 더하다 영상+

왼쪽 오른쪽

두근두근 핫포토

  • 귀화 선수 송의영..누구?
  • 아스팔트 위, 무슨 일?
  • 한혜진 시계가?
  • 이런 모습 처음
왼쪽 오른쪽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