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건강보험공단은 15일 건강보험 진료데이터를 활용해 2016년부터 2020년 ‘탈모증(L63~L66)’ 질환의 건강보험 진료현황을 발표했다.
진료인원은 2016년 21만 2000명에서 2020년 23만 3000명으로 2만 1000명이 증가했고, 연평균 증가율은 2.4%로 나타났다. 남성은 2016년 11만 7000명에서 2020년 13만 3000명으로 13.2%(1만 6000명) 증가했다. 여성은 2016년 9만 5000명에서 2020년 10만명으로 5.8%(6000명)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0년 기준 탈모증 질환 진료인원 구성비를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전체 진료인원(23만 3000명) 중 30대가 22.2%(5만 2000명)로 가장 많았다. 40대가 21.5%(5만명), 20대가 20.7%(4만 8000명) 순으로 나타났다.
남성의 경우 30대 25.5%, 40대 22.3%, 20대 22.2%의 순으로 나타났다. 여성의 경우는 40대가 차지하는 비율이 20.4%로 가장 높았다. 50대 및 20대가 각각 19.6%, 18.6%를 차지했다.
조남준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피부과 교수는 젊은 30대 탈모증 환자가 늘고 있는 이유에 대해 “남성형 탈모증(안드로겐 탈모증)은 남성 호르몬과 유전에 의해 발생한다. 젊은 층의 탈모 증가는 실제로 탈모가 증가한다기보다는 생활수준 향상으로 외모에 대한 관심이 증가해서 병원을 찾는 젊은 층이 늘어났기 때문일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탈모증 질환으로 인한 건강보험 총진료비는 2016년 268억원에서 2020년 387억원으로 증가했다. 연평균 증가율은 9.6%로 나타났다.
2020년 기준 탈모증 질환 건강보험 구성비를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40대가 23.0%(89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30대 21.6%(84억원), 50대 18.7%(73억원)의 순이었다. 특히, 남성이 10대부터 40대까지 여성보다 진료비가 많았으며, 9세 이하와 50대 이상에서는 여성의 진료비가 더 많았다.
진료인원 1인당 진료비를 5년 간 살펴보면, 2016년 12만 6000원에서 2020년 16만 6000원으로 31.3% 증가했다. 성별로 구분해보면, 남성은 2016년 12만 5000원에서 2020년 16만 3000원 으로 30.4% 증가했다. 여성은 2016년 12만 8000원에서 2020년 17만원 으로 32.7% 증가했다.
건보공단은 “남성형 탈모의 치료로는 2~5% 미녹시딜 용액 도포가 많이 사용 된다”며 “초기 반응은 약 6개월 이후, 최대 반응은 약 1년 후에 나타나고 중단하면 약 2개월 후부터 다시 탈모가 시작된다”고 말했다.
이어 “남성의 남성형 탈모증의 경우 테스토스테론의 농도를 감소시키지 않고, 안드로겐 수용체 결합에도 영향이 없는 5-알파 리덕타제 억제제인 피나스테라이드(finasteride)를 많이 사용한다”며 “이 약물을 사용한 환자는 1년 후 약 50%, 2년 후에는 60% 발모가 증가되고 머리카락의 굵기나 길이도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됐다”고 언급했다.
건보공단은 “최근에는 비슷한 약리 작용을 가지는 두타스테리드(dutasteride) 라는 약물을 사용하기도 한다”며 “복용 약은 적어도 3개월 이상 사용해 봐야 효과가 있는지 알 수 있고 약을 중단하면 탈모가 다시 진행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