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포]손수 지은 집도, 오션뷰펜션도 ‘폭삭’…“순식간에 불구덩이”

산불 피해 입은 강릉 경포호, 사근진 해변 일대 ‘쑥대밭’
“밥도 안넘어가고 잠도 못자” 이재민 ‘고통’
“맨발로 뛰쳐나왔는데 이제 어떻게 사나”
尹 특별재난지역 선포…649명 이재민 지원
  • 등록 2023-04-12 오후 5:05:40

    수정 2023-04-12 오후 7:29:12

[강릉=이데일리 조민정 기자] “자려고 눈만 감으면 귀에서 바람 소리가 맴돌아서 밤을 꼴딱 새웠어. 서서히 집이 타들어가던 모습이 머릿속에 너무 생생해.”

12일 강원도 강릉 사근진 해변. 해안선을 따라 즐비했던 ‘오션뷰 펜션’들은 신기루처럼 사라져 있었다. 건물 외벽에 떨어질 듯 말 듯 붙어 있는 철판은 바람에 휘날리며 기괴한 소리를 냈다. 경포호를 둘러싼 펜션도 사정은 마찬가지였다. 화마가 할퀴고 간 곳엔 여전히 잔불 정리를 하는 소방차들이 눈에 띄었다.

12일 강원 강릉시 안현동 일대 펜션단지. 전날 발생한 대형 산불 피해를 입어 다 타버렸다.(사진= 조민정 기자)
화마 겪은 주민들, ‘트라우마’에 불면에 식음전폐

이날 오후 찾은 강릉 아이스아레나 경기장은 90여 개 텐트로 빼곡히 채워져 있었다. 전날 산불로 집을 잃은 이들을 위한 임시 대피소였다. 이불가지와 생수 등 간단한 생필품이 마련된 텐트 앞에 덩그러니 놓인 휠체어와 의족은 대피 당시 긴박했던 상황을 짐작케 했다. 삼삼오오 모인 피해 주민들은 “모자를 벗고 두 손으로 잡고 있는데도 날아갈 것 같았는데, 바람이 이래 부는 건 처음 봤다”고 혀를 찼다.

이재민들은 바람을 타고 빠르게 번진 산불에 옷가지도 챙기지 못하고 간신히 몸만 챙겨 나왔다고 했다. 임호정(60)씨는 “불씨가 15분 만에 집으로 옮겨붙어서 밥 먹다가 싱크대에 다 놓고 휴대폰이랑 지갑만 들고 뛰쳐나왔어, 가재도구 하나도 못 건졌잖아”라며 “집이 서서히 타들어가는 모습을 건너편에서 똑똑히 지켜봤는데 트라우마 때문에 한숨도 못 잤어, 병원가서 약 처방 받아야겠어”라고 호소했다.

은퇴 후 고향인 강릉에 내려왔다는 임호철(67)씨는 손수 지은 집이 뼈대만 남은 채 사라져버렸다고 했다. 임씨는 “아침에 애 엄마를 시내에 태워주고 집에 가니까 연기가 너무 자욱해서 들어갈 수가 없더라고, 그래서 밖에 계속 서서 지켜볼 수밖에 없었어”라며 “고작 10분이었는데 순식간에 산 능선을 타고 불이 번져서 집까지 덮쳤어”라고 했다. 이어 “경치 좋은 소나무 숲에 집을 지었는데 이게 위험요소가 될 줄 몰랐지”라고 한숨 쉬었다.

아내와 함께 임시 대피소에 머물고 있는 연규진(80)는 “연기가 확 쌓여서 집이 어떻게 됐는지도 몰랐다”며 “가슴이 아직도 두근거리고 말도 못하는데, 남 일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이게 무슨 감정인지도 모를 거야”라고 탄식했다.

일부 이재민은 이날 완전히 타버린 터전을 직접 눈으로 확인하곤 식음을 전폐하기도 했다. 이재민 A씨는 “보면 눈물만 나고, 마음이 너무 아파. 뭘 먹고 싶은 생각도 안 들어”라며 손으로 얼굴을 감싸고 흐느꼈다. 60대 김모씨는 “우리 마을은 세 채 남기고 다 탔어”라며 “혈압약을 먹었는데도 머리가 너무 아파, 아까 혈압이 계속 올라서 재보니까 180까지 올랐더라”고 했다.

펜션 주인들도 황망해하긴 마찬가지였다. 최근 펜션 리모델링을 했다는 최모(71)씨는 성수기를 맞아 주말 손님을 받을 생각에 들떠있다가 날벼락을 맞았다고 했다. 그는 “휴대폰마저 두고 나와 연락수단도 없다”며 “불이 난 걸 (예약손님들에) 어떻게 알려야 할지 모르겠다”고 했다. 다른 펜션주인 50대 이모씨는 “맨발로 뛰쳐나왔는데 앞으로 뭐 먹고 살라는 거냐”며 “정부에서 다 보상해줘야 하는 거 아닌가”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12일 강원 강릉시 안현동 일대 펜션단지(사진= 조민정 기자)
‘강풍 타고’ 단시간에 이재민↑…특별재난지역 선포

전날 강릉시 난곡동의 야산에서 난 대형 산불은 8시간 만에 주불이 잡혔지만, 축구장 면적의 530배에 달하는 산림이 소실됐다. 강풍경보와 건조경보가 동시에 내린 탓에 불은 더욱 빠르게 번졌고, 강릉시 안현동 소재 펜션 내부에서 80대 남성 1명이 숨지는 등 사상자 17명이 발생했다.

불은 주민들 집과 펜션단지뿐 아니라 식당, 공방, 편의점 등을 모두 덮쳤다. 경포대 인근의 사찰인 ‘인월사’와 정자 ‘상영정’ 등도 전소되면서 일부 문화재도 피해를 입었다.

초속 30m에 달했던 바람이 초속 1∼12m로 잦아들었지만 여전히 다소 강한 바람이 부는 탓에 산림 당국은 재발화 방지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산림당국은 이날 장비 213대, 인력 800여명을 투입해 잔불을 진화하고 있으며 소방 헬기 1대, 산림청 헬기 1대 등을 투입해 뒷불감시 작업에 돌입한다. 강원도소방본부에 따르면 이날 오전까지 “주변에서 나무가 타고 있다”, “불꽃이 보인다”, “연기가 보인다” 등 재발화 의심 신고가 40건가량 들어왔다.

12일 강릉 아이스아레나에 강릉 산불로 피해를 입은 이재민을 위한 구호텐트가 줄지어 있다.(사진=조민정 기자)
한편 윤석열 대통령은 이날 강릉시를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하고 피해 복구 지원에 만전을 기울이라고 지시했다. 이번 산불로 인한 이재민은 323세대 649명으로, 이들은 생계구호를 위한 생활안정지원과 함께 지방세 등 납부유예, 공공요금 감면 등 간접 지원을 추가적으로 받는다. 행정안전부는 조기 수습을 위해 특별교부세 10억원과 재난구호사업비 6400만원도 긴급 지원한다.

임시 대피소에서 생활하는 이재민들도 피해 복구를 위해 자체적으로 비상대책위원회를 꾸릴 채비를 하고 있지만, 재난을 당해 신경이 곤두선 이재민들 사이에선 마찰도 일었다. ‘대표성 있는 비대위’를 꾸릴 구심점이 잡히지 않아서다. 비대위를 조직하고 있는 최모씨는 “모든 이재민을 포함시켜서 비대위를 만들면 의견이 분분해서 시작하기가 어렵다”며 “우선 일부 의견을 수렴해 비대위를 만들고 나서 비대위 가입 신청자들에게 알릴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최대한 많은 사람들의 의견을 종합해 빠른 피해 복구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12일 강원 강릉시 안현동에 타버린 비닐하우스와 차량이 남아 있다.(사진= 조민정 기자)


이데일리
추천 뉴스by Taboola

당신을 위한
맞춤 뉴스by Dable

소셜 댓글

많이 본 뉴스

바이오 투자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왼쪽 오른쪽

스무살의 설레임 스냅타임

왼쪽 오른쪽

재미에 지식을 더하다 영상+

왼쪽 오른쪽

두근두근 핫포토

  • 좀비들 중 돋보이는 '미모'
  • 아이언맨 출동!
  • 아스팔트서 왜?
  • 한혜진 시계가?
왼쪽 오른쪽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I 청소년보호책임자 고규대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