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민재 활짝 웃었다' 나폴리, 33년 만에 伊세리에A 우승 확정

  • 등록 2023-05-05 오전 8:03:30

    수정 2023-05-05 오전 8:04:49

나폴리의 김민재가 세리에A 우승을 확정지은 뒤 팬들과 함께 기뻐하고 있다. 사진=AP PHOTO
나폴리 선수들이 우승을 확정지은 뒤 팬들과 함께 기뻐하고 있다. 사진=AP PHOTO
나폴리 시민들이 거리로 뛰쳐나와 환호성을 지르며 우승 기쁨을 만끽하고 있다. 사진=AP PHOTO
[이데일리 스타in 이석무 기자] 한국 축구대표팀의 ‘괴물수비수’ 김민재가 속한 SSC 나폴리가 고 디에고 마라도나(아르헨티나) 시절인 1989~90시즌 이후 33년 만에 이탈리아 프로축구 세리에A 정상에 올랐다.

나폴리는 5일(한국시간) 이탈리아 우디네의 스타디오 프리울리에서 열린 2022~23 세리에A 33라운드 우디네세와 원정경기에서 1-1로 비겼다.

이로써 25승 5무 3패 승점 80을 기록한 나폴리는 2위 라치오(19승 7무 7패 승점 64)와 승점 차를 16으로 벌렸다. 아직 5경기가 남아 있지만 이에 상관없이 우승을 확정했다. 나폴리가 잔여 경기에 모두 패하고 라치오가 다 이기더라도 순위는 바뀌지 않는다.

우승이 확정되는 순간 원정응원을 온 나폴리 팬 1만여명은 물론 홈 경기장인 마라도나 스타디움에서 대형 스크린으로 경기를 지켜본 수만 명의 홈팬은 우승 기쁨을 만끽했다.

나폴리가 세리에A 우승을 차지한 것은 1986~87시즌과 1989~90시즌에 이어 통산 세 번째다. 특히 지난 2020년 세상을 떠난 ‘축구 전설’ 마라도나가 나폴리에서 맹활약하던 1989~90시즌 이후 33년 만에 우승을 이뤘다는 점에서 더 의미가 컸다.

나폴리는 마라도나가 팀을 떠난 뒤 재정적인 어려움에 빠져 위기를 겪기도 했다. 심지어 2004년에는 구단 파산선고를 받고 3부리그까지 추락하기도 했다.

이후 2007~08시즌 1부리그로 복귀한 나폴리는 이후 꾸준히 중상위권을 지키면서 강팀의 이미지를 지켰다. 결국 이번 시즌 김민재, 공격수 빅터 오시멘, 흐비차 크바라츠헬리아 등을 앞세워 정상에 등극했다.

세리에A에서 유벤투스, AC 밀란, 인터 밀란 이외 팀이 우승한 것은 2001년 AS 로마 이후 올해 나폴리가 22년 만이다.

나폴리가 예상을 뒤엎고 세리에A 우승컵을 들어 올릴 수 있었던 것은 수비를 든든히 책임진 김민재의 힘이 컸다. 지난 시즌 튀르키예 페네르바체에서 활약한 김민재는 이번 시즌 나폴리로 이적하면서 유럽 빅 리그에 데뷔했다.

팀에 들어오자마자 팀에 없어서는 안될 핵심 주전으로 자리매김했다. 리그 33경기 가운데 32경기에 선발 출전했고 교체아웃된 3경기를 빼고 29경기를 풀타임 소화했다. 수비수임에도 골도 2골을 기록할 만큼 발군의 실력을 뽐냈다.

유럽 5대 ‘빅 리그’에서 한국 선수가 우승을 차지한 것은 박지성 전북현대 테크니컬 디렉터와 독일 프로축구 프라이부르크에서 활약 중인 정우영에 이어 김민재가 세 번째다.

박지성은 잉글랜드 맨체스터 유나이티드(맨유)에서 2006~07, 2007~08, 2008~09, 2010~11시즌 등 네 차례나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 우승을 맛봤다. 정우영은 바이에른 뮌헨 소속이던 2018~19시즌 뮌헨에서 독일 분데스리가 우승을 경험했다.

유럽 무대에서 아시아 최고의 선수로 맹활약 중인 손흥민(토트넘)은 독일 분데스리가와 EPL에서 10년 넘게 뛰고 있지만 아직 우승을 이룬 적이 없다.

비기기만 해도 우승을 확정 짓는 나폴리는. 전반 13분 우디네세의 산디 로브리치에게 먼저 실점을 내주고 불안하게 출발했다. 하지만 후반 7분에 오시멘이 동점 골을 터뜨려 승부를 원점으로 돌렸다. 이번 시즌 22번째 골을 기록한 오시멘은 리그 득점 선두 자리도 굳게 지켰다.

김민재는 선발 출전해 교체 없이 끝까지 수비를 책임졌다. 패스를 팀 내 최다인 91번이나 기록할 정도로 후방 빌드업에도 적극적으로 가담했다. 축구 전문 통계 사이트 후스코어드닷컴은 김민재에게 팀 내 세 번째로 높은 평점 6.79점을 줬다.

이데일리
추천 뉴스by Taboola

당신을 위한
맞춤 뉴스by Dable

소셜 댓글

많이 본 뉴스

바이오 투자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왼쪽 오른쪽

스무살의 설레임 스냅타임

왼쪽 오른쪽

재미에 지식을 더하다 영상+

왼쪽 오른쪽

두근두근 핫포토

  • 이런 모습 처음이야!
  • 이제야 웃는 민희진
  • 나락간 '트바로티' 김호중
  • 디올 그 자체
왼쪽 오른쪽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