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47 보스톤' 강제규 감독 "역사물 유독 많은 건…무지한 세상 무서워져"[인터뷰]②

국뽕·신파 거부감 갖는 관객들이 공감해줄까 걱정도
블라인드 시사 여러번 거쳐…국뽕이라도 궤는 달라
궤적을 살펴봐야 미래도 멋지게 살 수 있어
  • 등록 2023-09-13 오전 7:00:00

    수정 2023-09-13 오전 7:00:00

[이데일리 스타in 김보영 기자] ‘1947 보스톤’으로 돌아온 강제규 감독이 영화를 둘러싼 ‘국뽕’ 및 ‘신파’ 우려에 대한 솔직한 생각과 작품을 향한 올곧은 진심을 전했다.

강제규 감독은 12일 오후 영화 ‘1947 보스톤’의 개봉을 앞두고 서울 종로구의 한 카페에서 취재진과 인터뷰를 진행했다.

영화 ‘1947 보스톤’은 촬영은 사실 2018년 강 감독이 시나리오를 받고 2019년 촬영을 시작해 2020년 크랭크업했던 영화다. 2021년 설 연휴 개봉을 목표로 후반작업까지 거의 마무리됐으나, 코로나19 팬데믹과 함께 2020년 11월 출연 배우 배성우의 음주운전 혐의로 오랜 기간 개봉을 미뤘다. 약 4년 만인 올 추석 연휴 관객들을 만나는 상황.

강제규 감독은 개봉을 앞둔 소감을 묻자 “2021년 구정 쯤에 개봉했으면 좋겠다 생각하고 후반작업을 했는데 이렇게 늦어질 줄은 상상도못했다. 영화를 다 만들어놓고 이렇게 오랫동안 개봉을 못 한 게 처음이었다”며 “아마 이 시기에 영화를 만들고 개봉한 많은 감독들이나 연기자들, 스태프들 다 똑같은 입장이었을 거다. 좀 답답하고 힘든 시간이었던 거 같다”고 소회를 밝혔다. 이어 “영화를 준비하면서 편집실과 녹음실을 그렇게 자주 갔다. 또 제가 만든 영화 중 블라인드 시사도 가장 많이 거친 작품”이라며 “개봉 사이 2년 반이란 시간이 그런 면에서 한편으론 작품의 내실을 다질 수 있던 시간들이었다고도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이 작품을 만들며 들었던 가장 큰 고민이자 숙제는 1947년 시대를 산 세 명의 실존 인물들의 삶과 여정을 요즘의 관객들이 얼만큼 동화하고 공감할 수 있을지였다고 한다.

강제규 감독은 “영화를 보고 동화되는 것은 둘째치고 이 작품에 관심이나 가져주실까 걱정했다”며 “관심이 있어야 영화를 보고 공감이든 비판이든 일으킬텐데. 무관심이 제일 무섭지 않나. 이를 미리 알고 싶어 블라인드 시사들을 거쳤다”고 회상했다.

특히 영화의 소재가 가질 수 있는 ‘국뽕’, ‘신파’에 대한 관객들의 거부감을 극복하는 게 어렵고 궁금한 지점으로 다가왔다고도 설명했다. 강제규 감독은 “이 영화의 로그라인만 봐도 국뽕이나 신파가 셀 것 같은 느낌들이 제가 관객이었어도 들 것 같은 거다. 그걸 극복하는 게 숙제였다”며 “픽션이면 마음대로 극적인 상황과 반전을 섞을 수 있는데 실화 기반이라 그럴 수도 없었다. 한계는 많은데 탈출구는 적은 느낌이었다”고 솔직히 털어놨다.

또 “당시엔 옳은 판단이라 생각해 넣은 장면을 5년이 지나 다시 보면 고개를 못 들 정도로 못 봐주겠는 경우들이 종종 있다. 이번 작품은 세월이 흐른 뒤 이 작품을 보더라도 ‘낯간지럽게 저건 왜 넣어가지고’ 후회할 짓을 최대한 없애고 싶었다”고도 부연했다.

개인적으로 애착을 갖고 촬영한 장면들이 많았지만, 유사한 감동이나 상황을 반복되는 상황을 막고자 덜어낸 장면들도 적지 않다고 했다.

이 영화가 개봉된 후에도 관객들에게 신파나 국뽕으로 비춰질까. 강제규 감독은 “잘 모르겠다”면서도, “하지만 이 이야기는 역사적 사실, 팩트 그 자체다. 팩트라 할지라도 보시는 사람에 따라 국뽕처럼 느껴질 수 있겠다고는 생각한다”고 말했다. 다만 “우리가 없는 사실을 만들어내 그런 상황들을 표현해냈다면 작위적인 목적 달성을 위한 국뽕이라 생각될 수 있겠지만, 우린 팩트를 그대로 이야기했다는 점에서 궤가 다르지 않나 싶다”라며 “국뽕이지만 궤가 다른 국뽕”이란 귀여운 해명도 덧붙여 웃음을 자아냈다.

시나리오상 캐릭터를 구축하며 실존인물들의 유족과 기념재단 등 관계자들을 설득하고 그들의 의견을 반영해나간 과정들도 풀어냈다. 강 감독은 “세 위대한 마라토너들을 한 영화에 담을 수 있는 게 다시 없을 절호의 기회이자 큰 행복, 축복이었다고 생각한다”며 “물론 시나리오 단계에서 저마다의 의견 제시들이 조금씩 다 있었다. 세 분 모두 훌륭한 분들이시지만, ‘우리 할아버지가 더 훌륭한 업적을 남기셨는데’ 아쉽다고 생각하는 분들도 계시지 않겠나. 그런 의견들을 전해 듣고 함께 이야기나누며 조율해나가는 과정이 나름 쉽진 않았다”고 떠올렸다.

또 “왜 다른 선생님들에 비해 우리 선생님의 분량이 적나 등등 목소리들은 당연히 생긴다. 그게 실화를 다루는 작품에서 피치 못하게 겪을 일인 거 같다”면서도, “나름대로 그분들의 이야기를 충분히 잘 경청해 녹여낸 것 같다. 완성본 시사가 지금 계속 진행 중인데, 가편집본은 그 분들이 이미 다 보셨다. 다행히 대부분 만족하셨다. 큰 이견이 없었다”고 자부심을 드러냈다.

‘은행나무 침대’를 시작으로 ‘쉬리’, ‘태극기 휘날리며’ ‘마이 웨이’ 등 이번 작품을 포함해 강제규 감독의 화제작은 대체로 전쟁과 분단 등 한국 근현대사의 역사적 아픔을 소재로 다룬 작품이 많다. 이에 대해 강제규 감독은 “어떤 시공간에 대한 특별한 개념을 갖고 있어서 그랬던 건 아니다”라면서도, “어느 순간 지나온 과거에 애착을 많이 갖게 된 것 같다. 나이를 먹어서 그런가 싶다”며 미소지었다.

역사에 얽힌 개인적 에피소드도 털어놨다. 그는 “‘마이 웨이’ 때 개인적인 경험이 있다. 당시 일본 대학에서 현지 대학생들과 함께 영화를 보고 토론한 기억이 있다. 그 자리에서 느낀 게 일본 학생들이 역사를 너무 모르더라”며 “끝나고 나서 이야기를 들어보니 일본에선 제대로 된 역사를 가르치고 있지 않았다. 1020 젊은 세대 중 현대사를 정확히 인지하고 있는 학생이 별로 없었다. 특별히 관심갖지 않는 이상 역사적 진실에 무지하고 무관심한 거였다”라고 회상했다.

이어 “이런 세상이 좀 무서워지더라”며 “우리나라라고 그렇게 되지 않으리란 법이 없지 않나. 과거와 현재, 미래는 그저 시간의 흐름을 표현하는 띠일 뿐이다. 그런 것들을 나누며 분리하지 않고 우리가 살아온 궤적을 잘 살펴봐야 미래도 멋지게 살 수 있지 않나 생각한다. 그래서 전도사처럼 제가 나서서 우리는 역사를 알고 반성해야 한다고 이야기하고 다니고 있다”는 소신도 덧붙였다.

한편 영화 ‘1947 보스톤’은 광복 후 처음으로 태극마크를 달고 국제대회에 출전하기 위한 마라토너들의 도전과 가슴 벅찬 여정을 그린 이야기다. 대한민국 마라톤의 전설이자 영웅인 손기정(하정우 분)과 그의 제자 서윤복(임시완 분)의 실화를 다뤘다. 영화 ‘쉬리’, ‘태극기 휘날리며’, ‘장수상회’ 등을 연출한 강제규 감독이 약 8년 만에 내놓은 신작으로 기대를 모은다. 추석연휴인 9월 27일 개봉한다.

이데일리
추천 뉴스by Taboola

당신을 위한
맞춤 뉴스by Dable

소셜 댓글

많이 본 뉴스

바이오 투자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왼쪽 오른쪽

스무살의 설레임 스냅타임

왼쪽 오른쪽

재미에 지식을 더하다 영상+

왼쪽 오른쪽

두근두근 핫포토

  • 고양이 닮은꼴...3단 표정
  • 아스팔트서 왜?
  • 한혜진 시계가?
  • 이런 모습 처음
왼쪽 오른쪽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