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소연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11일 “주당순이익(EPS) 하락세가 지속되면서 지수 상승세도 멈췄다”며 “향후 12개월 기준 주가수익비율(PER) 10배가 2170선까지 하향 조정돼 반도체 업종의 이익 하향이 일단락될 때까지 지수 2200선 돌파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현재 시장은 미국 기준금리 동결, 국내금리 하락, 신용잔고 증가 등의 유동성 모멘텀을 바탕으로 종목장 형태로 전개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코스닥 종목들의 성과가 두드러진다.
그는 “올해 스타일별 수익률은 대형가치와 대형성장은 1월 이후 탄력이 약화되고 있지만 중형성장, 소형가치, 소형성장은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다”며 “유신(054930)과 디지털대성(068930)은 올 들어 각각 150%, 100%씩 올랐고 포스코엠텍(009520), 에이디테크놀로지(200710), 유비쿼스홀딩스(078070)도 30~70%씩 상승했다”고 설명했다.
신흥국에서 한국시장 자금 유입 강도는 소폭 약화됐지만 업종 집중형 펀드의 경우 기술 업종에 9주만 순매수가 유입된 것이 특이사항이다. 박 연구원은 “제반 환경이 종목장에 유리한 만큼 최근 52주 신고가를 경신했거나 52주 신고가 경신 직전인 종목들에 관심을 둬야 한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