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렬
  • 영역
  • 기간
  • 기자명
  • 단어포함
  • 단어제외

뉴스 검색결과 2,699건

외인·기관 동반 매도에 830선까지 밀려
  • [코스닥 마감]외인·기관 동반 매도에 830선까지 밀려
  • [이데일리 김소연 기자] 코스닥 지수가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매도에 830선까지 밀렸다. 29일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이날 코스닥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12.56포인트(-1.48%) 내린 838.45에 거래를 마쳤다. 이날 코스닥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1.20포인트(-0.14%) 내린 849.81에 하락 출발했다. 코스닥시장에서 외국인과 기관은 동반 팔자세를 보였다. 외국인은 724억원어치를, 기관은 1681억원을 순매도했다. 기관 중에서는 금융투자(-966억원), 사모펀드(-514억원), 기타법인(-140억원) 순으로 매도세가 컸다. 개인은 나홀로 2529억원어치를 순매수했다.업종별로 보면 대부분의 업종이 내리고 있다. 일반전기전자, 통신장비, 섬유의류, 금융이 3% 이상 내렸다. 오락문화, 통신서비스, 의료정밀기기, 금속은 2% 하락했고, 방송서비스, IT부품, 제조, 화학, 소프트웨어, 기타 제조, 화학, 반도체 등은 1% 이상 밀렸다. 건설, 정보기기, 기계장비, 유통, 제약, 비금속도 줄줄이 밀렸다. 반면 인터넷은 1% 이상 오르고, 디지털콘텐츠 역시 강보합권에서 마감했다. 이에 반해 컴퓨터 서비스가 1% 이상 오르고 있고 기계장비, 비금속, 인터넷, 반도체, 건설 등은 강보합세를 나타내고 있다.시가총액 상위 종목들도 줄줄이 하락세다. 에코프로비엠(247540), 이오테크닉스(039030), 엔켐(348370)은 5% 이상 밀렸다. 에코프로(086520)는 4% 이상, 레인보우로보틱스(277810), 솔브레인(357780), 클래시스(214150), HPSP(403870), 셀트리온제약(068760)이 3% 이상 하락했다. 휴젤(145020), 알테오젠(196170)도 2% 이상 밀리고, 리노공업(058470)은 1% 이상 하락하며 거래를 마쳤다. 이에 반해 펄어비스(263750)가 4% 올랐고, HLB(028300)가 2% 상승하며 거래를 마감했다.피플바이오(304840), 샤페론(378800), 제이투케이바이오(420570) 상한가는 3개 종목이었고, 401개 종목이 올랐다. 하한가는 없었고 1179개 종목이 내렸다. 66개 종목은 보합을 유지했다. 이날 거래량은 13억6247만주, 거래대금은 10조5844억원으로 집계됐다.
2024.05.29 I 김소연 기자
코스닥, 외인·기관 동반 매도에 850선 아래서 하락 출발
  • 코스닥, 외인·기관 동반 매도에 850선 아래서 하락 출발
  • [이데일리 김소연 기자] 코스닥 지수가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매도에 850선 아래에서 약보합세로 출발했다. 29일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 8분 현재 코스닥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3.98포인트(0.47%) 내린 847.03을 나타내고 있다. 코스닥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1.20포인트(-0.14%) 내린 849.81에 하락 출발했다.코스닥시장에서 장 초반 개인 투자자가 371억원어치를 순매수하고 있다. 반면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236억원어치, 112억원어치를 팔아치우고 있다. 간밤 뉴욕 증시는 혼조세를 보였다.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 대비 1.32포인트(0.02%) 오른 5306.04로 마감했다.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216.73포인트(0.55%) 하락한 3만8852.86, 나스닥종합지수는 99.08포인트(0.59%) 상승한 1만7019.88에 거래를 끝냈다. 나스닥 지수는 사상 처음으로 1만7000선을 돌파했다. 한지영 키움증원 연구원은 “국내 증시는 나스닥발 효과로 상승 예상되나 업종간 차별화 장세가 전개될 것”이라며 “미국 인공지능(AI)주 들이 강세를 보였다는 점을 감안하면 국내에서도 고대역폭메모리(HBM), 전력기기 등을 중심으로 차별화 장세를 전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업종별로 보면 대부분의 업종이 내리고 있다. 일반전기전자, 통신장비, 금융이 1% 이상 밀리고 있다. 화학, 방송서비스, 제약, 통신서비스, 제조, 유통, 출판매체복제, 오락문화, 운송, 음식료담배 등도 줄줄이 약세를 기록 중이다.이에 반해 컴퓨터 서비스가 1% 이상 오르고 있고 기계장비, 비금속, 인터넷, 반도체, 건설 등은 강보합세를 나타내고 있다.시가총액 상위 종목들도 줄줄이 하락세다. 엔켐(348370)이 3% 이상 빠지고 있다. HLB(028300), 솔브레인(357780), 에코프로비엠(247540), 에코프로(086520)가 2% 이상 밀리고 있다. 이어 이오테크닉스(039030), 알테오젠(196170), 셀트리온제약(068760)이 1% 이상 하락하며 거래 중이다. 휴젤(145020), 레인보우로보틱스(277810), HPSP(403870), 펄어비스(263750) 등은 약보합권에서 거래되고 있다. 클래시스(214150)만 소폭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2024.05.29 I 김소연 기자
레인보우로보틱스, 세종시에 로봇 생산 공장 및 신사옥 착공
  • 레인보우로보틱스, 세종시에 로봇 생산 공장 및 신사옥 착공
  • [이데일리 김현아 기자] 레인보우로보틱스(대표 이정호)는 23일, 세종시 집현동 세종테크밸리에서 최첨단 생산 공장과 신사옥 착공식을 열고 본격적인 건립에 나섰다고 밝혔다. 이번 프로젝트는 한국 로봇 산업을 대표하고 글로벌 로봇 시장을 이끌어 나갈 기반을 마련하는 중요한 발걸음으로 평가된다.레인보우로보틱스(277810)의 새로운 로봇 생산 공장 및 신사옥은 부지면적 5237㎡에 지하 1층, 지상 7층 규모로 내년 12월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지난 22일 진행된 착공식에는 오준호 창업자 겸 최고기술책임자, 이정호 대표이사, 김인혁 부사장, 임정수 기술이사, 허정우 기술이사, 방승영 CFO, 김재문 사외이사, 최영호 사외이사를 비롯한 기업 임직원, 최민호 세종시장, 남궁호 경제산업국장, 김남경 투자유치단장 등 세종시 관계자, 이화공영 최종한 대표이사, 권오석 부회장, 극동건축 황재원 대표이사 등 70여 명이 참석해 자리를 빛냈다.(왼쪽부터) 레인보우로보틱스 방승영 CFO, 김재문 사외이사, 최영호 사외이사, 임정수 기술이사, 허정우 기술이사, 김인혁 부사장, 이정호 대표이사, 오준호 창업자 겸 최고기술책임자, 세종시 최민호 시장, 남궁호 경제산업국장, 김남경 투자유치단장, 극동건축 황재원 대표이사, 이화공영 최종한 대표이사, 권오석 부회장레인보우로보틱스는 최근 로봇 산업의 화두로 떠오른 생성형 AI 기술을 적극 활용하여, 국내 최초로 개발한 ‘바퀴 이동형 양팔로봇 RB-Y1’을 AI 로봇 연구자들을 위해 예약 판매하는 등 AI 휴머노이드 로봇 수요에 선도적으로 대응하고 있다.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는 로봇 개발 및 제조 기술을 바탕으로, 최첨단 공장에서 자사 협동로봇을 활용해 로봇 부품 및 완제품 제조 자동화 비중을 크게 늘릴 계획이다. 이를 통해 고부가가치의 원가경쟁력을 높이고 기존 산업용 로봇의 한계를 극복한 신제품들을 국내 및 글로벌 시장에 출시할 예정이다.레인보우로보틱스는 글로벌 로봇 시장을 선도하는 로봇 플랫폼 전문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해 WKC(World-Class quality, Korea standard service, Competitive price) 전략을 펼치고 있다. 이 전략은 세계 최고 수준의 품질과 한국형 서비스, 경쟁력 있는 가격을 갖춘 로봇을 통해 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이종식 상무는 “레인보우로보틱스는 국내 기술로 개발한 최고 성능의 장비들을 통해 로봇 산업 생태계를 확장하고 시장을 활성화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다”며, “국내 기업들의 역량을 강화하여 대한민국의 로봇 기술 주권을 확보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2024.05.23 I 김현아 기자
코스닥, 개인 매수세에 840선 등락…수급공방 계속
  • 코스닥, 개인 매수세에 840선 등락…수급공방 계속
  • [이데일리 이용성 기자] 코스닥 지수가 개인의 매수세에 장중 다시 상승 전환하면서 840선에서 등락을 반복하고 있다. 23일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오전 9시46분 현재 코스닥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0.76포인트(0.09%) 오른 846.48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코스닥 지수는 전 거래일(845.72)보다 0.78포인트(0.09%) 상승한 846.50에 개장했으나 곧 하락 전환한 후 개인과 외국인·기관 간 수급공방이 벌어지며 등락을 이어오고 있다.수급별로는 개인이 홀로 471억원을 순매수하고 있다.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105억원, 243억원 순매도하고 있다. 프로그램은 차익과 비차익을 합쳐 9억원 매도 우위다.업종별로는 혼조다. 건설과, 제약, 유통 등이 1% 넘게 오르고 있고, 제조, 금속 등도 1% 미만 수준으로 강보합세다. 반면, 컴퓨터서비스는 1.37% 떨어지며 가장 큰 폭으로 하락하고 있고, 금융, 소프트웨어 등이 각 1% 미만 수준으로 약세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도 혼조다. .에코프로비엠(247540)과 에코프로(086520)는 각 1% 미만 수준의 약세를 나타내고 있고, 엔켐(348370)과 레인보우로보틱스(277810)도 각각 1% 미만 수준의 약보합권에 머물고 있다. 반면 HLB(028300)는 10.55% 상승 중이고, 셀트리온제약(068760)과 HPSP(403870), 알테오젠(196170)도 1% 미만 수준으로 강보합세다. 한편 5월 FOMC가 매파적으로 나타나면서 간밤 뉴욕 증시는 일제히 하락 마감했다. 22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 30산업평균지수는 전거래일 대비 0.51% 하락한 3만9671.04를 기록했다. 대형주 벤치마크인 S&P500지수는 0.27% 떨어진 5307.01을, 기술주 위주의 나스닥지수도 0.18% 빠진 1만6801.54에 거래를 마쳤다.
2024.05.23 I 이용성 기자
코스닥, '매파' FOMC에 투심 위축…840선 하락 출발
  • 코스닥, '매파' FOMC에 투심 위축…840선 하락 출발
  • [이데일리 이용성 기자] 코스닥 지수가 하락 출발했다. 미국의 5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록에서 매파적인 의견들이 나오면서 금리 인하 기대감에 찬물을 끼얹었기 때문이다.23일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오전 9시3분 현재 코스닥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1.09포인트(0.13%) 내린 844.63에 거래되고 있다. 5월 FOMC가 매파적으로 나타나면서 간밤 뉴욕 증시는 일제히 하락 마감했다. 22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 30산업평균지수는 전거래일 대비 0.51% 하락한 3만9671.04를 기록했다. 대형주 벤치마크인 S&P500지수는 0.27% 떨어진 5307.01을, 기술주 위주의 나스닥지수도 0.18% 빠진 1만6801.54에 거래를 마쳤다.연준 이사들이 지난달 30일부터 이틀간 열린 5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고금리를 더 오래 유지해야 한다는 데 의견을 모았고, 많은(many) 이사들은 현 정책이 인플레이션을 목표치까지 낮출 수 있을 만큼 제약적인지 의문을 제기한 것으로 나타났다.한지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FOMC 의사록은 다소 매파적이었던 것으로 해석된다”며 “연초 인플레이션 둔화속도가 부진했던 것으로 평가하고 2%대 하락하는 조짐을 지속적으로 보이지 않는다면 추가 긴축을 할 의향이 있다고 언급했기 때문”이라고 전했다. 수급별로는 개인이 홀로 730억원을 순매수하고 있다.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555억원, 152억원 순매도하고 있다. 프로그램은 차익과 비차익을 합쳐 401억원 매도 우위다.업종별로는 대부분 업종이 하락하고 있다. 컴퓨터서비스와, 금융, 소프트웨어 등이 각 1%대 하락하고 있고, 정보기기, 화학, IT부품, 등이 1% 미만 수준으로 약세다. 엔비디아의 ‘어닝 서프라이즈’에도 반도체는 0.11% 약보합권이다. 반면, 제약은 1.22% 상승 중이고, 건설도 1% 미만 수준으로 강보합세다.시가총액 상위 종목도 하락하는 종목이 더 많았다.에코프로비엠(247540)과 에코프로(086520)는 각 1%대 약세를 나타내고 있고, 엔켐(348370)과 레인보우로보틱스(277810)도 각각 1.07%, 1.39% 하락 중이다. 반면, HLB(028300)는 최근 하한가 행진을 마치고 반등하며 10.34% 오름세를 나타내고 있다.
2024.05.23 I 이용성 기자
부채비율 108.53%…케이프 1343% '최고'
  • [코스닥 1분기 결산]부채비율 108.53%…케이프 1343% '최고'
  • [이데일리 김응태 기자] 코스닥 상장사의 올해 1분기 연결 기준 부채비율이 전년 말 대비 2%포인트 넘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사진=한국거래소20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닥 12월 결산법인 1270사 중 전년 동기 실적이 비교 가능한 법인 1150사를 분석한 결과, 올해 1분기 연결 기준 부채비율이 108.53%로 전년 말(106.22%) 대비 2.31%포인트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1분기 코스닥 상장사의 부채총계는 212조346억원으로 전년 말(203조9609억원) 대비 3.96%(8조737억원) 증가했다. 같은 기간 자산총계는 395조9728억원에서 407조3960억원으로 2.88%(11조4243억원) 늘었다. 연결 기준 부채비율이 가장 높은 종목은 케이프(064820)로 1342.98%를 기록했다. 전년 말 대비 560.65%포인트 상승했다. 뒤이어 에이비온(203400)(1280.97%), 에이스테크(088800)(1234.81%), 삼보산업(009620)(854.80%), KD(044180)(850.93%), 다우데이타(032190)(818.76%) 등의 순으로 높았다. 연결 기준 부채비율이 가장 낮은 상장사는 워트(396470)로 2.46%였다. 이는 전년 말보다 0.06%포인트 하락한 수준이다. 이외에도 레인보우로보틱스(277810)(2.47%), 에이치엘사이언스(239610)(3.43%), 세진티에스(067770)(3.54%), 디티씨(066670)(3.64%), 코메론(049430)(4.12%) 등이 부채비율 하위 업체에 속했다.올해 1분기 코스닥 상장사 별도 기준 부채비율은 59.55%로 전년 말(57.49%) 대비 2.07%포인트 상승했다. 부채총계는 109조6718억원으로 전년 말(104조2964억원)보다 5.15%(5조3754억원) 늘었다. 자산총계는 293조8247억원으로 2.83%(8조980억원) 증가했다.별도 기준 기업별로는 에이스테크(088800)가 5466.13%로 가장 높았다. 전년 말보다 2743.02%포인트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삼보산업(009620)(3711.61%), 올리패스(244460)(1949.07%), 서울바이오시스(092190)(1895.61%), 에이비온(203400)(1273.99%), 아이엘사이언스(307180)(969.03%) 등도 부채비율 상위 업체로 꼽혔다.별도 기준 부채비율이 가장 낮은 업체는 네오위즈홀딩스(042420)로 0.39%였다. 지난해 말 대비 0.06%포인트 하락했다. 이어 모베이스(101330)(1.28%), 바이오다인(314930)(1.82%), 씨티프라퍼티(052300)(1.85%), 클라우드에어(036170)(2.02%), 테고사이언스(191420)(2.23%) 등이 부채비율이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2024.05.20 I 김응태 기자
 3거래일만에 850선 뚝…HBL 그룹주 하한가
  • [코스닥 마감] 3거래일만에 850선 뚝…HBL 그룹주 하한가
  • [이데일리 김소연 기자] 코스닥 지수가 850선으로 밀렸다. 870선을 회복했던 코스닥지수는 3거래일 만에 낙폭을 키웠다. 장 초반 HLB(028300)는 간암 신약이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이 불발되면서 HLB 그룹사 종목도 줄줄이 하한가를 기록했다.17일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이날 코스닥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15.31포인트(1.76%) 내린 855.06에 거래를 마쳤다. 코스닥지수는 전 거래일(870.37)보다 0.15%(1.31포인트) 내린 869.06에 하락 출발했다. 코스닥시장에선 개인과 기관이 순매수세를 보였다. 개인이 389억원, 기관이 1256억원어치를 사들였다. 기관 중에서는 금융투자(1624억원), 보험(41억원), 투신(32억원) 순으로 매수세를 기록했다. 외국인은 코스닥시장에서 1435억원어치를 팔아치웠다.코스닥 시장에선 대부분의 업종이 내렸다. HLB 영향으로 제약이 7% 이상 하락했다. 제조, 금속이 2% 이상 약세를 기록했고 유통, 반도체, 기계장비, 섬유의류, 정보기기, 소프트웨어 등이 1% 이상 하락 마감했다. 비금속, 건설, IT부품, 통신장비, 컴퓨터서비스, 방송서비스 등도 줄줄이 약세다. 반면 음식료담배가 1% 이상 올랐고, 인터넷, 오락문화, 운송, 종이목재는 소폭 상승했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들은 혼조세를 기록했다. HLB(028300)가 하한가로 떨어졌다. HLB는 간암 1차 치료제로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신약허가를 신청한 자사 ‘리보세라닙’과 중국 항서제약 ‘캄렐리주맙’의 병용요법 관련 CRL(보완요구서한)을 받으면서 주가가 하한가로 떨어졌다. HLB는 전 거래일 대비 2만8700원 내린 6만7100원에 거래를 마쳤다. HLB 외에도 HLB제약(047920), HLB생명과학(067630), HLB테라퓨틱스(115450), HLB바이오스텝(278650) 등 코스닥 7개 종목이 하한가를 기록했다.셀트리온제약(068760)과 이오테크닉스(039030)가 2% 이상 내렸고, 에코프로비엠(247540), 에코프로(086520)도 1% 이상 하락했다. 리노공업(058470), 레인보우로보틱스(277810)도 1% 미만 소폭 하락하며 거래를 마쳤다.반면 알테오젠(196170)은 6% 이상 올랐고, 리가켐바이오(141080)는 2% 이상 상승했다. 삼천당제약(000250)이 1.17% 상승하며 거래를 마감했고 클래시스(214150), 펄어비스(263750), 엔켐(348370) 등은 소폭 오름세를 기록했다. 상한가는 4개 종목이었고, 496개 종목이 올랐다. 휴마시스(205470)가 지분을 취득하며 블레이드 Ent(044480)의 최대주주가 된다는 공시에 상한가를 기록했다.하한가는 7개 종목이었으며, HLB그룹주가 일제히 하한가였다. 1045개 종목이 내렸고, 97개 종목은 보합을 유지했다. 이날 거래량은 9억1934만3000주, 거래대금은 9조1023억원으로 집계됐다.
2024.05.17 I 김소연 기자
코스닥 860선 하락 출발…HLB 신약 FDA 승인 불발에 하한가
  • 코스닥 860선 하락 출발…HLB 신약 FDA 승인 불발에 하한가
  • [이데일리 김소연 기자] 코스닥 지수가 860선 하락 출발했다. 2거래일 연속 상승한 코스닥지수는 이날 850선까지 밀리며 하락하고 있다. HLB(028300)는 간암 신약이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이 불발되면서 하한가를 기록 중이다.17일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5분 현재 코스닥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12.40포인트(1.42%) 내린 857.97에 거래되고 있다. 코스닥지수는 전 거래일(870.37)보다 0.15%(1.31포인트) 내린 869.06에 하락 출발했다. 코스닥시장에선 장 초반 개인과 기관이 순매수세를 기록 중이다. 개인이 462억원, 기관이 120억원어치를 사들이고 있다. 외국인은 코스닥시장에서 546억원어치를 팔아치우고 있다.이날 코스닥 시장에선 대부분의 업종이 내림세다. HLB 영향으로 제약이 8% 이상 밀리고 있다. 제조가 2% 이상 약세 금속과 유통, 의료정밀기기가 1% 이상 내림세다. 정보기기, 반도체, 일반전기전자, 통신서비스, 건설, 기계장비, 섬유의류, 인터넷 등도 줄줄이 약세다. 반면 디지털콘텐츠, 방송서비스, 오락문화, 종이 목재는 소폭 오름세를 기록하고 있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들은 혼조세를 기록 중이다. HLB(028300)가 하한가를 기록하고 있다. HLB는 간암 1차 치료제로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신약허가를 신청한 자사 ‘리보세라닙’과 중국 항서제약 ‘캄렐리주맙’의 병용요법 관련 CRL(보완요구서한)을 받으면서 주가가 하한가로 떨어졌다. HLB는 전 거래일 대비 2만8700원 내린 6만7100원에 거래되고 있다. 엔켐(348370)이 6% 이상 밀리고 있다. 이오테크닉스(039030), 삼천당제약(000250)이 1% 이상 약세다. 리노공업(058470), 클래시스(214150), 알테오젠(196170) 등은 1% 미만 소폭 내림세다. 반면 솔브레인(357780)이 4% 이상 강세다. HPSP(403870), 펄어비스(263750)는 1% 이상 오름세를 기록 중이다. 레인보우로보틱스(277810), 셀트리온제약(068760), 에코프로비엠(247540), 에코프로(086520)가 소폭 오름세를 기록하고 있다. 간밤 뉴욕증시는 다우지수가 장중 사상 첫 4만선을 돌파했다.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38.62포인트(0.10%) 내린 3만9869.38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11.05포인트(0.21%) 하락한 5297.10을, 나스닥지수는 전장보다 44.07포인트(0.26%) 하락한 1만6698.32를 기록했다.
2024.05.17 I 김소연 기자
금리 인하 기대감↑…수급 공방 속 870선 사수
  • [코스닥 마감]금리 인하 기대감↑…수급 공방 속 870선 사수
  • [이데일리 이용성 기자] 상승 출발한 코스닥 지수가 870선을 사수했다. 미국의 4월 소비자물가지수(CPI) 발표 이후 금리 인하 기대감이 높아진 가운데 수급 공방이 벌어지면서 등락이 반복됐다. 16일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코스닥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8.22포인트(0.95%) 오른 870.37에 거래를 마감했다. 이날 코스닥지수는 전 거래일(862.15)보다 10.16포인트(1.18%) 오른 872.31에 거래를 시작했다. 이후 870선에서 등락을 반복했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미국의 CPI가 예상치에 부합하면서 금리 인하 기대감이 부각됐다”며 “외국인과 기관의 순매수로 강세를 나타냈고, 금리에 민감한 업종이 강세를 보였다”고 전했다. 수급별로는 개인이 홀로 807억원을 팔았다.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281억원, 749억원 순매수했다. 프로그램은 차익과 비차익을 합쳐 822억원 매수를 보였다. 업종별로는 상승우위였다. 일반전기전자와 금융, 기타 제조가 각 2%대 강세를 나타내며 지수의 상승을 견인했고, 반도체와 비금속 등도 1%대 오름세를 나타냈다. 반면, 음식료·담배, 운송, 섬유·의류 등이 1% 미만 수준으로 약세를 보였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도 상승하는 종목이 더 많았다.에코프로비엠(247540)과 에코프로(086520)는 각각 2.61%, 2.96% 오름세를 나타냈고, 알테오젠(196170)과 셀트리온제약(068760), 이오테크닉스(039030)도 각 2% 강세를 보였다. 특히 HPSP(403870)가 11.80% 오르며 급등했다. 반면 리노공업(058470)은 7%대 떨어졌고, 레인보우로보틱스(277810)와 삼천당제약(000250)은 각 1% 미만 수준으로 약세를 보였다. 종목별로는 HLB(028300)가 간암 신약 ‘리보세라닙’에 대한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품목허가 여부 심사 결과가 곧 나올 것이라는 소식에 장중 13%까지 올랐다가 오후 들어 상승 폭을 반납하고, 1.27%대 상승으로 마감했다. 뉴보텍(060260)은 80% 비율의 무상감자를 한다는 소식에 하한가에 근접한 28.08% 하락하며 장을 마감했다. 이날 코스닥에서 거래량은 9억3628만주, 거래대금은 9조6647억원으로 집계됐다. 상한가 종목 1개를 포함 895개 종목이 상승했고, 하한가 종목 없이 645개 종목이 하락했다. 95개 종목은 보합권에 머물렀다.
2024.05.16 I 이용성 기자
뜨뜻미지근 로봇株, 반등 기대는 하반기로
  • 뜨뜻미지근 로봇株, 반등 기대는 하반기로
  • [이데일리 이정현 기자] 대표적인 성장주로 자리 잡으며 오름세를 이어온 로봇 테마주가 최근 지지부진한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기대를 모았던 시장의 성장이 더딘 모습을 보이며 주가 역시 약세를 이어가고 있다는 분석이다. 증권가에서는 금리 인하가 예상되고 협동로봇 시장의 업황이 회복하는 하반기에 로봇 관련 주가가 다시 상승세를 탈 것으로 보고 있다.(그래픽=이데일리 김다은 기자)15일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로봇 대장주인 두산로보틱스(454910)는 전일 7만2800원에 거래를 마감했다. 지난달 8만원대가 무너진 후 한 달 넘게 7만원대 초반에 발이 묶여 있다. 레인보우로보틱스(277810)는 17만7500원에 마감했는데 지난 3월22일 장중 20만원대를 돌파한 이후 약세 흐름이다. 다른 로봇주도 비슷한 상황이다. 두 달여 전에 신규 상장한 엔젤로보틱스(455900)는 3만원대 중반까지 주가가 하락하며 고점 대비 반 토막 났다. 시장에서는 로봇주의 지지부진한 흐름의 배경으로 조금씩 둔화하고 있는 성장세를 꼽고 있다. 두산로보틱스는 지난 1분기 매출액 109억원에 영업손 69억원을 기록했다. 탑라인 성장 흐름은 유지했으나 매출액이 전년동기대비 3.1% 늘어나는데 그쳤으며 적자는 확대되는 등 성장 폭이 다소 둔화됐다. 같은 기간 레인보우로보틱스는 매출액 30억원에 영업손 4억원을 기록했다. 적자폭은 줄었으나 매출액도 감소했다. 이와 함께 금리 인하 시기가 늦어지고 있는 점도 성장주인 로봇 관련 종목에는 악재로 작용하고 있다.증권가에서는 하반기에 로봇주가 반전의 계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로봇의 주력 시장인 북미 시장 매출이 증가하며 수익성 개선에 기여할 수 있다는 기대가 나오면서다.이와 함께 대기업을 중심으로 로봇 산업에 대한 투자가 확대하며 투심이 회복하리라는 전망도 제기된다. 삼성전자(005930)는 차세대 지능형 로봇 개발을 위해 디바이스경험(DX) 부문 산하의 로봇사업팀을 해체하고 연구개발(R&D) 인력을 최고기술책임자(CTO) 부문에 배치하는 등 관련 사업 조직을 개편했다. 이에 첫 웨어러블 로봇인 ‘봇핏’의 개발과 양산이 끝난 데 따른 조치라는 해석이 뒤따르고 있다. 이 소식이 알려지자 로봇주 전체가 들썩이기도 했다. 양승윤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하반기 이후 성장 궤도에 복귀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기술적으로 실제 수요 현장 적용에 시스템 통합(SI) 등 복잡한 과정이 필요해 기대보다 로봇 시장의 개화 속도는 더딜 수 있으나 AI 발전과 다양한 업종에서 로봇 도입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는 만큼 특정 시점 이후 폭발적 성장세를 보일 수 있다”고 말했다.
2024.05.16 I 이정현 기자

더보기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