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렬
  • 영역
  • 기간
  • 기자명
  • 단어포함
  • 단어제외

뉴스 검색결과 10,000건 이상

극동유화, 액침냉각 핵심원료 윤활유...20개국 글로벌 수출 부각 '강세'
  • [특징주]극동유화, 액침냉각 핵심원료 윤활유...20개국 글로벌 수출 부각 '강세'
  • [이데일리TV IR팀]극동유화(014530)의 주가가 오름세다. AI 데이터센터의 증가로 액침냉각 수요증가가 예상됨에 따라 액침냉각액 또한 수요가 같이 증가할 거란 전망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풀이된다. 액침냉각유는 윤활유의 한 종류로 윤활유 베이스에 다른 첨가물을 섞어 만든 것으로 알려졌다. 극동유화는 윤활유 생산 및 수출 업체다.31일 오후 1시 10분 현재 극동유화는 전일 보다 2.02% 오른 4050원에 거래 중이다.인공지능(AI) 산업의 성장이 데이터센터의 수요를 폭발적으로 증가시키면서 전력 소비 역시 대폭 늘어나고 있는 상황에서 인공지능에 최적화된 전력원 찾기에 시장 참여자들 관심이 증폭되고 있는 모습이다.최근에는 냉각 효율이 높은 액침냉각 방식이 가장 주목 받고 있다. 데이터 서버 자체를 전기가 흐르지 않는 특수 용액에 통째로 넣어 식히는 방법이다.엔비디아도 지난주 1분기 실적발표 후 콘퍼런스콜에서 차세대 AI칩 ‘블랙웰’을 활용한 최신 그래픽처리장치(GPU) ‘B100’을 액침냉각 기반으로 설계했다고 밝혔다.액침냉각액 수요 증가에 따라 윤활유 수요 또한 증가할 거란 전망에 투자자들의 관심이 집중된 것으로 풀이된다. 액침냉각유는 윤활유의 한 종류로 윤활유 베이스에 다른 첨가물을 섞어 만든 것으로 알려졌다. 1979년 창업한 극동유화는 당시 한국 윤활유 산업의 신세대 주자로 시작해 연구·개발에 박차를 가해왔다. 지금은 동남아를 비롯한 세계 20여개 국가에 윤활유를 수출하고 있다.
2024.05.31 I 김다운 기자
이브이첨단소재, 프롤로지움·슈나이더 업무협약 소식에 26%↑
  • [특징주]이브이첨단소재, 프롤로지움·슈나이더 업무협약 소식에 26%↑
  • [이데일리 이정현 기자] 이브이첨단소재(131400)가 대만 전고체 배터리 업체 ‘프롤로지움 테크놀로지’(이하 프롤로지움)가 슈나이더 일렉트릭과 배터리 생산 최적화를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는 소식에 급등했다. 이브이첨단소재는 프롤로지움의 투자사다.30일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이브이첨단소재는 이날 전거래일 대비 26.29%(635원) 오른 3050원에 장을 마감했다. 이브이첨단소재에 따르면 프롤로지움이 52억유로(약 7조 5000억원)를 투자해 프랑스에 짓게 될 공장은 대만에 있는 40MWh 규모 전고체 배터리 파일럿 공장 외에 첫 해외 생산거점이다. 2026년 말부터 가동을 시작해 2031년까지 증설을 거쳐 연간 약 60GWh의 생산능력을 갖추게 되며 이는 연간 약 75만 대의 차량에 배터리를 공급할 수 있는 생산규모다.프롤로지움의 배터리 제조 공장은 리튬 이온 전지보다 더 강력하고 안전하며 충전 속도가 빠른 리튬 세라믹 배터리를 생산한다. 프랑스의 탈탄소 에너지를 사용하여 제조하는 유럽 전기차 산업의 중요한 현지 공급업체가 될 것으로 보인다.이번 프랑스 공장을 통해 프롤로지움은 글로벌 전고체 배터리 선두기업으로 더욱 발전해 나갈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프롤로지움은 그 기술력을 인정받으며 소프트뱅크 차이나벤처캐피탈, CRFM, 메르세데스 벤츠의 투자를 받았고, 국내에서는 이브이첨단소재와 포스코홀딩스가 지분투자한 바 있다.국내에서 최초로 투자했던 이브이첨단소재는 2021년 7월에 2차전지 미래먹거리 확보 전략으로 850만달러(약 101억원)를 투자하며 발빠른 대응에 나선 바 있다.이브이첨단소재는 “전기차 FPCB사업의 확대, 배터리사업에 대한 투자를 통해 친환경 기업으로 발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2024.05.30 I 이정현 기자
'SK 급등' 경영권분쟁 가능성…고법 "주식도 분할 대상"
  • 'SK 급등' 경영권분쟁 가능성…고법 "주식도 분할 대상"[특징주]
  • [이데일리 김인경 기자] SK(034730)가 30일 장 마감 직전 급등세를 타고 있다. 최태원 SK그룹 회장과 노소영 아트센터 나비 관장의 이혼소송 항소심 결과가 나오며 경영권 분쟁 가능성이 부각되면서다.마켓포인트에 따르면 이날 오후 3시 13분 SK(034730)는 전 거래일보다 1만7300원(11.96%) 오른 16만2000원에 거래 중이다. SK우(03473K) 역시 13.94% 강세다. SK는 장 중 한때 VI가 발동하기도 했다.서울고법 가사2부는 이날 두 사람의 이혼소송 2심 선고 공판을 열고 “최태원 회장은 노소영 관장에게 재산분할로 1조3808억원, 위자료 20억원을 지급해야 한다”고 밝혔다. 2022년 12월 6일 1심이 “최 회장이 노 관장에게 위자료 1억원과 재산분할금 665억원을 지급하라”고 판결한 지 약 1년 6개월 만으로 1심이 인정했던 위자료 1억원과 재산분할 665억원에서 크게 늘어난 금액이다. 특히 재산분할은 현재까지 알려진 역대 최대 규모다.고법은 또 “노 관장이 SK그룹의 가치 증가나 경영활동의 기여가 있다고 봐야 한다”며 “최 회장의 재산은 모두 분할 대상”이라고 했다. 최 회장이 보유한 SK㈜ 주식은 분할 대상이 아니라는 1심 판단도 뒤집힌 것이다.시장에서는 주식이 분할대상이 되면서 경영권 변수가 생겼다고 보고 있다. 물론 고법 판결인 만큼, 향후 변수도 있지만 당분간 경영권을 둘러싼 갈등이 고조되면서 주가의 상승세가 기대된다는 평가다. 최태원 SK 회장과 노소영 아트센터 나비 관장이 지난달 16일 오후 서울 서초구 서울고등법원에서 열린 이혼 소송 항소심 공판에 출석했다. (사진=연합뉴스)
2024.05.30 I 김인경 기자
1 2 3 4 5 6 7 8 9 10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