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렬
  • 영역
  • 기간
  • 기자명
  • 단어포함
  • 단어제외

뉴스 검색결과 5,640건

과기정통부, 세계 최대 규모 ICT 전시회 CES 참가 지원
  • 과기정통부, 세계 최대 규모 ICT 전시회 CES 참가 지원
  • [이데일리 한광범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개최되는 CES 2024에 K-메타버스 공동관을 구성하고 국내 메타버스·XR 기업의 참가를 지원한다고 8일 밝혔다(사진=연합뉴스)K-메타버스 공동관에 참여하는 기업은 총 10개사로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공간컴퓨팅, 스마트웨어 등 다양한 기술과 융합된 메타버스·XR 제품을 선보인다. 과기정통부는 참가기업의 성공적인 해외 진출을 위해 IR 피칭, 바이어 상담회, 미디어 플로우 투어 등 다양한 수출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할 계획이다. 미디어 플로우 투어 프로그램은 포브스 등 미국 주요 언론사를 비롯해 디지털 미디어 채널, 북미 현지 테크 인플루언서 등을 초청해 국내 메타버스 기업의 우수한 기술력을 널리 홍보할 예정이다.이번 행사에 참가한 메타버스·XR 기업 10개 사 중 3개 사가 총 4개 부문에서 ‘CES 2024 혁신상’ 수상을 확정하는 등 K-메타버스 공동관 참가기업들의 혁신적인 제품과 서비스가 전 세계 투자자, 바이어들의 높은 관심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과기정통부 측은 설명했다. 과기정통부는 2023년 메타버스·XR 분야 유망기업 38개사를 대상으로 해외 판로 개척을 위해 사전역량 강화, 글로벌 마켓 참가 지원(5개), 후속 비즈니스 매칭 등 다양한 해외 진출 프로그램을 지원했으며 올해에도 북미·중동·아세안 등 주요 권역별 전시회에 메타버스·XR 분야 유망 기업의 참가를 지원하고 실질적인 성과 창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예정이다.강도현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정책실장은 “최근 생성형 AI 등 다양한 디지털 기술과의 융합, 제조·건설·교육 등 타 산업 분야와의 융합 등으로 메타버스 산업이 새로운 기회의 영역으로 재부상하고 있다”며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혁신적인 기술력으로 무장한 국내 메타버스·XR 기업들의 해외 진출과 수출 확대를 위해 모든 역량을 활용해 지원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2024.01.08 I 한광범 기자
'개인 트레이닝'도 해주는 AI TV…삼성, QLED 신제품 발표
  • '개인 트레이닝'도 해주는 AI TV…삼성, QLED 신제품 발표[CES 2024]
  • [라스베이거스=이데일리 조민정 기자] “삼성 인공지능(AI) 스크린은 가정의 중심에서 집안의 모든 기기들을 연결·제어하는 ‘AI 홈 디바이스’의 중심 역할을 수행하게 될 것입니다.” (용석우 삼성전자 영상디스플레이사업부장 사장)삼성전자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전자 전시회 ‘CES 2024’ 개막에 앞서 7일(현지시간) ‘삼성 퍼스트 룩 2024’을 열고 차세대 AI 프로세서를 공개하며 ‘AI 스크린 시대’의 포문을 열었다. 용석우 사장은 “차세대 AI 프로세서와 타이젠 운영체제(OS)를 바탕으로 기존 스마트 TV를 넘어 새로운 삶의 방식을 선사하는 ‘AI 스크린 시대’를 선도해갈 것”이라고 말했다.삼성전자 영상디스플레이사업부장 용석우 사장이 7일(현지시간) 진행된 ‘삼성 퍼스트 룩 2024(Samsung First Look 2024)’ 행사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는 모습.(사진=삼성전자)◇2배 빨라진 NPU…‘NQ8 AI 3세대’ 프로세서 적용한 QLED삼성전자(005930)는 2020년부터 꾸준히 연구 개발해 온 AI 시스템온칩(SOC) 기술을 집대성한 ‘NQ8 AI 3세대’ AI 프로세서와 이를 탑재한 2024년형 Neo QLED 8K TV(QN900D)를 선보였다. 전년 대비 8배 많은 512개의 뉴럴 네트워크와 2배 빠른 신경망처리장치(NPU)를 가진 ‘NQ8 AI 3세대’ 프로세서는 역대 삼성 TV 프로세서 중 가장 강력한 성능을 자랑한다.이번 신제품은 △저화질 콘텐츠를 8K 화질로 선명하게 바꿔주는 ‘8K AI 업스케일링 프로’ △AI 딥러닝 기술로 스포츠 종목 자동 감지, 공의 움직임을 부드럽게 보정하는 등 영상의 왜곡을 줄여주는 ‘AI 모션 인핸서 프로’ △화면의 다양한 음원 중 음성만 분리해 대화 내용을 명료하게 전달하는 ‘액티브 보이스 앰플리파이어 프로’ 등을 지원한다.여기에 한 단계 진화한 ‘Q심포니’로 여러 대의 무선 스피커와 사운드바를 TV와 연동해 풍성한 서라운드 음향을 즐길 수 있다. Neo QLED 8K는 AI의 다양한 기능을 통해 SD·HD·FULL HD 등 저화질로 전송되는 라이브 스포츠·콘서트, OTT 컨텐츠도 마치 현장에서 관람하는 듯한 경험을 선사한다.삼성전자 모델이 7일(현지시간) 진행된 ‘삼성 퍼스트 룩 2024’ 행사에서 ‘24년형 Neo QLED 8K를 소개하고 있는 모습.(사진=삼성전자)◇TV 계정별로 콘텐츠 추천…개인 트레이닝 역할도2024년형 삼성 TV는 단순히 콘텐츠를 시청하는 기기를 넘어 개인의 라이프스타일에 최적화된 기기로 진화했다. 대폭 개편된 2024년형 ‘타이젠 OS 홈’은 TV에 등록된 계정 별로 맞춤형 콘텐츠를 추천해주고, ‘삼성 TV 플러스’는 홈 화면에서 시청 가능한 콘텐츠를 한 눈에 보여주며 원하는 컨텐츠를 더 빠르고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한다. ‘AI 오토 게임모드’는 좋아하는 게임을 선택하면 타이틀을 분석해 장르와 환경에 맞는 화질과 음질로 최적화한다. 삼성전자는 향상된 게이밍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액세서리 파트너십 프로그램인 ‘디자인 포 삼성 게이밍 허브’도 론칭했다. 이에 PDP(Performance Designed Products LLC)는 CES2024에서 삼성 TV에 최적화된 게임 컨트롤러를 공개했다. 해당 제품은 △최대 40시간 재생 가능한 충전식 배터리 △저지연 모드를 지원하는 블루투스 연결 △게이밍 허브에 바로 접속 가능한 삼성 게이밍 허브 홈 버튼 △게임 중에도 TV를 조작할 수 있는 볼륨 조절 버튼이 탑재됐다.올해 첫 선을 보이는 ‘삼성 데일리 플러스’는 개인 트레이닝부터 원격의료, 원격 PC 제어, 화상 통화 등을 제공하며 홈 허브 역할을 한다. △운동 시간, 심박수 등 실시간 운동 데이터를 보여줘 실내 운동의 즐거움을 더해주는 ‘워크아웃 트래커’ △반려동물 원격 의료 서비스 ‘닥터 테일’ △블루투스 키보드나 마우스로 TV, 모니터, 모바일 기기간 컨텐츠를 자유자재로 복사, 이동할 수 있는 ‘멀티 컨트롤’ 등을 지원한다.7일(현지시간) 진행된 ‘삼성 퍼스트 룩 2024’ 행사에서 공개된 차세대 AI 프로세서 이미지.(사진=삼성전자)◇접근성 기능도 강화…자막도 실시간으로 읽어준다삼성전자는 장애인들의 편의를 높일 수 있는 배리어프리(Barrier-free) 실현을 위해 접근성 기능도 향상했다. 2024년형 삼성 TV에는 세계 최초로 AI와 광학식 문자인식(OCR) 기술을 활용해 자막을 실시간으로 음성 변환해주는 ‘들리는 자막’ 기능이 적용됐다.AI 기술로 저시력자가 별도의 기기 없이 좋아하는 컨텐츠를 즐길 수 있는 ‘릴루미노 모드’도 더욱 강화했다. 특히 일반 화면과 릴루미노 모드 화면을 동시에 볼 수 있는 ‘릴루미노 투게더 모드’를 새로 탑재해 저시력자가 가족들과 함께 TV를 시청할 수 있게 됐다.이 밖에도 스마트폰으로 더 섬세하게 TV를 제어할 수 있는 ‘리모트 포 베리어 프리’ 기능을 탑재했다. 시각, 청각, 신체 장애가 있는 사용자는 스마트폰을 통해 △직관적인 버튼 배치 △색상 대비 강조 △촉각 피드백과 같은 UI를 개선할 수 있고 △음성 가이드 등의 접근성 기능을 쉽게 사용할 수 있다.7일(현지시간) 진행된 ‘삼성 퍼스트 룩 2024’ 행사에서 공개된‘24년형 Neo QLED 8K 이미지.(사진=삼성전자)◇‘투명 마이크로 LED’ 공개…장인정신의 새로운 기준 제시삼성전자는 초소형 마이크로 LED 칩과 정밀한 제조 공정으로 선명하고 베젤이 없는 화면을 제공해 가정용, 산업용으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마이크로 LED 스크린도 소개했다. 특히 모듈 간 경계를 없앤 심리스 기술 덕분에 다양한 공간에 적합한 형태와 크기, 비율로 화면을 맞춤 제작할 수 있는 모듈식 디자인을 자랑한다.아울러 세계 최초로 투명 마이크로 LED를 공개했다. 투명 마이크로 LED는 기존 투명 디스플레이의 한계를 극복한 제품으로, 현저히 높은 투과율을 자랑하며 유리로 사용되는 모든 공간을 디스플레이화 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삼성전자는 42형부터 83형까지 OLED 라인업을 확대하며 소비자들의 선택의 폭을 넓혔다.2024년형 삼성 OLED는 눈부심 방지 기술을 적용해 낮에도 몰입감 있는 시청 경험을 제공하고, AI 기술로 정확도를 높인 색상 표현을 자랑한다.삼성전자가 CES2024에서 세계 최초로 선보인 투명 마이크로 LED.(사진=삼성전자)◇최초 무선 프로젝터, 액자형 스피커, 사운드바도 발표삼성전자는 프로젝터 최초로 무선 연결을 지원하는 ‘더 프리미어 8K’를 공개했다. 셋톱박스 등 연결기기들을 무선으로 연결할 수 있어 선 정리가 필요 없다. 세계 최초로 특허기술인 ‘사운드-온-스크린’이 적용돼 영화관처럼 화면에서 사운드가 전달되는 경험과 더불어 △백그라운드 재생을 지원하는 프리미엄 홈 오디오 △클라우드 게이밍 △원거리 음성 인식 △최대 4개로 화면 분할이 가능한 ‘멀티뷰’ 등 스마트 기능도 지원한다.모던한 액자 형태의 맞춤형 스피커인 ‘뮤직 프레임’은 어떤 인테리어에도 잘 어울리며 스마트싱스로 제어할 수 있다. 단독 무선 스피커로도 사용할 수 있고, 삼성 TV·사운드바와 연동 시 ‘Q심포니’ 기능을 통해 완벽한 홈 시네마 경험을 제공한다.사운드바 최상위 모델인 ‘HW-Q990D’는 돌비 애트모스(Dolby Atmos) 사운드를 제공하는 동시에 다양한 콘텐츠의 완벽한 청취 경험을 위해 오디오를 분석하고 AI를 활용해 사운드를 최적화한다.삼성전자가 CES2024에서 세계 최초로 선보인 투명 마이크로 LED.(사진=삼성전자)
2024.01.08 I 조민정 기자
'SK표' AI·친환경 출격...CES서 기술력 뽐낸다
  • 'SK표' AI·친환경 출격...CES서 기술력 뽐낸다[CES 2024]
  • ‘CES2024’ SK그룹관에서 전시 주제 영상을 상영하는 구형 LED ‘Wonder Globe’(사진=SK)[라스베이거스=이데일리 김가은 기자]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SK표’ 인공지능(AI)·친환경 기술이 대거 공개된다. 세계 최대 가전·정보기술(IT) 전시회 ‘CES 2024’에 참가한 SK는 테마파크를 방불케 하는 560평 규모 전시관에서 각종 첨단 기술에 대한 체험 전시를 꾸렸다. 글로벌 기업들과의 ‘연합 전선’ 구축 또한 활발히 진행될 전망이다. 최태원 회장을 비롯한 SK경영진들이 직접 참석해 외연 확대에 나설 예정이다.7일 SK는 오는 9~12일(현지 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 컨벤션 센터(LVCC) 센트럴홀에서 기후위기가 사라진 넷제로 세상을 구현한 560평 규모 ‘SK그룹 통합전시관’과 다양한 AI 기술 리더십을 소개하는 160평 규모의 ‘SK ICT 패밀리 데모룸‘을 별도 운영한다고 밝혔다.SK그룹 통합전시관 콘셉트는 ’테마파크‘다. SK, SK이노베이션, SK하이닉스, SK텔레콤, SK E&S, SK에코플랜트, SKC 등 7개 계열사 기술을 집약한 수소 기차, AI 포춘텔러 등 다양한 체험을 준비했다.김동현 SK USA 담당이 7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간담회에서 발표하고 있다(사진=김가은 기자)이번 전시 준비를 총괄한 김동현 SK USA 담당은 간담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테마파크 콘셉트를 선택한 이유로 ’긍정의 힘‘을 꼽았다. 위기감보다는 긍정적인 감정을 끌어내 장기적 영향력을 미치기 위한 목적이다.김 담당은 “지난 2년간 기후 위기감을 강조하는 커뮤니케이션 방식으로 초반 메시지 주목도를 높이는데 성공했지만 이제는 장기적 영향력으로 행동의 변화를 이끌어낼 때”라며 “그러다보니 생각난 아이디어가 디즈니랜드였다. 스토리가 사실로 구현된 것을 보며 느껴지는 행복감, 유쾌함 등이 SK가 추구하는 방향성과 맞는다고 생각했다”고 설명했다.이어 “놀이공원이 가진 특징과 CES 2023 당시 주요 기술요소를 합쳐 ’SK 원더랜드‘라고 지어봤다”고 덧붙였다.‘CES2024’ SK그룹관 전경(사진=SK)통합 전시관은 라스베가스의 랜드마크인 스피어(Sphere)를 연상케 하는 지름 6미터의 대형 구체 LED를 중심으로 5개의 구역으로 나뉜다.첫번째 구역은 수소연료전지 젠드라이브를 에너지원으로 운행 되는 기차를 타고 15 미터 미디어 터널을 통과하며 SK가 구축하고 있는 수소 생태계를 영상으로 관람할 수 있는 ‘트레인 어드벤처(Train Adventure)’다. 터널 속 영상에서는 수소 뿐만 아니라, 차세대 에너지원(CCUS, Carbon Capture Utilization Storage), 재생에너지의 간헐성을 극복하기 위한 에너지솔루션 사업, 해상풍력 하부구조물까지 만나볼 수 있다. 두번째 구역은 AI기술을 통해 운세를 점치고 얼굴이 합성된 카드를 뽑아보는 ‘AI포춘텔러(AI Fortune Teller)’다.현존 최고 성능의 고대역폭메모리반도체(HBM) ‘HBM3E’도 전시된다. 텍스트 뿐만 아니라 이미지, 비디오 등 복잡한 데이터를 다루는 AI가 제 기능을 하기 위해서는 방대한 데이터를 더 빠르게 처리할 수 있는 메모리가 필수적이다. SK는 세계 최초로 HBM을 개발했다. 최근에는 HBM3를 개발과 양산에도 성공했다.세번째 구역은 ‘로봇팔’에 매달린 자동차가 춤을 추듯이 화면 앞에서 움직이며 SK그룹의 친환경 전기차 기술을 소개하는 ‘댄싱카(Dancing Car)’이다. 이 구역에서는 전기차 배터리, 초고속 충전기와 배터리 리사이클링 주기와 글로벌 네트워크 뿐만 아니라 이차전지 핵심 소재인 동박, 전기차 충전 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는 실리콘 음극재가 소개된다. 9일(현지시각)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개막하는 세계 최대 가전 IT 박람회인 ‘CES2024’에서 SK그룹관 관계자들이 AI 메모리가 적용된 전시물을 소개하고 있다.(사진=SK)네번째 구역은 전기 사용으로 탄소 배출 없이 운행이 가능한 도심항공교통(UAM)을 체험 할 수 있는 ‘매직 카페트(Magic Carpet)‘이다. 관람객들은 AI 반도체 사피온 성능을 비롯해 기체에 장착된 카메라, 레이더 등 센서 데이터를 정확하게 분석해 비행 중 위험요소를 제거하고 안전한 운행이 가능한 UAM을 체험할 수 있다. 이는 내년 한국 내 상용화를 목표로 하고 있는 UAM을 형상화한 것이다.마지막 다섯번째 구역인 ‘레인보우 튜브(Rainbow Tube)’에서는 알록달록한 플라스틱 쓰레기가 재활용되는 모습을 관람할 수 있다. SK는 폐플라스틱 리사이클에 필요한 3대 핵심기술인 ‘해중합’, ‘열분해’, ‘고순도 PP 추출’ 기술을 기반으로 글로벌 플라스틱 리사이클 생태계를 구축 중이다. 폐플라스틱을 가열해 만든 열분해유는 직접 연료로 사용되거나, 후처리 기술을 통해 석유화학 공정에 투입해 새로운 화학제품을 생산하는 순환경제 핵심기술이다.김동현 SK USA 담당은 “테마파크 컨셉을 도입해 관람객이 직접 행복하고 즐거운 경험을 통해 일상 생활 곳곳에 녹아있는 SK 기술과 솔루션을 보다 쉽고 친근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했다”며 “SK 부스는 AI와 친환경이 결합된 패키지 솔루션을 경험할 수 있는 곳으로, AI를 활용한 친환경 솔루션(에너지 솔루션, VPP, LITMUS 등), AI 구현을 위한 친환경 솔루션(저전력 반도체, 액침 냉각 등) 등 AI·친환경 기술이 어떻게 우리 일상에 적용돼 활용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공간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글로벌 기업과의 넷제로·AI 협력 또한 확대될 전망이다. 최태원 회장과 최재원 SK온 대표·수석부회장 등 최고 경영진들이 직접 참석해 협력 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다. 특히 최 회장은 일부 글로벌 기업들과 넷제로·AI를 주제로 비즈니스 미팅을 가질 것으로 알려졌다. 최재원 수석부회장은 모빌리티 트렌드와 신기술 현황을 점검하고 글로벌 고객사와 미팅을 통해 미래 사업을 구상할 예정이다. 곽노정 SK하이닉스 사장, 유영상 SK텔레콤 사장, 윤풍영 SK C&C 대표 등 각사 최고경영자(CEO)들 또한 글로벌 기업과 만나 탄소감축 및 AI 파트너십 강화와 외연 확대에 나설 계획이다. SK그룹 관계자는 “CES를 통해 기후변화 위기 등 인류가 직면한 문제에 대해 SK가 에너지, AI, 환경 관점의 솔루션 패키지를 제공할 수 있는 최적의 파트너임을 보여줄 것”이라며 “인류의 지속가능한 행복과 기업의 성장을 위해 많은 글로벌 기업과 연대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2024.01.08 I 김가은 기자
오세훈, 美 'CES 2024' 참석 출장길…서울기업 세일즈·투자유치 나서
  • 오세훈, 美 'CES 2024' 참석 출장길…서울기업 세일즈·투자유치 나서
  • [이데일리 양희동 기자] 오세훈 서울시장이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ICT(정보통신기술) 박람회인 ‘CES 2024’ 참석한다.서울시는 오세훈 시장이 8일부터 4박 7일 일정으로 미국 출장길에 올라 CES 2024 ‘서울관’에 참여하는 기업을 격려하고 최신 글로벌 기술 동향 시찰, 서울 투자유치 등에 나선다고 밝혔다.미국 라스베이거스의 구형 공연장 ‘더스피어’. (사진=Sphere Entertainment)서울시는 지난 2020년부터 CES에 참가해 서울관을 운영하며 서울기업의 투자 유치와 영업을 지원해 오고 있다.이번 출장에서 오 시장은 CES 2024 방문뿐 아니라 △‘서울 스마트 라이프 위크’ 로드맵 발표 △‘2024 MLB 월드 투어 서울 시리즈’ 개최 관련 MLB 국제사업총괄 부사장 면담 △첨단공연시설 ‘MSG 스피어(Sphere)’ 시찰 등에 나선다.오 시장은 4박 일정 중 이틀간(1월 9~10일) CES 2024 현장을 찾아 서울관과 삼성·LG·현대차 등 국내·외 대기업, 스타트업 전시부스를 차례로 방문하고 ‘서울 이노베이션 포럼 2024’에도 참석한다.첫날인 9일엔 오전 11시(현지시간) 국가·스타트업 전시관인 ‘유레카파크’에서 서울바이오허브, 서울AI허브 등 13개 기관 및 서울 소재 스타트업 81개 기업이 참여하는 서울관 개관식에 참석한다. 이날 개관식에는 오 시장과 게리 샤피로 CTA 회장, 참여기업 대표 등 100여 명이 참석한다. 서울관에 참여한 서울 소재 81개 기업 중 18개사가 CES 2024 ‘혁신상’을 수상했고, 그 중 2개 사는 참여기업 중에서도 1%만 받는 ‘최고혁신상’을 수상하는 쾌거를 얻은 바 있다.오 시장은 CES 2024 혁신상을 수상한 기업 대표들과 오찬 간담회를 갖고 글로벌 진출 및 사업화 과정에 겪었던 애로사항 등을 들을 예정이다. 또 유레카파크 내 일본·네덜란드·프랑스관 등 글로벌 스타트업 전시부스를 돌며, 최신 기술 동향 및 협업 방안도 모색한다.이날 오후엔 오 시장이 MLB 국제사업총괄 부사장을 만나 오는 3월 서울 고척스카이돔에서 국내 최초로 열릴 ‘2024 MLB 월드 투어 서울 시리즈’의 성공적인 개최와 ‘서울시-MLB’ 간 지속적인 파트너십 강화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고척스카이돔에선 3월 20~21일 국내 첫 MLB 정규시즌 공식 개막전(정규시즌 2경기·서울시 후원)이 열릴 예정이다. 같은 날 오후 5시 30분(현지시간)엔 CES에서 열리는 ‘서울 이노베이션 포럼 2024’에 참석, 오는 10월 코엑스에서 개최될 ‘서울 스마트 라이프 위크’의 중장기 로드맵을 밝힐 계획이다.다음날인 10일에는 국내·외 기업 전시부스가 마련된 라스베이거스 컨벤션센터(LVCC) 센트럴·웨스트를 둘러보고, 창조산업·약자동행·라이프 스타일 등 서울시민의 미래를 변화시킬 글로벌 최신 산업과 기술을 정책에 적용할 방안을 찾을 계획이다.오 시장은 11일 오전엔 ‘라스베이거스 관광청’을 방문해 라스베이거스 관광·마케팅 전략을 들을 예정이다.라스베이거스 관광청은 CES가 열리는 ‘라스베이거스 컨벤션센터’를 비롯해 대규모 행사시설, 교통수단(모노레일 등)을 소유 및 운영하고 있다. 매년 다양한 행사를 통해 연간 3900만 명의 관광객(마이스 500만 명)이 유입, 약 793억 달러(약 104조원)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보고 있다. 같은날 오후엔 지난해 개관 직후부터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는 첨단공연시설 ‘MSG 스피어’를 방문한다. 스피어는 약 7만 2800㎡의 대지에 높이 약 112m, 지름 약 160m, 세계 최대 구형(球形) 공연장이다. 건축물 외부 약 5만 3000㎡로 설치된 18K 초고해상도 스크린을 통해 광고 등 직·간접적인 경제 효과를 보고 있다.한편 오 시장은 12일 오후 10시 50분(현지시간) 라스베이거스 출장 일정을 마무리하고 귀국길에 오른다.
2024.01.08 I 양희동 기자
암막커튼 뒤..韓기업들, 신제품 개봉박두 '두둥'
  • [영상]암막커튼 뒤..韓기업들, 신제품 개봉박두 '두둥'[CES 2024]
  • [라스베이거스=이데일리 최영지 기자] 삼성전자와 LG전자 등 주요 전자기업들이 오는 9~12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가전·IT전시회인 ‘CES 2024’ 전시 준비에 한창이다.미국 라스베이거스 소재 LVCC(라스베이거스 컨벤션센터) 센트럴홀 내 삼성전자 부스.LVCC의 센트럴홀에서 전시 예정인 삼성전자(005930)와 LG전자(066570) 등 기업들은 전시내용이 다른 기업에 공개되지 않도록 암막커튼을 치는 등 보안 유지에 집중하는 모습이다. 자사 직원으로 확인되지 않을 경우 내부 전시관으로 입장을 제한하고 있다. 전시장 곳곳에서 지게차가 경적을 울리며 부스 설치에 필요한 자재와 물품을 실어 날랐다. 센트럴홀에는 삼성전자와 LG전자, 소니, 파나소닉 등의 전시가 열린다.행사 관계자는 “아직 전시 준비가 한창이지만 개막까지 이틀이 남아있기에 9일부터는 완벽한 전시 관람이 가능할 것으로 확신한다”고 했다.미국 라스베이거스 소재 LVCC(라스베이거스 컨벤션센터) 센트럴홀 내 삼성전자 부스 앞 관계자들이 전시 준비에 한창이다.올해 CES 주제가 인공지능(AI)인 만큼 많은 기업들이 AI관련 미래기술 및 혁신제품 등을 선보일 예정이다. 삼성전자는 LVCC 내 가장 넓은 3934㎡(약 1192평) 규모로 전시관을 마련했으며 ‘모두를 위한 AI(AI for All)’이란 주제로 자체 개발한 생성형 AI(인공지능) ‘가우스’와 차세대 생활 가전, 테슬라와의 협업 사례 등을 소개한다.미국 라스베이거스 소재 LVCC(라스베이거스 컨벤션센터) 센트럴홀 내 LG전자 부스.LG전자는 가전을 넘어 홈과 커머셜, 모빌리티 등으로 확장된 ‘스마트 라이프 솔루션’을 선보인다. 세계 최초의 투명·무선 4K 올레드(OLED·유기발광다이오드) TV인 ‘LG 시그니처 올레드 T’와 2024년형 올레드 에보(evo)를 처음 공개한다.또 고객 경험을 모빌리티로 넓힌 미래 모빌리티 콘셉트 ‘LG 알파블(Alpha-able, αble)’도 처음으로 공개한다. 관람객은 마련된 LG 알파블존에서 미래 모빌리티를 개인화된 디지털 공간을 경험할 수 있다.미국 라스베이거스 소재 LVCC(라스베이거스 컨벤션센터) 센트럴홀 내 LG전자 부스.삼성전자 바로 옆 부스를 꾸린 중국가전기업인 TCL은 TV 및 모니터 신제품을 공개할 예정이다. TCL이 게이밍 모니터존을 꾸리고 관련 제품을 설치 및 점검 중인 모습을 엿볼 수 있었다.TCL 부스 내 게이밍 모니터 전시를 준비 중인 모습.
2024.01.08 I 최영지 기자
AI로 편해진 생활, 환경도 챙긴다…삼성, 혁신 기술 공개
  • AI로 편해진 생활, 환경도 챙긴다…삼성, 혁신 기술 공개[CES 2024]
  • [라스베이거스=이데일리 조민정 기자] 삼성전자가 세계 최대 전자 전시회 ‘CES 2024’에서 ‘모두를 위한 AI(AI for All)‘를 선언하며 AI가 일상 생활 속에서 고객들의 삶에 스며들어 혁신을 만드는 미래 비전을 제시한다.삼성전자(005930)는 9일부터 12일까지(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 컨벤션 센터에 가장 넓은 3934㎡(약 1192평) 규모로 전시관을 마련하고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 △스마트싱스 에코시스템을 지속 부각하며 글로벌 테크 리더로서 AI 기반 신제품과 기술을 대거 선보인다고 8일 밝혔다.삼성전자가 세계 최대 가전·IT(정보기술) 전시회 ‘CES 2024’ 개막에 앞서 미국 라스베이거스 컨벤션센터(LVCC)에 옥외 광고물을 설치했다. (사진=삼성전자)◇ 전시 공간 ‘자원 절약’ 실현…‘넷 제로 홈’ 협업 확대디스플레이 기술이 집약된 ‘더 월(The Wall)’을 활용한 초대형 미디어 파사드를 지나 부스에 들어서면 지속가능성 존이 전면에 위치해 있다. 전시 공간은 자원을 절약하기 위해 벽면에 재활용 플라스틱 소재를 적용하고, IFA 2023 전시장에서 사용했던 재활용 플라스틱 벽면을 일부 재사용한다.전시에선 갤럭시 북4, Neo QLED 8K, 비스포크 그랑데 AI 세탁기가 소재 단계에서 생산, 운송, 사용, 재활용 단계를 거쳐 어떻게 환경 영향을 줄이고 있는지 보여주는 체험형 공간도 마련한다. 에너지 사용량과 요금 모니터링 기능을 제공하고, ‘AI 절약 모드’를 통해 고객들이 직접 에너지 사용량을 줄여 탄소 배출 저감에 기여할 수 있게 해주는 ‘스마트싱스 에너지’도 선보인다.전기요금이 비싼 시간대 혹은 탄소집약도가 높은 시간대를 피해 로봇청소기를 충전하도록 설정하거나 세탁기와 건조기가 한 대로 합쳐진 ‘비스포크 AI 콤보’와 ‘비스포크 식기세척기’를 자동으로 운전해 주는 기능도 상반기 내 새롭게 도입된다. 테슬라와 협력을 통해 미래형 친환경 주거형태 ‘넷 제로 홈’ 협업 확대도 지속 강화하고 있다. 아울러 삼성전자는 △TV의 시각ㆍ청각 접근성 기능을 제공하는 스마트폰 앱 △빅스비를 활용해 생활가전에서 음성 안내를 제공하는 기능 △콘텐츠 내 자막을 읽어주는 TV 기능 △세탁기와 오븐의 접근성 패키지 등 모든 사람들이 제약 없이 편리하게 기술을 사용하기 위한 접근성 기능도 선보인다.◇ 스마트싱스로 차별화된 연결…차세대 스크린 제품도삼성전자는 스마트싱스와 매터(Matter), HCA 표준을 통해 차별화된 연결 경험을 제공해주는 제품과 기술을 대거 선보인다.스마트싱스 하이라이트존에서는 △스트레스 없는 제품 사용 환경을 만들어 주는 ‘캄 테크 기반 쉬운 연결’ △손쉽게 스마트홈 기능을 공유할 수 있는 QR코드 기반 초대 △AI 기반으로 집안 환경을 파악하고 통합적 제어를 돕는 맵 뷰 △에코시스템을 보여주는 스마트싱스 월(Wall) 등을 소개한다.체험존은 △가족과 반려동물을 더 안심하고 돌보는 시나리오를 제안하는 케어존 △몰입감 있는 게임 경험을 제공하는 게이밍존 △삼성푸드와 피트니스, 수면 등 건강 관련 경험을 통합해서 보여주는 헬스존의 세 가지 테마로 구성된다.차세대 스크린 제품으로는 Neo QLED 8K를 중심으로 전년비 2배 더 빠른 NPU와 8배 향상된 뉴럴 네크워크를 탑재한 ‘NQ8 AI Gen3 Processor’를 선보인다. 기존 TV 플러스나 게이밍 허브를 비롯해 올해 새롭게 도입되는 ‘삼성 데일리 플러스’ 기능은 △스마트홈 △커뮤니케이션 △헬스 △워크스페이스 등 유용한 서비스들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해 편리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한다.마이크로 LED에 투명 기술을 접목한 차세대 마이크로 LED도 이번에 처음 선보인다. ‘투명 마이크로 LED’는 공간 제약 없이 맞춤형으로 제작이 가능하다. 높은 투과율과 선명도로 기존 투명 디스플레이 제품들이 구현할 수 없는 선명한 화질을 자랑한다.◇ ‘AI 탑재’ 비스포크 가전·갤럭시북…식재료 자동 관리삼성전자는 한층 진화된 AI 혁신 기능을 적용해 편의성을 극대화한 비스포크 가전을 대거 선보인다. 사물인터넷(IoT) 냉장고인 ‘비스포크 냉장고 패밀리허브 플러스’의 AI 비전 인사이드 기능은 냉장고에 보관 중인 식재료를 기반으로 푸드 리스트를 만들어 레시피를 추천한다. 아울러 자동 기록된 식재료 입고일을 토대로 보관 기한 알림까지 보내 음식물 쓰레기를 줄일 수 있도록 돕는다.세탁기와 건조기가 한 대로 합쳐진 ‘비스포크 AI 콤보’는 세탁물의 무게와 옷감의 재질, 오염도를 센싱해 세탁부터 건조까지 가장 최적의 모드로 맞춰주는 ‘AI 맞춤코스’가 적용됐다. 건습식 겸용 로봇청소기인 ‘비스포크 제트 봇 콤보’는 AI 사물인식과 주행성능으로 스마트폰 케이블, 반려동물 배변 패드 등 작은 사물까지 인식하고 마룻바닥과 카펫 등 바닥 재질에 따라 맞춤 청소를 수행한다.AI 퍼포먼스의 최신 프로세스와 다이내믹 아몰레드 2X 터치 디스플레이를 적용한 새로운 개념의 노트 PC ‘갤럭시 북4 시리즈’도 처음 선보인다. ‘갤럭시 북4 울트라’, ‘갤럭시 북4 프로 360’, ‘갤럭시 북4 프로’ 등 3개 모델로 개선된 인텔 코어 울트라 프로세서를 장착해 향상된 AI 퍼포먼스를 보여준다.◇ 전장 기술력, 스타트업 생태계도 함께 선보여삼성전자는 하만 인수 후 최초로 삼성전자 전시장에 하만의 전장 제품을 통합 전시한다. 하만은 ‘자동차 중심의 소비자 경험’이라는 주제로 차별화된 차량 내 경험을 위한 새로운 전장 분야 기술과 카오디오 체험을 제공한다.하만은 삼성 Neo QLED TV 기술을 접목한 차량용 디스플레이와 삼성 헬스 기능을 자동차 시스템에 적용해 운전자 맞춤형 안전운전을 지원하고, 차량내 운전환경을 최적화할 수 있는 AI 기술 등 삼성전자와 기술적 시너지를 선보인다. 삼성전자와 홈-모바일-모빌리티가 매끄럽게 연결되는 사용자 경험을 강화할 예정이다.마지막으로 삼성전자는 별도로 스타트업 전시관인 유레카 파크에 C랩 전시관을 마련한다. C랩 전시관에서는 현재 삼성전자와 협업 중인 수의사 원격 상담 서비스 스타트업 ‘닥터테일’과 ‘C랩 아웃사이드 광주’에 선정돼 CES 혁신상까지 수상한 생체 식별과 인증 솔루션 스타트업 ’고스트패스’ 등 역대 최다인 15개 업체가 참가한다.
2024.01.08 I 조민정 기자
유리창인 줄…세계 최초 '선 없는 투명 스크린TV' 나왔다
  • 유리창인 줄…세계 최초 '선 없는 투명 스크린TV' 나왔다[CES 2024]
  • [라스베이거스=이데일리 최영지 기자] LG전자는 오는 9~12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CES 2024’에서 세계 최초로 무선 투명 올레드(OLED·유기발광다이오드) TV를 선보인다고 8일 밝혔다. TV의 한계를 뛰어넘어 세상에 없던 스크린 경험을 제시한다.LG전자가 CES 2024에서 세계 최초의 무선 투명 올레드 TV를 공개한다. ‘LG 시그니처 올레드 T’는 TV를 껐을 때 투명한 유리처럼 그 너머 공간을 보여줘 개방감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77형 4K 올레드 TV로서의 뛰어난 화질도 즐길 수 있다.(사진=LG전자)LG전자(066570)는 지난 2013년 세계 최초로 올레드 TV를 출시한 이후 롤러블 올레드 TV(2019년), 무선 올레드 TV(2023년) 등 끊임없이 혁신 제품을 내놓으며 차별화된 고객경험을 지속 제공해 왔다.이번에 선보이는 ‘LG 시그니처 올레드 T’는 자발광 올레드 TV로서의 뛰어난 화질은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스크린 너머를 볼 수 있는 투명 올레드와 무선 AV송·수신 기술을 모두 더해 TV로 즐기는 시청 경험을 새롭게 정의한다.이 제품은 전원을 껐을 때 투명한 유리처럼 스크린 너머를 볼 수 있어 개방감은 물론 주변 인테리어와 조화도 뛰어나다. 검은 TV 화면이 집안 인테리어를 저해한다고 느끼는 고객의 페인 포인트(불편함을 느끼는 지점)를 해결한다.이 제품은 무선 AV송·수신 기술로 투명 스크린 주변에 전원 외 모든 선(線)을 없애 한 차원 높은 미니멀리즘을 구현하고 설치 장소의 제약을 줄인다. 이로써 거실 창 앞, 거실과 주방 사이 등 고객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TV를 자유롭게 설치 가능하다.LG전자가 CES 2024에서 세계 최초의 무선 투명 올레드 TV를 공개한다. ‘LG 시그니처 올레드 T’는 TV를 껐을 때 투명한 유리처럼 그 너머 공간을 보여줘 개방감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77형 4K 올레드 TV로서의 뛰어난 화질도 즐길 수 있다.(사진=LG전자)LG 시그니처 올레드 T는 ‘투명 모드’와 ‘블랙 스크린 모드’ 두 가지 화면 모드를 통해 맞춤형 시청경험을 제공한다.‘투명 모드’는 다른 TV에서 느끼지 못한 입체감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물고기가 헤엄치는 미디어아트를 감상하면 스크린 뒤 공간과 콘텐츠가 겹쳐 보여 마치 내 공간 안에서 물고기가 실제로 유영하는 듯한 입체감을 느낄 수 있다.‘블랙 스크린 모드’에서는 77형·4K 해상도 올레드의 우수한 화질로 영화, 게임 등을 즐길 수 있다. 리모컨으로 간편하게 화면 모드를 바꿀 수 있다.AI 성능을 강화한 올레드 전용 화질·음질 엔진 ‘알파11 프로세서’와 출시 10주년을 맞은 LG전자 스마트TV 플랫폼 웹(web)OS는 투명 올레드 T의 장점을 더욱 부각한다.CES 2024에서 세계 최초의 무선 투명 올레드 TV를 공개한다. ‘LG 시그니처 올레드 T’는 TV를 껐을 때 투명한 유리처럼 그 너머 공간을 보여줘 개방감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77형 4K 올레드 TV로서의 뛰어난 화질도 제공한다. 사진은 LG 시그니처 올레드 T가 집 안 공간에 조화롭게 배치된 모습. (사진=LG전자)올레드 T 전용 웹OS 홈화면에서는 콘텐츠 추천 페이지 등을 별도로 분리해 한 화면에 표기하는 정보량을 줄여 더 간결해졌다. 이로써 더욱 커진 화면 여백에서 투명 올레드만의 개방감을 느낄 수 있다. ‘올레드 T-bar 모드’는 투명 화면 하단에 ‘바(bar)’ 형태로 날짜, 날씨, 주요 뉴스 등을 표시해 개방감을 즐기는 가운데 필요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알파11 프로세서는 기존 알파9 대비 4배 강력해진 AI 성능을 기반으로 그래픽 성능이 70% 향상되고 웹OS 앱 프로세싱 속도 또한 30% 빨라졌다. 영상을 픽셀 단위로 세밀하게 분석하고 제작자 의도까지 고려해 색을 보정하는 한편 2채널 음원을 풍성한 공간 음향으로 변환해준다.LG 시그니처 올레드 T는 연내 한국을 비롯한 글로벌 시장에 출시될 예정이다.LG 시그니처 올레드 T는 CES 2024 최고 혁신상을 비롯 △영상 디스플레이(Video Displays) △영상·화질 처리(Digital Imaging·Photography) △내장기술(Embedded Technologies) △콘텐츠&엔터테인먼트(Content&Entertainment) 등 4개 부문에서 총 5개 상을 받으며 다방면에서 두루 높이 평가 받았다.박형세 LG전자 HE사업본부장은 “세계 최초 무선 투명 올레드 TV는 고객의 스크린 경험을 새롭게 정의한 제품”이라며 “TV의 한계를 뛰어넘어 세상에 없던 고객경험을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2024.01.08 I 최영지 기자
"미래 라이프스타일 제시" LG전자, AI 스마트홈·미래형 모빌리티 첫 공개
  • "미래 라이프스타일 제시" LG전자, AI 스마트홈·미래형 모빌리티 첫 공개[CES 2024]
  • [라스베이거스=이데일리 최영지 기자] LG전자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9~12일(현지시간) 열리는 세계 최대 가전·IT 전시회 ‘CES 2024’에 참가해 가전을 넘어 홈과 커머셜, 모빌리티 등으로 확장된 ‘스마트 라이프 솔루션’을 선보인다.LG전자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현지시간 9일 개막하는 CES 2024에 참가한다. 세계 최초 투명·무선 올레드 TV인 ‘LG 시그니처 올레드 T’ 15대로 구성된 미디어 아트가 LG전자 부스를 찾은 관람객들을 맞이한다.(사진=LG전자)◇‘세계 최초’ 투명·무선 올레드 TV로 미디어아트 구현…TV 터널도 구성LG전자(066570)는 CES 2024에서 ‘고객의 미래를 다시 정의하다’라는 의미의 ‘Reinvent your future’를 주제로 LG전자의 미래 비전인 스마트 라이프 솔루션을 실체화한 전시관을 운영한다고 8일 밝혔다.2044㎡(618평 상당) 규모 전시관에 들어서면 세계 최초의 투명·무선 4K 올레드(OLED·유기발광다이오드) TV인 ‘LG 시그니처 올레드 T’가 관람객을 맞이한다. 인공지능(AI) 성능이 4배 더 강력해진 올레드 전용 화질·음질 엔진 ‘알파11 프로세서’를 탑재한 시그니처 올레드 T와 2024년형 올레드 에보(evo)를 CES 2024에서 처음 공개한다.시그니처 올레드 T는 전원을 껐을 때 검은 화면이 보이는 기존 TV와 달리 투명한 유리처럼 그 너머 공간을 보여준다. 이를 통해 주변 공간의 아름다움을 시선 방해 없이 즐기는 새로운 고객 경험과 미래 주거 공간에 맞춰 진일보한 TV 경험을 제공한다는 게 LG전자 설명이다.관람객은 LG전자 전시관 전면에서 77형 시그니처 올레드 T 15대가 함께 표현하는 거대한 미디어아트를 만날 수 있다. 올레드의 압도적인 화질로 다채로운 색상 변화를 보여주는 미디어아트는 스크린 뒤를 볼 수 있도록 투명하게 변하며 투명 올레드 TV가 보여줄 새로운 시대를 연출한다. 제품은 앞뒤로 움직여 무선 전송으로 가능해진 자유로운 이동성을 표현한다.55형 올레드 디스플레이 140여 대가 터널 구조로 조성된 공간에서는 LG전자 스마트TV 플랫폼 webOS가 다양한 파트너사와 협력해 구축한 폭넓은 콘텐츠 세계를 보여준다. 터널 속 각각의 디스플레이가 영화, 음악, 게임 등 수많은 webOS 콘텐츠를 선보이며 관람객이 마치 콘텐츠 세상에 들어온 듯한 경험을 제공한다 LG전자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현지시간 9일 개막하는 CES 2024에 참가한다. 세계 최초 투명·무선 올레드 TV인 ‘LG 시그니처 올레드 T’ 15대로 구성된 미디어 아트가 LG전자 부스를 찾은 관람객들을 맞이한다.(사진=삼성전자)◇가사생활 도우미 로봇 공개…“AI 스마트홈 제안”이와 함께 LG전자는 일상 모든 공간으로 확장 가능한 미래를 경험할 수 있도록 스마트홈 전시관을 꾸몄다. AI와 사물인터넷(IoT), 통신 기술을 앞세워 AI 중심의 스마트홈을 제안한다.이곳에선 진화한 AI 기술로 만드는 미래의 ‘스마트 라이프 솔루션’을 구현한다. 고객이 생활하는 동안 집 안에 설치된 비접촉 센서로 심박수와 호흡을 감지해 데이터화하고 고객의 건강 상태에 맞춰 집 안 온도와 습도를 자동으로 조절한다.미래 스마트홈에서 LG 씽큐(ThinQ)는 집 안 곳곳에 설치된 센서와 IoT 기기를 연결하고 고객이 직접 조작하지 않아도 알아서 기기를 제어해 최적의 상태로 케어하는 서비스 플랫폼 역할을 진행한다.스마트홈 허브를 포함해 생활 전반에 도움을 주며 만능 가사생활도우미 역할을 하는 ‘스마트홈 AI 에이전트’는 두 바퀴로 스스로 움직이며 관람객들을 맞이한다. 제품에 탑재된 카메라와 스피커, 다양한 홈 모니터링 센서는 집 안 곳곳의 실시간 환경 데이터를 수집하고 가전 제어에 도움을 준다. 또 제품 전면에 달린 디스플레이로 다양한 표정을 지으며 고객과 능동적으로 소통한다.커머셜 솔루션존은 라스베이거스 여행을 주제로 다양한 버티컬 상 고객 맞춤형 서비스를 선보인다. 모노레일에서 86형 사이니지와 55형 올레드 창문을 통해 인근 명소 정보를 전달하고, 호텔에서 가이드봇의 안내를 받거나 카페에서 얼굴인식 결제를 하는 등의 상황을 연출한다.LG전자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현지시간 9일 개막하는 CES 2024에 참가해 LG전자의 미래 모빌리티 콘셉트 ‘알파블’을 공개한다. 사진은 탑승자들이 V자 형태로 바뀐 천장 스크린을 통해 마주보고 게임을 즐기는 모습.(사진=LG전자)◇‘미래 모빌리티 비전’ 알파블 공개…“집처럼 차에서도 휴식·업무 가능”LG전자는 또 고객 경험을 모빌리티로 넓힌 미래 모빌리티 콘셉트 ‘LG 알파블(Alpha-able, αble)’을 처음으로 공개한다. 관람객은 마련된 LG 알파블존에서 미래 모빌리티를 개인화된 디지털 공간을 경험할 수 있다. 알파블은 LG전자의 미래 모빌리티 비전을 한데 모은 콘셉트로 탑승자는 미래 모빌리티 환경에서 누릴 솔루션을 미리 경험할 수 있다.특히 △변형 △탐험 △휴식을 테마로 한 미래 모빌리티 솔루션을 제시한다. 탑승객의 컨디션과 상황에 맞춰 집처럼 휴식을 취하거나 사무실처럼 업무를 볼 수 있는 공간으로 변화하며 색다른 경험을 제공한다.LG전자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현지시간 9일 개막하는 CES 2024에 참가해 LG전자의 미래 모빌리티 콘셉트 ‘알파블’을 공개한다. 탑승객들은 탑재된 폴더블 디스플레이로 탑승 환경을 자유롭게 제어하고, 소형 가전을 이용해 커피를 즐기기도 한다.(사진=LG전자)플렉서블, 투명 등 다양한 폼팩터를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혁신 기술과 독보적인 가전 기술 및 솔루션을 활용해 탑승객의 필요에 맞춰 자유롭게 변형 가능한 경험을 선보인다. 또 상황에 맞춘 정보와 콘텐츠를 통해 새롭게 즐기는 탐험과 차량에서 더욱 편안한 휴식 경험을 제안한다.LG전자는 LG 알파블존에 별도의 공간을 마련해 전기차 충전기와 관제 솔루션인 ‘e-Centric’을 함께 전시하며 전기차 충전 솔루션도 선보인다.LG Labs존에서는 △진공관 오디오를 모티브로 투명 OLED 패널을 탑재한 올인원 오디오 ‘듀크박스(DukeBox)’ △글램핑 고객을 위한 맞춤형 주거 공간 ‘본보야지(Bon voyage)’ 두 번째 버전 △맛과 향이 다른 두 가지의 캡슐을 한 번에 추출하는 커피머신 ‘듀오보(DUOBO)’ 등을 공개한다.LG전자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현지시간 9일 개막하는 CES 2024에 참가해 LG전자의 미래 모빌리티 콘셉트 ‘알파블’을 공개한다. 탑승객이 영화를 관람하기 위해 모드를 변경하자, 전면에 배치된 커브드 OLED 스크린이 좌우로 넓게 변형되어 맞춤형 고객 경험을 제공한다.(사진=LG전자)
2024.01.08 I 최영지 기자
정부, ‘역대 최대규모’ 475개 기업·기관 ‘CES 2024’ 참가 지원
  • 정부, ‘역대 최대규모’ 475개 기업·기관 ‘CES 2024’ 참가 지원
  • [이데일리 김형욱 기자] 정부가 9~12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정보기술(IT) 전시회 ‘CES 2024’에 역대 최대 규모인 475개 기업·기관의 참가를 지원한다.LG전자가 9~12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CES 2024’에 마련한 전시장 광고. (사진=LG전자)8일 산업통상자원부와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코트라) 따르면 산업부와 중소벤처기업부, 서울시는 올해 CES에 32개 기관과 443개 기업이 참여하는 역대 최대 규모의 통합 한국관을 꾸리기로 했다. 산업부(코트라)와 중기부, 서울시 등은 매년 국내 기관·기업의 CES 참여를 지원해 왔는데 올해 처음으로 통합 한국관을 꾸렸다.해외 진출을 위한 CES의 중요성이 점점 커지는 가운데 국내 기관·기업의 이곳 참여 지원 규모를 확대한 것이다. CES는 원래부터 소비자가전 분야에선 세계 최대 규모 전시회였으나 최근 모빌리티(자동차)와 헬스, 뷰티 분야로 그 외연이 넓어지고 있다. 특히 올해 전시회는 인공지능(AI) 기술 발전이 가져올 산업 변화를 한눈에 볼 기회로 꼽힌다. 중국 기업도 다수 참가할 예정이어서 CES 전체로도 역대 최대규모가 예상된다.올해 전시회에 참가하는 한국 기업·기관도 총 760여 곳으로 역대 최대다. 삼성그룹과 LG그룹, 현대차그룹, SK그룹 등 대기업 계열사도 정부 지원 없이 독자적으로 대형 전시관을 꾸려 북미를 비롯한 전 세계의 이목을 끈다.지난해 11월 발표한 CES 혁신상 한국 수상 기업도 역대 최대 수준이다. 전체 310개 수상기업 중 46%에 이르는 143개 기업이 한국 기업이었다. 대기업 외에 ㈜원콤, 만드로㈜ 등 통합한국과 참여 13개 중견·중소기업도 혁신상 수상기업에 이름을 올렸다. 코트라 등은 중소·중견기업의 CES 혁신상 수상도 지원해 왔다.코트라를 비롯한 정부 기관은 본 전시회에서도 북미 지역 브랜드 역량이 약한 중견·중소기업을 위한 통합 한국관을 구축해 ‘대한민국’ 브랜드 마케팅을 펼쳐 우리 기업의 수출 성과를 극대화한다. 10일(현지시간)에는 코트라 주관 K-이노베이션 데이에 IBM, 월마트, 페덱스 등 16개 글로벌 기업 담당자를 초청해 국내 기업에 대한 투자나 납품계약이 성사되도록 지원할 계획이다.조익노 산업부 무역정책관은 “CES 역대 최대 통합 한국관 구축과 혁신상 수상 결과가 수출 활력 제고와 수출 저변 확대로 이어지기를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우리 기업에 대한 수출 마케팅 지원을 적극적으로 펼칠 것”이라고 말했다.
2024.01.08 I 김형욱 기자
코트라, CES 2024서 역대 최대 통합한국관 가동
  • 코트라, CES 2024서 역대 최대 통합한국관 가동
  • [이데일리 김은경 기자]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코트라·KOTRA)는 산업통상자원부와 함께 이달 9일부터 12일(현지시간)까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CES 2024’에 통합 한국관을 운영한다고 8일 밝혔다. CES는 세계최대 정보기술(IT)·가전 분야 전시회다. 우리나라는 삼성·LG·현대·SK 등 대기업과 중소·중견기업 등 760여 개사가 역대 최대 규모로 참가할 예정이다.올해 통합한국관은 코트라와 지자체·유관기관·대학교를 포함해 총 32개 기관 443개사가 참여하는 역대 최대규모로 구성됐다. 이는 지난해 대비 2배가 넘는 규모다. CES 참가 한국기업의 통합한국관 참가 비중도 지난해 19%에서 올해 58%로 증가했다.미국소비자기술협회(CTA)와 미국산업디자이너학회(IDSA)가 공동으로 수여하는 CES 혁신상을 수상한 한국기업 또한 역대 최대 수준이다. 지난해 11월 발표한 310개사의 수상기업 중 한국기업이 수상 비중은 약 46%에 달하는 143개사이며, 이 중 13개사는 이번 통합한국관에 직접 참가한다. 코트라는 전시회 개최에 앞서 이날 현지 전문가들을 초청해 통합한국관 세미나를 개최한다. 이번 세미나에는 CES 주최사인 미국소비자기술협회(CTA) 산업분석팀장, 미국 스타트업 컨설팅 전문업체 스타트업 정키의 창업자 등이 연사로 나서 미국 소비재 가전 시장 전망과 스타트업 투자현황 등의 정보를 제공한다.이어 10일에는 한국 스타트업의 북미시장 진출 가능성을 열기 위한 ‘K-이노베이션 데이’ 행사를 개최한다. 1부에는 사전 모집과 선정과정을 거친 통합한국관 스타트업 15개사가 무대에 올라 월마트, IBM, KPMG 등 오픈 이노베이션 기술 수요가 있는 글로벌 기업과 주요 VC를 대상으로 피칭 기회를 갖는다.2부에는 LG NOVA(LG전자 북미 혁신센터)와 래블업, 본티어 등 미국 혁신기업이 진행하는 ‘K-테크 포럼’이 진행된다. 이어지는 네트워킹 만찬에는 우리 스타트업과 글로벌기업, VC 100여 개를 초대해 새로운 기술협력의 기회를 논의할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할 예정이다.유정열 코트라 사장은 “전 세계 테크기업이 모이는 세계 최대 전시회인 CES 2024는 우리 기업이 기술경쟁력을 널리 알릴 좋은 기회”라며 “비즈니스 파트너 발굴, 오픈 이노베이션 등 내실 있는 성과를 거둘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했다.LG전자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CES 2024’에 마련한 전시장 광고.(사진=LG전자)
2024.01.08 I 김은경 기자
"CES2024, 온디바이스AI 관심↑…반도체 생태계에 기회"
  • "CES2024, 온디바이스AI 관심↑…반도체 생태계에 기회"
  • [이데일리 김인경 기자] 올해 세계 최대 가전·정보기술(IT) 전시회인 ‘CES 2024’가 9일(현지시간)부터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가운데 인공지능(AI)에 대한 관심이 부각하며 반도체 생태계에도 온디바이스AI 이슈가 확대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8일 김동원 KB증권 연구원은 “온디바이스AI는 반도체 생태계의 탄력적인 성장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김 연구원은 “CES 2024는 참가 기업 4300개 중 21% (900개)가 AI 전시로 직접 등록했지만 AI 관련된 자율주행, 로봇, 스마트 홈, 헬스케어 등 전 산업을 고려하면 참가 기업의 53% (2300개)가 AI 관련 업체”라고 분석했다.이어 “기조 연설(Keynote speech)은 올해 테마를 제시하고 미래 핵심 산업을 예측할 수 있는 가늠자 역할을 하는데 올해 CES 기조연설은 △롤랜드 부시 지멘스 최고경영자(CEO)가 다양한 산업에 적용된 공정 자동화 AI를 소개하고, △팻 겔싱어 인텔 CEO와 더그 맥밀런 월마트 CEO는 반도체의 AI 컴퓨팅 영향과 유통 산업에 접목된 AI를 언급하며 △크리스티아노 아몬 퀄컴 CEO는 생성형 AI의 온디바이스 AI 기기를 통한 연결성에 대해 시현할 것”이라고 기대했다.그는 “2024년은 클라우드 AI에서 온디바이스 AI로 확산되는 원년”이라며 “아직 초기 단계인 온디바이스 AI는 올해부터 스마트 폰, PC, 가전, 자율주행차, 로봇, 보안, 금융, 의료 등 모든 산업에 활용될 전망”이라고 강조했다.여기서 클라우드 연결 없이 기기 자체에 생성형 AI를 탑재하는 온디바이스 AI는 클라우드 대비 성능은 부족하지만 개별 기기에서 최적화된 맞춤형 데이터 제공이 가능하고 보안 강화에도 유리해 AI 확장과 성장의 촉매가 될 것으로 보일 것이라는 게 김 연구원의 분석이다. 김 연구원은 “세계 첫 메이저 온디바이스 AI 폰이 될 갤럭시 S24가 오는 17일 공개되는 가운데 2016년 갤럭시 S7 이후 8년 만에 최대 판매량 (3600만대)이 추정되는 등 향후 2년간 점유율 55%로 향후 온디바이스 AI폰 시장 확대를 주도할 전망”이라고 기대했다. 특히 그는 “온디바이스 AI는 중장기적으로 디램(DRAM), 낸드(NAND) 탑재량을 2배 증가시켜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메모리 반도체 출하 증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전산업의 응용처 확대로 그래픽처리장치(GPU)를 보완할 개별 맞춤형 신경망 처리장치(NPU) 수요 증가로 이어져 시스템 반도체 생태계에도 탄력적인 성장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2024.01.08 I 김인경 기자
역대 최대 전시 꾸린 현대차…삼성·LG, OLED 신기술 총출동
  • 역대 최대 전시 꾸린 현대차…삼성·LG, OLED 신기술 총출동[CES 2024]
  • [이데일리 김응열 기자, 라스베이거스=이다원 조민정 기자] 현대자동차그룹과 삼성디스플레이·LG디스플레이 등 국내 기업들이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IT·가전 전시회 ‘CES 2024’ 참가해 최신 기술을 대거 선보이며 경쟁력을 과시한다. 현대차그룹은 수소와 소프트웨어 전환을 앞세우고 미래 모빌리티 청사진도 제시한다. 두 디스플레이 회사는 화면이 접히거나 늘어나는 패널을 비롯해 다양한 차량용 디스플레이를 전시하며 기술력을 한껏 뽐낸다.◇역대급 전시장 꾸리는 현대차그룹…미래 모빌리티 청사진현대차그룹은 현대차(005380)·기아(000270)·현대모비스(012330)·슈퍼널·제로원 등 5곳이 오는 9~12일(현지시간) CES 2024에 역대 최대 규모의 전시공간을 마련한다고 7일 밝혔다.현대차그룹이 확보한 전시 공간은 6437제곱미터(㎡)로 지난 2009년 이 그룹이 처음 CES에 참가한 이래 최대 규모다. 국제축구연맹(FIFA)이 규정한 국제 경기 규격 축구장 크기와 맞먹는다. 올해는 미국 ‘빅3’ 자동차업체들이 불참하는 등 모빌리티 전시 규모가 예년에 비해 준 만큼 현대차그룹의 최대 규모 전시공간과 최신 기술력은 관람객의 이목을 끌 전망이다.(왼쪽부터)현대차, 슈퍼널, 기아 CES 2024 티저 이미지. (사진=현대차그룹)현대차는 ‘수소와 소프트웨어로의 대전환:Ease every way’를 중심으로 인간 중심 미래 청사진을 그린다. 그룹사의 수소 실증 기술과 진행 사업을 전시하며 종합 수소 솔루션을 제안한다. 아울러 소프트웨어와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 사람, 모빌리티, 데이터, 도시를 연결해 사용자 중심의 최적화된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전략과 미래 변화상을 소개한다. 글로벌 소프트웨어센터인 포티투닷(42dot)도 자체 개발 중인 소프트웨어중심자동차(SDV)의 방향성과 실증 소프트웨어 및 AI 기술을 현대차 부스에서 선보인다.5년 만에 CES를 찾는 기아는 그룹 차원의 SDV 전략과 연계하는 고객 중심 토탈 모빌리티 솔루션을 발표한다. 현대모비스는 혁신 디스플레이 시리즈, 고출력 통합 충전 제어 모듈(ICCU) 등 미래 모빌리티 신기술 20종을 전시한다. CES에 처음 참가하는 미국 도심항공모빌리티(UAM) 법인 슈퍼널은 UAM 기체 신규 디자인을 공개하며 미래항공모빌리티(AAM) 생태계 구축 방향성을 발표한다. 현대차그룹의 오픈이노베이션 플랫폼 제로원(ZER01NE)은 협업 중인 스타트업들의 글로벌 진출 토대를 마련한다.◇360도 접고 늘리고…SDV 최적화 車 디스플레이도 전시국내 디스플레이 기업들도 다양한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제품을 선보이며 기술력을 과시한다. 삼성디스플레이는 플립폰형 폴더블에 안팎으로 360도 접을 수 있는 ‘인앤아웃 플립(In&Out Flip)’을 전시한다. 안으로만 접을 수 있는 기존 ‘인폴딩’ 폼팩터는 접은 상태에서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바깥쪽에 또 다른 패널이 필요하다. 하지만 인앤아웃 플립은 하나의 디스플레이만으로도 접은 상태에서 정보 확인이 가능해 더 가볍고 얇다.삼성디스플레이가 CES 2024에서 선보일 슬라이더블과 폴더블 결합 신제품 ‘플렉스 노트 익스텐더블’. (사진=삼성디스플레이)차량용 OLED ‘플렉스 노트 익스텐더블(Flex Note Extendable)’도 최초 공개한다. 이 제품은 접혀 있는 폴더블 패널을 펼친 뒤 슬라이딩 방식으로 한 번 더 화면을 확장할 수 있다. 차 안에서 노트북으로 활용하거나 최대로 펼쳐 영화 등 시청이 가능하다. 확장현실(XR) 기기의 핵심 기술로 부상한 RGB 방식 ‘올레도스(OLEDoS)’도 처음 공개한다. 500원 동전만큼 작지만 4K TV 한 대와 비슷한 해상도를 갖췄다.LG디스플레이(034220)는 신기술 ‘메타(META) 테크놀로지’ 성능을 높여 화질을 끌어올린 새로운 OLED TV 패널을 선보인다. OLED 최초로 초당 480장 이미지를 구현하는 고성능 27인치 QHD 게이밍 OLED 패널을 비롯해 40인치대까지 게이밍 OLED 풀라인업도 공개한다.SDV에 최적화한 초대형 ‘필러투필러’(P2P) 디스플레이 솔루션 등 차량용 제품도 대거 선보인다. 필러투필러 디스플레이는 운전석 디지털 계기판부터 조수석 앞까지 대시보드 전체를 덮는 초대형 패널을 말한다. 뒷좌석 및 천장에 설치해 필요할 때만 화면을 펼칠 수 있는 폴더블·슬라이더블 OLED도 공개한다.LG디스플레이 모델이 차량용 ‘48인치 필러투필러 LTPS LCD’와 ‘18인치 슬라이더블 OLED’로 구성된 디지털 콕핏을 소개하는 모습. (사진=LG디스플레이)
2024.01.07 I 김응열 기자
LG전자, '고객 미래 재정의' 메시지로 관람객 맞이
  • [포토]LG전자, '고객 미래 재정의' 메시지로 관람객 맞이[CES 2024]
  • [라스베이거스=이데일리 최영지 기자] LG전자는 오는 9~12일(현지시간) 세계 최대 가전·IT 전시회 ‘CES 2024’가 열리는 미국 라스베이거스 컨벤션센터(LVCC)에서 ‘고객의 미래를 다시 정의하다(Reinvent your future)’ 메시지를 담은 광고로 전 세계 관람객을 맞이한다고 7일 밝혔다. LG전자(066570)는 이번 전시회에서 2044㎡ 규모 전시관을 운영하며 가전을 넘어 홈과 커머셜, 모빌리티 등으로 확장된 ‘스마트 라이프 솔루션’을 선보인다.LG전자가 9~12일(현지시간) 세계 최대 가전·IT 전시회 ‘CES 2024’가 열리는 美 라스베이거스 컨벤션센터(LVCC)에서 ‘고객의 미래를 다시 정의하다(Reinvent your future)’ 메시지를 담은 광고로 전 세계 관람객을 맞이한다.(사진=LG전자)LG전자가 9~12일(현지시간) 세계 최대 가전·IT 전시회 ‘CES 2024’가 열리는 美 라스베이거스 컨벤션센터(LVCC)에서 ‘고객의 미래를 다시 정의하다(Reinvent your future)’ 메시지를 담은 광고로 전 세계 관람객을 맞이한다.(사진=LG전자)LG전자가 9~12일(현지시간) 세계 최대 가전·IT 전시회 ‘CES 2024’가 열리는 美 라스베이거스 컨벤션센터(LVCC)에서 ‘고객의 미래를 다시 정의하다(Reinvent your future)’ 메시지를 담은 광고로 전 세계 관람객을 맞이한다.(사진=LG전자)
2024.01.07 I 최영지 기자
K벤처·스타트업 116개사, CES 혁신상 수상 ‘역대 최다’
  • K벤처·스타트업 116개사, CES 혁신상 수상 ‘역대 최다’
  • [이데일리 김경은 기자] 국내 벤처·창업 기업 116개사가 ‘CES 2024’에서 CES 혁신상을 수상해 역대 최다 실적을 달성했다.국내 기업의 역대 CES 혁신상 수상 현황. (표=중소벤처기업부)7일 중소벤처기업부에 따르면 오는 9일부터 12일까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개최되는 세계 최대 가전·IT(정보기술) 전시회 CES 2024에서 국내 벤처·창업 기업은 이 같은 성과를 기록했다. CES 혁신상은 박람회를 주최하는 미국소비자기술협회(CTA)가 세계를 선도할 혁신 기술과 제품에 수여하는 상으로 ‘CES 최고의 영예’로 불린다. 향후 CTA 측 추가 발표로 국내 벤처·창업 기업의 수상 규모는 이보다 늘어날 수 있다. 올해는 인공지능(AI), 디지털 헬스, 스마트시티, 로봇공학 등 28개 분야에서 혁신상 수상기업 총 313개사, 379개 제품이 선정됐다. 국내기업은 134개사(42.8%), 158개(41.6%) 제품이며 이중 중소·벤처기업은 121개사로 전체의 90%를 차지했다. 특히 국내 수상기업 중 86.6%에 해당하는 116개사가 벤처·창업기업이다. 업력 7년 이내의 창업기업(스타트업)도 97개사(72.4%)가 수상해 역대 최다 수상을 기록했다.혁신상을 수상한 벤처·창업기업 116개사 중 91개사(78.4%)는 팁스(TIPS), 사업화지원 등 중기부 창업지원사업에 참여한 이력이 있는 기업인 것으로 나타났다. 우수한 창업기업을 육성하고 해외시장 진출을 돕기 위한 정부의 창업지원 정책 및 지원사업이 효과를 보이고 있다는 평가다. 전체 전시 분야별 가장 혁신적인 기술과 제품을 보유한 기업에 수여하는 ‘최고 혁신상’은 전 세계 총 27개사가 수상했다. 국내 수상기업 8개사로 이중 벤처·창업기업이 7개사로 이 역시 역대 최다 수상 기록이다. 최고 혁신상의 영예를 안은 벤처·창업기업은 미드바르, 스튜디오랩, 탑테이블, 지크립토, 원콤, 로드시스템, 만드로 등이다. 특히 지크립토는 비밀투표 및 검증을 보장하는 블록체인 기반 오프라인 기표소로 2년 연속 ‘최고 혁신상’을 수상했다. 중기부는 CES 2024에서 국내 벤처·창업기업과 함께 ‘K스타트업 통합관’을 운영한다. 통합관에 참여한 91개사 중 10개사가 혁신상을 수상했다. 오영주 중기부 장관은 “우리 창업기업이 CES에서 계속 좋은 성과를 내고 CES 2024에서 역대 최대 성과를 낼 수 있었던 것은 기업의 혁신적인 노력과 더불어 정부의 지원이 함께한 결과를 의미한다”며 “중기부는 CES를 통해 국내 창업기업들이 전 세계를 상대로 우수한 기술력과 혁신 역량을 보여주고 더 나아가 해외에서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창출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것” 이라고 말했다.
2024.01.07 I 김경은 기자
LGD, CES 출격…TV부터 게이밍, 차량용까지 최신 기술 한자리
  • LGD, CES 출격…TV부터 게이밍, 차량용까지 최신 기술 한자리[CES 2024]
  • [이데일리 김응열 기자] LG디스플레이(034220)가 세계 최대 IT·가전 전시회 ‘CES 2024’에서 TV·모니터·차량용 등 첨단기술을 대거 접목한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전략제품을 공개한다.LG디스플레이는 현지시간 기준 오는 9일부터 12일까지 미국 라스베이거스 컨벤션센터(LVCC) 노스홀과 웨스트홀에서 메인 부스와 차량용 디스플레이 전용 부스를 각각 운영한다고 7일 밝혔다.전시 주제는 ‘더 나은 미래(A Better Future)’다. 앞선 OLED 기술로 고객의 일상을 혁신할 수 있는 다양한 디스플레이 솔루션을 선보인다는 의미다.LG디스플레이는 이번 전시에서 화질과 성능의 한계를 뛰어넘은 대형 OLED 신기술과 ‘소프트웨어 중심 차량’(SDV)에 최적화한 차세대 차량용 디스플레이 솔루션을 선보인다.◇현존 가장 밝은 OLED 패널부터 초고주사율 게이밍 제품까지OLED TV 패널 신제품 예고 이미지. (사진=LG디스플레이)노스홀 메인 부스에서는 OLED 화질의 한계를 넘어서는 새로운 OLED TV 패널을 공개한다. OLED 10년의 기술력을 결집한 신기술 ‘메타(META) 테크놀로지’ 성능을 향상시켜 화질을 대폭 끌어올린 제품이다.지난해 처음 선보인 ‘메타 테크놀로지’는 유기물의 빛 방출을 극대화하는 ‘초미세 렌즈(MLA)’와 ‘휘도 강화 알고리즘’을 결합해 현존 OLED TV 패널 중 가장 밝은 화면을 구현하는 LG디스플레이만의 독자기술이다.OLED 최초로 480Hz 초고주사율을 구현한 고성능 27인치 QHD 게이밍 OLED 패널을 비롯해 20인치대에서 40인치대까지 게이밍 OLED 풀라인업도 공개한다. 특히 초당 480장의 이미지를 보여주는 27인치 480Hz QHD 게이밍 OLED 패널은 빠른 화면 전환에서도 콘텐츠를 부드럽고 선명하게 구현한다.34·39인치 패널은 울트라 와이드(21대 9) 화면비를 적용해 게임 몰입감을 높였고 31.5인치 패널은 UHD(3840x2160) 해상도로 가독성을 높여 게임 외에 사무 작업, 콘텐츠 감상 등 일상생활에서 다양하게 활용 가능하다.LG디스플레이 모델이 ‘27인치 480Hz QHD 게이밍 OLED 패널’을 소개하는 모습. (사진=LG디스플레이)아울러 LG디스플레이 게이밍 OLED 패널은 0.03밀리세컨드(ms·1000분의 1초)의 빠른 응답속도를 갖췄고 메타 테크놀로지 기술을 적용해 화질 완성도를 높였다. 어두운 장면에서도 주변 사물이 화면에 비치는 ‘상 비침’ 현상을 최소화했다.LG디스플레이는 투명 OLED 제품도 전시한다. 77인치, 55인치, 30인치 등 초대형과 중형을 모두 아우르는 풀라인업을 활용해 새로운 쇼핑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리테일 매장용 콘셉트를 제시한다.LG디스플레이 모델이 ‘30인치 투명 OLED’를 적용한 매장용 콘셉트를 소개하는 모습. (사진=LG디스플레이)◇대시보드 전체 덮는 초대형 차량용 P2P 디스플레이 전시 차량용 디스플레이 전용 부스에서는 플라스틱(P)-OLED, ATO(Advanced Thin OLED), 저온다결정실리콘(LTPS) 액정표시장치(LCD) 등 차별화 기술로 SDV에 최적화한 초대형 ‘필러투필러’(P2P) 디스플레이 솔루션을 전시한다. 필러투필러 디스플레이는 운전석 디지털 계기판부터 조수석 앞까지 대시보드 전체를 덮는 초대형 패널을 말한다. 이 중 ‘초대형 P2P P-OLED’는 계기판용 ‘12.3인치 P-OLED’와 중앙 스크린용 ‘34인치 P-OLED’를 자연스럽게 이어붙여 하나의 커다란 디스플레이가 대시보드 전면을 덮은 듯한 디자인을 구현한다. 또 ‘48인치 P2P LTPS LCD’는 대시보드를 가득 채우는 초대형 화면으로 탑승자가 차량의 다양한 정보를 한눈에 파악하고 각종 엔터테인먼트 기능을 편리하게 즐길 수 있도록 지원한다.LG디스플레이는 P2P와 같은 초대형 디스플레이 등장에 따라 차량 운행시 시야각을 조절해 운전자가 조수석의 화면을 볼 수 없도록 하는 ‘시야각 제어 기술’(SPM)도 함께 소개한다.LG디스플레이 모델이 차량용 ‘48인치 필러투필러 LTPS LCD’와 ‘18인치 슬라이더블 OLED’로 구성된 디지털 콕핏을 소개하는 모습. (사진=LG디스플레이)차량 내 한정된 공간의 효율성을 극대화해 새로운 탑승 경험을 제공하는 신개념 솔루션도 선보인다. 뒷좌석 엔터테인먼트(RSE)용 ‘17인치 폴더블 OLED’와 천장에 설치하는 ‘18인치 슬라이더블 OLED’는 사용자가 필요할 때만 화면을 펼쳐 사용할 수 있어 탑승 공간을 넓게 활용할 수 있다.아울러 디스플레이 투과율을 조절해 화면 속 카메라를 숨기는 ‘언더 디스플레이(Under Display)’와 디스플레이를 비활성화할 때는 차량 내 인테리어 소재인 나무나 카본처럼 보이도록 하는 ‘데코레이티브 필름(Decorative Film)’ 등 심미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다양한 신기술도 선보인다. 얇은 필름 형태의 독자기술 ‘차량용 사운드 솔루션’도 전시한다.
2024.01.07 I 김응열 기자
360도 접히는 '플립' 화면…삼성D, OLED 리더십 증명
  • 360도 접히는 '플립' 화면…삼성D, OLED 리더십 증명[CES 2024]
  • [라스베이거스=이데일리 조민정 기자] 삼성디스플레이가 미래 디스플레이 산업을 이끌어갈 혁신 제품들을 들고 ‘CES 2024’를 찾는다. 안팎으로 접을 수 있는 차세대 플립형 폴더블 제품을 세계 최초로 선보이는 한편 모니터 크기의 OLED에 폴더블과 슬라이더블 기술을 동시에 적용한 제품도 공개한다. 확장현실(XR) 시장을 겨냥해 초고해상도를 구현한 ‘마이크로 디스플레이’도 내놓는다.삼성디스플레이는 ‘CES 2024’에서 안팎으로 모두 접을 수 있는 ‘플렉스 인앤아웃 플립’을 선보인다.(사진=삼성디스플레이)◇ 360도 접히는 ‘인앤아웃 플립’…5배 대화면 ‘롤러블’도삼성디스플레이는 9~12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CES 2024’에서 ‘혁신 기술의 모든 것, 새로운 여정의 시작(All-in Innovative Tech: Paving the new journey)’이라는 주제로 고객사 대상 전시회를 개최한다고 7일 밝혔다. 자발광 기술 최고의 화소(픽셀) 밀도와 주사율을 자랑하는 모니터용 QD-OLED, 현존 최고 밝기의 TV용 QD-OLED까지 중소형과 대형을 아우르는 제품들로 OLED 리더십을 강조한다.가장 눈길을 끄는 제품은 플립폰형 폴더블에 안팎으로 360도 접을 수 있는 ‘인앤아웃 폴더블’ 기술이 적용된 ‘인앤아웃 플립(In&Out Flip)’이다. 안으로만 접을 수 있는 기존 ‘인폴딩’ 폼팩터는 접은 상태에서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바깥쪽에 또 다른 패널이 필요하다. 하지만 인앤아웃 플립은 하나의 디스플레이만으로 접은 상태에서 정보 확인이 가능해 더 가볍고 얇은 디자인이 가능하다.삼성디스플레이는 ‘CES 2024’에서 슬라이더블과 폴더블을 결합한 신제품 ‘플렉스 노트 익스텐더블’을 선보인다.(사진=삼성디스플레이)고객들은 전시관에서 60도 고온이나 영하 20도 저온에서 패널을 접고 폴더블 패널 위에 농구공을 튀기는 극한의 내구성 테스트도 체험해 볼 수 있다. 스마트폰을 모래로 문지르거나 물에 담가 보기도 하며 직접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그 밖에도 △패널이 두루마리 휴지처럼 말렸다가 풀려 5배까지 확장 가능한 ‘롤러블 플렉스(Rollable Flex)’ △폴더블과 슬라이더블 두 가지 기술을 결합한 ‘플렉스 하이브리드(Flex Hybrid)’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무선 이어폰 케이스 등 다양한 혁신 제품이 공개된다.삼성디스플레이는 ‘CES 2024’에서 ‘플렉스 노트 익스텐더블’ 등 다양한 미래 차량용 OLED 제품을 선보인다.(사진=삼성디스플레이)◇ 자동차 속 숨은 화면…명함처럼 얇아진 IT용 OLED차량 인테리어의 진화를 불러올 OLED 제품들도 소개된다. 최초 공개되는 ‘플렉스 노트 익스텐더블(Flex Note Extendable)’은 접혀 있는 폴더블 패널을 펼친 뒤 슬라이딩 방식으로 한 번 더 화면을 확장할 수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차 안에서 업무를 볼 때 노트북으로 활용하거나 최대로 펼쳐 영화 등을 시청할 수 있는 제품으로, 사용하지 않을 때는 화면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다.아울러 삼성디스플레이는 액정표시장치(LCD)에서 OLED로 기술 전환이 이뤄지고 있는 IT 분야의 초격차 기술력도 선보인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업계 최초로 8.6세대 IT용 OLED 라인 투자를 시작했는데 눈에 띄게 얇아진 초박형(Ultra Thin, UT) 패널이 주목할 점이다. 삼성디스플레이 UT OLED 패널의 두께는 명함과 비슷한 약 0.6㎜고, 무게는 CD 패널 대비 3분의1 수준이다. 높이 3m에 육박하는 유리기판 원장(마더글라스)을 부스 내에 설치해 관람객들의 시선을 사로잡을 계획이다. 삼성디스플레이는 ‘CES 2024’에서 RGB OLEDoS를 최초로 선보인다.(사진=삼성디스플레이)◇ XR 핵심 ‘올레도스’ 공개…QD-OLED ‘모니터 히어로’XR 헤드셋의 핵심 기술로 부상한 RGB 방식 ‘올레도스(OLEDoS)’도 처음으로 공개한다. 이번에 전시된 RGB 올레도스는 기존 제품 중 최고 해상도를 자랑한다. 크기는 1.03형 초소형으로 500원 동전만큼 작지만 4K TV 한 대와 비슷한 해상도를 갖췄다. RGB 올레도스는 실리콘 웨이퍼 위에 적·녹·청색의 OLED를 개별 증착해 별도의 광원 없이 색을 구현하는 기술방식이다.삼성디스플레이가 최근 인수한 미국 올레도스 전문 기업 ‘이매진(eMagin)’의 제품도 살펴볼 수 있다. 현장에는 이매진의 올레도스가 탑재된 군사용 헬멧과 야간 투시경 등을 사용제품을 함께 전시할 예정이다.대형 디스플레이 부문에선 자발광 최고 화질의 UHD OLED 모니터와 세계 최초 360Hz OLED 모니터를 공개해 경쟁 우위를 증명한다. 자발광 모니터 중 가장 높은 수준의 픽셀 밀도와 UHD 해상도를 구현한 31.5형 UHD(3840*2160) QD-OLED가 대표적이다. 이 제품은 65형 8K TV의 화질 선명도와 동등한 수준이다. 출시된 자발광 모니터 중 최고 주사율인 360Hz를 지원하는 27형 패널도 공개한다. QD-OLED 고유의 빠른 응답속도를 바탕으로 화면 전환이 빠른 게이밍이나 스포츠 등 콘텐츠의 몰입도를 극대화한다. TV용 패널은 한 층 더 밝아진 ‘3세대 QD-OLED’로 업그레이드됐다.이 밖에도 삼성디스플레이는 모니터를 영상 제작용이나 의료용으로 사용하는 전시 공간을 연출하고, 글로벌 색채 전문 기업 팬톤과 협업도 진행한다. 삼성디스플레이 QD-OLED는 디스플레이 업계 최초로 팬톤 인증을 획득한 바 있다.삼성디스플레이는 ‘CES 2024’에서 초대형 TV용 3세대 QD-OLED를 선보인다.(사진=삼성디스플레이)
2024.01.07 I 조민정 기자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I 청소년보호책임자 고규대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