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렬
  • 영역
  • 기간
  • 기자명
  • 단어포함
  • 단어제외

뉴스 검색결과 824건

제2의 고향 ‘귀농마을’ 춘천 부귀리
  • 제2의 고향 ‘귀농마을’ 춘천 부귀리
  • [경향닷컴 제공] 마을 25가구 가운데 20가구가 귀농했다. 60대가 청년회장을 하는 여느 시골 마을과 달리 40대 청년들이 마을 일을 도맡아 한다. ‘귀농한다면 이곳처럼’, 물안마을 부귀리의 비결을 알아본다. 행정구역상 춘천이지만 화천이나 양구와 더 가까운 소양호 안쪽 마을. 그래서 이름도 ‘물안마을’이다. 춘천시 북산면 부귀리는 46번 국도를 타고 화천까지 들어가 다시 산길로 4km를 돌아들어가야 닿는 깊은 산중에 있다. 청평사로 가서 넘어가는 길도 있지만 겨울이면 거의 막혀 있다. 산이 험해 눈이 오면 녹지 않는 탓이다. ▲ 마을 입구에서 내려다 본 물안마을 모습.친환경으로 귀농한 40대 청년들 물안마을은 젊음이 넘쳐난다. 그래봐야 40대 청년(?)의 젊음이라 대학가의 젊음에 비할 바는 아니다. 하지만 대학 새내기 같은 의욕과 도전은 누구 못지않다. 이곳에서 40년 이상 살고 있는 집은 다섯 가구에 불과하고 대부분이 15년 전부터 귀농했다. 어떤 이는 도시에서 아이들을 가르치다 왔고, 어떤 이는 사업을 하다 왔다. 지금도 부인과 아이들은 서울에 두고 혼자 와서 농사일을 하는 사람도 있다. 각각의 사연이야 구구절절하지만 이들은 공통점이 있다. 도시생활을 그리워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7년 만에 이번 봄에 부인과 아이들을 이곳으로 데려오기로 했다는 박영철씨(49)에게 귀농의 성공 비결을 물었다. “환상을 빨리 버려야죠.” 그의 대답은 확고했다. 귀농에 실패하는 대부분의 이유가 시골에 오면 뭔가 특별할 것이란 환상에 있다고 한다. 그는 “여긴 자기 손으로 안하면 아무 것도 안 된다”며 “먹을 것도 직접 재배해야 하고 집수리는 물론 생활의 모든 것을 자기가 직접 해야 한다”고 말했다. 시골의 공기 좋고 편안한 생활만 꿈꾸지 말고 몸으로 일할 준비가 됐을 때 귀농해야 한다는 것이다. ▲ 귀농의 비법에 대해 소개해달라는 요청에 박영철씨는 머쓱한 듯 웃으며 “몸은 힘들지만 살아가는 맛이 있다”라고 말했다.개울가 한편에선 공사가 한창이다. 무너져가는 집을 마을 청년들이 뚝딱거리고 있다. 폐가를 개조해 체험공간으로 바꾼다고 한다. 모두 ‘형님’, ‘아우’라 불러가며 일을 한다. 물안마을은 품앗이로 일을 한다. 농사일도 체험시설 운영도 다 품앗이다. 품앗이로 해서 얻은 수익은 마을 주민들이 골고루 나눠가진다. 얼마 전에는 체험학습 수익금으로 집집마다 외양간을 만들고 소를 한 마리씩 들였다. “마을 전체가 체험 학습장이에요” 마을 공동으로 시작한 농촌체험사업은 물안마을의 새로운 명물이 됐다. 단체로 방문하는 아이들을 위해 강당과 대형 숙소까지 갖춘 체험장을 만들었다. 마을 전체를 학습공간으로 탈바꿈했다. 역사학자의 자문을 받아 우리나라 주요 역사 50개를 안내판으로 만들어 세웠다. 학습에 참여하는 아이들에게 친환경 농법으로 만든 음식을 제공하고 놀이와 학습을 동시에 할 수 있게 구성했다. 신수현 이장은 “우리 마을에 와서 무언가 느끼고 가길 원했다”며 체험학습의 취지를 설명했다. 자전거도로를 만들었고 농구장, 축구장 등 체육시설도 마련했다. 두부, 조청, 떡 만들기 같은 체험 프로그램도 운영하고, 6km에 달하는 물안계곡을 즐거운 물놀이 공간으로 꾸미기도 했다. 물안계곡의 10년 자연휴식년제가 2007년 끝났다. 자연 그대로의 모습이 보존된 청청지역인 것이다. 계절별로 펼쳐지는 물안마을의 체험학습은 아이들과 어른 모두에게 값진 추억이 될 것이다. 숙박/ 인근 10km 안에 민박을 제외한 숙소를 찾기 힘들다. 부귀리에 황토집, 노인정, 마을회관 등이 팜스테이를 위한 시설로 구성됐다. 부귀리 팜스테이/ 033-244-0576 / http://www.greentourings.or.kr 맛집/ 명신시골밥상집/ 북산면 추곡리에 있다. 토종닭과 산채백반이 주 메뉴다. / 033-243-1516 오봉산장/ 청평사 인근에 위치했다. 산채비빔밥이 별미다. / 033-244-6606 할매집/ 북산면 창평1리에 있다. 산채비빔밥과 감자전이 좋다. / 033-263-7989 가는길/ 서울에서 46번 국도를 타고 춘천을 지나 애니메이션박물관에서 403번 지방도로 갈아탄다. 배후령, 추곡터널을 지나 농협하나로마트에서 부귀리 이정표를 따라 들어간다. ▶ 관련기사 ◀☞고령 ''2009 대가야 체험축제'' 9일 개막☞개나리 재잘재잘 벚꽃 도란도란… 웃음이 절로 납니다☞태초에 탄생한 거대한 생명, 우포늪
병목골 깊은 계곡에서 만난 순교자-수리산성지
  • 병목골 깊은 계곡에서 만난 순교자-수리산성지
  • ▲ 안양팔경 중 제1경인 망해암 일몰<사진제공:안양시청>&nbsp;[조선일보 제공] 병목골 깊숙한 곳에 자리잡은 수리산성지는 박해를 피해 신자들이 피난와 살았던 교우촌이자 최경환 성인의 유해를 모신 천주교 성지다. 김대건 신부에 이어 우리나라에서 두 번째로 신부가 된 최양업 신부의 아버지이기도 한 최경환 성인은 아내 이성례와 함께 수리산 아래 담배촌에 정착해 교우촌을 이루며 천주신앙을 전파했다. 신자들이 이곳에서 담배농사를 짓고 옹기를 구워 생활했기 때문에 ‘담배촌’이라고 불렸다. 1839년 기해박해가 일어났을 때 최경환은 천주교 신자들이 무수히 죽임을 당하자 한양을 오가며 순교자들의 유해를 거두어 안장하고, 불안해하는 신자들을 위로하고 격려하며 돌보던 중 서울에서 내려 온 포졸들에 의해 체포되었다. 배교하라는 고문과 회유 속에서도 최경환은 신앙을 고수하며 모진 형벌을 받다가 35세의 나이로 장렬히 순교하였고, 부인 이성례 역시 당고개에서 참수되고 만다. 1984년, 한국 천주교 200주년 기념을 위해 방한했던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에 의해 최경환은 성인(聖人)의 반열에 오르게 된다. ▲ 순교자 최경환 성인의 반신상 (좌) / 성당을 겸하고 있는 최경환성인의 생가(우)순례자성당 앞에는 최경환성인의 반신상이 서 있으며, 기념관에는 최경환 성인의 생애와 담배골의 역사를 볼 수 있다. 맞은편 이성례 마리아집은 현재 식당과 피정의 집으로 사용되고 있다. 성당으로 사용되고 있는 최경환 생가는 위에서 내려다 볼 때 초가가 십자가 모양을 하고 있다. 벽면은 황토벽으로 꾸며져 토속적이며 아늑하다. 생가 안 성당에서는 한꺼번에 300명의 신자가 미사를 드릴 수 있는데, 2층 다락방에 앉으면 제단을 훤히 내려다 볼 수 있다. 제단 한 가운데는 최경환 성인의 유해(팔뼈)가 모셔져 있다. 벽면은 토굴처럼 바위가 돌출되어 있으며 촉감 좋은 마루에 앉아 조용히 기도할 수 있도록 꾸며졌다. 최경환성인 묘역 가는 길은 돌계단이 놓여 있어 산책코스로 그만이다. 가장 위쪽에는 최경환 성인의 묘소와 기념비가 서 있다. 솔숲으로 둘러싸인 야외 미사터는 조용히 사색하기에 그만이다. 골짜기의 생김새가 병목처럼 잘록하게 좁아서 ‘병목골’이라고 불리었는데 병목안 삼거리에서 수리산 계곡을 따라 성지까지 가는 길이 호젓하며, 가까이에 있는 수리산삼림욕장에 들러 머리를 식혀도 좋다. ▲ 고요한 수리산 성지에서 기도하는 모습(좌) - 솔숲으로 둘러싸인 야외미사터(우)수리산은 경기도 안양시와 시흥시, 군포시와 화성군과 경계에 있는 산으로 높이는 500m도 안되는 나지막한 산이지만 ‘X’자 형태로 뻗은 능선을 따라 다양한 산행코스를 가지고 있는데 특히 서쪽 능선의 수암봉에 올라 내려다보는 경치가 일품이다. 수리산 산림욕장-병목탑-태을봉-수리산 성지까지 대략 2시간이 소요된다. ▲ 큼직한 옹기작품을 전시하고 있는 1층전시관한때 옹기촌이었던 수리산 성지에서 시내 쪽으로 내려오면 돌석 김석환 선생의 50년 도예작품을 전시한 돌석도예전시관이 나온다. 여성도예가의 손길이 닿아서 그런지 작품이 아기자기하고 소탈한 것이 특징이다. 1층은 비교적 큼직한 옹기작품 90여점이 전시되어 있으며 가죽신, 버선, 소줏고리 등 아기자기한 소품 도자기가 가득하다. 옹기작품 80편이 전시된 2층은 근사한 카페로 꾸며졌다. 테라스 쪽 창가에 앉아 전통차를 음미하며 도예작품을 감상하도록 꾸며졌다. 따사로운 볕을 쬐면서 독서 할 수 있는 북카페이다. 3층은 작은 도자기가 많은데 통유리 너머로 펼쳐진 수리산 자락과 도자기의 어울림이 좋다. 야외에는 대형항아리가 전시되어 있어 작품사이를 거니는 맛이 쏠쏠하다. 도자기 장승, 도자기 초가집 등 토속적인 작품도 눈에 들어온다. 지하 도예체험관에서는 석고틀을 이용해 콜라병, 주스병 등 생활에 필요한 도자기를 만들 수 있으며, 초벌기물에 그림 그리기체험을 할 수 있다. 4인 가족을 위한 체험프로그램도 준비되어 있다. ▲ 독일작가의 작품인 숲속의 쉼터인 리볼버(좌) - 비토 아콘치의 작품인 선으로 된 나무위의 집(우)안양예술공원은 안양유원지의 새로운 명칭이다. 80년대 들어서 시설이 낙후되고 인근에 놀이공원과 동물원이 생기면서 안양유원지는 쇠퇴의 길을 걸었다. 2003년부터 상가시설을 정비하고 상류에 저수지까지 만들어 물이 맑아졌으며, 국내저명작가는 물론 일본, 벨기에, 포르투갈 등 각 나라의 대표급 디자이너 예술작품 50여점을 설치해 놓아 명실상부한 예술 공간으로 거듭나게 되었다. ▲ 안양전망대 오르는 길처음 간 사람들은 서울근교에 이런 멋진 공간이 있음에 감탄할 정도로 분위기가 좋다. 공원 주차장부터 작품이 시작되는데 한국건축의 기본단위인 1평을 모티브로 지어진 ‘1평 타워’가 하늘 높이 솟아 있다. 계곡과 산줄기를 따라 작품이 끊임없이 이어지는데 수려한 경관 속에서 ‘각목분수’, ‘신기루’ 등 흥미로운 작품을 감상하는데 시간가는 줄 모른다. 삼성산 중턱에 있는 16.6m 높이의 ‘안양전망대’는 안양예술공원의 하이라이트다. 산속에 다시 산이 솟은 형상으로 삼성산과 안양일대를 한눈에 조망할 수 있다. 해질 무렵 일몰도 좋고 야경 또한 볼만하다. 단순히 눈으로 보는 작품이 아니라 작품 위에 올라가기도 하고, 작품 안으로 들어가 놀 수 있는 참여형 공간으로, 체험을 통해 작품을 이해하도록 꾸며졌다. ‘공중을 가로지르는 산책로’ 작품은 투명한 터널을 산책하면서 자연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갖게끔 해준다. 10명이상 단체일 경우 사전예약 시 작품 설명을 들을 수 있다.(1~3시간 소요 031-389-5550) 관악산과 삼성산으로 이어진 등산로가 잘 정비되어 있어 산행과 함께 일정을 짜면 좋다. ▲ 망해암 용화전의 석조미륵불신라 때 원효대사가 창건한 망해암은 조선 영조 때 신경준이 지은 ‘가람고’에도 기록이 있을 정도로 유서 깊은 사찰이며, 정조임금의 모친인 홍대비가 중건했다는 기록이 남아있다. 중심건물인 용화전에는 석조미륵불이 모셔져 있으며 보개를 쓰고 도톰한 코와 입, 길게 늘어진 귓불을 가지고 있으며 굵은 U자형의 옷자락선이 세밀하게 표현되어 있어 조선시대의 불상의 유형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된다. ‘바다를 볼 수 있는 암자’라는 의미를 가진 망해암에 오르면 관악산의 기암괴석과 안양시가지가 한 눈에 펼쳐진다. 특히 해질 무렵 일몰은 한 폭의 그림을 보는 듯한 느낌이 들 정도로 풍광이 빼어나 안양팔경 중에서 제 1경으로 손꼽힌다. ::: 여행정보 ○ 웹사이트 주소 - 수리산성지 홈페이지 : www.surisan.org - 안양시청 홈페이지 : www.anyang.go.kr - 돌석도예전시관 : www.dolsukmuseum.net - 안양공공예술재단 홈페이지 : http://apap.anyang.go.kr ○ 문의전화 - 수리산성지 031)449-2842 - 안양시청 문화예술과 031)892-2064 - 돌석도예전시관 031)464-7735 - 안양예술공원 031)389-5550 ○ 대중교통 정보 [기차/버스] - 1호선 안양역 하차. 버스(10, 15, 15-2, 11-3) 병목안 삼거리 하차. 산림욕장 방향으로 도보 25분. [자가운전] - 서울-1번국도-안양역 앞에서 우회전-안양예고-병목안 삼거리에서 좌측방향-수리산성지 - 경부고속도로-판교JC-서울외곽순환도로-평촌IC-안양시청방향-중앙사거리에서 좌회전-병목안 삼거리 좌측방향-수리산성지 - 과천-47번국도-인덕원-관악고-비산대교 건너 우회전(서울방향)-안양 CGV-안양예교-병목안 삼거리 좌측방향-수리산성지 ○ 숙박정보 - 호텔소그노 : 안양시 만안구 안양6동 395-1번지, 031)444-6600 - 삼원프라지관광호텔 : 안양시 만안구 안양 1동 674-251, 031)448-6671 - 블루몬테 유스호스텔 : 안양시 석수동 241-43, 031)471-8111 - 쉴모텔 : 안양시 안양 6동 504, 031)448-6084 - 카프리모텔 : 안양시 동안구 관양동 1502, 031)422-0070 ○ 식당정보 - 은행나무집 : 오리,닭요리, 수리산성지 입구, 031)442-1915 - 오작교 : 고추장삼겹살, 수리산성지 입구, 031)466-1212 - 두미원 : 해물순두부백반, 수리산성지 입구, 031)441-4494 - 갤러리 카페 작은박물관 : 볶음요리, 안양예술공원, 031)471-2020 - 두부사랑 : 두부요리, 안양예술공원, 031)474-5712 - 정오식당 : 해물모듬찌개, 남부시장, 031)449-9334 - 오성갈비 : 돼지갈비, 인덕원사거리, 031)421-9292 ○ 이색체험 정보 - 돌석도예전시관: 도자기 만들기 체험 031)464-7735 www.dolsukmuseum.net &nbsp;○ 주변 볼거리 안양사, 삼막사, 삼막천만안교, 병목안산림욕장, 평촌중앙공원 ▶ 관련기사 ◀☞"한겨울을 나는 역동적 여행"☞[목포] 수퍼 버스를 소개합니다☞[춘천] 수퍼 버스를 소개합니다
(상가분양 단신) 433먹자골목 입구 하나로오피스텔 상가분양  外
  • (상가분양 단신) 433먹자골목 입구 하나로오피스텔 상가분양 外
  • [이데일리 EFN 강동완기자] 상가분양 단신을 소개한다. ◇ 433먹자골목 입구 하나로오피스텔 상가분양 경기 화성시 동탄면 반송리 42-5번지 소재 하나로오피스텔이 분양중에 있다. 동탄신도시 시범단지내 위치한 상가로 먹거리타운 입구에 위치해 있다. 또한, 초대형 건강레포츠공원, 체육공원 등을 마주하고 있어 유동인구 확보가 용이하다 횡단보도를 마주한 도로변에 위치해 시각적인 효과가 양호하고 버스정류장이 인접해 있다. 지하3층~지상6층 총 점포수 48개 연면적 5485.47㎡ 규모로 지하3층~지하1층은 주차장, 지상1층은 의료, 의류, 음료.기호음식, 근린생활용픔, 지상2층 커피전문점, 전문식당, 지상3층 메디컬.클리닉, 지상4층~지상6층은 28세대의 오피스텔로 구성된다. 3.3㎡당 분양가는 지상1층 2300만원~2400만원선, 지상2층 690만원선, 지상3층 550만원선이다. 시행은 하나로오피스텔, 시공은 (주)마들종합건설이 맡았으며 2009년 1월 준공예정이다. 분양문의 : 031-613-5252 ◇ 아이렉스타워 상가분양 경기 용인시 김량장동 296-53번지 소재 아이렉스타워가 분양중에 있다. 처인구청, 한국전력공사, 용인시청, 보건소, 용인지방공사 등공공기관이 밀집한 지역이다. 현재 용인지역 재개발 확정 16개지구 중 10개지구가 김령장동에 추진되어 재개발, 재건축 및 도시계획이 예정되어 있다. 또한, 재래시장 활성화와 2009년 경전철 개통등으로 기대감이 높은 지역이다. 아이렉스타워는 특히, 버스정류장과 횡단보도를 마주하고 있어 입지가 더욱 눈에 띈다. 지하3층~지상9층 총 점포수 60개 연면적 11910.69㎡ 규모로 지하3층~지하1층은 주차장, 지상1층은 음료.기호음식, 금융, 패션.악세서리, 근린생활서비스, 지상2층은 금융, 미용.뷰티, 전문식당, 지상3층~지상6층은 메디컬.클리닉, 지상7층~지상8층 오피스, 교육.학원, 지상9층은 스카이라운지 등으로 구성된다. 3.3㎡당 분양가는 지상1층 2400만원~3000만원선, 지상2층 950만원~1050만원선, 지상3층 850만원~950만원선이다. 시행은 (주)이정산업개발, 시공은 동해건설(주), 자금관리는 농협이 맡았으며 2009년 9월 준공예정이다. 분양문의 : 031-213-1338 ◇ 522세대 목동트라팰리스 상가분양 서울 양천구 목1동 406-5번지 소재 목동트라팰리스가 분양중에 있다. 목동트라팰리스는 주상복합상가로 상층부 522세대의 아파트 고정소비는 물론 주변 고급 주상복합단지를 배후로 하고 있다. 또한, SBS사옥, 기독교방송 등을 비롯한 업무시설이 밀집하고 현대백화점, 홈플러스 등이 인접해 유동인구가 풍부하다. 특히, 목동트라팰리스 지하1층~지하2층에 대형할인마트 이마트가 입점해 집객력이 좋다. 연면적 219124.85㎡ 42층~49층 총4개동으로 상업시설은 지하2층~지상8층으로 구성되며 지하2층~지하1층은 주차장, 지상1층은 근린생활서비스, 음료.기호음식, 커피전문점, 지상2층~지상3층은 오피스, 미용.뷰티, 전문식당, 지상4층~지상8층은 교육.학원, 오피스, 스포츠관련업종으로 구성된다. 3.3㎡당 분양가는 지상1층 3280만원~5150만원선, 지상2층 2443만원~2630만원선, 지상3층 1889만원~2140만원선이다. 시행은 이스타코, 시공은 삼성물산, 자금관리는 기업은행이 맡았으며 2009년 1월 입점예정이다. 분양문의 : 02-2061-1855 ◇ 미래시티 상가분양 충남 천안시 신부동 462-5번지 소재 미래시티가 분양중에 있다. 미래시티는 천안고속.시외버스터미널을 비롯해 마주하고 있는 야우리쇼핑몰, 갤러리아 백화점 등과의 시너지로 우수한 집객력이 예상된다. 또한, 상가 뒷편으로 먹자 및 유흥상권이 형성되어 있어 풍부한 유동인구를 확보하고 있다. 미래시티는 주변 상가와 비교해 임대가 수준의 분양가로 경쟁력을 높인 것이 장점이다. 지하3층~지상11층 총 점포수 21개 연면적 5984.03㎡ 규모로 지하3층~지하1층은 주차장, 지상1층은 음료.기호음식, 의료, 근린생활용품, 지상2층은 금융, 미용.뷰티, 전문식당, 지상3층 오피스, 근린오락, 지상4층~지상9층 메디컬.클리닉, 지상10층~지상11층 라이브카페, 스카이라운지 등으로 구성된다. 3.3㎡당 분양가는 지상1층 3800만원선, 지상2층 1500만원선, 지상3층 1000만원선이다. 시행은 한솔씨앤비(주)가 맡았으며 SH리모델링(주)의 책임준공과 KB부동산신탁의 자금관리로 안전성이 확보되어 있다. 분양문의 : 041-551-5088 ◇ 안동롯데시네마 상가분양 경북 안동시 용상동 1462-1번지 소재 안동롯데시네마가 분양중에 멀티플레스 영화관 롯데시네마의 입점으로 상권내에서도 집객력이 우수하다. 안동시로 도청이전이 확정됨에 따라 휴양테마파크, 컨벤션센터, 도립공원 등이 조성 될 예정에 있다. 또한, 상가와 인접한 안동문화관광단지에는 운동.오락시설, 골프장, 놀이공원, 숙박시설, 스파 등이 들어서는 등 개발호제에 따른 기대가 높다. 지하2층~지상6층 총 점포수 46개 연면적 12669.39㎡ 규모로 지하2층은 주차장, 지하1층은 스포츠관련, 근린오락, 마트, 지상1층은 금융, 의료, 음료.기호음식, 지상2층은 메디컬.클리닉, 미용.뷰티, 지상3층은 근린오락, 패션.악세서리, 문구.팬시, 매표소, 지상4층~지상6층은 롯데시네마가 입점한다. 3.3㎡당 분양가는 지상1층 1350만원~1800만원선, 지상2층 660만원~700만원선, 지상3층 760만원~1100만원선이다. 시행은 대덕D&C 시공은 우신종합건설이 맡았으며 2009년 2월 준공예정이다. 분양문의 : 054-823-0713 [ 도움말 : 상가뉴스레이다 ]
2008.12.09 I 강동완 기자
넘실대는 성벽을 따라 가는 가을여행
  • 넘실대는 성벽을 따라 가는 가을여행
  • ▲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호인 남한산성의 수어장대[조선일보 제공] 남한산성 산행의 가장 큰 매력은 주차장을 벗어나늣 순간 하늘과 맞닿은 길이 시작된다는 점이다. 그래서 한 걸음 한 걸음 발걸음을 옮길 때마다 하늘과의 거리도 그만큼 가까워진다. 몇 걸음 옮기지도 않았는데 벌써 시리도록 푸른 하늘이 손에 닿을 듯 가깝다. 경기도 광주시와 하남시, 성남시에 걸쳐있는 남한산성은 성곽둘레만 12km에 달한다. 하지만 중간중간 암문(暗門)을 통해 이어지는 옹성들까지 두루두루 섭렵하다보면 그 거리는 훌쩍 늘어난다. 그래도 남녀노소 누구나 크게 힘들이지 않고 산행을 즐길 수 있는 이유는 산행 들머리가 되는 산성종로(로터리)가 해발 300m 지점에 위치해 있기 때문이다. 남한산성이 자리한 청량산의 높이가 482m인 점을 감안하면 표고 차는 고작 200m 정도. 남한산성 산행에서 가파른 구간을 별로 만나지 않는 이유다. ▲ 남한산성 성벽 산책로경사 구간이라고 해봐야 거리가 짧아 올라서기가 부담스럽지 않고, 간혹 만나는 급경사 구간에서는 어김없이 나무계단이 등장해 발걸음에 힘을 실어준다. 그렇다보니 산행 자체가 다소 심심하지 않을까 오해할 수도 있지만 한 가지 확실한 것은 남한산성 산행은 꼭짓점만 찍고 바로 하산하는 일반 등산과는 분명 차이가 있다는 점이다. 직선과 곡선의 차이라고 해야 할까. 일반 산행을 직선의 강직함에 비유한다면 남한산성 산행은 곡선의 부드러움에 비유할 만하다. 넘실대는 파도에 몸을 맡긴 것처럼 부드럽게 넘어가는 성벽 길은 자연스럽게 발걸음을 앞으로 앞으로 인도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부드러운 걸음 뒤에도 어김없이 굵은 땀방울이 따라온다. 급하게 쏟아낸 땀과는 다른, 몸 속 깊은 곳에서 은은히 배어나는 참 개운한 땀이다. ▲ 남한산성 성벽뒤로 푸른 하늘이 펼쳐진다남한산성 산행은 크게 5가지 코스로 나뉘지만 구간구간 샛길이 많아 각자의 능력에 따른 맞춤형 산행이 가능하다. 특히 북문에서 남문에 이르는 3.8km 구간은 성벽을 따라 걷은 길옆으로 깔끔하게 포장해 놓은 산책로가 있어 많은 사람들이 즐겨 찾는 코스. 하지만 병자호란 당시 인조와 소현세자가 47일 동안 머물렀던 행궁과 백제의 시조 온조대왕의 위패를 모신 숭열전 등 남한산성이 품고 있는 많은 유적들을 두루 돌아볼 요량이면 침괘정과 행궁을 잇는 코스를 들머리로 삼는 것도 괜찮다. 침괘정, 행궁, 숭열전 등 각각의 유적지들이 등산로에서 많이 벗어나지 않아 동선도 크게 흔들리지 않는다. 적당히 땀이 밸 정도의 산책을 원한다면 산행의 기준점이라 할 수 있는 산성종로에서 수어장대까지 곧바로 다녀오는 코스나 남문에서 수어장대를 거쳐 행궁방면으로 내려오는 코스도 권할 만하다. 가벼운 마음으로 산행을 즐겼으면 남한산성역사관도 잠시 들러볼 만하다. 남한산성역사관은 관리사무소가 위치한 주차장 내에 있으며, 문화해설사가 상주하고 있어 남한산성에 얽힌 다양한 정보도 얻을 수 있다. 관람료 무료. ▲ 경안천습지생태공원하늘과 맞닿은 길을 걸었으면 다음은 물과 맞닿은 길을 걸어볼 차례다. 경기도 광주시 퇴촌면 경안천변에 조성돼 있는 경안천습지생태공원이 바로 그곳이다. 목조 데크와 흙길이 번갈아 이어지는 산책로로 들어서면 몸과 마음이 참 편안해진다. 연꽃과 갈대 등 각종 수변식물들이 하천 뿐 아니라 사람의 몸과 마음까지 말끔히 정화시켜 주는 기분이다. 2km 남짓 이어지는 산책로를 따라 걷노라면 가끔은 눈보다 귀가 예민해지기도 한다. 습지 어디에선가 들려오는 미세한 소리들 때문이다. 가끔은 눈을 감고 강한 생명력이 느껴지는 그 자연의 소리에 귀를 기울여 보는 것도 좋은 경험이 아닐 수 없다. 휴식공간을 겸한 탐조대에서는 갈대숲을 헤치고 지나는 오리 떼의 모습과 물고기 사냥에 나선 왜가리의 모습도 눈에 담을 수 있다. 경안천습지생태공원에서 멀지 않은 곳에 일본군위안부역사관 나눔의집이 자리해 있다. 우리네 아픈 역사의 흔적이 고스란히 배어있는 곳이다. 일본군위안부역사관 나눔의집은 세계 2차 대전 당시 일본군들에게 종군위안부라는 이름으로 청춘을 빼앗긴 할머니들이 모여 생활하는 곳으로, 할머니들의 주거 공간 옆으로 지하 1층, 지상 2층 규모의 전시관도 마련돼 있다. ▲ 나눔의집에 전시되어 있는 김순덕 할머니 작품영상전시관을 지나 지하전시관으로 들어서면 일본군들에게 끌려간 할머니들이 생활했던 위안소가 가장 먼저 시선을 끈다. 한 평 남짓한 이 허름한 공간이 바로 할머니들의 청춘을 고스란히 앗아간 곳이다. 위안소 옆으로는 당시 일본군들이 위안소 출입을 위해 사용했던 군표와 콘돔 등이 함께 전시되어 있다. 1층과 2층 전시관에는 이곳 나눔의집에서 한 많은 생을 마감한 할머니들의 유품과 할머니들의 육성, 그리고 지난 세월의 아픔을 달래기 위해 할머니들이 직접 그렸다는 많은 그림 작품들이 전시돼 있다. 별도의 관람료는 없으나 1층 출입구 옆에 후원금 모금함이 놓여있다. ▲ 박물관 얼굴 야외 전시장에 있는 어린아이 모습의 석상붕어찜마을로 유명한 분원리로 방향을 잡으면 박물관 얼굴을 만날 수 있다. 남종면사무소 뒤편에 위치한 박물관 얼굴은 연극연출가 김정옥 씨가 설립한 곳으로, 야외전시장과 실내전시장에는 각종 석인과 세계 각국의 인형, 그리고 가면과 와당 등 얼굴을 소재로 한 수집품들이 빼곡히 전시되어 있다. 박물관 이곳저곳을 둘러보다 보면 참 다양한 얼굴들을 만날 수 있다. 근엄한 표정의 무인석에서부터 도통 무슨 표정인지 알 수 없는 석장승에 이르기까지 그 모습도 천태만상이다. 무뚝뚝한 표정으로 다소곳이 앉은 아기모습의 석상 앞에서는 절로 웃음이 나기도 한다. 박물관 얼굴에서는 종이와 돌멩이에 얼굴을 그려보는 간단한 체험도 가능하다. 화요일에서 목요일까지는 사전에 예약해야 관람이 가능하고, 금요일에서 일요일까지는 상시 개관한다. 입장료 어른 4000원, 초중고생 3000원, 어린이 2000원. (5세 이하, 장애우 무료) 경기도 광주까지 와서 도자기 구경을 놓칠 순 없다. 박물관 얼굴에서 5분이면 닿을 수 있는 거리에 분원백자자료관이 위치해 있다. 분원초등학교 교문을 통해 학교 뒤로 돌아가야 만날 수 있는 곳이다. 조선시대 사옹원에서 사용하던 사기그릇을 만들던 곳이라 해서 붙여진 이름처럼 분원리 곳곳에는 가마터가 많이 남아 있는데, 분원백자자료관이 자리한 이곳 역시 자기를 굽던 가마가 있던 자리이다. 분원백자자료관에서는 가마터 출토 유물과 조선 백자의 종류, 백자 제작 광경 등이 전시되어 있다. 관람료 무료. ▲ 광주경기도자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는 분청상감포류수금문매병조금 더 풍성한 조선시대 자기를 만나고 싶다면 과감히 차를 돌려 경기도자박물관을 찾아보자. 중부고속도로 곤지암 IC에서 그리 멀지 않은 곳에 자리한 경기도자박물관은 조선 도자기 전문박물관으로 이곳에서는 조선시대 대표 자기인 청화백자와 분청자기는 물론 현대의 도예 예술가들이 빚은 다양한 백자작품들도 함께 만나볼 수 있다. 경기도자박물관 주위로 조성해 놓은 넓은 휴식공간도 빼놓을 수 없다. 특히 조각공원과 한국정원은 온가족이 잠시 쉬어가는 나들이 코스로 손색이 없다. 이외에도 산책하기 좋은 도자의 길과 아이들을 위한 토야흙놀이장, 가마터와 다례시연장 등 다양한 부대시설을 갖추고 있다. 경기도자박물관을 찾아갈 때 유의할 점은 아직까지 일부 이정표나 네이게이션 등에 경기도자박물관을 경기도자박물관의 옛 이름인 조선관요박물관으로 표기하는 곳이 있다는 점이다. 네비게이션을 이용할 경우 경기도자박물관으로 검색이 되지 않으면 반드시 조선관요박물관으로 다시 한번 검색해 보는 게 좋다. 관람료 무료. ::: 여행정보 ○ 관련 웹사이트 주소 - 광주시청 문화관광 : http://tour.gjcity.go.kr - 남한산성도립공원 관리사무소 : http://www.namhansansung.or.kr - 경기도자박물관 : http://www.ggcm.or.kr - 일본군위안부역사관 나눔의집 : http://www.nanum.org - 박물관 얼굴 : http://www.visagej.org ○ 문의전화 - 광주시청 문화공보담당관실 : 031)760-2724 - 남한산성도립공원 관리사무소 : 031)742-7856 - 광주경기도자박물관 : 031)797-0623 - 일본군위안부역사관 나눔의집 : 031)768-0064 - 박물관 얼굴 : 031)765-3522 ○ 대중교통 [시내버스] - 13번 버스, 13-2번 버스 동서울터미널(강변역) → 천호동 → 명일동 → 암사동 → 신장 → 광지원 남한산성 입구 하차 → [15-1번 버스 환승] → 남한산성 - 9번 버스 야탑역 → 모란역 → 중앙시장 → 태평3동사무소 → 태평오거리 → 성남 초등학교 → 수정구청 → 산성역 → 상원여중 → 은행시장 → 을지대학교 → 남한산성 입구 → 남문입구 - 52번 버스 상대원 → SK테크노파크 → 공단 → 상대원1동사무소 → 대원터널사거리 → 중원구청사거리 → 모란역 → 신흥역 → 단대오거리역 → 성남세무소 → 산성역 → 영성여중 → 남한산성 남문매표소 ○ 자가운전 정보 - 중부고속도로 경안I.C - 광지원 - 동문 - 산성 로타리 ○ 숙박정보 - 스타파크 : 경기도 광주시 퇴촌면 우산리 031)764-7072 - 조선파크 : 경기도 광주시 퇴촌면 영동리 031)768-8118 - 아메리카파크 : 경기도 광주시 퇴촌면 영동리 031)768-8011 - 남한강모텔 : 경기도 광주시 남종면 분원리 031)768-7778 - 카프리 모텔 : 경기도 광주시 남종면 분원리 031)767-2087 - 그랜드파크 : 경기도 광주시 실촌읍 곤지암리 031)764-8779 - 천궁파크 : 경기도 광주시 실촌읍 곤지암리 031)763-7578 ○ 식당정보 - 산성오복식당 : 경기도 광주시 중부면 산성리 031)743-6566 - 청와정 : 경기도 광주시 중부면 산성리 031)743-6557 - 남문관 : 경기도 광주시 중부면 산성리 031)743-6560 - 본가소머리국밥 : 경기도 광주시 실촌읍 곤지암리 031)764-6155 - 최미자소머리국밥 : 경기도 광주시 실촌읍 삼리 031)764-0257 - 고향매운탕별관 : 경기도 광주시 남종면 분원리 031)768-9690 - 강촌매운탕 : 경기도 광주시 남종면 분원리 031)767-9055 ○ 축제 및 행사정보 - 남한산성 문화축제 : 매년 9월경. 남한산성도립공원 일원 - 분원마을 붕어찜축제 : 매년 5월경. 남종면 분원리 공설운동장 일원 - 퇴촌 토마토축제 : 매년 6월경. 퇴촌면 정지리 행사장 - 왕실도자기축제 : 매년 9월말에서 10월초. 광주경기도자박물관 일원 ○ 주변 볼거리 - 천진암, 팔당호, 무갑산, 남한산계곡 ▶ 관련기사 ◀☞매력 넘치는 이곳… 둘만의 추억 담는다☞설악산 · 내장산 등 전국으로 단풍열차여행 떠나요☞도쿄디즈니, 환상의 25년
창업시장, 주간 상가 분양단신 (10월 13일자)
  • 창업시장, 주간 상가 분양단신 (10월 13일자)
  • [이데일리 EFN 강동완기자] 창업시장에서 다양한 상가의 정보를 통해 예비창업자는 스스로 상권에 대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이에 성공창업네트워크 이데일리 EFN (www.EnterFN.com)은 상가뉴스레이다의 도움을 받아 매주마다 관련상가분양 소식을 소개한다.(편집자주) ◇ 1만2천여세대 독점 한강메디컬센터 상가분양 경기 김포시 고촌면 신곡리 1082외 2필지 소재 한강메디컬센터가 분양중에 있다. 김포한강신도시 초입으로 고촌역 바로 앞 신곡사거리에 위치해 있다. 한강메디컬센터는 1만2천여세대를 독점한 신곡지구 최초이자 유일한 전문메디컬빌딩이다. 경인운하 배후지로 물류단지조성이 예정되어 있는 점이 눈여겨 볼만하다. 김포경전철이 2012년 개통예정, 김포고속화도로가 2009년 완공예정으로 교통입지가 우수하다. 지하1층~지상5층 총 점포수 34개 연면적 4295.77㎡ 규모로 지하1층은 주차장, 지상1층은 음료.기호음식, 금융, 미용.뷰티, 전문식당, 근린생활용품, 지상2층~지상5층은 메디컬.클리닉으로 구성된다. 3.3㎡당 분양가는 지상1층 3000만원~4000만원선, 지상2층 1200만원선, 지상3층 900만원선이다. 시행은 SL개발(주) 시공은 DM종합건설(주)이 맡았으며 2009년 2월 입점예정이다. 분양문의 : 1566-2130 ◇ 강서LH타워 상가분양 충북 청주시 흥덕구 강서동 강서택지개발지구 44-2블럭 소재 강서LH타워가 분양중에 있다. 강서1지구 주왕해 간선도로 사거리코너 횡단보도에 위치해 시각적인 광고효과가 우수하다. 고속/시외버스터미널이 인접하고 롯데마트, 홈플고속도로러스, 하나병원 등 대형편의시설들이 밀집해 유동인구의 밀집도가 높은 지역이다. 외곽순환도로, 경부/중부고속도로 등의 이용이 편리하다. 지하2층~지상8층 총 점포수 32개 연면적 6574.44㎡ 규모로 지하2층~지하1층은 주차장, 지상1층은 이동통신, 안경점, 음료.기호음식, 금융, 지상2층은 금융, 미용.뷰티, 한.중.일식, 지상3층~지상4층은 오피스, 메디컬.클리닉, 지상5층은 교육.학원, 지상6층은 스포츠관련, 지상7층~지상8층은 근린오락, 스카이라운지, 호프 등으로 구성된다. 3.3㎡당 분양가는 지상1층 1500만원~1950만원선, 지상2층 550만원~650만원선, 지상3층 480만원~530만원선 그 외 층은 450만원~500만원선이다. 시행은 LH컨설팅 시공은 풍원산업개발이 맡았으며 2009년 4월 준공예정이다. 분양문의 : 043-238-0011 ◇ 신세계이마트쉐덴 상가분양 경기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 7336번지외 3필지 소재 신세계이마트 쉐덴이 분양중에 있다. (주)신세계건설이 시공하는 신세계이마트 쉐덴은 성남시청, 교보생명(교보문고), 중앙시장, 태평역으로 이어지는 스트리트형 상권을 형성하고 있다. 지하1층~지하2층에 대형할인마트인 E-mart의 입점으로 상권의 범위가 수정구, 중원구까지 확대되어 풍부한 소비를 확보하고 있다. 인근 탄천IC 및 성남IC를 이용하여 분당~수서 및 분당~내곡간 고속화도로로 서울진입이 용이하고 분당선 태평역, 8호선 단역오거리역이 인접하다. 지하6층~지상14층 총 점포수 121개 연면적 91153.37㎡ 규모로 지하6층~지하3층은 주차장, 지하2층~지하1층은 이마트, 지상1층은 미용.뷰티, 푸드코트, 패션.브랜드 아울렛, 음료.기호음식 등, 지상2층~지상14층은 182세대의 아파트로 구성되어 있다. 3.3㎡당 분양가는 지상1층이 1592만원~2475만원선이다. 시행은 (주)아시아지앤씨 시공은 (주)신세계건설 자금관리는 (주)유니에셋이 맡았으며 2010년 6월 입점예정이다. 분양문의 : 031-759-6294 ◇ 삼정엘리시아 상가분양 삼정엘리시아는 연간 1,600여만명의 관광객이 찾는 해운대상권으로 온천, 동백섬, 오륙도, 달맞이길, 청사포, 올림픽공원, 요트경기장 등 입체적인 관광벨트를 형성하고 있다. 주변으로 숙박시설이 밀집해 있으며 센텀시티, 해운대신도시, 수영만 신흥고급주거지 등 소비수준이 높은 배후세대를 확보하고 있다. 상가전면이 해안도로에 접해 있어 도보이용객은 물론 차량이용고객까지 접근성이 우수하다. 지하2층~지상15층 총 점포수 15개 연면적 4762.10㎡규모로 지하2층~지하1층은 주차장, 지상1층은 음료.기호음식, 카페 등, 지상2층~지상4층은 패밀리레스토랑존, 지상5층~지상6층은 한.중.일식 등 전문식당, 지상7층~지상9층은 뷰티존, 지상10층~지상12층은 근린오락, 지상13층~지상15층은 스카이라운지, 세계맥주, BAR등으로 구성된다. 3.3㎡당 분양가는 지상1층 5000만원선, 지상2층 2400만원선, 지상3층 1800만원선, 그 외 층은 1290만원~2200만원선이다. 시행은 (주)동남리젠시 시공은 (주)삼정 자금관리는 생보부동산신탁이 맡았으며 2009년 12월 준공예정이다. 분양문의 : 051-740-6506 ◇ 메가타워 상가분양 경기 수원시 장안구 조원동 731-12번지 외 4필지 소재 메가타워가 분양중에 있다. 메가타워는 정면 3,000여세대의 아파트와 후면 5,000여세대의 주택지를 근접배후로 확보하고 있으며 현제, 장안지구 개발로 개발기대감이 높다. 홈플러스, CGV, 아웃렛, 한일타운, 수원공설운동장 등 쇼핑, 문화시설이 밀집하고 반경1km내 초교7, 중학교4개, 고교2개, 특목고2개, 아주대, 경기대 등이 인접하다. 주상복합상가로 상부층 아파트세대를 확보하고 있으며 선시공 후분양중인 상가로 투자안정성이 우수하다. 영동고속도로, 북수원IC, 경수산업도로등의 접근이 용이하다. 시행과 시공은 메가랜드산업개발(주), 자금관리는 코람코자산신탁이 맡았다. 분양문의 : 032-683-5250 ◇ 운정프라자 상가분양 경기 파주시 교하읍 야당리 운정택지개발지구 근생F(NF-1) 소재 운정프라자가 분양중에 있다. 운정신도시 최초로 입주하는 근린상가로서 아파트 5,000여세대로 들어서는 진입로변에 위치해 있다. 버스정류장이 인접해 유동인구 확보가 유리하고 공용주차장과 바로 옆에 붙어있어 차량을 이용한 접근이 수월하다. 또한, 보행자도로를 낀 코너에 위치해 시각적인 광고효과가 좋다. 사업지 주변으로 초.중.고교가 신설예정에 있으며 종합병원, 직원훈련원 등이 인접히다. 지하2층~지상5층 총 점포수 12개 연면적 2445.37㎡ 규모로 지하2층~지하1층은 주차장, 지상1층은 수의동물, 음료.기호음식, 근린생활용품, 지상2층은 한.중.일식 전문식당, 미용실, 지상3층~지상5층은 교육.학원~메디컬.클리닉으로 구성된다. 3.3㎡당 분양가는 지상1층 2300만원~2350만원선, 지상2층 750만원선, 지상3층 550만원선, 지상4층~지상5층 450만원선이다. 시행은 진주산업개발 시공은 세화종합건설이 맡았으며 2009년 4월 준공예정이다. 분양문의 : 031-3113-7574
2008.10.14 I 강동완 기자
상상력이 꿈틀댄다 도자기로 빚은 미술마을
  • 상상력이 꿈틀댄다 도자기로 빚은 미술마을
  • [조선일보 제공] 이번 가을 여행 주제를 예술기행으로 잡아보는 것이 어떨까. 단조로운 일상은 한결 화사해지고 잃었던 심미안도 되찾을 수 있을 것 같다. 경남 김해시 진례면 송정리에 가면 외관이 독특한 미술관이 하나 있다. 원형의 건축물 외벽에는 색색의 도자 타일이 빼곡히 붙어있어 눈길을 끈다. 뒤편 언덕에는 오벨리스크를 연상시키는 타워가 높이 솟아 파란 가을 하늘에 구멍을 뚫어 금방이라도 푸른 물감을 쏟아내게 할 태세다. 이 독특한 미술관은 '클레이아크 김해 미술관'이라는 이름을 가졌다. 클레이아크란 흙(clay)과 건축(architecture)의 합성어. 실내외에 설치된 미술 작품들을 감상하면서 예술의 향기에 푹 젖어본 다음에는 클레이아크 타워가 우뚝 솟은 미술관 뒤편 언덕길을 산책해본다. 가야국 시절부터 불어대던 수만 가닥의 바람이 언덕에 오른 여행객들의 발소리를 반주 삼아 가을교향곡을 연주한다. 2006년 3월 문을 연 이 미술관은 매표소부터 미술품으로 치장돼 있어 여행객들의 호기심을 자극한다. 매표소와 맞붙은 마당에 적벽돌과 통나무가 나선형을 그리며 차곡차곡 쌓여 있다. 일본인 조각가 다카마사 구니야스의 작품으로 이름은 '똬리를 튼 용'. 한국의 강렬함을 표현하려 했다는데 용의 승천이 기다려지는 형상이다. 미술관과 카페테리아 사이의 정원에도 눈길을 끄는 작품이 자리를 잡았다. '천 개로 조각난 문화유산을 위한 성벽과 사닥다리들'이라는 작품으로 영국 앤드루 버튼이 만들었다. 적벽돌을 쌓아 올린 작품을 보는 여행객들 머릿속에서는 상상력과 창조력 분자들이 사방으로 날아다니고 숭례문 방화사건 같은 인간의 불온을 곱씹게 만든다. 눈을 돌려 미술관 건물을 바라본다. 원형의 건물 바깥은 가로세로 각 48㎝ 크기의 도자타일 5036장으로 감싸여 있다. 이 도자타일의 작품명은 '파이어드 페인팅(fired painting)'이고 이 미술관 관장이기도 한 작가 신상호씨가 만들었다. 미술관 홍보마케팅팀의 권미옥씨는 "파이어드 페인팅은 세계 최초의 건축도자 전문 미술관인 클레이아크 김해 미술관의 상징물이자 제1호 소장품"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미술관에서는 '건축도자-올드 전'이라는 기획전시회가 열리고 있다. 이 전시회는 2009년 2월 8일까지 이어진다. 야외에서 만나는 작품들도 전시회 출품작들이다. 전시관 안으로 들어가면 '고건축도자의 재해석전', '마크 드 프라이에의 고건축도자 사진전', '건축도자유물전', '가형명기전' 등을 두루 감상하게 된다. 실내전시관 관람을 모두 마쳤다면 클레이아크 산책로를 거닐어볼 차례다. 높이 20m의 클레이아크 타워와 연수관, 체험관에 이르기까지 이리저리 휘어지는 산책로는 물론 전시관 앞마당에 깔린 직사각형의 판석(板石)은 고대 중국의 궁이나 성과 같은 건축물에 사용되었던 것으로 하나하나 밟아나갈 때마다 도도한 역사의 무게가 전해진다. 왜 산업시설과 화훼단지가 많은 김해시에 건축도자 전문 미술관이 들어섰을까. 선사시대의 김해는 김해토기의 본고장이었다. 김해토기는 가야연합의 종주국인 금관가야의 가야토기로 계승됐으며 조선 초기에는 분청사기와 백자 생산지 가운데 하나였으며 현대로 와서는 100여 개의 도자공방이 밀집돼 도자기가 생산되고 있다. "그처럼 장구한 도자 역사를 지닌 고장에 클레이아크 김해 미술관이 문을 연 것은 당연한 일"이라고 권미옥씨는 말한다. 관람료 어른 2000원, 청소년 1000원, 어린이 500원, 휴관일/ 매주 월요일 ▲ ①클레이아크 미술관(뒤)과 영국 앤드 루 버튼 작품‘천 개로 조각난 문화 유산을 위한 성벽과 사닥다리들’. ②일본 조각가 다카마사 구니야스 작 품‘똬리를 튼 용’. ③클레이아크 미술관 내부.● 수로왕릉: 가락국 시조인 수로왕을 모신 무덤. 하늘에서 내려온 알 속에서 태어나 42년 금관가야의 초대 왕에 오른 수로왕은 초기 가야연맹체를 통솔했다. 수로왕릉에서 북쪽으로 조금 떨어진 수로왕비릉(김해시 구산동)은 인도 아유타국의 공주였으며 수로왕의 비가 된 허황옥의 무덤이다. ● 국립김해박물관: 가야문화권의 유물을 집대성한 박물관이다. 제1전시실은 낙동강유역의 선사문화·가야제국의 발전, 제2전시실은 가야사람의 생활·철의 왕국 가야·가야토기의 아름다움·가야의 대외교류 등을 전시하고 있다. ● 김해천문대: 분성산 정상에 들어선 김해천문대는 전시실, 천체 투영실 외에 3개의 관측실을 보유하고 있다. 망원경체험, 천체관측 프로그램 등을 운영하며 천체투영실에서는 20분 동안 별자리해설이 펼쳐진다. ● 먹을거리: 진례면 사무소 앞의 코끼리식당(055-345-9887)은 들깨가루를 넣은 다슬기탕(6000원)과 맑은 다슬기국(6000원)으로 일대에서 알아주는 맛집이다. 논고동찜(중 2만원, 대 3만원)도 특미. 김해한옥체험관 내 한식당 감지방(055-322-4737)에서는 코스요리 수로왕만찬(5만원), 허황후정찬(4만원)을 내놓는다. 대성동고분박물관 인근의 수릉원(055-326-5577)에서는 갈비탕(8000원)과 한우 꽃등심(100g 1만5000원) 등을 먹을 수 있다. 삼락재첩국(055-328-1757·재첩국 6000원)은 24시간 문 연다. ● 숙박정보: 김해한옥체험관(055-322-4735, 봉황동)은 안채, 사랑채, 별채 등에 13개의 객실 보유, 연중무휴로 운영. 김해관광호텔(055-335-0101, 부원동), 가야비즈니스호텔(055-331-2568, 부원동). 자가용으로: 남해고속도로 진례나들목→첫 삼거리에서 좌회전→2㎞ 진행 후 사거리에서 우회전→클레이아크 김해 미술관 주차장 대중교통으로: 김해시내에서 44번 버스 이용, 진례농협 하차 후 미술관까지 도보로 5분 거리. 클레이아크 김해 미술관 (055)340-7000, www.clayarch.org 김해시청 관광과 055-330-3241 수로왕릉 관리사무소 055-332-1094 국립김해박물관 055-325-9332 은하사 종무소 055-337-0101 김해천문대 055-337-3785
창업시장, 주간 상가 분양단신 (8월 18일자)
  • 창업시장, 주간 상가 분양단신 (8월 18일자)
  • [이데일리 EFN 강동완기자] 창업시장에서 다양한 상가의 정보를 통해 예비창업자는 스스로 상권에 대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이에 성공창업네트워크 이데일리 EFN (www.EnterFN.com)은 상가뉴스레이다의 도움을 받아 매주마다 관련상가분양 소식을 소개한다.(편집자주) ◇ 위락상권 디엠프라자 상가분양 경기 화성시 동탄면 반송리 동탄신도시 중심상업지역 106-3번지 소재 디엠프라자가 분양중에 있다. 동탄4만세대 12만명과 세계최대규모 삼성반도체 종사자를 배후로 한 동탄 중심상업지에 디엠프라자가 들어선다. 디엠프라자는 위락시설과 숙박시설이 밀집한 상권으로 업종의 제한을 받지 않는다. 경부고속도로, 지방도317호선, 동탄IC 등의 접근이 용이하다. 신한은행이 자금관리를 맡았으며 70%이상 공정을 마치고 분양하는 선시공후분양상가로 안전성이 높다. 지하4층~지상10층 총 점포수 17개 연면적 8957.70㎡ 규모로 지하4층~지하1층은 주차장, 지상1층은 근린생활용품, 커피전문점, 분식, 등, 지상2층은 전문식당, 지상3층~지상4층은 근린오락, 미용.뷰티, 지상5층~지상7층은 유흥.주점, 지상8층~지상10층은 숙박시설로 구성된다. 3.3㎡당 분양가는 지상1층 3000만원~3400만원선, 지상2층 1100만원선, 지상3층 900만원선이다. 시행은 디엠프라자 시공은 (주)풍산건설이 맡았으며 2008년 10월 준공예정이다. 분양문의 : 031-378-0074 ◇ 노량진민자역사 상가분양 서울 동작구 노량진동 112-1번지 외 철도용지 소재 노량진민자역사가 분양중에 있다. 현재 노량진역 이용객은 일평균 약 7만5천명이며 향후 지하철 9호선 환승시 약 15만명예상되고 있어 풍부한 소비확보로 안정적인 투자가 예상된다. 또한, 흑석동 개발, 노량진 수산시장 현대화공사 및 여의도-용산 국제업무지구-노량진을 순회하는 모노레일 건립등의 호재로 노량진 상권의 확대가 기대된다. 지하2층~지상17층 총 점포수 1546개 연면적 122062㎡ 규모로 지상1층~지상2층은 PLAT FORM 지상3층~지상5층은 Fashion Mall, 지상6층~지상7층은 Cafeterias / Restaurants, 지상8층은 FOOD COURT, 지상9층~지상10층은 CINEMA, 지상11층~지상13층은 Fitness Center/SKY PARK, 지상 14층~지상17층은 Business CENTER / Sky Lounge / Medical Center로 구성된다. 3.3㎡당 분양가는 1300만원~3400만원선이다. 시행은 노량진역사 주식회사가 맡았으며 2012년 1월 준공예정이다. 분양문의 : 02-816-0157 ◇ 리더스프라자 상가분양 인천 남동구 논현동 637-1번지 소재 리더스프라자가 분양중에 있다. 호구포역 역세권 상가로 상권내 최대규모로 들어서며 논현지구 35,000여세대의 아파트를 배후로 하고 있다. 남동공단 초입에 위치해 공단내 상주하는 7만여 근로자를 예비수요로 확보하고 있다. 또한, 한해 약 3백만명의 관광객을 유치하는 소레포구 상권 흡수가 유리한 입지이다. 지하2층~지상11층 총 점포수 75개 연면적 19033.40㎡규모로 지하2층~지하1층은 주차장, 지상1층은 금융, 음료.기호음식, 의류, 미용.뷰티, 근린생활용품, 지상2층은 패밀리레스토랑, 전문식당, 지상3층은 근린오락, 지상4층~지상8층은 메디컬.클리닉, 교육.학원, 지상9층 오피스, 지상10층~지상11층은 스카이라운지, 대형호프 등으로 구성된다. 3.3㎡당 분양가는 지상1층 2800만원~3000만원선, 지상2층 850만원~900만원선, 지상3층 650만원~700만원선이다. 시행은 (주)퍼스텍 월드 시공은 이한이앤씨 자금관리는 생보부동산신탁이 맡았으며 009년 5월 준공예정이다. 분양문의 : 1577-231 ◇ 월드메르디앙 벤처센터3차 상가분양 서울 금천구 가산동 345-4번지 소재 월드메르디앙 벤처센터3차가 분양중에 있다. 1호선, 7 호선 환승 가산디지털단지역과 독산역이 인접한 더블역세권 입지로 아파트형공장이 대거밀집해 있다. 기술협력, 정보제공, 인재훈련을 지원하는 한국산업단지공단과 산업기술평가원, 생산기술연구원 등 기술력을 위한 인프라기관들이 밀집해 기업들의 선호도가 높은지역이다. 가리봉 균형발전 촉진지구, 서남권 르네상스 프로젝트에 대한 미래가치기대가 높다. 지하3층~지상18층 총 점포수 10개 연면적 45193.65㎡ 규모로 지하3층~지하2층은 주차장, 지하1층은 구내식당, 지상1층은 편의점, 커피전문점, 전문식당 등, 지상2층은 메디컬.클리닉, 오피수, 지상3층~지상18층은 아파트형공장으로 구성된다. 3.3㎡당 분양가는 지하1층 500만원선, 지상1층 1000만원~1500만원선, 지상2층 670만원~690만원선입니다. 시행은 월드벤처개발쓰리(주) 시공은 월드건설산업(주)이 맡았으며 2010년 입점예정이다. 분양문의 : 02-802-5185
2008.08.18 I 강동완 기자
꿈결 보다 아름다운 길에서 쉼표를 찍다!
  • 꿈결 보다 아름다운 길에서 쉼표를 찍다!
  • ▲ 상라봉으로 오르는 흑산도 큰고개길<출처:한국관광공사>&nbsp;[조선일보 제공]&nbsp;팽팽한 고무줄이 툭 끊어진 것처럼 문득 아무것도 하지 않고 쉬고 싶어질 때가 있다. 멀리 있어서 더 그리운 곳. 그 곳으로 떠나는 한적한 여행은 완전한 자유다. 도시에서 벗어날수록 북적거리는 인파를 벗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흑산도는 가는 곳마다 비경이 펼쳐진다. 그 비경 한편으로 소담스러운 섬마을이 있고 그곳에서 질펀하게 살아가는 뱃사람들의 향기도 물씬 풍긴다. 올 봄엔 꿈결보다 아름다운 흑산도에서 휴식을 위한 쉼표를 찍어보자. ▲ 정박지로도 유명한 흑산도 예리항<출처:한국관광공사>목포항에서 93km의 뱃길을 달려 흑산도 예리항에 닿는 순간 두 번 놀란다. 거대한 섬의 덩치에 한번 놀라고 예리항의 북적거리는 분주함에 또 한 번 놀란다. 흑산도는 한동안 이웃 섬인 홍도를 가는 길목의 징검다리 역할을 했다. 그러나 언제부턴가 흑산도를 둘러싸고 있는 새끼 섬들의 비경이 알려지기 시작하면서 홍도에 버금가는 관광명소로 자리를 잡았다. 더군다나 톡 쏘는 듯한 맛이 별미인 흑산 홍어가 대표적인 특산물로 널리 알려지면서 ‘구경도 하고 홍어 맛도 보는’ 남해안 최고의 섬 여행지로 인정받고 있다. 또한 근해에서 조업하는 선박의 대피소 혹은 정박지 구실도 하고 있으며, 예전에는 중국과 일본 어선까지 접안하는 국제 항구 역할까지 담당했다. ▲ 흑산도의 명물, 해안 벽화도로<출처:한국관광공사>바닷물이 푸르다 못해 검어서 흑산도라 불리는 섬. 주변에 기암괴석과 해안동굴이 널려 있어 섬 전체가 절묘한 비경이다. 예전에는 조기, 고등어, 삼치 파시가 성황을 이루던 곳이기도 하다. 한시절 흑산도 홍어 파시 때는 60여 곳의 술집이 즐비했고 흥청거리는 밤풍경이 끊이질 않았다는 말이 빈말처럼 들리지 않는다. 진리로 오르는 길목에 높다랗게 서 있는 유서 깊은 흑산도 성당에 가서 예리항을 굽어보면 둥그렇게 항구를 감싼 풍경이 한눈에 들어온다. 흑산도 여행은 크게 육로와 해상으로 나누는데 백미는 육로인 해안 일주도로를 따라 여행하는 것. 대중교통이 많지 않아 일주도로 전문 관광버스나 택시를 이용하는 것이 편하다. ▲ 사리마을 가는 비포장길<출처:한국관광공사>관광버스는 예리항을 출발해 죽항리 뒷대목-샘골-칠락봉 고갯마루-가는개-천촌리를 지난다. 사리마을과 상라봉을 보고 진리로 돌아온다.&nbsp;하지만 흑산도 일주도로를 제대로 즐기려면 걷는 것보다 좋은 방법은 없다. 섬마을 포구에 자그마한 배가 올망졸망 매어 있는 모습이 펼쳐지면서, 일주도로를 걷다보면 그림 같은 포구를 곳곳에서 만날 수 있다. 아직은 비포장도로가 남아 있으나, 길이 뚫리고 아스팔트 포장이 갖춰지면서 홍도 못지않은 멋진 풍경과 섬 곳곳을 장식한 아늑한 포구가 세상에 모습을 드러냈다. 예리에서 출발해 죽항리까지 작은 고갯길을 쉬엄쉬엄 가보면 해안선이 곁눈질로 보인다. 처음에는 시골길 같지만 점점 길은 바다로 향해 열린다. 천촌리를 벗어나면 모래해변인 샛개가 기다린다. 모래는 매우 고와서 손으로 만지면 먼지처럼 부서질 정도. 편의시설이 따로 없으니 음료나 간단한 준비물은 챙겨가도록. 비포장도로는 소사리를 지나고 사리마을(정약전 유배지)로 가는 길로 이어진다. 바다에 점점이 떠있는 낚싯배와 자그마한 두 개의 섬이 어우러진 해림은 가히 절경이다. 섬 사이로 수십 척의 배가 바다 위에 떠있는 풍경이 인상적이다. 사리 마을을 넘으면 가파른 고갯길이 이어진다. 강원도 산골보다 더 첩첩산중 오지길이라는 고갯길을 넘어서면 다시 바다와 접하고 섬의 서쪽으로 접어든다. ▲ 사리마을 정약전 유적지<출처:한국관광공사>예리 2구의 천촌리는 면암 최익현 선생과도 깊은 관련이 있다. 천촌리 입구에는 면암 선생의 뜻을 기리기 위해 세운 ‘면암 최익현 선생 적거유허비’가 자리 잡고 있다. 흑산도에서 유배생활을 했던 대표적인 인물은 정약전 선생이다. 다산 정약용의 둘째 형으로 천주교 포교활동을 하다 붙잡혀 1801년에 이곳으로 유배되었다. 정약전 유적지가 위치한 사리마을은 흑산도의 대표적인 섬마을 풍경을 간직하고 있다. 흑산도에 와서 정약전이 처음 시작한 일은 사촌서당을 지어 아이들을 가르치는 것이었다. 그는 무려 15년 동안이나 유배생활을 하면서 남서해안에 서식하는 155종의 물고기와 해산물을 채집해서 일종의 어류학 총서인 <자산어보>를 집필하기도 했다. 정약전은 흑산도에서 16년 동안 유배생활을 하다가 고향에 가지 못하고 일생을 마쳤다. 사리에는 정약전의 행적과 각종 기록물이 있다. ▲ 홍합치 해안<출처:한국관광공사>아름다운 해안을 벗삼아 심리~문암산의 가장 높은 깃대봉과 홍합치를 지난다. 홍합치는 낭떠러지 해안도로로 육로에서도 한참 비껴 나가 떠 있는 듯 보인다. 이어 가두리 양식을 많이 한다는 비리를 지나가면 서편 바닷가의 독특한 지도바위를 만난다. 바라보는 각도를 바꾸면 구멍이 한반도의 지도 모형으로 보인다. 지도바위 부근은 기암괴석이 빚어내는 으뜸 전망대로 통한다. 흔히 상라봉 전망대를 최고 전망대로 꼽지만 비포장 길과 절벽 같은 해안이 발아래로 펼쳐지는 지도바위 부근의 일주도로도 전망 포인트다. 이곳은 한반도 지도 모양의 구멍이 뚫린 지도바위와 간첩동굴 등 아름다운 해안선으로 잘 알려졌다. 또한 철골 구조로 만든 벽화도로는 흑산도에서만 볼 수 있는 명물이다. ▲ 흑산도아가씨 노래비(좌) / 상라봉에서 바라본 흑산도 앞바다(우) / <출처:한국관광공사>마리를 지나면 상라봉 전망대 입구에 닿는데 흑산도 아가씨 노래비 표지석이 있다. 이곳은 흑산도에서 가장 전망이 좋은 곳이다. 이곳에 서면 흑산도 전경과 함께 예리항 앞바다가 한눈에 들어오고, 뒤돌아서면 탁 트인 다도해를 배경으로 대장도와 소장도가 눈앞을 가로막는다. 상라봉으로 오르는 등산로에는 해상왕 장보고가 쌓았다는 반월성터의 흔적을 발견할 수 있다. 반월성과 봉화대는 흑산도뿐만 아니라 주변의 섬과 바다가 한눈에 들어오는 전망대다. 일주도로 여행의 핵심인 상라봉에서 10분만 더 오르면 흑산도 최고의 전망대, 봉화대가 나온다. 봉화대 정상 부근에 반달 모양의 성이 있다. 맑은 날이면 서쪽으로 20여㎞ 떨어진 홍도는 물론 80㎞ 밖에 있는 가거도까지 시야에 잡힌다고 한다. 전망대는 또 일출과 일몰을 모두 볼 수 있는 곳이다. 배낭기미해수욕장은 유리알처럼 맑아 흑산도에서 가장 깨끗한 해수욕장이다. 물이 유리알처럼 맑고 경사가 완만하며, 백사장이 자갈 반 모래 반이다. 물이 빠진 후 바지락을 주워 담는 재미도 맛볼 수 있다. 해수욕장 입구 송림 사이로 원목 테이블이 마련되어 있어 휴식과 야영이 가능하다. ▲ 유람선관광을 하면 만날 수 있는 기암절벽<출처:한국관광공사>흑산도의 참모습을 보고 싶다면 유람선 여행을 해보는 것이 좋을 듯하다. 하루 3회(08:00, 13:00, 17:00) 운항되는 유람선을 타고 촛대바위를 비롯해서 학바위, 칠성동굴, 고래바위, 원숭이바위, 공룡섬 등과 같은 절경을 둘러볼 수 있다. 이 가운데서도 특히 다도해 해상국립공원의 관광자원 제1호인 촛대바위와 아침 햇살을 받으면 일곱가지 색깔로 빛난다는 칠성동굴 등이 유명하다. 흑산도에는 예리선착장이 있고 영산도, 다물도, 대장도, 소장도가 가까운 거리에 있다. 흑산도에서 쾌속선으로 30여 분을 더 달리면 홍도가 바다 위에서 떠오른다. 홍도는 섬 전체가 천연기념물(제170호)이며 다도해역의 신비를 오롯이 간직하고 있다. 총 24km의 11개의 섬마을을 만나는 흑산도 일주는 완연한 봄날의 풍취를 온전하게 보여준다. 아름다운 해변과 자그마한 포구 마을은 물론이고 다도해를 수놓는 아름다운 섬들은 오랫동안 가슴에 새겨지는 잊지 못할 여행지다. 흑산도 일주도로를 걸어서 완주하기란 쉽지 않다. 24km 정도의 긴 구간이니 예리에서 출발해 사리마을까지 택시나 버스를 이용하고 사리마을부터 상라봉과 진리까지 걷는 것이 좋다. ::: 여행 정보 ○ 관련 웹사이트 - 신안군청 : http://tour.sinan.go.kr ○ 문의전화 - 신안군청 자치관광과 : 061)240-8355 - 흑산면 사무소 : 061)275-9300 - 신안군청 관광안내소 : 061)240-8531 - 흑산농협 : 061)275-9220 - 흑산우체국 : 061)275-9442 - 흑산 예리 보건지소 : 061)275-9062 - 흑산해상관광 : 061)275-9115 - 목포역 안내소 : 061)270-8599 ○ 대중교통 - 목포항 여객선터미널 : 061)243-0116 - 흑산항 여객선터미널 : 061)275-9323 - 동양고속 : 061)243-2111~4 - 남해고속 : 061)244-9915 - (유)동양택시 : 061)246-5006 - 흑산교통관광 : 061)275-9744 - 목포여객선터미널 → 흑산도 (1일 3회 07:50, 08:00, 13:00, 1시간 50분 소요) - 흑산도 → 목포여객선터미널 (1일 3회 10:40, 13:00, 14:00, 1시간 50분 소요) - 용산역-목포역 | KTX 첫차 05:20, 막차 21:25, 45분 간격 운행 - 목포역 : 1544-7788 - 목포 종합버스터미널 061)276-0220 - 목포행 고속버스 (서울 고속버스터미널 호남선 - 목포 종합버스터미널) | 첫차 05:30, 막차 24:00, 40분 간격 운행 ○ 자가운전 정보 (1)서울 출발 | 서해안고속도로 - 목포나들목 - 목포 우회도로 - 목포여객선터미널 - 흑산도(※해상의 기상상태에 따라 여객선 운항 변동 가능.) (2)대전 출발 | 호남고속도로 - 장성분기점 - 고창분기점 - 서해안고속도로 - 목포나들목 - 목포 우회도로 - 목포여객선터미널 - 흑산도(※해상의 기상상태에 따라 여객선 운항 변동 가능.) (3)부산 출발 | 남해고속도로 - 호남고속도로 - 순천나들목 - 벌교 - 보성- 강진 - 영암 - 영산호방조제 - 목포 남악사거리 좌회전 - 목포여객선터미널 - 흑산도(※해상의 기상상태에 따라 여객선 운항 변동 가능.) (4)대구 출발 | 88고속도로 - 고서분기점 - 호남고속도로 - 서광주나들목 - 무안-광주간 고속도로 - 함평분기점 - 서해안고속도로 - 목포나들목 - 목포 우회도로 - 목포여객선터미널- 흑산도(※해상의 기상상태에 따라 여객선 운항 변동 가능.) ○ 숙박정보 <예리> - 흑산비치호텔 : 061)246-0090 - 남도장여관 : 061)275-9003 - 관광장여관 : 061)275-9915 - 개천장 : 061)275-9154 - 우리민박 : 061)275-9634 - 섬드리콘도민박 : 061)275-8505 - 보물섬 민박 : 061)271-0631 <사리마을> - 부두민박 : 061)246-3587 ○ 식당정보 - 성우정식당(홍어) : 061)275-9101 - 영생식당(해물찜) : 061)275-7978 - 우리음식점(홍어) : 061)275-9634 - 큰손식당(해물탕) : 061)275-6500 ○ 축제 및 행사정보 - 흑산도 개매기체험축제, 흑산 홍어축제 ○ 주변 볼거리 - 진리석탑 및 석등, 진리 지석묘군, 성황당, 배낭기미 해수욕장, 지도바위, 정약전유배지, 샛개해수욕장, 영산도, 다물도, 대둔도, 홍도 ▶ 관련기사 ◀☞도쿄의 인사동 100년이 통한다☞''온통 하얀 봄빛'' 섬진강 벚꽃축제 열려☞파도 따라 걷는다… 해안도로!
  • ''콘도 최대 70% 할인''..LGT ''마이레저 요금'' 출시
  • [이데일리 이학선기자] LG텔레콤(032640)은 콘도와 영화, 여행상품을 큰 폭 깎아주는 '마이레저 요금제'를 선보인다고 25일 밝혔다.이 요금제는 기존 마이콘도 요금제에서 제공하던 한화콘도 숙박할인, 부대시설 할인은 그대로 유지하고 영화 예매 할인과 여행 상품 할인이 추가로 제공되는 게 특징이다.'마이레저 요금제'에 가입하면 전국의 12개 한화콘도를 회원 대우 가격인 최대 70%, 워터피아 등 부대시설을 최대 20%까지 할인된 가격에 이용할 수 있다. 영화의 경우 맥스무비를 통해 예매시 최대 4000원이 할인되며, 국내외 여행상품은 최대 9%까지 할인혜택을 적용받는다.특히 '마이레저 요금제' 가입자가 항공 마일리지 프로그램에 가입할 경우 콘도와 항공권을 저렴한 가격으로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LG텔레콤 마케팅실 마케팅전략담당 차지운 상무는 "콘도, 영화, 여행 등 3가지 레저를 묶은 마이레저 요금제를 통해 여가활동이 많은 고객들로부터 높은 호응이 예상된다"며 "고객생활가치형 서비스와 요금상품을 지속적으로 선보여 나가겠다"고 말했다.한편 LG텔레콤은 이번 요금제 출시를 기념해 내달 30일까지 '마이레저 요금제' 가입자 중 추첨을 통해 50만원 여행 할인권, 설악 한화 콘도 숙박권, 영화 예매권, 피자 1판 무료권 등 경품을 제공할 방침이다.▶ 관련기사 ◀☞LG텔레콤 패스온, 대한민국에서 가장 바쁜 사람 뽑는다☞26일부터 LGT 3세대 서비스도 '010'
2007.10.25 I 이학선 기자
아흔여덟 해, 남해의 영욕을 비추다(VOD)
  • 아흔여덟 해, 남해의 영욕을 비추다(VOD)
  • ▲ 가덕도 등대 신 등탑[조선일보 제공] 가덕도(加德島) 등대(정식 명칭은 '가덕도항로표지관리소')는 섬 남단 절벽 끝에 매달리듯 서 있다. 그래서인지 40.5m 등탑이 더욱 높아 보인다. 팔각형 등탑 안쪽으로 계단이 또아리를 틀며 끝도 없이 솟구친다. "계단이 도대체 몇 개나 되나요?" "198개입니다." 헐떡거리며 마지막 198번째 계단에 올라 문을 열었다. 시원한 바닷바람이 밀려들어온다. 등탑 꼭대기 전망대로 나갔다. 경관이 기막히다. 푸른 바다가 터질 듯 펼쳐진다. 서남쪽으로 거제도가 손에 잡힐 듯 가깝다. 가덕도는 부산에 속하지만, 부산과 거제도 사이쯤에 있는 섬. 진해도 멀지 않다. 등탑 꼭대기까지 안내한 서정일(42) 등대원은 "맑은 날은 대마도(일본 쓰시마)까지 보인다"고 말했다. "옛날 이순신 장군이 왜군을 물리친 게 이 부근입니다." 오후 7시 무렵, 등탑 꼭대기에서 불빛이 돌아가기 시작했다. 빛은 12초마다 한 번씩, 차츰 어두워지는 가덕도 주변 바다에 커다랗게 원을 그렸다. 날이 어두워지면 자동으로 불이 들어온다. 전구 크기는 남자 어른 주먹만했다. 밝기는 500와트. 수많은 배들을 인도하는 불빛의 근원이 고작 요거였다니. ▲ 1909년 세워진 옛 등대 건물가덕도 등대의 진짜 볼거리는 등탑에서 바라보는 바다 풍광이나 등대 불빛 아니다. 등탑 바로 옆에 또 하나의 작은 등대가 붙어있다. 옛 가덕도 등대다. 1909년 12월, 대한제국 시절에 세워졌으니 올해로 아흔여덟 살이다. 작지만 단아하다. 사각형 건물이 작은 팔각형 등탑을 이고있다. 붉은 벽돌로 튼튼하게 지은 건물을 흰색 페인트로 칠했다. 근대 서양건축 양식을 충실히 따라 건설됐다. 지붕과 처마에 해당되는 사각 테두리도 이국적이다. 100여년 전 건립 당시 모습을 잘 간직하고 있다. 2003년 부산시 유형문화재 50호로 지정됐다. 현관문을 열고 안으로 들어갔다. 한 사람이 겨우 올라갈 수 있는 층계를 오르면 등탑 속이 된다. 층계 너머 왜식(倭式) 여닫이문을 열면 작은 부엌과 온실방이 있고, 아궁이에는 가마솥이 놓여있다. ▲ 등대 체험 숙소등대를 나왔다. 1m쯤 돌출된 현관 위에 꽃 문양이 새겨져 있다. 대한제국과 황실의 상징인 오얏(자두나무)꽃이다. 현관 옆 안내판은 이 문양에 '조선의 자주권 확립을 위한 열망이 담겨져 있다'고 설명한다. 하지만 가덕도 등대가 세워진 배경은 자주나 독립과 거리가 멀다. 등대는 일제의 강압에 의해 만들어졌다. '가덕수도(加德水道)'라 불리는 가덕도 서쪽 해안은 왜구부터 일제까지 일본의 한반도 침입루트였다. 가덕도의 전략적 중요성을 잘 알던 일제는 1905년 일본군 사령부가 설치했다. 요새를 구축하고, 이어 1909년 등대를 완공한다. 바로 다음 해인 1910년. 치욕적 한일합병을 당했다. 예쁜 가덕도 등대. 수치스럽지만, 그래서 더욱 잊으면 안될 우리 역사를 상처로 품고있다. ▲ 신 등탑 속 나선형 계단::::: 꼭 챙겨가세요 가덕도 등대는 해군부대 안에 있기 때문에 방문하려면 미리 허가를 받아야 한다. 부산지방해양청에 인적사항을 일주일 전에는 보내야한다. 문의 부산지방해양청 (051)609-6801, pusan.momaf.go.kr('항로표지' - '등대이용안내'를 클릭한다) ::::: 찾아 가는 길 부산 신항에서 배를 탄다. 편도 어른 2400원, 아이 1200원. 배는 오전 7시 30분부터 2시간 간격으로 있다. 계절에 따라 변하니 미리 확인해야 안전하다. 섬에서 나오는 배는 오후 5시까지 있다. 문의 가덕진영해운사 (051)971-9664. 부산에서 외양포까지 약 40분 걸린다. 외양포에 내려 오른쪽 산길을 구비구비 40분쯤 걸으면 등대다. 해병대 초소부터 해군부대 출입구까지, 마지막 2~3㎞ 구간이 험하다. 시멘트 포장길과 비포장 흙길이 교차된다. 하지만 덕분에 원시림에 가까운 섬 숲의 생태계가 그대로 보존돼 있다. 등대보다 이 산길 걷는 맛이 더 좋다는 방문객도 꽤 된다. 차로 가려면 경남 진해 안골 선착장에서 카페리를 이용한다. 소형승용차 1만5000원, 중형차 2만원. 문의 신항만 해상운송 (055)551-8009. 섬으로 들어가는 배는 오전 7시부터 2시간 간격(오후 1시 배 없음)으로, 나오는 배는 오전 8시부터 오후 6시까지(오후 2시 배 없음) 있다. 계절에 따라 변동하니 미리 확인한다. 안골에서 장항까지 30분쯤 걸린다. 장항 선착장에서 해안도로를 따라 달리면 외양포를 지나 등대에 닿는다. 40분쯤 걸린다. ::::: 숙소 정보 등대체험숙소가 가장 좋다. 등대 불이 들어오는 광경이나 등대 뒤로 해가 뜨는 광경을 볼 수 있다. 시설도 콘도 수준. 15평 규모로 침대와 소파 등이 있다. 숟가락부터 압력밥솥까지 취사도구도 빠짐없이 갖춰져 있다. 게다가 공짜다. 부산지방해양수산청에서 매달 8일까지 체험신청을 받는다. 경쟁률이 엄청나다. 사회복지법인-초·중·고교생 체험학습-가족 단위-일반 국민-해양수산부 직원 순으로 우선순위가 주어진다. '여름등대해양학교'가 열리는 7월 중순부터 8월 22일까지는 받지 않는다. 문의 부산지방해양청 (051)609-6801, pusan.momaf.go.kr ::::: 먹을거리 등대에서 숙박할 경우 음식을 준비해야한다. 주변에 식당이 전혀 없고, 마을이나 항구까지 나가기 힘들다. 가덕도는 겨울 숭어와 대구가 유명하지만, 정작 섬에서는 맛보기 어렵다. ::::: '항로표지원'은… 우리가 흔히 '등대지기'라고 부르는 등대관리인은 지방해양수상청 소속 공무원으로 정확한 명칭은 '항로표지원'이다. 시험을 봐야 하는 것은 물론 전자·전기기사, 기계기사 등 자격증을 갖춰야 등대에서 근무할 수 있다. 배가 잘 닿지 않는 곳에서 가족과 떨어져 일하기 때문에 20여 일에 한번 꼴로 육지에 나갈 때마다 먹거리를 한꺼번에 사오고 식사도 직접 해결해야 하는 것은 고충이다. 해가 질 때 출근해서 동이 튼 후에야 퇴근할 수 있는, '밤낮 뒤바뀐 생활'도 고되다. 사진은 가사도 등대 항로표지원. (글=김신영 기자 / 사진제공=주강현 해양문화재단 이사) ▲ 가덕도 등대 / 조선일보 김성윤 기자 / Tagstory에 올라온 동영상
  • (전문)한·미FTA 국내보완대책 발표문
  • [이데일리 이정훈기자] 다음은 28일 정부가 발표한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국내 보완대책 발표문 전문입니다. 1. 모두말씀 존경하는 국민여러분, 지난 4월2일 14개월 동안의 협상 끝에 역사적인 ‘한미 자유무역협정’이 타결되었습니다. 협상타결 이후 정부는 11개 국책연구기관이 참여한 가운데 한미FTA가 우리 경제에 미칠 영향과 효과를 심도 있게 분석하는 한편 협정문 공개와 공개 이후 제기된 쟁점사항에 대한 대국민 설명 등을 통해 한미FTA협상의 실체적 내용을 국민 여러분께 소상하고 투명하게 알려드리기 위해 노력해왔습니다. 이와 함께, 한미FTA체결에 따라 예상되는 단기적&#8228;부정적 충격을 최소화하고 한미FTA를 우리 경제의 성장잠재력 확충과 시스템 선진화의 기회로 적극 활용하기 위한 국내보완대책 마련에도 진력을 기울여 왔습니다. 오늘 국민 여러분께 설명드리고자 하는 「한미자유무역협정 체결에 따른 국내보완대책」은 지난 4월2일 ‘한미FTA 국내보완대책 추진방향’에서 말씀드린 대로 영향분석 결과를 토대로 관계부처간의 긴밀한 협의는 물론 농어민 단체 등 각종 업종별 이해단체, 관련 민간 전문가, FTA국내대책위원회, 국회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의견을 수렴하여 마련한 것입니다. 국민 여러분께서도 잘 아시는 바와 같이, 현재 미국측과 노동, 환경 등에 대한 추가협의가 진행 중에 있습니다만 이들 사항은 지난 4월 2일 타결된 협상의 전체 골격이나 핵심 쟁점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국내보완대책은 당초 계획된 일정에 맞춰 마련하였습니다. 그러면, 먼저 정부가 마련한 「한미자유무역협정 체결에 따른 국내보완대책」의 기본구조를 간략히 설명 드리겠습니다. 2. 국내 보완대책 기본 구조 한미FTA체결에 따른 단기적 충격을 최소화하고, 한미FTA를 우리 산업의 경쟁력 강화와 시스템 선진화의 계기로 적극 활용하기 위해 종합적인 대책을 추진하겠습니다. 첫째, 농&#8228;수산 분야에 대하여는 우리의 재정능력과 국제규범이 허용하는 범위안에서 직접적인 피해에 대한 지원이 최대한 이뤄지도록 피해보전제도를 한층 강화하였습니다. 제조업&#8228;서비스업의 경우에는 자발적인 구조조정과 근로자 고용안정 지원이 원활히 이뤄지도록 하는데 역점을 두었습니다. 둘째, 산업별 경쟁력 강화를 위한 다각적인 방안을 추진해 나가겠습니다. 농&#8228;수산업의 경우 피해품목별 경쟁력 강화 방안과 함께 농&#8228;수산업의 구조와 체질을 개선하고 신성장 동력을 확충하기 위한 방안을 추진토록 하겠습니다. 제조업&#8228;서비스업의 경우 제약산업 등 시장개방 업종에 대한 경쟁력 강화지원과 함께 제조업&#8228;서비스업 전반의 경쟁력 강화를 추진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셋째, 한미FTA 체결로 상대적으로 큰 피해가 예상되는 농어촌의 소득기반을 확충하기 위한 방안도 강구해 나가겠습니다. 3. 직접적 피해지원 방안 1)농수산업 부문 농업부문에서는 피해보전 비율을 상향조정하고 지원요건을 합리적으로 개편하는 등 현행 품목별 피해보전직불제와 폐업지원제도를 개선하겠습니다. 품목별 피해보전직불제의 경우, 현재는 지급대상 품목을 ‘사전적으로 지정’해 왔으나, 앞으로는 ‘지급요건을 충족하는 품목을 사후 지정’하는 방식으로 개선하여 피해와 지원간의 연계성을 높이고 피해보전 비율을 80%에서 85%로 상향 조정하여 피해보전 수준도 강화하겠습니다. 폐업지원제도의 경우, 대상품목 선정방식과 지급요건을 품목별 피해보전제도와 동일하게 개편하는 한편, 경쟁력 강화 지원과 폐업지원을 동시에 받을 수 없도록 함으로써 구조조정 효과를 제고토록 할 계획입니다. 수산업의 경우, ‘FTA농어업특별법’상 품목별 피해보전직불제와 폐업지원제도를 실시하기 위한 근거 규정은 있으나 세부적인 기준이 구체화되어 있지 않았습니다. 금번 대책을 통해 농업부문과 동일하게 피해보전직불제와 폐업지원제도 실시기준을 마련함으로써 수산업 부분에 대한 피해지원도 차질 없이 추진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2)제조업 서비스업 부문 먼저, 제조업의 경우 한미FTA 체결로 인한 수입증가로 피해를 입었거나 입을 것이 확실한 기업에 대해서는 현행 ‘제조업 등 무역조정지원법’에 근거하여 자금 융자 및 경영&#8228;기술 컨설팅 지원 등 자발적 구조조정을 지원해 나가겠습니다. 서비스업의 경우 무역조정지원 대상 서비스업 범위를 현행 제조업 관련 서비스업종(51개)에서 ‘서비스업종 전반’으로 확대하여 서비스업에 대한 구조조정 지원도 강화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한편, 한미FTA에 따른 시장개방 등 외부환경의 변화로 경쟁력을 상실하여 경영상의 어려움을 겪는 제조업 및 서비스업을 영위하는 중소기업에 대해서는 자금 융자 등을 통해 사업전환을 유도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3)근로자 고용안정 강화 한미FTA 체결에 따른 일시적 고용불안 발생에 대비한 대책도 추진해 나가겠습니다. 우선, 근로자의 고용안정 지원을 강화하기 위해 전직지원금 및 훈련연장급여 등의 지급수준을 상향 조정하는 한편 직업훈련 지원 체계를 수요자 중심으로 개선하고 ‘FTA신속지원팀’을 설치&#8228;운영하여 고용안정 지원 서비스의 전달체계를 신속화&#8228;효율화 하도록 하겠습니다. 또한, 주요 업종별 고용지원대책도 추진해 나가겠습니다. 농수산업의 경우, 폐업지원금을 받는 농어민을 고용하는 기업에 대해 ‘고용촉진장려금’을 지원하도록 하겠습니다. 제약 산업은 수원지역에 집중되어 있다는 특성을 감안, 수원지역 고용지원센터를 전담 지원센터로 지정하여 제약 전문인력을 적극 양성해 나가겠습니다. 섬유&#8228;자동차 등 수혜산업의 경우에도 한미FTA 체결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전문인력 양성과 현장 재교육 실시에 대한 지원을 강화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4. 산업별 경쟁력 강화 방안 1)농업부문 첫째, 주요 품목별 경쟁력 강화방안을 추진해 나가겠습니다. 축산분야의 경우 한육우&#8228;돼지&#8228;닭 등 가금류를 중심으로 시설현대화, 유통체계 개선 등을 통해 품질 고급화와 수입산과의 차별화를 도모하는 한편, 도축세 폐지 등을 통해 축산농가의 비용부담을 완화하고 경영안정을 지원해 나가겠습니다. 과수분야의 경우 감귤&#8228;사과&#8228;포도 등의 품종을 중심으로 대표 브랜드 육성, 고효율 생산시설 확대 등을 추진해 나가고 채소&#8228;인삼, 식용콩 등 식량 및 임업 분야에 대해서는 시설 현대화 지원, 인삼 수출전문단지 신규 육성, 브랜드 경영체에 대한 패키지 지원 강화 등을 추진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둘째, 우리 농업의 구조와 체질을 근본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방안도 추진해 나가겠습니다. 먼저, 전업농 중심의 규모화를 달성하고 농업의 구조개선을 촉진하기 위해 고령농의 경영이양을 지원하는 경영이양직불제를 실효성 있게 확대 개편토록 하겠습니다. 경영이양직불제 대상 농지를 현행 진흥지역內‘논’에서 ‘모든 농지’로 확대하고 지급 금액을 상향조정하는 등 현행 제도를 합리적으로 개편함으로써 고령농의 경영이양을 보다 활성화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음으로, 농가단위 소득안정제도 도입을 위한 제도적 기반을 단계적으로 구축해 나가겠습니다. 농가단위 소득안정제도는 특정품목의 과잉생산과 같은 현행 품목별 소득보전제도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전업농의 생활안정 지원을 강화하기 위한 것입니다. &nbsp;동 제도의 시행을 위해서는 ‘농가단위의 정확한 소득 파악’, ‘기존 쌀직불제와의 통합’ 등 사전 인프라 구축이 필수적이므로 농림부 및 관계부처가 참여하는 「농가단위 소득안정지원제도 추진기획단」을 ’08년 중에 설치하여 ’10년 시범사업을 실시하는데 지장이 없도록 차질없이 준비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농업회사법인의 대표이사를 농업인으로 제한하는 현행 제도를 폐지하고, 농지은행에 8년 이상 농지를 임대위탁하는 경우 소득세법상 비사업용 토지에서 제외함으로써 임대경작의 투명화를 유도하는 한편, 농작물 재해보험 및 가축공제 사업과 농지은행의 경영회생지원 농지매입사업을 확대하는 등 농업경영체를 활성화하고 영농의 규모화와 농업의 경영안정을 위한 다각적인 방안도 추진해 나가겠습니다. 셋째, 농업의 신성장동력을 확충하기 위한 정책적 지원을 강화해 나가겠습니다. 농림바이오 연구기술에 대한 R&D지원 확대 등을 통해 종자&#8228;종묘 등 첨단기술 산업을 우리 농업의 신성장동력으로 육성하고 첨단 농식품 클러스터 2개소를 추가로 조성하고, 김치, 인삼 등 30대 수출상품을 선정하여 맞춤형 수출 마케팅을 지원하는 등 농업의 고부가가치화와 농식품 수출 확대도 적극 지원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2)수산업부문 첫째, 주요 품목별 경쟁력 강화방안을 추진해 나가겠습니다. 원양어업인 명태(북양트롤)의 경우 생산설비 현대화를 통해 품질의 고급화를 추진하고, 민어(해외트롤)에 대해서는 공동운반&#8228;판매&#8228;마케팅을 지원하는 관리회사를 육성함으로써 가격경쟁력을 제고토록 하겠습니다. 연근해어업인 고등어(대형선망)에 대해서는 활어 운반선 건조 지원 등을 통해 제품의 고부가가치화를 추진하고, 오징어(연근해채낚기)에 대해서는 에너지절약형 集魚燈 기술개발 지원을 통해 유류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양식어업인 넙치&#8228;볼락(해면양식)과 뱀장어(내수면양식)에 대해서도 관련시설의 현대화 지원을 통해 경쟁력 강화를 추진토록 하겠습니다. 둘째, 수산자원 및 수산환경 관리에 대한 정책적 지원을 강화하여 수산업의 자생력과 지속가능성을 제고토록 하겠습니다. 총허용어획량 관리어종을 확대(’06년 9종→’11년 15종)하여 수산자원의 회복을 추진하는 한편, ‘친환경 기자재 사용시’ 및 ‘조건불리 도서지역’을 지원하는 ‘수산보전제도’를 도입하도록 하겠습니다. 셋째, 해양바이오 창업지원센터 건립 지원, 김&#8228;미역&#8228;다시마 등 수산물 건조장에 대한 어업용 면세유 공급 및 고부가가치 내수면 양식품종의 개발과 산업화 지원 등 수산업의 신성장동력을 확충하기 위한 방안도 추진해 나가겠습니다. 3)제조업 서비스업 부문 첫째, 제약산업 등 시장개방 업종의 경쟁력 강화 지원사업을 중점 추진해 나가겠습니다. 제약산업의 경우 의약품 인허가 절차를 국제 공통기준에 부합하게 혁신하는 등 제약산업 인프라를 글로벌 수준으로 개선하는 한편, 신약 및 바이오 의약품에 대한 R&D지원 확대, 임상시험센터 확충, 특허 통합정보시스템 구축(’08년) 등을 통해 제약산업의 신약개발 역량을 제고하기 위한 지원을 확충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정밀 화학&#8228;정밀 기계 등 경쟁력 있는 국내산업의 육성이 반드시 필요한 분야에 대해서는 향후‘선택과 집중’의 원리에 입각하여 R&D 지원을 대폭 강화하도록 하겠습니다. 둘째, 한미FTA체결을 계기로 제조업&#8228;서비스업 전반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관련 제도를 선진화하기 위한 종합적인 대책도 추진해 나가겠습니다. 우선, 며칠 전 「제2단계 기업환경개선 종합대책」에서 발표한 규제개선과 제도 선진화 과제를 차질 없이 추진하여 기업친화적 경영환경을 조성하고 기업경영에 있어서의 법적 안정성과 투명성을 제고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우리 경제의 새로운 성장동력인 서비스 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종합적인 대책도 마련 중에 있으며 금년 7월 하순경 발표할 계획으로 있습니다. 현재 검토중인 주요 내용을 간략히 말씀드리면 해외소비의 국내전환을 위한 관광&#8228;레저산업의 활성화 방안, RFID 등 첨단 IT기술을 활용한 생산성 제고 방안, 금융, 방송 등 시장개방 업종의 경쟁력 강화 방안 등을 중점 검토 중에 있습니다. 제조업&#8228;서비스업 전반의 경쟁력 강화와 함께 중소기업이 한미FTA체결에 따른 기회를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FTA종합지원센터」를 설치하고, 중소기업의 對美마케팅 및 미국 현지 네트워크 구축을 지원하는 방안도 추진하겠습니다. 5. 농어촌 소득기반 확충지원 방안 끝으로, 한미FTA 체결에 따라 상대적으로 피해가 클 것으로 예상되는 농어촌 지역의 소득기반을 확충하기 위한 방안을 설명 드리겠습니다. 첫째, 농업인이 농지를 직접 출자하여 개발사업을 추진하는 경우 농지보전부담금을 감면하고, 농어촌지역 창업기업에 대한 투자보조금 지원제도를 2016년까지 연장 운영하는 등 도시자본의 농어촌투자를 촉진함으로써 농어촌 경제를 활성화하고 농어촌의 소득원이 다변화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둘째, 농공단지의 시군별 지정면적 확대, 농어촌 재래시장 현대화 사업의 국비지원한도 증액 등을 통해 농어촌에 기반을 둔 지역산업 육성을 지원해 나가겠습니다. 셋째, 농촌테마공원 조성 확대 등 농촌 체험 및 휴양기반을 확충하고, 농어촌 관광숙박시설 관련 규제를 완화하여 농어촌 지역의 관광사업 활성화도 추진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6. 향후 조치계획 및 당부말씀 정부는 오늘 발표한 국내보완대책의 차질 없는 이행을 위하여 금년 하반기 중 ‘FTA농어업 특별법’, ‘제조업 등 무역조정지원법’등 관련 법령의 개정 작업을 추진해 나가는 한편 관계부처간 긴밀한 협의와 국회와의 협의 과정 등을 통해 세부 실행방안을 마련하고, 보완대책 추진에 필요한 소요재원 규모 등을 확정하는 등 후속조치를 취해 나갈 계획입니다. 존경하는 국민 여러분! FTA를 통한 경제 통합의 가속화는 이제 거스를 수 없는 시대적 흐름일 뿐만 아니라, 한미FTA체결은 성장잠재력 확충과 시스템의 선진화가 그 어느때보다 요구되는 현 시점에 있어, 우리 경제를 한단계 더 업그레이드 시킬 수 있는 소중한 기회가 될 것입니다. 정부는 앞으로도 한미FTA 보완대책 추진상황을 주기적으로 점검&#8228;평가하고 지속적으로 보완해 나감으로써 한미FTA 체결에 따른 충격을 최소화하고 긍정적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해 나가겠습니다. 국민 여러분께서도 많은 어려움 끝에 타결된 한미FTA가 조속한 시일내에 국회 비준을 받을 수 있도록 적극적인 성원과 지지를 당부드립니다. 감사합니다.
2007.06.28 I 이정훈 기자
힐러리가 간다는 그곳… 힐러리처럼 특별할까
  • 힐러리가 간다는 그곳… 힐러리처럼 특별할까
  • [조선일보 제공] 전세계의 유서 깊은 온천, 속속 업그레이드 되는 스파들. 세계는 넓고 가볼 곳은 많다. 황제가 몸을 담그고 간 전통의 온천장부터 힐러리 여사 등 명사들이 몰리는 데스티네이션 스파(체류형), 뉴욕 여성들 사이에서 화제인 데이 스파(도심형)까지, ‘100% 나를 아끼는 스파 여행’을 꿈꾸는 당신을 위한 월드 스파 가이드. ▲ 신비로운 푸른 물이 장관인 아이슬란드 `블루 라군` 온천.▒ 유럽 ▒ 바스(영국), 비시(프랑스), 바덴바덴(독일)…. 물로 유명한 도시가 유럽에 몰려있다. 스파(Spa)란 이름의 온천마을도 벨기에에 있다. 바람둥이 카사노바도 찾아왔다고 한다. 생수로 유명한 에비앙과 산 펠레그리노에도 스파가 있다. 프랑스의 경우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탈라소테라피에 이어 와인의 고장답게 포도밭을 이용한 비노테라피 등 스파 기법을 선보이고 있고, 독일은 좀 더 엄격하게 수(水) 치료 전통을 지켜나가고 있다. ■ 영국 St. David’s Hotel&Spa(www.thestdavidshotel.com): 웨일즈 카디프의 스파센터. 해수를 이용한 ‘마린 스파’를 운영하고 있다. ■ 프랑스 Thermes Marins de Saint-Malo(www.thalassotherapie.com): 탈라소테라피의 진수를 선보이는 곳. 파리지앵들이 주말에 즐겨 가는 곳. ‘아벡크 마망’(엄마와 함께) 등 어린이 스파 프로그램이 다양하다. ■ 독일 Spa Bad Elster: 독일 황제들이 즐겨 찾은 휴양지. 16세기부터 온천으로 명성을 날렸고 괴테도 들렀다고 한다. 고풍스러운 온천 하우스와 첨단 스파 시설이 공존. ■ 스페인 카나리아제도: 유럽인들이 대거 몰려오는 휴양지. 화산섬이니만큼 곳곳에 저가·중가·고가 스파 시설이 많다. ■ 오스트리아 Rogner-Bad Blumau(www.blumau.com): 온천의 질과 프로그램, 규모, 건축 모두 훌륭하다. 불모지였던 땅을 온천이 살렸다. 표지판도 제대로 없고, 교통도 불편한데 사람들이 몰려 온다. 온천 개발 사례의 귀감이 되는 곳. ■ 이탈리아 Terme di Saturnia(www.termedisaturnia.it): 이탈리아 최고 스파. 화산 온천의 진수. 대중탕과 ‘프라이빗’ 온천시설을 동시에 갖추고 있다. 노천탕도 기가 막히다. ■ 아이슬란드 Blue Lagoon(www.blulagoon.com): 해수 온천, 머드, 해조팩 등을 체험할 수 있다. 경관 자체가 신비롭다. 대자연의 스케일을 느끼는 온천욕이 가능하다. 지열을 이용한 동굴 테라피 등은 ‘인위적’으로 열을 가하는 찜질방과 차원이 다르다. ■ 터키 Cagaloglu Hamami(www.cagalogluhamami.com.tr): 400년에 이르는 전통을 자랑. 5가지 전통 터키 사우나와 목욕 코스 체험 가능. 거품을 이용한 바디 스크럽이 압권. 아는 사람들은 이스탄불 여행가면 꼭 찾는다. 배낭여행객도 이용할 수 있는 가격대. Laveda Spa(www.ritzcarlton.com): 이스탄불 릿츠칼튼 호텔에 있다. 터키 목욕은 해보고 싶지만, 이 사람 저 사람과 섞이기 싫은 사람을 위한 럭셔리 스파. 야외 스파가 인기.&nbsp;▲ `몸·마음·영혼의 조화를 추구한다`는 태국 후아힌의 `치바솜` 헬스 리조트.▒ 중동 ▒ 두바이 명품 쇼핑센터에, ‘7성 호텔’로 도시를 띄우며 부자 여행객을 끌어 모으는 두바이. 스파로도 가장 ‘잘 나가는’ 도시다. 보다 이국적인 곳에서의 스파 경험을 원하는 여행객을 속속 낚아채는 바람에 전통의 강자 태국에 비상이 걸렸다는 후문이다. 두바이와 방콕은 ‘메디컬 투어’에서도 라이벌. ■ Assawan Spa(www.burj-al-arab.com): ‘버즈 알 아랍’ 호텔에 있다. (주머니 사정 무시하고) 단 한군데의 스파만을 골라야 한다면, 답은 이곳. 숙박객만 이용할 수 있다. 전세계 최고의 스파 테라피를 몽땅 모아놓았다. ■ Six Senses Spa at Madinat Jumeirah(www.madinatjumeirah.com): 주메이라 자체가 워낙 근사한 인공섬. 고급리조트로 유명한 식스센서스 그룹이 운영하는 스파. ■ One & Only Royal Mirage(www.oneandonlyresorts.com): ‘버즈 알 아랍’에 못 간다면 여기라도. 물론 이곳도 가격이 만만치 않다. 버즈 알 아랍과 비교해서 가격대비 더 알차다는 의견이 있다. 지방시 스파와 오리엔탈 하맘이 공존. ▲ 세계 최고의 호화 스파? 두바이 `버즈 알 아랍` 호텔에 있다.▒ 아시아 ▒ 아시아 전통온천으로 승부하던 일본이 첨단 스파 개발에 나섰고 중국도 가세하고 있다. 인도는 수천년간 이어져 온 전통 의학이자 생활 철학인 아유베다를 내세워 관광객을 끌어들이고 있다. 1970년대부터 미국과 유럽 히피들을 끌어 모은 ‘아유베다 투어’는 속속 초호화판 리조트로 진화 중이다. 아시아야 말로 스파 개발 열기가 가장 뜨거운 지역. ■ 태국 Chiva-som(www.chivasom.com): 여행잡지 ‘트레블 앤 레저’가 뽑은 세계 최고 스파. 태국 후아힌에 있다. 스파 레시피에 입각한 스파 퀴진을 갖추고 있으며 디톡스, 다이어트 프로그램도 유명하다. 몸과 마음, 영혼의 건강을 추구한다는 곳. ‘헬스 앤 웰니스’ 전담 코치가 배치된다. 몸짱 배우 A씨가 다녀와서 화제였다. The Oriental Spa at The Oriental Hotel: 힙한 디자인 호텔이 속속 생기는 방콕. 그러나 품위를 찾는 고객은 ‘오리엔탈’ 호텔로 몰린다. 단독형 스파로 가려면 배 타고 강을 건너야 해서 더욱 분위기 만점. 스파 스태프의 서비스가 세계 1위. ■ 일본 Enospa(www.enospa.jp): 진화하는 일본 스파의 대표주자. 도쿄에서 가까워 인기. 다리로 연결된 에노시마(섬)에 있다. 대중 온천에 에스테틱 프로그램을 갖추고 있다. 최근 트렌드가 뭔지 보여주는 곳. ■ 인도 Rajvilas(www.oberoirajvilas.com): 자이푸르 오베로이 리조트에 있다. 아유베다 프로그램이 유명하다. 호화, 호화 또 호화. Ananda in the Himalayas(www.anandaspa.com): ‘히말라야 라이프 스타일 스파’를 표방한다. 아유베다와 요가를 양대 산맥으로, 총 79가지 트리트먼트를 진행한다. 센터 분위기가 명상 그 자체다. ■ 중국 Evian Spa by Three(www.threeonthebund.com): 중국 대도시나 온천 지역이 우리나라 물놀이 시설의 시스템을 수입한다지만, 도심형 데이 스파는 훨씬 앞서간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중 ‘에비앙 스파’는 1930년대 분위기가 살아있는 상하이 와이탄에서도 가장 근사한 석조 건물에 있다. ▒ 미국 ▒ 미국 모던 스파의 기본을 세운 곳은 미국. 스파의 트렌드도 미국이 이끈다. 동네 찜질방에서도 만날 수 있는 ‘핫 스톤 테라피’도 애리조나 스파에서 시작됐다. 애리조나와 캘리포니아의 데스티네이션 스파(‘머무는’ 스파), 뉴욕의 데이 스파에 가면 첨단을 달리는 스파 체험이 가능하다. 국내 리조트 개발팀들이 단골로 답사하는 ‘캐년 랜치’, ‘골든 도어’ ‘블리스 스파’ 등은 모두 쟁쟁한 스파의 별들. 미국에서는 최근 남성전용 스파, 키즈 스파, 환경친화적인 그린 스파 등으로 스파가 다양하게 쪼개지는 중. Cal-a-vie(www.cal-a-vie.com): 샌디에이고 북쪽에 위치. 손님을 늘 24명 선으로 유지하기 때문에 ‘직원 대 고객’ 비율이 ‘4대1’이라고 자랑한다. 오프라 윈프리가 찾는 곳. 남프랑스 풍으로 꾸며놓았다. 최소 1주일은 머물러야 한다. The Golden Door(www.goldendoor.com): 스파 전문가가 160여명 포진. 일본식 정원이 들어선 이곳은 여성전용으로 운영되지만 간간이 남성주간, 혼성주간 타임도 마련한다. 한마디로 아무나 못 가는 곳. 일주일에 거의 1000만원대. 돈 있다고 갈 수 있는 곳도 아니다. 일주일에 딱 40명만 받는다고 하니, 늘 방이 없다. 힐러리 여사 정도 명사가 돼야 갈 수 있다. 고객별로 전담 피트니스·다이어트·미용 전문가가 배치된다. ‘여자로서 최고의 호사를 누리는 곳’이라는 찬사가 뒤따르는 스파. Canyon Ranch(www.canyonranch.com): 1979년 문을 열었으니 ‘현대 스파의 원조’격이라 할 만하다. 전세계 데스티네이션 스파의 원형으로 ‘클래식 스파’로 불린다. 대부분 설문조사에서 늘 고객만족도 1위를 자랑하다. 단, 맘 편한 게 최고인 ‘일반’ 관광객이라면 애리조나 투손에 있는 ‘캐년 랜치’로 갈 것. 메사추세츠 레녹스에 있는 ‘캐년 랜치’는 뉴욕 등의 부호들이 몰리는 ‘백인 위주’ 분위기. 블리스 스파(www.blissworld.com): 뉴욕, 런던 등에 있는 데이 스파. 이왕이면 꼭 뉴욕 ‘소호’점으로 갈 것. 블리스 지점 중 최고다. 25~35세 여성이 타깃. ‘블리스’ 쇼핑백을 들고 다니는 것만으로도 패셔니스타인 척 한다. 각종 제모 시술도 인기. ■ 호주 The Spa of Peace and Plenty(www.dunk-island.com/spa-of-peace-and-plenty): 퀸즐랜드 ‘덩크’(Dunk) 섬에 있다. 스파 강국 호주의 최고 경쟁력은 청정 자연. 열대우림에 들어앉은, 너무나도 ‘호주스러운’ 스파. 스파 추천·도움말=스파 컨설팅 업체 ㈜웰캄 최미경 이사
지친 몸과 마음의 건강 찾을 수 있을까
  • 지친 몸과 마음의 건강 찾을 수 있을까
  • [조선일보 제공]“나는 우선 내 마음대로 쓸 수 있는 돈이 지금 돈으로 한 오만 원쯤 생기기도 하는 생활을 사랑한다. 그러면은 그 돈으로 청량리 위생병원에 낡은 몸을 입원시키고 싶다. 나는 깨끗한 침대에 누웠다가 하루에 한 두 번씩 덥고 깨끗한 물로 목욕을 하고 싶다.”(피천득의 ‘나의 사랑하는 생활’ 중). ▲ 꽃마을 경주한방병원은 초대형 한옥에 자리잡고 있다. 볕 좋은 날에는 뜰에서 약재도 구경할 수 있다.병은 싫지만 깨끗한 병실에 그저 조용히 누워 책이나 읽고 싶은 마음, 직장인이라면 누구나 공감하지 않을까. ‘한방 치료 + 유적지 답사’에 먹여주고 재워주는 ‘헬스 투어’를 운영하는 ‘꽃마을경주한방병원’과 울산시 울주군 ‘초락당’으로 떠났다. 효도 여행도 할 겸, 팔순 할머니도 모시고 갔다. 두 곳 다 보건복지부 산하 보건산업진흥원이 보건관광사업체로 지정됐던 곳이다. 다음은 ‘기자’라고 밝히지 않고 지난 19~21일 체험한 내용이다. ▲ 200년 전에 지었다는 정자 `백련서사`. 댐 건설로 수몰될 위기에 처해 있던 중 초락당으로 옮겨졌다고 한다.꽃마을경주한방병원 서울서 새마을호 기차를 타고 경주역에 도착하니 낮 12시 8분. 택시 타고 탑동 꽃마을 한방병원까지 3600원이 나왔다. 1500평 규모 한옥이다. 직원 식당에서 점심 먹고 거대한 캡슐처럼 생긴 맥반석 찜질기에 들어갔다. 태풍 ‘우쿵’ 때문에 비가 퍼붓던 날이라 뜨끈하게 몸을 지지니 좋다(머리 대는 쪽에 깐 수건이나 맥반석을 덮은 천 등은 사람이 들락거릴 때 마다 바꾸지는 않는다. 다들 기계 속에서 조금씩 땀을 흘리고 나올 텐데, ‘깔끔 떠는’ 여성들은 싫어할지 모르겠다). 이어 피 뽑고(간기능 검사 등), 초음파 검사를 했다. 평생 혈액형 모르고 살던 할머니가 “무슨 형인지 궁금하다”고 해서 그 검사도 추가로 했다. ▲ 맥반석찜질기혈압을 재고 기본 상담을 한 다음 손, 발의 ‘침 자리’를 금속으로 콕콕 찍으며 내장 기관을 살피는 경락기능검사, 볼펜처럼 생긴 바늘로 손가락 끝을 찔러 피를 뽑는 생혈액 검사, 홍채 검사를 거쳤다. 이어 스트레스 진단, 말초혈관 탄력성 검사가 이어졌다. 둘 다 컴퓨터 앞에 5~10분 남짓 앉아 있으면 끝. 잠시 후 원장 선생님과의 상담 시간. ‘소음인이다’, ‘속이 냉 하다’, ‘너무 슬프고, 너무 좋고 등 격한 감정에 좀 느리게 반응하라’…. 말씀에 이어 한약(16만원 상당)을 지으라고 했지만 거절하니 더 이상 권하지 않는다. 이어 쑥뜸기를 배에 올려놓고 손과 발에 침을 맞았다. 지압 침대에 누웠다가, 역시 누워서 하는 기계운동 코스까지 마치니 오후 6시. 진료가 끝났다. 저녁은 ‘이풍녀 구로 쌈밥’에서 먹었다(정식 8000원). 숙소인 ‘목화 비지니스 호텔’은 기대 이상이었다. 스탠더드 더블룸(주중 4만원·주말5만원 짜리)은 유리 샤워부스에 해바라기 샤워기를 갖췄고, 새하얗고 빳빳한 시트 깔린 침대와 컴퓨터가 있었다. 다음날 오전 8시50분. 병원 직원이 태우러 왔다. 병원서 아침 먹고 투어에 나섰다. 불국사와 대릉원 산책으로 코스를 잡았다. 왔다 갔다 차편 제공부터 입장료까지 병원측이 부담했다. 병원서 추가 비용 없이 물에 타 마시면 좋다는 ‘가루약’을 챙겨줬다. ●꽃마을경주한방병원은 1박2일 코스가 1인당 9만 5000원(2인1실). 경주 시내 숙박 시설을 잡아 주기 때문에 1인 1실을 원할 경우는 1인당 15만원이다. 입고 간 옷 그대로 입고 진료를 받기 때문에 누웠다 일어났다 하기 편한 옷차림에, 최대한 짐 없이 가는 게 좋다. 천마총, 첨성대가 다 가깝다. 저녁에 안압지(조명이 유명하다)나 연꽃 단지 등을 둘러봐도 좋을 듯 하다. 매주 화요일 휴진. (054)775-6600, www.conmaul.co.kr 초락당 승합차가 경주 기차역, 시외버스터미널 등을 돌며 손님을 픽업한다. 경주에서 차로 30분 내외면 도착한다. 초락당은 예쁘장한 정원, 황토방, 연못, 수몰 지구에서 옮겨온 200년 넘은 정자 등이 들어선 공간이다. 고기 맛 좋다는 ‘봉계숯불구이’ 마을이 바로 옆. 그러나 초락당을 나와서는 별로 구경할 만한 게 없다. 접수 후 잠을 자는 테마방 중 ‘백복령’에 짐을 풀었다. 황토와 약재를 섞어 바른 방. 불을 때기 때문에 훈훈하다. 치유 효과가 있다는 말을 듣고는 좀 더워도 참기로 했다. 면으로 된 고무줄 바지와 상의로 갈아입고 오후 3시부터 진료에 들어갔다. 혈압 재고, 체성분 분석기에 올라갔다가 심전도 검사를 받았다. 원장 선생님이 몸을 눌러보고 등에 침을 두 번 놓았다. ‘태음인’이라는 진단과 함께 ‘폐활량을 늘리는 운동을 하라’는 충고를 들었다. 할머니에게는 한약(20만원)을 복용해 보라고 했지만 거절하니 다시 권하진 않았다. 약재목욕(2만원·20분) 시간. 키가 170㎝에 육박한다면, 욕조가 너무 작아 불편할 듯. 이어 전동 침대에 누워 15분간 안마를 받았다. 6시10분 저녁 밥 먹고 휴게실에서 TV를 보고 나니 할 일이 없어 막막하다. ‘아무것도 안 하기’에 자신 없다면, 책이라도 꼭 챙겨가야 한다. 다음날 아침, 콩과 땅콩 갈아 넣은 영양죽 먹고 투어(3시간 정도)에 나섰다. 문화해설사 못지 않게 유적에 대해 박식한 병원 사무장의 설명을 들으며 천전리 각석과 공룡 발자국도 보고, 나무 다리로 늪지대를 건너 반구대 암각화(지금은 물에 잠겨 있다)쪽으로 산책에 나섰다. 여러 번 가본 경주와는 또 다른 느낌이라 여행 온 기분이 확 들었다. ●초락당은 울산시 울주군 두동면 봉계리에 있다. 오후 2시에 시작, 다음날 오후 2시에 끝나는 1박2일코스는 1인당 10만원. 약재 목욕 2만원. 방에 TV나 전화가 없다. 공동 샤워 시설이나 공동 화장실이 불편하지 않는 손님, 찜질방(내부에 거대한 황토한증실이 있다)좋아하는 이들에게 어울린다. 매주 화요일 휴진. (052)264-8001, www.chorakdang.com ‘헬스 투어’ 가보니… 두 군데 모두, 굉장히 친절하고 식사는 깔끔했다. 한방쪽으로도, 투어 쪽으로도 너무 큰 기대를 걸면 실망한다. 이런 저런 검사 결과를 종이에라도 뽑아주면 좋을텐데 (큰 병이 없어서 그랬겠지만)몇 마디 주의사항만 듣는 것으로는 어딘지 좀 부족하단 생각이 든다. 노인분들끼리 보내드리기 보다는 여행가는 기분으로 모시고 가는 편이 좋을 듯 하다. 혹시나 건강 염려증에 불을 지필 가능성도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몸이 부실한 환자에게 약을 권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지만, 이용객 입장에선 혹시라도 불만을 느낄 수도 있는 대목. 거절하면, 두 군데 모두 부담스럽게 강요하지 않았다. ‘헬스 투어’라고 해서 특급 호텔의 메디컬 스파 같은 시설을 상상하면 실망할 지 모른다.
(보험으로 성공하라)⑦태풍도 대비한다
  • (보험으로 성공하라)⑦태풍도 대비한다
  • [이데일리 문승관기자] 장마나 태풍 등으로 피해를 입기 쉬운 여름철. 특히 올해에는 태풍 에위니아에 이어 전국적으로 쏟아진 집중호우로 그 피해가 컸다. 따라서 재산 피해나 신체상해를 보상해주는 풍수해보험 또는 풍수재특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풍수재로 인한 개인 재산 손해, 종합보험으로 `든든` 국내 손해보험사들이 판매하는 상품에는 장마 등 풍수재로 인한 개인의 손해만 따로 보상하는 것은 거의 없다. 하지만 보험 하나로 여러 위험에 대비하는 종합보장보험이 풍수재로 인해 입게 되는 재산상 손해를 보장하고 있다. 즉, 종합 보험 가입자가 태풍 폭풍우 홍수 해일 범람 등 풍수재로 인해 건물이나 살림살이 등 재물 손해를 입었을 때 이를 보상해준다. 풍수재 위험을 포함, 가정종합보험이 보장하는 범위는 크게 5가지. 우선 재산손해의 경우 화재로 인한 손해나 폭발, 파열 등에 따른 손해, 도난에 따른 손해가 보장된다. ▲ 종합보험은 태풍 홍수 등 풍수재로 인해 건물이나 살림살이 등 재물 손해나 신체상해 등을 입었을 때 이를 보상해준다.상해손해의 경우 교통사고로 인한 신체상해, 화재ㆍ폭발ㆍ강도ㆍ절도 등으로 보험 가입자 본인 뿐 아니라 가족이 입은 신체 상해, 여행하다 입은 신체 상해 등에 대해 보상이 된다. 배상책임손해는 주택이나 점포를 소유하거나 사용하다 다른 사람에게 지게 되는 법률상 손해배상 책임을 보장해 준다. 또 16층 이상의 아파트 등 특수건물은 종합보험 가입이 의무화돼있는데, 여기서 풍수재 위험을 보장하고 있다. 16층 이상 아파트 11층 이상 일반건물 교육시설 백화점 시장 병원 숙박업소 공장 등 여러사람이 근무 또는 거주하는 건물이다. 전통적인 종합보험 외에도 풍수재 손해를 보상하는 상품들이 있다. 방카슈랑스 전용으로 개발된 삼성화재의 `무배당 삼성 명품 패밀리 가드보험`도 특수건물의 풍수재 손해를 보상한다. 또 이 상품은 ▲화재로 인한 직접 손해 및 소방·피난손해 ▲화재로 인한 잔존물 해체·청소비용 등을 보장 ▲화재로 인해 타인이 사망하거나 부상당할 경우 건물 소유자 배상책임에 따라 피보험자가 부담해야 할 손해를 담보한다. LIG 손해보험의 `엘플라워 유니버설 보험`은 각종 상해 및 질병 담보는 물론이고 의료비, 입원일당 등 의료비 담보까지 폭 넓게 구성된 상품. 개인 사업자를 위해 화재손해, 특수건물풍수재손해, 일상생활중배상책임 등 재물 및 배상책임 담보까지 선택할 수 있다. 농가 피해 보장은 풍수해 보험으로 풍수해보험은 주택이나 농임업용 온실, 하우스, 출사 등의 시설물에 태풍 홍수 호우 강풍 풍랑 해일 대설로 인해 피해가 발생했을 때 그 손해를 보상한다. ▲ 지난 5월 소방방재청과 동부화재는 풍수해보험 판매 약정식을 갖고 첫번째 계약을 체결했다.위험보험료의 50%를 정부와 지자체가 지원한다. 이전에 정부가 재해복구비의 일부를 직접 지원하던 방식을 대신해 만든 새로운 피해복구 지원제도다. 동부화재가 지난 1월 소방재청으로부터 2006년 풍수해보험 단독 시범사업자로 선정됐다. 5월부터 전국 9개 시범지역(경기 이천, 강원 화천, 충북 영동, 충남 부여, 경북 예천, 경남 창녕, 전북 완주, 전남 곡성, 제주 서귀포)에서 시범 판매되고 앞으로 전국으로 확대된다. 동부화재는 지난 5월 풍수해보험 1호계약을 맺기도 했다. 지난달에는 국내 최초로 풍수해보험 수령자가 나와 화제가 되기도 했다. 기업의 날씨변동 위험은 신종날씨보험으로 지켜 최근 전세계적으로 잦아진 태풍 등의 대형 자연재해와 이상난동, 이상한파 등 이상기후 발생으로 인해 날씨위험 관리가 기업경영의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다. 선진국에서는 이미 다양한 날씨보험 판매가 활성화돼 있지만, 우리나라는 아직 도입 초기다. 날씨변동 위험을 보장하는 보험상품은 `전통형 날씨보험`과 `신종날씨보험` 등 크게 두가지다. 전통형 날씨보험은 실제 입은 손해만큼 보상한다. 행사취소보험, 상금보상보험, 재정손실보험 등이 이에 속한다. 신종 날씨보험도 이상기후로 입게 되는 매출감소 등 손실을 보상한다는 점은 전통날씨보험과 같다. 하지만 신종날씨보험은 과거의 기상자료를 활용해 기온 강수량 등의 날씨요소를 기초로 날씨지수를 산정한다. 이를 근거로 보험계약 체결시 계약자와 협의해 보상개시지수를 설정한 뒤, 보험기간 중 실제 날씨지수가 보상조건에 해당되면 약정한 보험금을 지급하게 된다. 요컨대 손해보장액이 미리 결정된 정액제라는 점에서 차이가 난다. 동부화재는 신종날씨보험인 정액형 날씨보험을 판매하고 있다. 보험가입액은 최근 3년간 해당 보장기간의 평균매출액 30% 한도 또는 같은기간 평균매출비용의 100% 안에서 설정할 수 있다. 보험계약자는 날씨 변화로 인해 손실을 입을 수 있는 사업주, 기업체, 행사 주최자 등이다.
2006.08.09 I 문승관 기자
  • 에버랜드 개장 30주년..세계적 테마파크로 부상
  • [이데일리 김기성기자] `입장객 10배 증가, 연간 국민 6명중 1명 방문, 외국인 관광객 연간 40만명, 서비스 고용 인력 4000명..`삼성에버랜드가 운영하고 있는 국내 최고 테마파크인 에버랜드의 지난 30년간 성적표다. 지난 76년 국토 개발 차원의 자연농원으로 출발한 에버랜드가 17일 개장 30주년을 맞는다. 에버랜드는 지난 30년동안 국민들에게 꿈과 희망, 즐거움을 전하는 공간으로 사랑 받아 왔고, 시설·서비스·친환경 교육 문화 등 모든 분야에서 끊임없는 변화와 혁신을 통해 명실공히 세계적인 테마파크로 성장했다. 개장 당시 연간 88만명이 방문했던 입장객은 장미축제, 눈썰매장, 사파리월드, 사계절 실내외 워터파크 `캐리비안 베이` 등 국내 레저 문화를 이끈 선구적인 테마 상품과 최근 확산되는 주 5일 근무제, 초·중·고교 토요 휴무제 등 레저 환경변화로 인해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여 작년 기준 10배 증가한 860만여명으로 늘었다.지난 3월 현재 에버랜드를 찾은 누적 입장객은 총 1억4500만명으로 올해 1억5천만명 돌파를 눈앞에 두고 있다. 도쿄 디즈니랜드에 이어 아시아에서는 두번째 기록이다. 특히 5000만명씩 늘어나는 누적 입장객수 증가 주기가 11년→7년→5년으로 크게 단축되고 있어 에버랜드의 인기도를 입증하고 있다. 국내 총 인구 대비 방문율에 있어서도 지난 77년 4.0%에서 지난해 17.5%로 크게 증가했다. 국민 6명중 1명이 연간 1회 이상 에버랜드를 방문한 수치다. 외국인 관광객 유치를 통해 국가 경쟁력 향상에 기여한 부분도 적지 않다. 지난 2002년 이후 외국인 관광객 수가 연평균 15% 이상 꾸준히 증가해 연간 40만명(2005년 12월 현재)의 외국인 관광객이 에버랜드를 찾았다. 대만 홍콩 중국 등 중화권 63.2%, 동남아시아 30.7%, 일본 7.5%의 비중이다. 한국관광공사가 지난해 한국여행을 마치고 돌아가는 외국인 관광객 1만6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전체 외국인 관광객중 9.5%가 에버랜드를 방문했다고 답했다. 에버랜드가 서울(78.1%), 부산(23.1%), 민속촌(14%), 제주도(9.3%)와 함께 외국인이 찾는 한국 5대 여행지로 인정받은 것이다.서비스 인력을 꾸준히 확대해 고용창출의 효과를 높여 온 것도 의미 있는 성과로 평가된다. 에버랜드에서 근무하는 서비스 인력은 연간 4000명에 달한다. 이는 지난 93년 800여명과 비교해 5배 이상 늘어난 수치다. 삼성에버랜드는 이같은 성과를 바탕으로 향후 다양한 레저시설을 추가로 개발하고 대형 숙박시설을 갖춰 `장기 체류형 종합 리조트타운`으로 발전시켜 나갈 예정이다. 여기에 미래의 경쟁력으로 떠오르고 있는 디자인 영상 컨텐츠 등 소프트 분야의 사업영역도 적극 개척할 계획이다. 또 국제적인 지명도와 축적된 노하우를 기반으로 해외시장에도 눈을 돌리고 있다. 지난 99년 대만의 디스커버리 월드와 국내 서비스 업계 최초로 테마파크 컨설팅 계약을 체결했다. 올해 초에는 중국 해창그룹과 `Kingdom of Discovery`의 파크운영 전반에 관한 컨설팅 계약을 체결하고 향후 5년간 매출액의 5%을 로열티를 받기로 했다. 박노빈 삼성에버랜드 사장은 “30년전에 국토개발 차원에서 시작된 자연농원이 오늘날 세계적인 테마파크로 변신하고 국민과 세계인들로부터 사랑 받는 휴식과 휴양공간으로 발전하게 된 데에는 고객과 국민들의 사랑이 큰 밑거름이 됐다”며 “앞으로 국민들에게 즐거움과 활력을 제공하는 생활에너지 기업으로서 사회적 역할과 책임을 다하겠다”고 개장 30주년 소감을 밝혔다. ◇에버랜드로 본 시대상70년대에는 `자녀를 동반한 자영업 서울거주자`가 입장객의 주류 이뤘다. 물론 자가용을 소유한 사람은 극소수였다. 2000년대 들어서는 초등학생 자녀를 동반한 30대 회사원 부모로 대표 성향이 바뀌어다. 또 레저생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야간개장이 활성화되면서 젊은 미혼남녀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아울러 수원, 분당 등 신도시 개발로 서울지역보다는 경기도 인근 지역에 거주하는 인구가 많으며 교통수단으로는 대부분 자가용을 이용하고 있다. 시대별 인기메뉴는 취사가 가능했던 70년대의 경우 가족 단위로 삼겹살을 구워먹는 게 인기였다. 80년대에는 `샤베트`, 90년대에는 `츄러스`, 2000년대 들어서는 `햄버거`의 인기가 가장 높다. 30년간 에버랜드에서 가장 많이 팔린 상품은 풍선으로 2190만개였다. 이어 필름(264만통), 모자(1095만개)가 그 뒤를 이었다. 그러나 필름은 디지털카메라의 영향으로 판매량이 감소하는 추세다.
2006.04.16 I 김기성 기자
  • `대한전선vs현대건설`, 기업도시에 희비 `교차`
  • [edaily 윤진섭기자] 기업도시 시범사업지가 결정된 가운데 관광레저형 기업도시에 단독기업을 신청했던 대한전선(001440)과 현대건설의 희비가 극명하게 엇갈렸다. 8일 정부는 전북 무주, 전남 무안, 충북 충주, 강원 원주를 기업도시 시범지역으로 확정했다. 이번 기업도시 선정에서 가장 돋보이는 기업은 전북 무주 관광레저형 기업도시에 단독으로 참여한 대한전선이다. 타 기업도시가 최대 26개 기업이 컨소시엄을 구성해 개발하는 데 반해 대한전선은 단독으로 참여, 기반시설부터 주택건설, 그리고 향후 개발에 따른 이익을 독점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는 평가다. 대한전선은 전북 무주군 안성면 공정리.금평리.덕산리 일대 248만평에 1조5000억원을 투자해, 2015년까지 골프장과 콘도. 농원 등을 조성해 대규모 관광레저형 도시로 만들 계획이다. 대한전선은 사업다각화 전략에 따라 2002년 무주리조트에 이어 지난 3월 전북 고창 선운레이크밸리 골프장을 인수하는 등 이미 무주일대 개발사업에 참여해왔다. 대한전선은 부동산, 주식, 채권에 이르기까지 다 방면의 투자에 나서 높은 수익률을 올려, `재계의 군인공제회`라는 평가를 받아온 기업이다. 실제 이 회사는 진로 정리채권 투자에 2728억원을 투자, 3000억원 가까운 투자 수익을 올렸고, 건설회사에 단기자금을 대여 100% 이상의 수익을 올린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특히 이번 무주 기업도시의 발판이 된 쌍방울 무주리조트의 경우 대한전선이 쌍방울 지분 8%를 보유하고 있던 클라이온파트너서(현 SBW홀딩스)에게 과거 200억원을 대여해줬지만, 쌍방울의 경영권을 두고 구경영진과 법정공방이 벌어지면서 투자수익을 거둘 수 없게 되자 아예 지분을 33.14%까지 늘려 경영권을 확보한 바 있다.. 업계 관계자는 "대한전선은 진로. 진로산업 채권에 투자해 100%의 수익을 올리고, 부동산. 주식.채권, M&A에 이르기 다양한 투자를 해 탁월한 투자수익률을 기록한 바 있다"고 말했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당초 해남. 영암에 비해 `선정이 어렵지 않겠냐`라는 예측이 지배적이었는데, 최종 선정된 것으로 보면 대한전선이 사업적 수완과 투자 감각이 상당한 수준임을 알 수 있다"라고 덧붙였다. 반면 평가에서 1위를 기록하고도 용도변경 문제로 선정이 보류된 태안(관광레저형)은 현대건설(000720)이 단독으로 참여한 사업이란 점에서 `전북무주-대한전선`과 대조를 이루고 있다.. 현대건설과 태안군은 현대서산간척지 B지구 472만평에 2010년까지 3500억원을 들여 숙박시설, 생활체육공원, 웰빙단지, 생태공원, 대중골프 등을 갖춘 `복합웰빙레저단지`를 조성, 관광레저기업도시로 개발할 계획이었다. 또 태안 기업도시는 이번 평가에서 전체 점수에서 774.1로 8곳 신청지역 중 1위를 기록, 점수만 따지면 당연히 선정되는 게 수순이었다. 그러나 이 지역은 농지로 묶여 있는 상황에서 기업도시로 용도변경을 해줄 경우 막대한 이익을 현대건설이 챙길 수 있다는 지적이 농림부로부터 제기된 것으로 알려져, 한 달 뒤 재심의를 통해 지정 여부가 결정될 예정이다. 이와 관련 건교부 관계자는 "다음달 8일 태안 기업도시에 대한 재심의를 벌인다는 게 정부의 방침으로, 현재로선 둘 다 선정될 수도 있고, 탈락할 수 있다"라며 "다만 태안은 용도변경, 해남.영암은 환경문제 해결이 선정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말했다. 업계 관계자는 "과거 동아건설이 김포 매립지의 용도변경을 추진하다가 좌절한 일이 있다"라며 "서산간척지를 용도변경해줄 경우 특혜 시비 논란에 휩싸일 가능성이 커 (용도변경)이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현대건설 관계자는 "용도변경에 따라 이익이 발생할 경우 태안군에 모두 재투자할 것을 기업도시 신청 때부터 공언하고 명문화했다"라며 "한 달 뒤 재심의 과정에서도 이 부분을 관련기관에 전달하고, 특혜 시비 논란을 불식시켜 최종적으로 기업도시에 선정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2005.07.08 I 윤진섭 기자
  • 공주·연기 행정도시, 연말 토지매입 착수
  • [edaily 이진철기자] 행정도시가 들어설 공주·연기지역의 토지감정평가가 올 11월부터 시작돼 연말부터 본격적인 토입매입에 착수하는 등 충청권 행정도시 건설작업이 본격화된다. 17일 건설교통부에 따르면 ´신행정수도 후속대책을 위한 연기·공주지역 행정중심복합도시 건설을 위한 특별법´이 오는 18일 공포됨에 따라 행정도시 건설로 수용될 예정인 공주·연기 주민들에 대한 보상대책 수립 및 토지매입 등 실무작업이 올해말부터 본격적으로 진행된다. 정부는 오는 5월 예정지역 고시후 사업시행자가 토지·물건조서 작성을 위한 기본조사를 7월까지 실시하고, 주민설명회 및 보상계획 열람에 이어 11월 감정평가 등을 거쳐 연말부터 토지매입에 착수한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이와 관련, 이달부터 연말까지 공주·연기지역의 난개발·투기방지를 위한 종합적인 관리대책 수립 착수, 난개발과 부동산 투기가 우려되는 지역에 대해선 개발행위 및 건축허가를 제한하는 등 부동산안정대책 시행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관계기관·지자체 합동으로 단속반을 구성해 불법 토지 형질변경·투기·위장전입을 통한 건물 신축 등을 지속적으로 단속할 계획이다. 행정도시 예정지역 및 사업시행자 지정도 특별법 시행령 공포와 함께 추진된다. 정부는 오는 5월 토지 세목조사, 기초조사, 공청회 등을 거쳐 행정도시 예정지역과 주변지역을 지정하고, 토지공사, 주택공사 등 정부투자기관 중에서 시행자를 지정할 예정이다. 이어 6월에는 중앙행정기관 및 소속기관을 대상으로 이전기관·방법·시기·예산 등이 포함된 중앙행정기관 이전계획을 수립키로 했다. 행정도시의 기본계획 및 개발계획 수립은 오는 6월부터 내년말까지 마련한다는 계획으로 건설사업의 마스터플랜을 제시하는 기본계획과 부문별·단계별 개발방안이 포함된 개발계획의 수립에 착수키로 했다. 기본계획의 일환으로는 행정도시가 세계적인 모범도시로 건설되도록 도시 개념설계를 현상공모도 실시된다. 아울러 실시계획은 오는 9월부터 2007년 3월까지 수립키로 하고 기본계획·개발계획에 맞춰 사업시행에 필요한 설계도서, 재원조달계획 등을 포함한 실시계획 수립에 착수할 방침이다. 이밖에도 행정중심복합도시 광역도시계획은 오는 8월부터 내년말까지 수립하기 위해 건교부장관이 예정지역·주변지역과 그 영향권역에 대해 광역계획권 지정 및 광역도시계획 수립에 착수할 예정이다. 한편, 이날 공포된 행정도시 특별법은 연기·공주지역 2200만평에 행정기능을 이전해 자족형의 친환경, 인간중심, 문화정보도시를 건설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담고 있다. 행정도시로 이전해 갈 부처는 12부4처2청이며, 청와대를 비롯해 국회 및 대법원, 정부부처 중에서 통일·외교·국방·법무·행정자치·여성가족부 등 6부는 서울에 계속 남게 된다. 특별법은 또 행정도시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대통령 소속으로 총리와 민간인을 공동위원장으로 하는 30명 이내의 추진위원회를 구성하고 그 실무조직으로 연말까지 한시적으로 추진단을 운영토록 했으며, 내년 1월부터는 차관급을 청장으로 하는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을 설치, 운영키로 했다. 이와 함께 공공건물의 건축과 행정도시 광역교통시설의 건설을 위해 국가 예산에서 지출할 수 있는 금액의 상한선을 8조5000억원으로 명시했고, 행정도시 건설에 들어갈 총비용은 약 45조6000억원으로 정부부담분을 제외한 나머지 37조1000억원은 민간에서 부담하게 된다. 특별법은 이밖에 행정도시 주변지역의 난개발 방지를 위해 주변지역 7000여만평에 대해서는 예정지역 고시일로부터 최장 10년동안 도시계획상 시가화조정구역 수준으로 건축물 신축 등의 행위를 엄격히 제한하도록 했다. 이 기간에는 농림어업용시설이나 마을공동시설 건축 등 생활에 필요한 최소한의 토지이용 행위만 허용되고, 아파트나 숙박시설 등 도시화진행을 유발할 수 있는 개발행위가 모두 금지된다. ◇공주·연기 행정도시 추진일정
2005.03.17 I 이진철 기자
  • (문답풀이)농림어업 삶의질 향상 기본계획
  • [edaily 김상욱기자] 다음은 정부가 1일 확정한 농림어업인 삶의질 향상 기본계획 문답풀이. 1. 농림어업인 삶의질향상 5개년 기본계획 수립의 의미와 특징은 무엇인가? □ 농림어업인 삶의질향상 5개년 기본계획은 범정부차원의 종합적인 농어촌 지원 대책임 ○ 지난 1992년 이후 정부가 농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많은 투자를 하여 기반정비, 생산성 향상 등 많은 성과가 있었으나, - 농어가 소득여건 악화, 복지·교육 여건 미흡 등으로 인한 농어촌 인구 감소, 고령화 등 농어촌의 복지·교육 등 정주여건에 대한 대책이 부족한 것도 사실임 □ 이런 상황에서 농어촌을 기초생활여건, 교육·복지인프라가 잘 갖추어진, 국민의 20%가 거주하는 정주공간으로 만들어 도·농 균형발전과 국민통합을 이루고자 이번 5개년 기본계획을 만든 것임 □ 이번 기본계획은 과거 농어촌 대책과 달리 15개 부처가 참여하고, 농어촌의 복지 등 실태조사 결과를 토대로 지자체·농어업인 단체 등 의견수렴을 거쳐 수립 ○ 국무총리가 위원장이 되고, 15개부처 장관과 농어업인대표 등이 참여하는 범정부적 위원회에서 기본계획을 심의·확정 하였음 2. 지난해 2월에 발표한 농업·농촌 종합대책과는 무엇이 다르며, 그동안 추진되었던 정책들과의 차이점은 ? □ 삶의질 향상 5개년 기본계획은 지난해 2월 발표한 농업·농촌종합대책중 농촌정책 분야의 실천계획 이라는 의미를 가지면서도 그 내용 및 범위가 훨씬 다양함 ○ 실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농어촌 업무를 다루는 15개부처가 참여하여 농어촌의 복지·교육·문화·지역개발 등 139개의 다양한 사업을 포함한 광범위한 대책임 □ 이번 기본계획은 지난해 제정된 농림어업의삶의질향상 및 농간어촌지역개발촉진에관한 특별법에 따라 범정부적 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수립되었고, 세부추진계획도 더욱 구체화되어 실행의 실효성이 담보 되었다고 볼 수 있음 □ 또한, 삶의질향상 5개년기본계획은 투융자계획을 재정당국 등 관계부처와 협의하여 119조 투융자 계획 및 중기재정계획에 맞추는 등 재정적 뒷받침도 담보됨 3. 기본계획상의 투융자 재원은 마련되어 있는가 ? □ 기본계획상 투융자계획은 119조 투융자계획 및 국가중기재정 계획 범위내에서 수립되었음 ○ 매년 추진실적을 점검하여 기존사업의 투자계획을 조정하고 신규사업의 타당성과 재정여건을 고려하여 다음연도 예산에 반영하는 등 신규사업 수요를 반영 □ 총 투융자 규모 : 20조2731억원 ○ 재원별로 보면 국비 11조5527억원(57.0%), 지방비 8조1659억원(40.3%) 기타 5545억원(2.7%) ○ 부문별로는 복지 3조4226억원(16.9%), 교육 3조1473억원(15.5%), 지역개발 11조3760억원(56.1%), 복합산업 2조3272억원(11.5%) 4. 기본계획의 주요 내용과 향후 기대 효과는? □ 비전은 쾌적하고 활력이 넘치는 살고 싶은 농산어촌을 구현하는 것으로 정하였으며, 이러한 비전은 구체화하기 위하여 복지기반 확충 등 4대 중점과제를 추진 ○ 복지기반확충 : 건강·연금 보험료 지원확대, 보건소·진료소 기능, 여성 및 노인복지 강화 등 ○ 교육여건개선 : 우수고교 육성, 대입특례입학 확대 등 교육기회강화, 교육비 부담경감, 교육 근무 여건개선 ○ 지역개발촉진 : 지역개발 주체역량 강화, 중소도시 수준의 생활환경 조성, 지역종합개발 등 ○ 복합산업활성화 : 고부가가치 향토산업육성, 체험관광기반 구축, 도·농 교류 활성화 등 □ 기본계획의 실행을 통하여 2009년에는 ○ 복지분야에서는 건강·연금 보험료 지원이 2배 이상 확대 ○ 교육분야에서는 군당 1개고씩 88개 우수고교가 육성 ○ 지역개발분야에서는 기초생활여건이 획기적으로 개선되어 우리나라 전체인구의 20%가 농산어촌에 거주할 수 있는 정주 여건이 조성 ○ 농산어촌 산업분야의 경우 농촌관광객이 현재보다 2배(114백만명) 이상 증가하고, 농공단지 조성을 통해 일자리가 2만개 이상 창출 5. 농산어촌의 복지기반 확충방안은 무엇인가? □ 우선 농산어촌 사회안전망 대폭 확충 ○ 농림어업인의 건강보험료 및 연금보험료 지원 확대 - 건강보험료 지원은 ’06년 50%까지, 연금보험료 지원은 ’09년 최대 394천원으로 확대 ○ 농산어촌의 낙후된 보건·인프라 확충 - 노후된 보건소, 보건지소 등 1125개소를 전면 보강 - 농산어촌 소재 27개 지방공사 의료원 시설·장비 및 응급인프라 등을 보강하여 농산어촌 지역의 거점병원으로 육성 ○ 농작업재해 안전관리 강화를 위해 시설재배·과수·축산 등 농업 주산단지를 중심으로 각종 농작업 재해예방 및 관리를 위한 세이프 팜존(Safe Farm Zone)을 조성 ○ 농산어촌에 건강관리실을 ‘04년 현재 884개소에서 ’09년까지 1436개소로 확대 - 현재 분산되어 있는 건강관리실, 여성농업인센터 등 각종 복지 지원시설의 통합 운영방안 적극 검토 ○ 영·유아 및 여성복지 지원도 크게 강화 - 보육시설이 없는 491개 읍·면 지역에 연간 100개소씩 국공립 보육시설을 우선 설치 - 아울러, ‘05년부터 2ha 미만 농어가를 대상으로 영유아 양육비 지원을 확대하고, 단계적으로 전농가로 지원을 확대 ○ 농촌의 고령화에 대처하여 각종 노인대책들도 마련 6. 농산어촌의 고령화가 심각한 수준에 이르고 있는데 이에 대한 대책은 무엇인가? □ 농산어촌의 고령화에 대처하여 농산어촌 노인과 도시고령 은퇴자 등을 대상으로 각종 노인대책 등도 마련 ○ 농산어촌 재가노인복지센터는 ‘09년까지 202개소를 설치하고, 상부상조 정신에 입각한 농산어촌 마을공동체 중심의 노인 보호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06년에 40개마을을 선정하여 시범운영 후 ’09년까지 200개 마을을 조성 ○ 농산어촌의 고령노인들이 생산적인 여가활동을 할 수 있도록 ‘09년까지 800개 건강 장수마을을 육성하고 ○ 주거·의료·여가시설이 복합된 복합노인복지단지를 설치하고 영농과 전원생활을 할 수 있는 전원형 은퇴농장을 설치하여 도시은퇴 고령자의 농산어촌거주를 유도할 계획 □ 또한 고령은퇴농 및 도시은퇴 노령자가 건강하고 생산적인 노후생활을 할 수 있도록 여가활동 및 관광농업형 등 다양한 고령친화 농업모형을 개발하여 보급 7. 농산어촌 여성의 사회참여가 확대되고 있는데 이에 대한 지원대책은 무엇인가? □ 여성의 사회 참여를 지원하기 위하여 영·유아 및 여성복지 지원을 크게 강화할 계획 ○ 보육시설이 없는 491개 읍·면 지역에 연간 100개소씩 국공립 보육시설을 우선 설치 ○ ‘05년부터 2ha 미만 농어가를 대상으로 영유아 양육비 지원을 확대하고, 단계적으로 전농가로 지원을 확대 ○ 현재 27개소인 여성농업인센터를 군당 1개소씩 설치하고 출산에 한정된 농가도우미 제도를 보완하여 사고·질병·교육 등의 경우에도 지원이 가능하도록 개선 □ 아울러 농한기 등에 농산어촌 여성들의 솜씨 등을 활용한 소득 기반을 확충 할 수 있도록 된장 등 전통식품 가공 창업 지원을 확대 ○ 농산어촌 여성 창업 박람회 개최, 네트워크 구성 등을 통하여 정보교류 및 소비자 구매 파악도 활성화 8. 농산어촌의 교육여건 개선을 위해서는 어떤 대책들이 추진될 예정인가? □ 농산어촌에 거주하고 있더라도 안심하고 자녀교육을 시킬 수 있도록 교육여건을 획기적으로 개선 □ 먼저, 농산어촌 학생들의 교육기회가 크게 강화 ○농산어촌에 우수고교(총 88개교)를 집중 육성하고, 대학특별전형을 현행 3%에서 ’06년부터 4%로 확대하여 농산어촌 학생들의 대학 진학기회를 확대 - 2~3개의 작은 학교를 하나의 학교군으로 구성하여 시설 등을 공동운영하거나, 초·중·고 통합학교 운영으로 상치교사 문제 등 교육 부족 문제를 완화 - 원어민 영어보조교사 배치(458명) 및 문화·예술관련 강사풀제 활용 등을 통해 농산어촌 학생의 특기·적성교육도 대폭 강화하고 면지역 초등학교의 도시문화체험 방학캠프로 적극 지원할 계획 □ 농어가의 교육비 부담 경감을 지속적으로 경감 ○ 농림어업인 고교생 학자금 지원대상을 1.5㏊미만 농가로 제한 하던 것을 ’05년부터 전 농림어업인 자녀로 확대 ○ 농산어촌 출신 대학생의 무이자 학자금 융자와 농과계 대학생 학자금 보조도 확대 지원 ○ 초등학교 학생에 관해 급식비의 1/3을 지원하던 것을 중·고등학생까지 단계적으로 확대 ○ 농산어촌의 통학불편 해소를 위해 통학버스(1000대) 구입도 적극 지원 □ 농산어촌학교에 우수 교원을 확보하고 근무 교원의 사기진작과 교육환경 개선을 위해 ○ 교육감 추천 교육대학 신·편입학생 2800명에게 장학금 지원하여 초등교원 부족 문제를 완화하고 - 순회·복식수업 수당 신설, 도서·벽지 등 오지학교 사택확충 및 해외연수기회 부여, 유능한 교장 초빙, 희망교원의 정기근무 허용 등을 통해 농산어촌 근무 교원의 사기를 진작해 나갈 계획 9. 농산어촌 지역개발촉진분야에는 주로 어떤 대책들이 있는가? □ 우선, 농산어촌의 이장, 주민, 공무원 등이 자기지역의 자원을 발굴·개발하고 발전시킬 수 있는 지역 인적역량을 강화할 계획 ○ 다양한 지역개발사업 추진과 관련하여 지역의 인적자원 유형별로 필요한 역량을 파악하고 이에 맞는 맞춤형 교육을 실시 ○ 농산어촌지역개발 인재뱅크 구축·운영, 농산어촌 지역개발자문단 구성·운영 등을 통해 농산어촌에서 추진되는 각종 지역개발사업에 대한 자문 및 컨설팅 등이 원활히 이루어져 지역의 인적역량 보완을 지원 □ 농산어촌의 경관을 보전하고 이를 자원화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 ○ 경관보전 직접지불 시범사업을 3년간 시행한 후 전국적으로 확대하고, 자생식물식재, 생태숲 조성도 추진 ○ 경관 및 어메니티자원을 발굴·자원화하기 위해서 경관지표 개발, 어메니티자원도 구축, 경관주택 발굴·홍보 등을 추진 □ 그동안 지역개발에서 소외되었던 면소재지의 중심지 기능강화를 위한 면소재지 활력증진사업과 기업체, 도시민 등이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사업유형을 개발·추진 ○ 주요 면소재지를 선정하여 면체육공원, 건강관리실, 종합복지회관 등 주민 공동이용시설 설치등을 통해 면소재지를 농산어촌 배후마을을 연계하는 중심지로 육성 ○ 지자체와 기업이 공동으로 참여하는 기업참여형 지역개발사업, 도시민의 농산어촌 정주수요에 맞춘 20~50호 규모의 맞춤형 전원주거단지 조성, 은퇴자를 위한 은퇴농장 조성 등을 지원 10. 농산어촌 복합산업 활성화대책의 주요 내용은? □ 우선, 농산어촌 지역경제의 활성화 수단으로 부각되고 있는 향토산업 진흥을 위한 기반 조성을 추진 ○ 향토자원의 DB구축, 향토자원 지적재산권 등록 등 권리화, 향토산업 발전단계별 맞춤형 지원체계 구축 등 □ 친환경 농업, 자연경관 등을 활용한 농산어촌 체험관광 활성화를 위해 기존의 체험마을 확대와 별도로 규모가 큰 농업·농촌테마공원 조성 및 저수지 수변개발을 실시 ○ 농업, 전통, 특이자원, 특산품 등을 주제로 지역특성을 살린 테마공원을 조성하여 관광 명소화할 계획 ○ 경관이 수려한 저수지에 레저·숙박 등 국민여가 활동이 가능한 도·농교류의 기반시설을 개발 □ 도시민이 안심하고 농촌 체험마을을 찾도록 체험마을의 보험가입을 확대하고, 농산어촌관광박람회도 매년 개최 ○ 초·중·고생을 대상으로 한 농촌체험프로그램을 확대하여 재학중 최소 1회이상 참여 유도 ○ 관계부처 실무협의회, 지자체장 주도 그린투어포럼 결성 등 중앙·지방·민간 네트워크와 연계한 사후관리, 체험마을 시설·프로그램 인증제·등급제 도입 추진 □ (가칭) 도·농교류촉진법을 제정·시행 11. 기본계획의 시행으로 금년에 당장 농산어촌 주민들에게 어떤 혜택이 있는가 ? □ 농산어촌 복지분야 ○ 건강 보험료 경감율이 40%로 지난해보다 10% 확대 ○ 1인당 연금보험료 지원도 년간 최대 224천원으로 지난해 보다 72천원 확대 ○ 농산어촌 주민들의 건강을 위 건강관리실이 100개 설치 ○ 영유아 양육비 지원대상이 2ha 미만 농어가로 확대 ○ 국공립 보육시설 100개소 설치 ○ 거동불편 노인을 위한 재가노인 복지센타도 56개소 신설 □ 농산어촌 교육분야 ○ 농산어촌 학교 학생의 교육기회 강화를 위한 소규모 학교를 대상으로 6개 학교군을 만들고, 우수고교도 7개교를 육성하고, 통학버스를 100대 증차 ○ 고교생 학자금지원 대상이 전 농어가로 확대(87천 → 107천) ○ 농어촌 출신 대학생 학자금 전액 무이자 융자 지원 □ 농산어촌 지역개발 분야 ○ 농산어촌 주택, 상·하수도 시설, 폐기물처리지원 등 각종 기초생활여건 개선 ○ 경관보전 직불제가 800ha에 대한 시범 실시 ○ 1사1촌운동이 범국민적 운동으로 승화 발전 12. 15개부처에서 139개 세부과제를 추진한다고 하는데 제대로 점검할 수 있는가 ? □ 기본계획에 따라 매년 각 부처에서 전년도 추진실적과 금년도 계획을 3월까지 수립하여 위원회(위원장 : 국무총리)에 보고토록 되어 있음 ○ 위원회와 실무위원회를 통하여 매년 추진실적을 점검·평가하고, 그 결과를 향후계획에 반영토록 되어 있음 □ 또한 매년 국회에 부처별 시행계획과 전년도 추진실적을 보고해야 하므로, 정부내에서도 이에 대비하기 위한 체계적 점검·평가 시스템을 갖춘다는 방침하에 ○ 금년도 상반기중에 구체적인 점검·평가 시스템을 구축하여 체계적으로 점검해 나갈 계획임
2005.02.01 I 김상욱 기자
  • 청량리 일대 동북지역 산업거점 개발
  • [edaily 윤진섭기자] 집창촌과 재래시장, 노점상 등이 밀집돼 서울의 대표적 낙후 지역으로 남아 있는 청량리 일대가 균형발전촉진지구로 지정돼, 오는 2013년까지 동북지역 산업거점으로 거듭난다. 서울시와 동대문구는 용두동과 전농동 일대 10만8204평(35만7700㎡) 규모의 청량리 균형발전촉진지구를 민자역사와 함께 생활·교류·문화거점으로의 육성 전략을 통해 `일과 삶이 어우러진 복합기능 중심도시`로 개발할 계획이라고 30일 밝혔다. 이 지역은 최근 착공해 개발 중인 청량리 민자역사를 포함하고 있으며 전농·답십리 뉴타운, 청계천 물길 복원사업 등 각종 개발계획이 수립, 진행중인 지역과 맞닿아 있다. 서울시와 동대문구는 청량리 균형발전촉지지구를 크게 4개의 사업시행방식별로 나눠 신탁개발방식을 통해 체계적인 개발사업을 추진할 방침이다. 청량리 균형발전촉진지구의 핵심사업 지구인 청량리도시환경정비구역은 도시계획도로를 우선 투자사업으로 개설해 집창촌(속칭 588)의 정비를 촉진하고, 숙박, 업무, 판매, 의료, 주거기능의 복합개발을 도모할 계획이다. 또 대규모 광장을 조성해 민자역사와 연계한 대규모 오픈스페이스를 확보하고 지상과 지하를 연계한 복합쇼핑몰을 조성할 방침이다. 용두도시환경정비구역은 서울 약령시, 청계천을 연계하는 중요한 입지조건을 갖춘 곳으로 도심의 업무·상업을 연계하기 위해 한방, 의료를 테마로 한 비즈니스 파크로 개발된다. 또 청계천과 청량리역을 연계하는 보행중심거리를 쇼룸위주의 연도형 상가로 조성, 건강가로(Wellness Street)로서의 이미지를 구축할 계획이다. 전농도시환경정비구역은 주거중심형 뉴타운인 전농·답십리 뉴타운과 연계해 지역주민의 생활환경의 질을 높이기 위한 생활문화의 거점지역으로 전략적으로 육성한다. 아울러 저층부는 상업·판매·문화시설 및 근린광장을 도입해 지역주민의 커뮤니티 공간으로 조성하고 고층부는 업무, 주거기능을 도입하여 직주근접을 실현하도록 계획이다. 이밖에 주택재개발·재건축지역은 지역주민의 재정착과 동북지역의 풍요로운 거주환경을 선도할 도심형 주거양식을 도입, 신 개념의 주거단지를 조성할 방침이다. 구는 내년 초 개발기본계획이 확정되면 곧바로 실시계획을 수립, 2006년부터 실질적인 개발사업에 착수할 예정이다. 1단계로 우선투자사업에 의한 집창촌 정비를 추진, 청량리도시환경정비구역에 대한 재개발사업을 통해 지구 전체 개발의 활력을 불어넣을 계획이다. 이어 1단계 사업이 본 궤도에 오르는 2008년쯤 2단계 연계개발 착수에 들어간다. 2단계에서는 용두 및 전농도시환경정비구역의 개발을 촉진한다. 특히 청량리 민자역사와 시베리아 횡단철도(TSR), 고속전철사업을 연계한다는 구상이다. 아울러 재개발·재건축사업은 1~2단계에 걸쳐 지속적으로 추진할 방침이다.
2004.11.30 I 윤진섭 기자
  • (전문)노무현 대통령 국회시정연설
  • [edaily 양효석기자] 존경하는 국민 여러분, 그리고 국회의장과 의원 여러분, 오늘 정부가 편성한 2005년도 예산안 및 기금운용계획안을 제17대 첫 정기국회에 제출하고 그 심의를 요청하면서, 참여정부의 국정운영 방향을 말씀드리게 된 것을 매우 뜻깊게 생각합니다. 의원 여러분, 참여정부가 출범한 지 오늘로서 꼭 1년 8개월이 되었습니다. 그동안 우리 사회에는 보이지 않는 가운데 많은 변화들이 있었습니다. 무엇보다 돈 안드는 선거혁명을 실현하고 정경유착의 고리를 단절해냈습니다. 정권을 위해 일하던 이른바 권력기관들이 국민을 위한 봉사기관으로 거듭났습니다. 대통령이 정당을 지배하고 국회를 좌지우지하던 시대도 지났습니다. 더 이상 특권이 용납되지 않는 시대, 누구도 국민 위에 군림하지 못하는 시대가 되고 있습니다. 국가의 정책결정과정에는 공정하고 투명한 절차와 시스템이 마련되었습니다. 대통령이나 소수 몇 사람의 독단이 아니라 토론을 통해 합리적인 대안을 찾아가는 진정한 민주주의 문화가 뿌리내리기 시작했습니다. 북핵문제와 이라크 파병, 주한미군 재조정 등도 지혜롭게 풀어가고 있습니다. 개성공단 조성을 비롯한 남북간 교류협력도 꾸준히 진행하고 있습니다. 존경하는 국민 여러분, 참여정부의 여러 성과에도 불구하고, 지금 우리 경제는 건설경기 부진, 소비위축 등으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더구나 앞으로 고유가가 지속되면 내년에는 수출 증가세 마저 다소 둔화될 것으로 전망되어 내수 확대가 필요합니다. 그동안 정부는 신용카드 문제 등으로 빚어진 금융시장 불안을 해소하고 부동산 시장을 안정시키는 가운데 내수를 살리기 위한 여러 정책을 지속적으로 시행해 왔습니다. 그러나 여전히 중소기업과 서민들이 느끼는 체감경기는 매우 안좋습니다. 올해 수출이 사상 처음으로 2,400억불을 넘고 무역흑자가 250억불에 이르러, 세계 12위의 무역대국이 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국가경쟁력지수 부패지수 국민소득 등은 아직 수출실적에 상응하는 수준이 되지 못하고 있습니다. 문제는 경제시스템입니다. 지금까지 우리 경제는 정부 주도하에 노동과 자본 등 생산요소를 집중 투입함으로써 짧은 기간내에 고도성장을 해 올 수 있었습니다. 이 과정에서 대기업과 중소기업, 해외부문과 국내부문간에 양극화 현상이 심화되었습니다. 그러나 이같은 방식은 이제 한계에 이르렀습니다. 우리 경제가 당면한 어려움과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극복할 수 있는 중장기 전략이 필요합니다. 산업 전반의 효율성 향상을 통해 성장잠재력을 확충하는 혁신주도형 경제로 가야 합니다. 시간이 넉넉하지도 않습니다. 우리가 선진국과의 기술격차를 따라잡는 속도보다, 중국 등 개발도상국들은 더욱 빠르게 추격해 오고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유례가 없을 만큼 빠른 속도로 인구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비상한 각오로 하루 속히 우리 경제와 사회가 높은 기술과 생산성을 갖추도록 만반의 준비를 해야 합니다. 지금 당장 국내경기가 어렵다고 일시적으로 무리하게 경기를 부양시키는 일은 하지 않겠습니다. 임기응변으로 대응하는 것은 지속적인 성장에 도움이 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의원 여러분, 정부는 앞으로 국정의 큰 방향을 인적자원 개발, 기술력 제고, 개방경쟁체제 구축에 두고, 중장기 국가경쟁력 강화 정책을 일관되게 추진하겠습니다. 이를 통해 새로운 성장동력산업을 적극 육성하면서, 수출과 내수, 대기업과 중소기업간의 양극화된 경제구조를 개선하고 국민소득 2만불 시대를 앞당겨 나갈 것입니다. 그리고 사회 전반에 혁신을 확산시킴으로써 국가 전체의 생산성을 제고하고, "공정하고 투명한 사회", "열심히 노력하는 사람이 대우받는 사회"를 이룩해 나갈 것입니다. 무엇보다 정치 사회적 안정이 필요합니다. 참여정부는 우리가 이룩한 민주화의 역사적인 기반과 도덕성을 바탕으로 사회의 기강과 법질서를 확립해 나갈 것입니다. 노사관계를 비롯한 사회갈등문제는 대화와 타협을 통한 자율적인 해결을 우선하되, 법과 원칙에 따라 일관되게 대응해 나갈 것입니다. 아울러 소외계층에 대해 나눔과 보호를 확대해 나감으로써 사회적 통합과 지속가능한 성장을 동시에 이루어 나가는 "따뜻한 시장경제"를 실현해가도록 하겠습니다. 이러한 길에 의원 여러분의 적극적인 관심과 협력을 부탁드리면서, 내년도 국정운영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분야별로 보고드리고자 합니다. 먼저 경제 과학 분야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우리나라는 앞으로 수출주력산업과 신성장산업을 양대 축으로 수출을 지속적으로 확대하여 2010년대 초에는 국민소득 2만불, 수출 4,000억불의 무역대국으로 부상할 것입니다. 현재 세계 4강의 수준에 있는 철강, 조선, 자동차, 정보통신, 전자, 석유화학, 섬유 패션 등 우리의 수출주력산업은 향후 최소 5년간 세계시장에서 강한 경쟁력을 유지해 나갈 것입니다. 현재 5위 수준인 철강산업은 신기술인 파이넥스(FINEX) 공법을 통해 경쟁력을 더욱 강화해 나갈 것입니다. 조선산업은 LNG선 등 고부가가치 선박에 주력하여 수주 및 건조순위 1위를 고수할 것입니다. 자동차산업은 현재 세계 6위이지만 품질과 브랜드가치를 향상시켜 향후 5년 내에 세계 4위로 도약할 것입니다. 세계 최고의 인프라와 첨단 기술력을 바탕으로 성장하고 있는 IT산업은 디지털 전자분야에서 세계 2위로 도약하여 차세대 디지털 전자시장을 선도하게 될 것입니다. 석유화학산업은 현재 세계 4위를 유지하면서, 아시아 글로벌 공급기지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될 것입니다. 섬유 패션산업은 첨단기술과 한류문화를 접목시켜 세계 5위에서 3위로 부상할 것입니다. 생명공학, 우주항공, 나노기술, 환경 에너지 등 신성장산업도 조기산업화를 촉진함으로써 선진국 수준에 진입할 것입니다. 앞서 말씀드린대로, 어려운 경제상황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내수를 확대하고, 성장잠재력을 근원적으로 확충해 나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 사회간접자본 구축 등 중장기 사업을 확대하고 IT 인프라에 대한 투자를 촉진하겠습니다. 기업마인드를 가진 사람들이 마음껏 투자할 수 있도록 수도권 신도시, 기업도시, 지방혁신도시, 복합레저파크 건설을 차질없이 추진하겠습니다. 연 기금의 여유재원도 인력양성, 직업훈련, 보육 등 생산적인 부문과 사회간접자본 투자 등에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국부 창출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건설경기 활성화 대책도 추진하겠습니다. 건축수요를 늘리기 위해 공공임대 아파트 수요를 창출하고 주택 임대사업 활성화를 추진할 것입니다. 대학교 기숙사 등 꼭 필요한 사회시설을 확충해 나가겠습니다. 이러한 "뉴딜적 종합투자계획"으로 경기를 활성화시키겠습니다. IT 인프라에 대한 집중적인 투자도 필요합니다. IT 인프라 투자는 새로운 취업기회를 창출하고 산업경쟁력을 강화함으로써 성장잠재력을 확충할 수 있습니다. 공공분야에서 국가데이터베이스를 차세대형으로 네트워크화하고, IT를 활용하여 국가재난위기관리시스템과 교통 물류 시스템 등을 구축하겠습니다. 지금은 내수 부진이 이어지고 있지만, 금년 하반기 중 확대하기로 결정한 공공지출 등 4조 5,000억원을 차질없이 집행하고, 내년도 상반기 재정의 조기 집행, 부문별 감세정책, 연 기금의 사회간접자본 투자 등이 뒷받침되면 2005년 하반기와 2006년부터는 건설경기가 회복되고 소비가 진작될 것입니다. 정부는 거시경제여건을 안정적으로 관리해 나감으로써 내년에도 경제성장률 5% 성장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존경하는 국민 여러분, 기름값이 많이 오르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연간 석유수입이 380억불이나 되는 세계 7위의 석유소비국가로서 경제규모에 비해 에너지 소비가 과다한 편입니다. 정부는 "에너지 절감 3개년 계획"을 수립하고, 국가에너지정책 전반을 점검하기 위한 "국가에너지위원회"를 설치하는 등 제반 대책을 강구하고 있습니다. 에너지 절약시설에 대한 금융 세제 지원을 강화하고 신 재생 에너지 보급을 확대해 나가겠습니다. 이와 함께 러시아 베트남 정상외교에서 거둔 성과를 기반으로 석유 등 해외자원개발을 국가적 사업으로 추진하여 에너지 자급능력을 획기적으로 확충하겠습니다. 또한 에너지를 적게 쓰는 기술혁신 주도형 산업구조로 개편해 나가겠습니다. 18년간 끌어온 원전수거물관리시설 문제도 신속히 매듭지어야 합니다. 전기의 원자력 발전소 의존율이 현재 40%에 이르고 있습니다. 정부의 추진방침을 빠른 시일내에 확정해서 건설 일정에 차질이 없도록 하겠습니다. 하지만, 정부의 노력만으로는 한계가 있습니다. 국민 여러분께서도 에너지 절약을 적극 실천해 주시길 바라며, 기업들도 함께 동참해 주시길 당부드립니다. 존경하는 국민 여러분, 지금은 과학기술력이 시장과 기업의 운명을 좌우하는 시대입니다. 저는 최근 우리가 함께 일궈낸 놀랍고 자랑스런 성과에 큰 자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우리의 창의적 기술에 선진국들의 찬사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우수한 정보통신 기술과 국민들의 디지털 마인드에 힘입어 우리나라가 전 세계 디지털 시장의 실험장이 되고 있습니다. CDMA 이동통신 서비스를 세계 최초로 상용화하는 등 반도체 메모리 기술, 휴대전화 수준이 세계 일류로 평가 받고 있습니다. 세계 제철역사를 다시 쓸 파이넥스(FINEX) 공법을 개발했고, 황우석 교수는 세계 최초로 인간 복제배아로부터 줄기세포 추출에 성공했습니다. 정부는 우리 국민의 높은 창의성을 바탕으로 과학기술 혁신을 체계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국가기술혁신체계(NIS)를 구축하는데 전력을 다해 나가겠습니다. 우리 과학자들이 세계적인 연구 성과를 낼 수 있도록 집중 지원하고, 과학자들과 전문 기술인력이 사회의 중심에 설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아울러, 2008년 세계 8위의 과학기술 강국을 목표로 미래 전략기술 분야에 대한 연구개발(R&D) 투자를 확대하고 차세대 성장동력 확보에 집중 투자할 것입니다. IT, 생명공학, 나노기술분야 등을 중심으로 해외의 우수 연구기관과 기업 R&D센터 유치를 확대하겠습니다. 특히, IT인프라를 바탕으로 지능기반사회(U-Korea)를 다른 나라보다 앞서 이룩할 수 있도록 노력해 나가겠습니다. 기업이 핵심기술을 확보하고 실용화할 수 있도록 집중 지원하면서, 정부는 초기시장 창출과 제도적 개선을 추진할 것입니다. 철강, 조선, 자동차, 반도체 등 주력산업을 고도화하고, 부품 소재산업이 수입의존 구조에서 탈피하도록 그 기반을 조성하겠습니다. 의원 여러분, 지금은 민주화, 세계화, 디지털화, 네트워크화라고 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에 맞추어 우리 경제의 근본적인 제도개선 노력을 더욱 강화해야 할 때입니다. 규제개혁, 개방과 경쟁, 우량 중소기업 육성, 선진 노사관계 정착 등 경제시스템을 선진화하고 글로벌 스탠더드 적용을 확대해 나가겠습니다. 규제개혁을 획기적으로 추진하여 시장에 활력을 불어 넣고 기업하기 좋은 환경을 만들어 나갈 것입니다. 기존의 8,700여개 규제를 원점에서 재검토하여 주요 덩어리 규제를 집중적으로 개선함으로써 규제개혁의 성과를 기업들이 체감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중소기업이 기술혁신과 고급 일자리를 만들어 내는 원천이 되도록 적극 지원하겠습니다. 특히 기술혁신 선도형 중소기업을 중점적으로 육성하겠습니다. 경제자유구역내에 경쟁력 있는 외국기업의 투자가 활발하게 이루어지도록 적극 지원하고, 공항 항만 등 물류 기반과 차세대 정보통신망을 지속적으로 확충하겠습니다. 인천공항은 동북아 허브공항으로, 부산 광양항은 동북아 중심항으로 육성하는 한편, 자산운용업을 특화하여 아시아 3대 금융 중심으로 우뚝 설 수 있도록 준비에 만전을 기해 나갈 것입니다. 현재 진행 중인 쌀 관세화 관련 협상은 유리하게 타결되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쌀 협상 이후에도 쌀 농가의 소득이 안정될 수 있도록 기존 논 농업 직불제와 쌀 소득보전 직불제가 실질적으로 확충되도록 하겠습니다. 동시에 지식농업과 벤처농업을 통해 농업을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발전시키고, 농업 농촌종합대책을 적극 추진하여 농어촌 복지와 교육여건을 개선해 나가겠습니다. 다음은 교육 인적자원개발 분야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지금 우리 대학의 경쟁력은 세계적 수준에 이르지 못하고 있으며, 핵심인력 양성도 아직 미흡한 수준입니다. 정부는 이러한 문제들을 종합적 체계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국무총리실에‘기획단’을 설치하였습니다. 교육과 노동시장에서 미래의 인력수요와 공급을 예측하기 위한 체제를 정비하고, ‘인재입국’의 비전과 청사진을 구체화해 나가고자 합니다. 미래 사회를 주도할 인재 양성을 위해서는 세계적 수준의 대학이 필요합니다. 그간 추진해 온 "두뇌한국21(BK21)사업"의 후속 사업계획과 "연구중심대학 육성사업"을 통해 핵심인력을 집중 육성하고, 지방대학의 혁신역량을 강화하도록 하겠습니다. 선택과 집중의 원칙 아래 대학교육의 구조개혁을 강도 높게 추진하고, 운영의 투명성과 책임성을 높여가겠습니다. 인적자원 개발 인증제 도입, 산업계의 수요 반영 등을 통해 인적자원 개발에 있어 민간의 역할을 강화할 것입니다. 또한 능력과 의욕만 있으면 누구라도 공부할 수 있도록 장기대여 장학금제도를 확대하겠습니다. 공교육을 내실화하기 위해서는 소질과 적성에 따른 창의적인 학교교육, 학생의 개인차를 존중하는 수준별 교육과정 등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어야 합니다. 정부는 기존 제도의 일관성을 유지하면서 학교교육의 과정과 결과를 중시하는 대입제도 개선안을 마련하겠습니다. 학교생활기록부의 신뢰도를 높이고 대학수학능력시험 제도를 개선하겠습니다. 학생선발에 대한 각 대학의 특성화와 전문성이 강화되도록 정부가 지원하겠습니다. 학생 선발의 자율성은 인정하지만 고교를 서열화해서는 안됩니다. 대학은 공교육 정상화를 저해하는 일을 해서는 안됩니다. 빈곤의 대물림을 차단하기 위해 교육복지 투자 우선지역 확대, 장애학생 지원, 저소득층 유아교육 및 보육지원 등 교육복지종합대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가겠습니다. 다음은 사회 복지 문화 분야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최근 서비스업과 건설경기가 어려움을 겪으면서 고용 상황도 나아지지 않고 있습니다. 특히, 청년실업이 문제입니다. 정부는 일자리 창출이야말로 최선의 복지라는 생각으로 여기에 정책의 최우선 순위를 두어나가고 있습니다. 복지 문화 교육 등의 공공부문부터 일자리를 확대해 나가겠습니다. 일자리 나누기 등 민간부문의 일자리 창출 노력도 적극 지원해 나갈 것입니다. 중장기적으로는 투자 확대를 통한 성장잠재력 확충, 산업 수요에 맞는 인력 양성, 청소년 직업지도 강화 등을 추진하고, 일자리 창출효과가 높은 서비스업 중심의 선진국형 고용구조로 전환하기 위해 지식 사회복지 서비스업 등을 집중 육성해 나갈 것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일자리 창출 대책이 보다 실효성을 거두기 위해서는 국민 여러분의 협력도 필요합니다. 정부는 일할 의욕을 가진 사람에 대한 복지와 교육을 강화해 나갈 것입니다. ‘복지를 누릴 권리와 일할 책임’간에 균형을 맞추도록 하겠습니다. 개방된 시장경쟁체제를 운영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사회적 약자를 보호하는 일이 중요합니다. 우리나라는 세계 중상위 수준의 사회안전망을 갖추고 있으나, 실질적인 수혜범위와 급여수준은 아직 미흡한 실정입니다. 기초생활수급자를 제대로 선정하고 차상위 취약계층에 대해서는 의료급여 및 긴급생계지원을 확대해 나가겠습니다. 특히 금년 겨울방학부터는 결식아동에 대한 중식지원을 대폭 확대하고, 장애인을 위한 "장애인차별금지법"도 제정하겠습니다. 사회복지정책을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 공공복지 전달체계를 개선하고, 민간의 복지참여도 활성화해 나가겠습니다. 지금 우리나라는 인구 고령화와 더불어 저출산이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여성의 권리를 신장하고, 마음 놓고 일할 수 있도록 보육기회를 확대하는 등 진정한 남녀평등을 이루는 데 더욱 힘쓰겠습니다. 아울러 건강하고 편안한 노후생활이 될 수 있도록 "고령화사회기본법"을 제정하고 국민연금제도를 개혁하며, 고령자 고용촉진대책, 실버산업 육성 등을 적극 추진하겠습니다. 또한 보훈정책의 기본틀을 정립하기 위해 "국가보훈기본법"을 제정하고, 국가유공자와 제대군인들의 사회정착을 위한 다양한 지원대책을 마련해 나가겠습니다. 특히 광복 60주년이 되는 내년을 계기로 독립유공자 발굴 등 기념사업도 더욱 확대해 나갈 것입니다. 날로 증가하고 있는 보건의료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취약한 공공 보건의료체계를 강화하겠습니다. 식품 및 의약품의 안전관리를 강화하고, 사스(SARS), 조류인플루엔자 등 새로운 전염병에 대한 방역 및 관리체계를 보완 발전시켜 나가겠습니다. 인간과 자연이 공생하는 쾌적한 생활환경을 만드는 데에도 힘써 노력하겠습니다. 생활 주변의 유해물질과 대기오염 관리, 수질 관리를 철저히 하여 국민건강을 지켜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개발사업의 초기단계부터 환경성을 검토함으로써 친환경적인 개발사업이 되도록 할 것입니다. 문화적 창의성과 다양성은 국가의 새로운 가능성과 미래를 열어 나가는 큰 자산입니다. 최근 한국의 영화들이 세계적인 영화제에서 수상하고, 우리의 정서와 문화를 담은 드라마가 아시아 여러 나라에서 한류열풍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참으로 반가운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앞으로 문화산업이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새로운 성장동력이 되도록 적극 육성하겠습니다. 그리고 우리의 미래 문화를 책임진 청소년들의 창의성과 문화적 감수성을 신장하기 위하여 청소년 문화공간을 확대하고, 청소년 관련 기구를 통합 정비해 나가겠습니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를 아시아 대중문화의 중심국가, 동아시아 영상산업의 허브로 발전시켜 나갈 것입니다. 관광 또한 부가가치와 외화가득률이 높은 우리의 중요한 성장동력입니다. 복합관광레저도시, 중 저가 숙박시설 등 관광 인프라를 적극 확충하여 더 많은 외국인이 한국을 찾을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의원 여러분, 지난 21일, "신행정수도의건설을위한특별조치법"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위헌결정에 따라 그간 특별법에 의해 집행되어온 신행정수도건설추진위원회의 활동이 중단되었습니다. 신행정수도건설은 높은 땅값, 집값, 교통체증, 환경악화 등으로 경쟁력이 떨어져 가고 있는 수도권의 과밀문제를 해소하고 국가균형발전을 이루기 위한 핵심 정책입니다. 또한 공공기관의 지방이전, 혁신도시 건설 등과도 서로 밀접히 연계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앞으로 신행정수도 건설을 기대했던 충청권, 그리고 신행정수도에서 1∼2시간 이내의 거리에 공공기관이 이전되어 올 것으로 기대했던 각 지역의 발전방향과 연관된 정책 전체를 종합적으로 재검토해야 합니다. 헌법재판소의 결정이유에 대한 다양한 의견과 평가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누구도 그 결론의 법적 효력에 대해서는 부정하지 않을 것입니다. 그러나 정부는 지방분권과 국가균형발전, 수도권 과밀해소가 국가의 미래를 위한 시대적 과제임을 분명히 밝히고자 합니다. 어느 국민 누구도, 나아가 헌법재판소도 이 과제를 부인하지는 않을 것입니다. 특히, 국가균형발전전략은 작년 연말 이른바 3대 균형발전법의 국회 통과로 어느 당만의 공약이 아니라 대한민국 국회의 대국민 공약이 된 바 있습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대국민 공약의 취지와 정신은 반드시 존중되고 실현되어야 합니다. 정부는 국가균형발전을 변함없이 추진한다는 확고한 의지를 갖고 헌법재판소의 결론에 저촉되지 않으면서 국가균형발전전략의 취지가 훼손되지 않도록 적절한 계획을 세워 반드시 추진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구체적인 방안은 국민 여론을 수렴하고 당과 협의해서 가능한 빠른 시일 안에 제시하겠습니다. 이제 통일 외교 안보 분야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북핵문제는 6자 회담 등을 통해 평화적으로 해결되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정부는 한 미 일 공조를 보다 공고히 하고, 중국 러시아 EU 등 국제사회와도 협력을 강화해 나갈 것입니다. 또한 남북대화를 통해서도 북한의 태도 변화를 계속 촉구하겠습니다. 6.15 공동선언 이후 남북관계는 큰 변화의 길로 들어섰습니다. 경의선 철도와 도로가 곧 연결되고, 지난 10월 20일 여러 의원께서 참석하여 기공식을 가진 개성공단에서 올해 안에 제품을 생산하게 됩니다. 정부는 인내심과 일관성을 가지고 지속적으로 남북관계를 발전시켜 나갈 것입니다. 남북관계의 발전에 있어 중요한 것은 국민적 합의입니다. 여야를 떠나 초당적 협력을 기대합니다. 또한 정부는 자유무역협정(FTA), 도하개발아젠다(DDA) 협상 등 경제통상외교를 더욱 강화하여 개방과 국제경쟁에 대비하고, 국제연합(UN) 등 다자 외교활동도 활발히 펼쳐 나갈 것입니다. 최근의 테러위협에 대해서도 면밀한 예방대책을 세우고, 경계태세를 한층 더 강화해서 국민이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이와 함께 재외국민보호에 최선을 다하겠으며, 재외동포의 권익을 신장하고 모국과의 유대 증진을 위한 노력도 계속할 것입니다. 의원 여러분, 자주국방과 한미동맹은 우리 안보의 중요한 두 축입니다. 우리는 자주국방역량을 갖추어 나가는 동시에 한미동맹관계를 미래지향적으로 발전시켜 포괄적인 안보능력을 높여 나가야 합니다. 주한미군 재배치와 용산기지 이전문제가 금년내 마무리될 수 있도록 국회에서 "용산기지이전협정비준동의안"과 "평택지원특별법안"을 차질없이 통과시켜 주시기 바랍니다. 의원 여러분, 급변하는 사회환경에 효율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정부혁신을 통해 문제해결능력을 높여야 합니다. 정부는 국정과제 로드맵을 구체적으로 실천하고, 합리성과 타당성을 바탕으로 정책을 개발하는 "일 잘하는 정부"를 만들어 가고자 합니다. 또한 공무원들이 자기혁신을 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겠습니다. 재교육시스템을 획기적으로 바꾸고, 3급 이상 공무원을 대상으로 고위공무원단 제도를 도입하여 부처간의 벽을 허물겠습니다. 성실하고 능력있는 공무원들이 대우받을 수 있도록 성과 인사평가제도를 확립해 나가겠습니다. 공직사회의 부패 또한 책임지고 청산해 나가겠습니다. 고위공직자의 비리 척결을 위해 부패방지위원회 산하에 공직부패수사처를 설치하는 등 단순한 적발이 아닌 시스템으로 근절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지방정부의 부패와 불합리한 관행까지 개선함으로써 "투명하고 깨끗한 정부"를 실현할 것입니다. 끝으로 내년도 재정운용 방향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내년도 예산안은 참여정부의 재정개혁 과제를 구체화하여 편성한 첫 번째 예산입니다. 우선 중장기적 국정비전과 국가정책의 우선순위를 고려하여 5년 단위의 ‘국가재정운용계획’을 수립하였습니다. 예산편성방식에 있어서도 과거에는 예산담당부처가 개별 사업위주로 편성하였으나, 금년에는 톱다운(Top-down) 방식의 ‘총액배분제도’를 도입하여 각 부처가 자율적으로 예산을 편성하였습니다. 내년도 재정지출 규모는 일반회계 기준으로 금년 예산보다 9.5% 증가한 131조 5천억원 수준으로 편성하였습니다. 일반회계, 특별회계, 기금을 합친 총지출 규모는 금년 예산 보다 6% 정도 증가한 208조원 수준입니다. 내년도 재정수지 적자는 GDP 대비 1% 수준이며, 일반회계 국채발행 규모는 6조 8천억원 수준입니다. 2006년까지는 IMF 외환위기를 수습하기 위해 투입된 공적자금이 국채로 전환되므로 국가채무의 GDP 비중이 불가피하게 늘어나지만 그 이후에는 줄어들게 될 것입니다. 이번 예산편성에 있어 특징은 재원의 배분구조를 변화시킨 데 있습니다. 정부가 주도하던 개발 시기에는 정책효과가 큰 경제분야의 예산 규모가 국가예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았습니다. 그러나 이제 우리 경제는 정부주도형에서 민간주도형으로 바뀌어야 합니다. 지금은 시장기능이 활성화 되어 있고 경제규모가 커져서 국가예산 중에서 경제사업비를 좀 더 늘리더라도 경제에 미치는 정책효과가 크지 않습니다. 앞으로 경제개발투자는 민간과 연 기금 그리고 외국자본을 적극 유치하여 추진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대신, 정부 재정에서는 인력과 기술개발을 중점 지원하여 성장잠재력을 높여 나가겠습니다. 그리고 시장경제에서 낙후된 분야를 지원하여 사회통합을 이루어 내겠습니다. 부문별 지원내용은, 첫째, 유망 신기술 개발, 보육 투자 등 성장잠재력 확충과 직결되는 사업에 대해 금년 13조 3천억원보다 14.3% 늘어난 15조 1천억원을 배분하였습니다. 둘째, 저소득층의 생활안정, 대기 수질 개선 등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금년 22조 9천억원보다 10.2% 늘어난 25조 3천억원을 배분하였습니다. 셋째, 지방분권 균형발전을 적극 뒷받침하기 위해 지방재정 지원규모를 금년 31조 5천억원보다 14.5% 증액하여 36조 1천억원으로 늘렸습니다. 넷째, 전력증강 투자 등 국방 분야와 개성공단 조성 등 남북협력을 뒷받침하기 위해 금년의 19조 7천억원보다 11.6% 늘어난 22조원을 통일 안보 분야에 배분하였습니다. 내년도 기금운용계획안에 대하여 말씀드리면, 57개 기금의 내년도 운용규모는 금년보다 7.3% 증가한 320조 2천억원 규모로 책정하였습니다. 기금도 예산처럼 국가재정운용계획에 근거하여 총액배분 방식으로 자율 편성하였습니다. 존경하는 국민 여러분, 국회의장과 의원 여러분, 앞서 말씀드린 정책들이 저와 정부의 노력만으로는 성공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함께 힘을 모으면 됩니다. 우리 국민은 마음만 먹으면 기적도 만들어 냅니다. 늘 어렵지 않은 때가 없었지만, 항상 힘들었지만 우리 국민은 도전과 시련을 영광과 신화로 바꿔놓았습니다. 불과 반세기만에 우리만큼 경제 발전과 민주주의를 성취해낸 나라가 세계 어디에 있습니까?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이러한 자신감의 회복입니다. 우리 스스로의 역량과 미래에 대한 확신입니다. 우리 국민이 지금까지 보여줬던 저력, 그리고 내일에 대한 희망을 잃지 않는 한 우리의 미래는 결코 어둡지 않습니다. 국민소득 2만불 시대도 반드시 이뤄낼 수 있습니다. 지금 추진하고 있는 국정과제들만 결실을 맺어도 우리나라는 활력있고 역동적인 모습으로 다시 태어나게 될 것입니다. 우리 모두 자신감과 희망을 가지고 나아갑시다. 의원 여러분께서도 참여정부가 국정을 차질없이 수행해 나갈 수 있도록 많이 격려해 주시고, 협조해 주시기 바랍니다. 경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2004년 10월 25일 대 통 령 노 무 현
2004.10.25 I 양효석 기자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I 청소년보호책임자 고규대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