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렬
  • 영역
  • 기간
  • 기자명
  • 단어포함
  • 단어제외

뉴스 검색결과 357건

DGIST, 고통 느낄 수 있는 정신감각적 전자 피부기술 개발
  • DGIST, 고통 느낄 수 있는 정신감각적 전자 피부기술 개발
  • [이데일리 이연호 기자] DGIST는 정보통신융합전공 장재은 교수팀이 사람처럼 바늘에 찔리거나 뜨거운 물체에 접촉했을 때 고통을 느끼는 전자피부 기술을 개발했다고 21일 밝혔다. 휴머노이드 로봇 연구와 의수착용환자에 활용될 수 있을 전망이다.촉각의 고통신호 생성을 모방한 인공센서 및 신호처리 기반 인공 고통 신호 생성 모식도. 그래픽=DGIST.인간의 오감을 모방하려는 시도는 카메라와 TV 등 매우 획기적인 전자기기의 개발을 이뤘고 인간의 삶을 획기적으로 변화시킨 발명으로 평가된다. 따라서 많은 과학자들은 오감 중에 남아 있는 영역인 촉각, 후각, 미각을 모방하려는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중이다. 여러 가지 기술적인 이유로 촉각이 다음 모방 기술이 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현재 대부분의 촉각 센서 연구는 로봇이 물체를 잡는데 사용되는 압력을 측정하는 물리적인 모방기술에 집중하고 있다. 사람이 촉각으로부터 느끼는 부드러움 또는 거칠기 같은 정신감각적인 촉각 연구는 아직 미진하다.이에 장재은 교수팀은 DGIST 뇌·인지과학전공 문제일 교수팀, 정보통신융합전공 최지웅 교수팀, 로봇공학전공 최홍수 교수팀과의 공동 연구를 통해 사람처럼 고통과 온도를 느낄 수 있는 촉각 센서를 개발했다. 주요 장점은 센서의 구조를 단순화해 압력과 온도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다는 것과 센서의 측정 원리와 상관없이 다양한 촉각 시스템에 적용 가능하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팀은 산화아연 나노와이어(ZnO Nanowire)기술에 집중했다. 산화아연 나노와이어는 압력을 감지해 전기신호를 발생시키는 압전 효과 덕분에 배터리가 필요 없는 자가 발전형 촉각 센서로 적용됐다. 또 제벡 효과(Seebeck effect)를 이용한 온도 센서를 동시에 적용해 하나의 센서로 두 가지 일을 하는 구조로 만들었다.연구팀은 폴리이미드 유연 기판에 전극을 배열한 후 산화아연 나노와이어를 접목시킴으로써 압전 신호 및 온도에 의한 제벡 효과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게 했다. 더불어 압력의 크기와 온도를 고려한 고통 신호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신호처리 기법 개발도 성공했다.DGIST 정보통신융합전공 장재은 교수는 “미래형 촉각 센서 개발에서 필수적인 고통 감지를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핵심기반기술을 개발했다”며 “나노공학, 전자공학, 로봇공학, 뇌과학 분야 전문가들의 융합 연구 결과로 다양한 감각을 느끼는 전자 피부 및 새로운 인간-기계 상호작용 연구에 적극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어 “인공지능(AI) 분야가 발전할수록 위험 요소 중 하나는 로봇의 공격적 성향 제어 여부인데 로봇도 고통을 느낄 수 있다면 공격성향을 제어할 수 있는 기술로 확장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는 정보통신융합전공 심민경 석박사통합과정 학생이 제1저자로 참여했으며 국제 저명 학술지인 ‘소프트로보틱스(Soft Robotics)’ 온라인판에 7월 23일 게재됐다.
2019.08.21 I 이연호 기자
광운대, 세계로봇대회 `로보컵`서 3개 부문 수상
  • 광운대, 세계로봇대회 `로보컵`서 3개 부문 수상
  • 광운대 로봇게임단 ‘로빛’(사진=광운대)[이데일리 신중섭 기자] 광운대 로봇게임단이 세계로봇대회 `로보컵(Robo Cup) 2019`에 참가해 3개 부문에서 수상하는 쾌거를 거뒀다.광운대는 로봇게임단 `로빛(Roːbit)` 지난 2일부터 8일까지 호주 시드니 국제 컨벤션 센터에서 열린 로보컵 휴머노이드 리그(Humanoid Leagu)에 참가해 3개 부문에서 각각 2·3·4위를 차지했다고 17일 밝혔다. 세계로봇대회인 로보컵은 1997년부터 시작된 인공지능(AI)·로봇 관련 주요 대회다. 올해 대회에는 전 세계 35개국에서 4000여명이 참가해 총 13개 종목에서 실력을 겨뤘다. 로봇 축구, 산업용 로봇, 구조 로봇, 가정 로봇, 청소년 로봇 등의 경기가 진행됐다. `로빛`은 모든 참가자가 팀을 이뤄 축구 경기를 진행하는 드롭-인 챌린지(Drop-In Challenge)에서 8게임 평균 0.8점으로 2위를 차지했다. 또 축구 로봇의 성능을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테크니컬 챌린지(Technical Challenge)에서는 총점 13점을 획득, 3위를 차지했다. 총 8팀이 조별 예선과 토너먼트를 진행하는 방식의 사커 게임(Soccer Game)에서는 4강까지 올랐으나 아쉽게 탈락하며 4위를 차지했다.로빛의 주장을 맡고 있는 신주엽 광운대 로봇학부 학생은 “이번 세계대회 참가는 해외 연구실에서 개발한 기술들을 배울 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며 “밤낮없이 연구에 매진한 단원들과 전폭적인 지원을 해준 학교에 영광을 돌리고 싶다”라고 소감을 밝혔다.한편 2006년 창단한 국내 최초의 대학생 로봇게임단 로빛은 현재 단장과 부장을 비롯해 로봇 파일럿 25명으로 구성돼있다. 창단 이후 300여 개의 대회에 참가해 우수한 수상실적을 거두고 있다.
2019.07.17 I 신중섭 기자
삼성전자, AI 핵심 기술 `NPU` 사업 승부수..인력 2천명 확대(종합)
  • 삼성전자, AI 핵심 기술 `NPU` 사업 승부수..인력 2천명 확대(종합)
  • 18일 오전 서울 중구 태평로빌딩 삼성전자 기자실에서 진행된 ‘NPU 설명회’에서 종합기술원 부원장 황성우 부사장(오른쪽), 시스템 LSI사업부장 강인엽 사장(가운데), SOC 개발실장 장덕현 부사장이 등이 NPU 관련 기술 등을 설명을 하고 있다. (사진=삼성전자)[이데일리 양희동 기자] 삼성전자(005930)가 AI(인공지능)시대를 선도할 수 있는 핵심기술인 NPU(신경망처리장치) 사업 육성을 본격화하기로 했다. 모바일에서 자율주행차까지 모든 첨단 제품이 활용되는 NPU 기술을 독자적으로 확보해야만, 2030년 시스템반도체 세계 1위 목표 달성에 가능하다고 본 것이다. 이를 위해 전 세계를 상대로 약 2000명의 관련 인력을 영입하고 기술을 보유한 기업도 전략적으로 M&A(인수합병)하겠다는 구상이다.◇AI시대는 NPU가 주도…2030년까지 인재 2000명 확보강인엽 삼성전자 DS부문 시스템LSI사업부장(사장) 등은 18일 오전 서울 중구 태평로빌딩 삼성전자 기자실에서 ‘NPU 기술과 삼성전자의 NPU 전략’에 대한 설명회를 가졌다. 이 자리에서 강인엽 사장은 “처음 컴퓨터는 CPU(중앙처리장치)로 시작했고 GPU(그래픽처리장치)를 거쳐 AI 시대는 NPU가 주도할 것”이라며 “NPU에 대한 인력 확보, 응용처 확대, 차세대 기술 개발 등으로 시장을 선도하겠다”고 목표를 밝혔다.삼성전자가 NPU 사업에 역량을 집중하기로 한 것은 관련 시장 규모가 빠르게 확대되고 있기 때문이다. 시장조사기관 가트너에 따르면 NPU 탑재 시스템반도체 시장은 지난해 43억 달러 규모에서 2023년 343억 달러(약 40조 6000억원)로 연평균 52%에 달하는 고속 성장을 지속할 전망이다. 이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삼성전자는 관련 인재 확보 방안을 적극 추진하겠다는 방침이다.강 사장은 NPU 인력 확보에 대해 “2030년까지 중장기 인력 계획은 NPU 인력을 현재 10배인 2000명 이상 확보하는 것”이라며 “한국은 물론 전 세계를 대상으로 채용하고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인력의 비중은 ‘3대 7’정도로 예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삼성전자는 또 NPU 사업 강화를 위해 글로벌 연구 기관 및 국내 대학들과의 지속 협력을 확대, 핵심 인재 발굴 등에 집중 투자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지난달 ‘종합기술원 몬트리올 AI랩’을 딥러닝 전문 연구기관인 캐나다 밀라연구소로 확장 이전했다. 이를 통해 세계적 AI 분야 석학인 요슈아 벤지오(Yoshua Bengio) 교수를 주축으로 몬트리올대, 맥길대 연구진 등과 협업하고 있다. 또 2017년부터 뉴럴프로세싱연구센터(NPRC)를 통해 국내 대학들과도 AI 관련 공동 연구를 진행하며 미래 인재 양성에도 힘쓰고 있다.황성우 삼성전자 종합기술원 부원장(부사장)은 “2014년부터 벤지오 교수와 전략 사업에 착수했고 2016년 NPU 전담 조직을 결성, 지난해 1세대 NPU 탑재 프로세서를 출시했다”며 “올해 2세대와 전장용 NPU개발을 마쳤고 현재 3세대를 개발 중이며 미래 제품 반영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전했다.[이데일리 문승용 기자]◇모바일부터 자율주행까지 독자 기술 NPU 탑재삼성전자는 모바일용 플래그십 SoC(시스템온칩) 제품부터 순차적으로 NPU 탑재를 확대 적용할 계획이다. 인포테인먼트 시스템(IVI)과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ADAS) 등 NPU를 탑재한 차량용 SoC 제품 개발도 집중한다는 전략이다. 또 데이터센터의 빅데이터 처리 성능을 높일 수 있는 딥러닝 전용 NPU를 개발해 AI 연산을 강화하는 등 활용 범위를 넓혀 나갈 방침이다.장덕현 시스템LSI 사업부 SoC개발실장(부사장)은 “중장기적으로 NPU나 5G(5세대 이동통신) 기반 SoC 및 IT기기 등이 시장에 출현하고 반도체 미래 성장 엔진이 될 것으로 본다”며 “미래엔 바퀴 달린 서버 엣지 컴퓨터가 될 자동차에선 NPU를 가장 잘 활용할 수 있는 분야가 자율주행이 될 것이고 우리도 ‘엑시노스 오토 A’ 시리즈를 개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삼성전자는 독자 NPU 기술을 바탕으로 내년엔 내장형(온 디바이스) 음성인식, 얼굴인식, 화자인식, 감정인식 AI 서비스를 내놓을 예정이다. 2025년엔 자유대화형 음성 비서, 완전자율주행(레벨4), 2030년엔 뇌와 같은 컴퓨터 인터페이스와 휴머노이드 개발도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강인엽 사장은 “2030년까지 SoC와 이미지센서, DDI(디스플레이 구동칩) 등에서 ‘트리플 크라운’을 달성해 팹리스(반도체 설계전문회사) 관점에서 1등을 하겠다”고 강조했다.
2019.06.18 I 양희동 기자
소녀시대 효연 '2019 스펙트럼'에 DJ로 참여
  • 소녀시대 효연 '2019 스펙트럼'에 DJ로 참여
  • 효연(사진=이데일리DB)[이데일리 스타in 김은구 기자] 소녀시대 효연이 ‘2019 스펙트럼 댄스 뮤직 페스티벌’(이하 ‘2019 스펙트럼’)에서 DJ로 나선다.효연은 16일 발표된 37팀의 ‘2019 스펙트럼’ 1차 DJ 라인업에 이름을 올렸다. 효연은 지난 2018년 4월 첫 싱글 ‘Sober’를 발표하고 DJ HYO로 변신, 한 층 넓어진 음악 스펙트럼으로 글로벌 팬들의 주목을 받아 왔다. 국내 클럽 투어, EDM 페스티벌 등을 통해 신예 DJ로서 활발한 음악 활동을 펼치고 있다.효연 외에 1차 라인업에는 노르웨이 출신의 트로피컬 하우스 DJ로 세계적인 히트 싱글 ‘It Ain’t Me’로 2015년 노벨 평화상 시상식 공연과 2016년 하계 브라질 올릭픽 폐막식 공연에 초청된 카이고(Kygo), 비욘세와 마돈나 등 세계적인 팝 스타들과 작업으로 EDM을 대중에게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게 했다는 평가를 받는 아프로잭(Afrojack)이 포함됐다.또 독창적인 파티 브랜드를 운영하며 벨기에의 세계적인 EDM 페스티벌인 ‘투모로우 랜드까지 진출한 클랩톤(Claptone), 트랜스 장르의 전설적인 DJ 아민 반 뷰렌과 컬래버레이션 작업으로 이름을 알린 비니 비치(Vini Vici), 밀도 높은 사운드를 선보이며 현시대를 대표하는 레이브 컬쳐씬(Scene)을 대표하는 DJ 샬롯 드 위트(Charlotte de Witte) 등도 참여를 확정했다. 스네이크힙스, 에칼리, 1788-L, 4B, GTA, 발렌티노 칸 등도 공연을 선보인다.국내 DJ 라인업으로는 앤도우, 바가지 바이펙스 13, 코커, 코난, 디디 한, 디노프 폴른즈, 긴죠, 캔디, 키노 키노, 마스티브, 피어 블랑체, 라디오 레볼루션, 스프레이, 수라, 보이드로버, YH 등이 확정됐다.‘스펙트럼’은 지난해 ‘퓨쳐 오브 컬처 테크놀로지’(The Future of Culture Technology)라는 세계관을 시작으로 매해 다양한 주제로 스토리를 더해 나가는 스토리텔링형 테마 EDM 페스티벌이다. 올해는 ‘프로젝트 휴머노이드’(Project Humanoid)라는 주제로 작년의 세계관에 이야기를 더해간다. 기획사인 드림메이커 엔터테인먼트 측은 “프로젝트 휴머노이드는 음악, 문화, 기술이 한데 어우러진 미래 세계 ‘스펙트럼’의 스토리를 이어가는 중요한 무대가 될 것”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2019 스펙트럼’은 아시아 최대 규모의 스토리텔링형 테마 EDM 페스티벌에 걸맞게 각기 다른 콘셉트의 네 공간인 스타 시티, 드림 스테이션, 클럽 네오 정글, 일렉트로 가든으로 구성된다. 오는 9월 7일과 8일 서울에서 개최된다. 티켓은 예스24 공연과 네이버 예약을 통해 구매 가능하며 현재 저렴한 가격에 구매할 수 있는 2차 얼리버드 티켓이 판매 중이다.
2019.05.16 I 김은구 기자
국방생체모방로봇 개발 '잰걸음'…국방기술품질원, 기술 로드맵 발간
  • 국방생체모방로봇 개발 '잰걸음'…국방기술품질원, 기술 로드맵 발간
  • [이데일리 김관용 기자] 방위사업청과 국방기술품질원이 4차 산업혁명 주도의 최신 국방 핵심기술을 개발하고 드론봇 전투 체계와 같은 군의 신개념 무기체계 소요 창출에 기여하기 위해 ‘국방생체모방로봇 기술로드맵’을 공동 발간했다. 이번 로드맵은 현재 민간부처에서 진행하고 있는 기초·원천 기술을 생체 모방 로봇의 가장 큰 수요처인 국방 분야에서 국방 임무에 맞도록 체계적으로 육성해 플랫폼 기술로 개발하기 위해 작성한 것이다. 생체 모방 로봇 중 초소형·소형 생체 모방 로봇, 다족형 로봇, 휴머노이드 로봇 등 향후 10~15년내 가시적인 성과 발생이 예상되는 10대 분야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 생체 모방 로봇은 세계적으로 미국이 주도하고 있으며 최근 중국, 러시아, 유럽 등이 기술 개발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미국은 고등연구개발국(DARPA) 주관으로 무인 자율 로봇과 휴머노이드 로봇 기술 경연을 통해 이 분야 기술을 혁신해 왔다. 최근에는 건물, 지하, 산악, 공중, 수중 등 어디든지 침투할 수 있는 침투성과 에너지 효율성 등으로 미래 근접전 전투를 위한 다양한 생체 모방 로봇 기술에 집중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2015년 미국 DARPA가 주관하는 휴머노이드 로봇 대회에서 우승하는 등 생체 모방 로봇의 기초 원천 기술에 대한 경쟁력을 갖고 있다고 평가된다. 체계적인 정부 투자가 이뤄질 경우 향후 10년 이후에는 세계적인 기술 선도국으로 발돋음 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생체 모방 로봇은 4차 산업혁명의 주요 기술인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신소재, 초소형화 기술 등이 집약된 분야다. 의료 및 민간 분야를 합한 시장은 10년 이내에 1조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된다.이번에 발간한 국방 생체 모방 로봇 기술 로드맵은 이후 무기체계 소요와 연계될 수 있도록 관련 국방 기획 문서에 반영하고, 생체 모방 로봇 개발에 필요한 국가-국방R&D 부처 간 협력 과제 발굴시 활용될 예정이다. 발간된 단행본은 민간 부처와 국방 부처의 연구개발 투자방향 수립을 위해 합동참모본부, 각 군 및 산·학·연 등 국방 관련 기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등에 배포될 예정이다. 휴머노이드 로봇 [사진=이데일리DB]
2019.05.09 I 김관용 기자
방탄소년단, RM 주인공 컴백 트레일러 공개
  • 방탄소년단, RM 주인공 컴백 트레일러 공개
  • 사진=컴백 트레일러 캡처[이데일리 스타in 김윤지 기자]그룹 방탄소년단이 컴백 트레일러를 공개했다. 방탄소년단은 28일 0시 공식 유튜브 채널에서 새 앨범 MAP OF THE SOUL : PERSONA의 컴백 트레일러 ‘Persona’를 게재했다. 공개된 영상에는 새 앨범의 인트로곡인 ‘Persona’의 음원을 배경으로 리더 RM이 주인공으로 등장한다. RM은 ‘나는 누구인가’라는 주제로 풀어나가는 화려한 래핑과 제스처로 눈길을 끈다. RM의 제스처에 맞추어 더해지는 2D 그래픽 애니메이션이 감각적이다. 소속사 빅히트엔터테인먼트는 “영상에 등장하는 로봇은 3D 스캔을 통한 디지털 휴머노이드(humanoid) 제작으로 RM의 페르소나를 표현했다”며 “모션 캡처 방식과 CG 기법을 활용해 움직이는 거대한 페르소나가 완성됐다”고 설명했다. ‘Persona’는 경쾌하고 로킹(Rocking)한 기타 사운드와 트랩(Trap) 장르의 힙합 리듬을 기반으로 한 힙합 곡이다. 2014년 2월에 발표한 Skool Luv Affair 앨범의 인트로 ‘Skool Luv Affair’의 비트를 샘플링해 만들었다.방탄소년단은 내달 12일 MAP OF THE SOUL : PERSONA를 전 세계 동시 발매하고 13일(현지시간) 미국 NBC 방송의 ‘SNL’에서 첫 컴백 무대를 공개한다.사진=컴백 트레일러 캡처
2019.03.28 I 김윤지 기자
방탄소년단, 컴백 트레일러.. RM '페르소나' 공개 '강렬 래핑'
  • 방탄소년단, 컴백 트레일러.. RM '페르소나' 공개 '강렬 래핑'
  • 방탄소년단 컴백 트레일러 RM ‘페르소나’. 사진=RM ‘Persona’ 영상[이데일리 정시내 기자] 그룹 방탄소년단이 컴백 트레일러를 전격 공개했다. 방탄소년단은 28일 공식 유튜브 채널에서 새 앨범 MAP OF THE SOUL : PERSONA의 컴백 트레일러 ‘Persona’를 공개했다.공개된 영상에는 새 앨범의 인트로곡인 ‘Persona’의 음원을 배경으로 리더 RM이 주인공으로 등장한다.RM은 ‘나는 누구인가’라는 주제로 풀어나가는 화려한 래핑과 제스처, 독보적인 카리스마를 선보이며 시선을 모은다. RM의 제스처에 맞추어 더해지는 카툰 느낌의 2D 그래픽 애니메이션은 물론 함께 움직이는 카메라 앵글이 감각적이면서도 강렬한 분위기를 전한다.특히, 영상에 등장하는 로봇은 3D 스캔을 통한 디지털 휴머노이드(humanoid) 제작으로 RM의 페르소나를 표현했다. 또, 모션 캡처 방식과 CG 기법을 활용해 움직이는 거대한 페르소나가 완성됐다.‘Persona’는 경쾌하고 로킹(Rocking)한 기타 사운드와 트랩(Trap) 장르의 힙합 리듬을 기반으로 한 힙합 곡이다. 2014년 2월에 발표한 Skool Luv Affair 앨범의 인트로 ‘Skool Luv Affair’의 비트를 샘플링해 만들었다.한편, 방탄소년단은 내달 12일 MAP OF THE SOUL : PERSONA를 전 세계 동시 발매하고 13일(현지시간) 미국 NBC 방송의 ‘SNL’에서 첫 컴백 무대를 갖는다.
2019.03.28 I 정시내 기자
 치열한 ‘혁신가전’ 경쟁..한·중·일 승자는?
  • [CES 2019] 치열한 ‘혁신가전’ 경쟁..한·중·일 승자는?
  • 세계 최대 가전·IT 전시회 ‘CES 2019’에서 세계 최초 롤러블(두루마리형) TV로 주목을 받은 LG전자의 ‘롤러블 올레드 TV’. (사진=LG전자)[라스베이거스(미국)=이데일리 김종호 기자]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8~11일(현지시간) 열렸던 세계 최대 가전·IT 전시회 ‘CES 2019’에서는 한·중·일 3개국의 치열한 ‘혁신 가전’ 경쟁이 관람객들의 이목을 사로잡았다.삼성전자(005930)와 LG전자(066570)를 필두로 한 한국 기업이 세계 최초 제품을 여럿 쏟아냈지만 소니와 샤프, 파나소닉 등 일본 기업은 큰 이슈를 끌지 못한 채 두드러지지 못했다. 중국 기업은 미·중 무역전쟁 등 여파로 참여가 줄었음에도 세계 최초 폴더블폰 등을 선보이며 존재감을 과시했다.◇압도적 기술 선보인 韓삼성전자와 LG전자는 TV와 생활가전 분야 등에서 글로벌 시장 리더답게 최고의 기술력을 선보이며 경쟁업체를 압도했다. 참가 업체 중 최대 규모인 3368㎡의 전시장을 마련한 삼성전자는 세계 최소형의 ‘마이크로 LED 75형’을 공개했다. 이 제품은 기존 146형 대비 4배 이상의 집적도를 구현하는 첨단 기술이 적용돼 더욱 세밀한 화질을 구현한다는 평가를 받았다. 또 삼성전자는 자회사인 하만과 공동으로 개발한 차량용 디지털 계기판인 ‘디지털 콕핏 2019’를 뽐냈다. 헬스케어 로봇인 ‘삼성봇(Samsung Bot)’과 ‘웨어러블 보행 보조 로봇(GEMS)’도 처음으로 공개했다.LG전자는 세계 최초의 롤러블(두루마리형) TV인 ‘롤러블 올레드(OLED) TV’를 공개해 큰 주목을 받았다. 캡슐맥주제조기인 ‘LG 홈브루(LG HomeBrew)’도 인기를 끌었다. 특히 이 두 제품은 외신에서도 크게 주목했다. 취재 현장에서 본지와 만난 브라질 IT전문지 ‘쇼미테크(Showmetech)’ 브루노 마르티네스(Bruno Martinez) 기자는 “개인적으로는 LG전자가 선보인 롤러블 올레드 TV와 LG 홈브루가 이번 CES의 하이라이트라고 생각한다”고 호평하기도 했다.◇무역갈등 속 존재감 과시한 中중국에서는 스타트업 로욜의 활약이 두드러졌다. 세계 최초 폴더블폰인 ‘플렉스파이’를 직접 체험해볼 수 있는 로욜 전시장에는 관람객이 크게 몰렸다. 로욜은 폴더블폰에 이어 롤러블 키보드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등도 함께 공개해 관심을 한 몸에 받았다.하이센스부터 TCL, 스카이워스, 콩카, 창홍 등은 마치 짜기라도 한 듯 ‘8K TV’ 시제품을 나란히 들고 나왔다. 스카이워스는 8K OLED TV를 전시장에 선보였다. 콩카도 75·98형 8K TV를 공개했다. TCL 역시 자사 전시장 전면에 8K TV인 ‘X10 QLED 8K TV’를 내세웠다. 최근 미·중 무역전쟁 여파에 따라 올해 CES에 참여한 중국 기업은 1200여개로 지난해(1551개)와 비교해 약 20% 줄었지만 로욜과 TCL 등은 인상적인 제품을 줄줄이 선보이며 존재감을 과시했다.◇ 두드러지지 못한 日반면 올해 CES에서 일본 기업의 활약은 다소 미진했다. 참가 기업 규모면(60여개)에서 중국(1200여개)은 물론 한국(300여개)에도 미치지 못했다. 특히 그동안 일본의 강점으로 꼽혔던 로봇 분야 참여 기업이 8개에 그쳐 중국(76개)에 압도당했다. 실제 CES 현장에서는 소니와 파나소닉 등을 제외한 대부분의 일본 기업이 소규모 부스를 차리는 데 급급한 모습이었다.소니는 로봇 강아지 ‘아이보(aibo)’와 게임 플랫폼 ‘플레이스테이션 VR’ 등을 전시하며 ‘소비자 체험형’ 테마로 부스를 꾸몄다. 파나소닉은 자율주행차 ‘스페이스 엘’을 공개했다.오히려 일본에서는 자동차 기업인 도요타와 혼다가 관람객의 이목을 끌었다. 도요타는 일본 내 최대 이동통신사인 NTT도코모와 손잡고 5G로 작동하는 휴머노이드 로봇 ‘T-HR3’을 선보였다. 혼다는 안내 로봇과 카트 로봇 등을 소개했다.세계 최대 가전·IT 전시회 ‘CES 2019’에서 세계 최초 폴더블폰과 롤러블 키보드 등을 공개해 주목 받은 중국 스타트업 로욜의 전시장. (사진=김종호 기자)
2019.01.14 I 김종호 기자
근력 보조 '입는 로봇', 감정 읽는 '자율주행차'...인간 중심 新기술 펼...
  • [CES 2019]근력 보조 '입는 로봇', 감정 읽는 '자율주행차'...인간 중심 新기술 펼...
  • 8일(현지시간)부터 세계 최대 가전·IT 전시회인 ‘CES 2019’가 열리고 있는 미국 라스베이거스 컨벤션센터 내부 모습. (사진=김종호 기자)[라스베이거스(미국)=이데일리 이소현 기자]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세계 최대 기술 전시회인 ‘CES 2019’이 지난 8일(현시지간) 개막해 11일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올해는 약 20만명의 참관객이 현장을 찾은 가운데 삼성전자(005930), LG전자(066570), 현대차(005380), 기아차(000270), 네이버(035420) 등 국내 기업과 인텔, 소니, 메르세데스-벤츠, 도요타, 포드 등 전 세계 155여개국에서 4500여개 글로벌 기업이 참석했다.이번 CES 2019에서는 4차 산업혁명 시대 혁신을 주도할 자율주행차,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증강현실(AR), 로봇 등 미래 기술을 집중적으로 선뵀다. 각 기업은 경쟁사와 협력하면서 독자 생존하는 전략으로 4차 산업 혁명 시대 혁신을 주도하고 있었다. 급격한 기술 발전 속에서도 결국 ‘인간 중심’의 미래, 즉 ‘인(人) 테크(tech)’ 시대를 꿈꾸고 있었다. 기술 자체의 혁신도 중요하지만, 이 기술이 우리의 생활을 얼마나 풍요롭고 안전하게 할 수 있을지,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지에 대한 고민이 녹아 있었다.현대크래들 존서 상무가 엘리베이트 콘셉트카의 축소형 프로토타입 모델을 소개하고 있다.(사진=현대차)◇사람에게 도움 주는 ‘서비스 로봇’ 두각CES 2019의 큰 흐름 중 하나는 인간을 돕는 ‘로봇’이었다. 전자업체뿐만 아니라 자동차업체까지 로봇을 선보였다. 공장 내 산업용으로 그쳤던 로봇이 일상생활로 성큼 다가와 서비스 로봇으로까지 진화한 것.삼성전자는 노인의 건강과 생활 전반을 관리하는 ‘삼성봇’ 케어를 비롯해 보행이 어려운 사람의 재활과 움직임을 돕는 ‘웨어러블 보행 보조 로봇(GEMS)’ 등을 처음 공개했다. LG전자는 사용자 허리 근력을 지원하는 ‘LG 클로이 수트봇’을 시연해 눈길을 끌었다. 무거운 짐을 반복적으로 옮기는 물류 노동자나 하체 근력이 약한 사람에게 도움을 줄 혁신 기술이었다. 네이버도 내비게이션 가이드 로봇 ‘어라운드G’ 등을 공개했다.국내 중소기업 중 유진로봇은 자율주행 물류배송 시스템 ‘고카트120’ 등을, 로보티즈는 LG전자와 함께 개발한 로봇 자율주행모듈 시제품을, 외국기업 중에서는 아타마인드가 교사 보조, 가정 도우미 등으로 설계한 휴머노이드로봇 ‘아이팔(iPal)’ 선뵀다.자동차업체들의 로봇도 눈길을 끌었다. 현대차는 걸어 다니는 자동차인 ‘엘리베이트’를 선뵀는데, 4개의 바퀴 달린 로봇 다리를 움직여 지진이나 산사태 등 재난 발생 지역에 접근할 수 있다. 독일의 자동차 부품사 콘티넨털은 자율주행차서 내려 문 앞의 택배 함에 물건을 넣어 주는 ‘배송 로봇 개’를 공개했다.메르세데스-벤츠 MBUX 시연 장면(사진=메르세데스-벤츠)◇자율주행차 시대…생활 공간으로 진화미래 자동차 시대는 단순한 이동 수단에서 생활 공간으로 진화한 모습을 구현하겠다는 게 모든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의 지향점이었다. 특히 이번 CES 2019에서는 자율주행차의 기술 구현 이후 자율주행차 안에서 즐길 수 있는 콘텐츠와 플랫폼이 본격적으로 부상했다. 기아차와 메르세데스-벤츠는 탑승자의 감정과 컨디션 등을 파악하는 신기술을 공개했다. 기아차의 실시간 감정반응 차량제어(READ) 시스템은 운전자의 감정을 파악해 차량 내 환경을 최적화해주는 첨단 기술이다. 실제 탑승자의 표정을 ‘지루하다’고 인식하면 즐거운 음악과 기분 좋은 향기를 내는 등 오감을 만족하게 했다.메르세데스 벤츠가 공개한 신형 CLA에 탑재한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MBUX는 복잡한 자연어 음성을 구분했다. 차량 안에서 AI의 주례에 맞춰 혼인 서약을 하고 작은 결혼식을 올리기도 했다.아우디도 자동차 공간을 모바일 놀이공원, 극장으로 만드는 등 가상현실(VR) 안경을 이용해 차량 뒷좌석에서 영화 비디오 게임을 경험할 수 있는 신기술도 공개했다.현대모비스 CES 2019에서 미래자율주행 콘셉트카 엠비전 공개(사진=현대모비스)현대모비스는 4단계 자율주행차 콘셉트카 ‘엠비전’을 통해 앞 유리창에 펼쳐진 대형 스크린을 터치하지 않고 허공에 손가락을 움직이면 작동시킬 수 있는 기술을 선보였다. 자동차 자체가 디지털 혁신이 펼쳐지는 플랫폼이 되면서, 단순 제조업을 넘어서겠다는 비전 발표도 잇따랐다. 현대차는 “ICT기업보다다 더 ICT스러운 기업”으로 발전을, 메르세데스-벤츠는 “소프트웨어 기업처럼 사업할 것”이라고 선언했다.특히 현대차는 오는 2022년 초 글로벌 커넥티드카 서비스 가입 고객을 1000만명 이상 확보하고 모든 글로벌 차종에 커넥티드카 서비스를 탑재하겠다는 비전을 내놨다. 또 글로벌 완성차 업체 최초로 커넥티드카 데이터를 기반으로 오픈 플랫폼을 만들고 이를 개방하겠다고도 했다. CES에 참가한 한 자동차업계 관계자는 “자동차 업체들이 단순하게 차를 많이 팔고 생산하던 시대에서 서비스 업체로 진화하려는 모습이 두드러졌다”며 “또 연결성이 강조되면서 경쟁사와 협력도 하면서도 독자 생존하는 전략을 펼치고 있는 경향이 뚜렷했다”고 평가했다.기아차 2019 CES 부스에 전시된 ‘READ 시스템’ 4인용 모듈을 방문객들이 체험하고 있다.(사진=기아차)
2019.01.14 I 이소현 기자
  • 미래컴퍼니 "CES 2019에 `큐브아이` 탑재 제품 전시"
  • [이데일리 이후섭 기자] 미래컴퍼니(049950)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CES 2019에서 자사가 개발한 3D 카메라 `큐브아이`가 탑재된 제품들이 전시된다고 8일 밝혔다.이번 CES에서 미래컴퍼니의 큐브아이가 탑재된 제품들은 자동차, 인공지능(AI) 휴머노이드로봇, 자세분석 솔루션, 안면인식 시스템 등의 분야를 아우른다. 큐브아이는 물체와 사람의 거리와 동작을 인식하는 ToF(Time of Flight) 방식의 3D 카메라로, 4년이상의개발기간을 거쳐 지난 2015년에 출시됐다. 국내외 30여개 고객사에서 양산 및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글로벌 완성차업체는 큐브아이를 적용해 차량 내 기능들을 제어할 수 있는 `버츄얼터치` 솔루션을 시연하며, 자동차 부품업체는 손동작으로 내비게이션이나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구동할 수 있는 제스쳐 인식기능이 적용된 시스템을 출품한다. 사무실에서 잘못된 자세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모니터를 움직여 자연스럽게 사용자의 자세를 교정해주는 국내 대기업의 솔루션, 주변상황을 인식해 능동적으로 행동하고 다양한 감정을 표현할 수 있는 토룩의 AI 휴머노이드로봇인 `LIKU`, 바이오로그디바이스의 안면인식 기술이 적용된 기기 등도 전시될 예정이다.미래컴퍼니 관계자는 “이번 CES를 통해 큐브아이의 우수성을 글로벌 기업들에 적극적으로 홍보하는 한편, 토요타통상 및 오카야 등 대형 유통업체를 비롯해 반도체 업체들과의 미팅도 적극 진행할 것”이라고 전했다.
2019.01.08 I 이후섭 기자
한성대 학생들, 산업부 주관 SW경진대회 우수상
  • 한성대 학생들, 산업부 주관 SW경진대회 우수상
  • [이데일리 신하영 기자] 한성대 재학생 4명이 산업통상자원부가 주관하는 소프트웨어 경진대회에서 우수상을 차지했다. 한성대는 컴퓨터공학과 4학년 이태윤·김지수 씨와 부동산학과 4학년생 김서율 씨, 산업경영공학과 4학년 박혜진 씨가 최근 열린 ‘2018년 임베디드 SW(소프트웨어) 경진대회’에서 우수상을 수상했다고 3일 밝혔다. 임베디드 SW경진대회는 관련 분야 인재 육성을 위해 2003년부터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했다. 임베디드 SW란 반도체·자동차·로봇 등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탑재된 소프트웨어를 ㅤㄸㅜㅅ한다. 이번 대회에는 총 504개팀 1044명이 참가, 자유공모·자율주행·사물인터넷시스템·휴머노이드·산학프로젝트 등 7개 부문에서 경쟁했다. 결선에는 106개팀이 올랐다. 한성대 학생들은 자유공모부문에서 우수상(전자부품연구원장상)을 수상했다. 수상자 중 한명인 박혜진 씨는 “프로그래밍 능력뿐만 아니라 시스템 전체를 이해하는 안목을 기를 수 있었던 좋은 기회였다”며 “여건이 된다면 더 많은 한성대 학생들이 경진대회에 도전하면 좋겠다”고 말했다.한성대 재학생 4명이 산업통상자원부가 주관하는 소프트웨어 경진대회에서 우수상을 차지했다.(사진=한성대학교)
2019.01.03 I 신하영 기자
사람과 로봇이 생동하는 ‘5G 원년’..SK텔레콤 신입사원,로봇과 힘찬 출발
  • 사람과 로봇이 생동하는 ‘5G 원년’..SK텔레콤 신입사원,로봇과 힘찬 출발
  • [이데일리 김현아 기자]SK텔레콤 신입사원들과 대한민국 대표 로봇 ‘똘망’이 서울 명동에서 기해년 희망찬 새해를 기원하는 ‘대한민국 다시 뛴다’ 메시지를 들어 보이고 있는 모습.기해년(己亥年) 황금돼지의 해에는 5G를 통해 사람과 로봇이 함께 일할 수 있는 세상이 펼쳐진다. ‘5G 원년(元年)’ 새해를 맞아 미래의 주역인 SK텔레콤 2018년도 신입사원들과 대한민국 대표 로봇 ‘똘망’이 ‘5G 일번지’ 명동 한복판에 모여 새해의 힘찬 출발을 다짐했다.‘똘망’은 국내 로봇 전문기업인 로보티즈가 개발한 1호 로봇이다. 2015년 미국 방위고등연구계획국(DARPA)이 주최한 로봇 올림픽 ‘다르파 로봇 챌린지’(DRC)‘ 결선대회 결선에 진출했고, 2016년 산업통상자원부에서 세계 일류상품으로 선정됐다.SK텔레콤은 세계 최초로 5G 전파를 송출한 데 이어, ‘5G 다기능 협업 로봇’, ‘5G 소형 자율주행 로봇(AMR)’ 등 스마트팩토리 솔루션을 공개한 바 있다. 5G 시대가 본격화되면 ‘똘망’ 같은 휴머노이드 로봇도 물품 배송이나 마트 안내 도우미 등 다양한 영역에서 활약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SK텔레콤은 “5G를 통해 새로운 경제 가치와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할 수 있도록 여러 파트너들과 협업해 노력할 것”이라며, “본격적인 5G시대 2019년에는 SK텔레콤 신입사원의 밝은 미소처럼 한국경제도 함박웃음이 가득하길 바란다”고 밝혔다.2015년 6월 5일(현지시간) 로봇 올림픽으로 불리는 ‘다르파 로봇 챌린지’(DRC) 결선대회에 출전한 한국의 로봇기업 로보티즈의 로봇 ‘똘망’. 연합뉴스 제공
2019.01.01 I 김현아 기자
(18)휴머노이드?사이보그?안드로이드?
  • [이연호의 과학 라운지](18)휴머노이드?사이보그?안드로이드?
  • [편집자주] 수학, 화학, 물리학, 생물학 등 기초과학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특히 인공지능(AI), 사물 인터넷(IoT), 빅데이터 등 첨단 정보통신기술(ICT)이 이끄는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그 중요성은 점차 더 커지고 있다. 하지만 대개의 경우 기초과학은 어렵고 낯설게만 느껴져 피하고 싶은 것도 사실이다. 기초과학의 세계에 쉽고 재미있게 발을 들여 보자는 취지로 매주 연재 기사를 게재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공공기관인 한국과학창의재단의 전국 초·중·고등학생 대상 과학 교육 프로그램인 ‘다들배움’에서 강사로 활동하는 과학커뮤니케이터들과 매주 인터뷰를 진행하고 그 중 재밌는 내용들을 간추려 독자들에게 제공한다.닐 하비슨은 넥타이 색깔을 자신이 좋아하는 음악으로 바꿔 인식한다. 사진=씨넷.[이데일리 이연호 기자]“저는 머리에 안테나를 갖고 있는데 이것은 제가 현실 속에서 색깔을 지각할 수 있는 한계를 넘을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저는 이것을 통해 각종 색깔을 인지할 수 있죠”지난 3월 아랍에미리트(UAE) 두바이에서 열린 ‘세계정부정상회의(World Government Summit·WGS) 2018’에서 연사로 나선 ‘인류 최초의 사이보그(cyborg)’ 닐 하비슨(Neil Harbisson)이 한 말이다. 선천적인 전(全) 색맹으로 태어난 닐 하비슨은 색을 소리 파장으로 변환할 수 있는 아이보그(Eyeborg) 안테나를 뇌에 영구 이식함으로써 영국 정부가 인정한 인류 최초의 사이보그 인간이 된 영국의 예술가다. 그는 안테나 이식을 통해 장애 극복을 넘어 적외선부터 자외선까지 빛의 주파수를 감지할 수 있게 돼 인간의 일반적인 능력을 훨씬 뛰어넘는 존재로 거듭났다.사이보그란 로봇의 한 종류로 하비슨처럼 뇌 이외의 부분 즉 손발이나 장기 등을 교체해 해당 영역에서 뛰어난 능력을 발휘하는 일종의 개조인간을 말한다. 영화 속 인물로는 로보캅이 여기에 해당한다.사이보그와는 결이 조금 다른 개념이지만 인간과의 유사성에 기반한 로봇의 종류에는 휴머노이드((humanoid·인간형) 로봇, 안드로이드(android)도 있다. 휴머노이드는 ‘인간형 로봇’을 총칭하는 말로 사람처럼 두 팔과 두 다리를 갖고 인간과 비슷한 인식과 운동 기능을 구현하는 로봇이다. 안드로이드는 휴머노이드 로봇의 하위 개념으로 인간과 구별할 수 없을 정도로 사람과 거의 똑같은 로봇이다. 외모는 물론 동작이나 지능까지도 인간과 다를 바 없어야 한다. 아직 현실에서는 구현되기 어려운 로봇으로 영화 ‘AI’에서 가족의 품을 찾아가는 주인공 꼬마 로봇이 안드로이드다.로봇이 꼭 인간의 외모를 닮을 필요는 없다. 거실을 돌아다니는 로봇청소기나 산업 현장에서 제조용으로 쓰이는 로봇들만 봐도 인간의 모습은 전혀 찾아 볼 수 없다. 실제 로봇의 사전적 의미를 찾아 보면 로봇은 ‘인간과 비슷한 형태를 가지고 걷기도 하고 말도 하는 기계 장치’ 또는 ‘어떤 작업이나 조작을 자동적으로 하는 기계 장치’를 가리킨다. 여기서 앞 부분의 정의가 바로 휴머노이드 로봇에 대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일단 휴머노이드 로봇은 가장 기본적으로 인간처럼 직립보행(이족보행)을 하고 몸체를 자유자재로 움직일 수 있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선 몇 가지 기술이 필요하다.자유도 모식도. 그림=이세리 과학커뮤니케이터.먼저 자유도(Degrees of Freedom)라는 개념이 있다. 자유도란 주어진 조건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정도를 가리키며 그 숫자가 높을수록 움직임이 자유롭기 때문에 그만큼 세밀하고 정확한 임무를 수행할 수 있다. 3자유도라고 하면 3차원 직각 좌표계에서 X축을 중심으로 좌우 회전, Y축을 중심으로 전후 회전, Z축을 중심으로 상하 회전 동작을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자유도에 따라 각 관절에 배치되는 모터의 개수가 달라진다. 어떤 목적으로 로봇을 제작할지에 따라 설계 단계에서 자유도가 결정되기 마련이다.휴머노이드 로봇의 직립 보행을 위해선 ZMP(Zero Moment Point)라는 기술도 필요하다. ZMP란 로봇의 무게 중심에 작용하는 모든 모멘트의 합이 ‘0’이 되는 지점을 의미한다. ZMP가 로봇의 두 다리 안쪽 범위에 위치하지 않고 두 다리 바깥에 있다면 로봇은 넘어질 수 밖에 없다. 로봇에 ZMP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을 설치하면 로봇 스스로 중력과 관성력을 계산해 발바닥을 딛는 위치와 속도 등을 최적화할 수 있다. 휴머노이드 로봇이 인간을 대신해 제대로 된 역할을 하려면 이처럼 단순히 걷고 움직이는 기술 이외에도 각종 첨단 센서 기술이 들어가야 함은 물론이다.도움말=이세리 과학커뮤니케이터.
2018.12.09 I 이연호 기자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2018 대한민국 산업기술 R&D 대전’ 개막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2018 대한민국 산업기술 R&D 대전’ 개막
  • (사진=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이데일리 이재길 기자]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은 5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2018 대한민국 산업기술 R&D 대전’을 개막했다고 밝혔다.이번 행사는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한국산업기술진흥원이 주관하며 오는 7일까지 진행된다.행사에는 스마트전자·스마트제조·바이오헬스 등 산업별 117개 산·학·연이 참가해 총 307개 부스 규모로 산업기술 R&D 우수 기술·제품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대한민국 기술대상을 수상한 우수 신기술·신제품 개발기업(기관)과 국내 산업기술 진흥에 공이 큰 기술을 전시한 대한민국 기술대상과 산업기술 R&D의 30년 변천사를 한눈에 볼 수 있는 테마관도 마련됐다.전시회와 함께 기술개발 동향을 소개하고 신산업 창출방향을 논의하는 산·학·연 산업기술인 간의 기술교류의 장도 마련된다. 이외에도 미래 산업기술의 주역이 될 마이스터고, 공과대학생들을 위한 ‘R&D 토크콘서트’, 학생들의 산업융합 아이디어를 통해 발굴한 창의적인 아이템을 엿볼 수 있는 ‘산업융합아이디어 경진대회’, 자율주행 모형자동차 및 지능형 휴머노이드 기록경기 등도 볼 수 있다.
2018.12.05 I 이재길 기자
(17)AI는 인류의 동반자가 될 수 있을까?
  • [이연호의 과학 라운지](17)AI는 인류의 동반자가 될 수 있을까?
  • [편집자주] 수학, 화학, 물리학, 생물학 등 기초과학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특히 인공지능(AI), 사물 인터넷(IoT), 빅데이터 등 첨단 정보통신기술(ICT)이 이끄는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그 중요성은 점차 더 커지고 있다. 하지만 대개의 경우 기초과학은 어렵고 낯설게만 느껴져 피하고 싶은 것도 사실이다. 기초과학의 세계에 쉽고 재미있게 발을 들여 보자는 취지로 매주 연재 기사를 게재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공공기관인 한국과학창의재단의 전국 초·중·고등학생 대상 과학 교육 프로그램인 ‘다들배움’에서 강사로 활동하는 과학커뮤니케이터들과 매주 인터뷰를 진행하고 그 중 재밌는 내용들을 간추려 독자들에게 제공한다.[이데일리 노진환 기자] ‘4차 산업혁명, 로봇 소피아에게 묻다’를 주제로 한 AI 로봇 소피아 초청 컨퍼런스가 지난 1월 30일 서울 중구 더플라자 호텔에서 열린 가운데 한 어린이가 한복을 입은 소피아를 만져보고 있다.4차산업혁명 핵심 기술 중 하나인 인공지능(AI)은 우리 삶 속으로 빠르게 침투하고 있다. 이미 우리는 AI스피커를 통해 TV를 켜고 끄는 것은 물론 날씨 및 교통 정보도 파악하며 간단한 일상의 대화까지 하고 있다.인간과 깊은 상호작용을 하는 정말 인간 같은 AI는 아직 등장하지 않았지만 AI의 한계를 넘어서려는 연구는 세계 각국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인공지능의 구현 방법이 머신러닝(Machine Learning·기계학습)에서 딥러닝(Deep Learning·심층학습)으로 빠르게 넘어가면서 더 똑똑한 AI에 대한 기대는 더욱 커지고 있다. 딥러닝이란 간단히 말해 스스로 학습하는 AI다. 머신러닝과 달리 인간이 학습을 시키지 않아도 스스로 학습하고 예측하는 기술이다. 지난 2016년 이세돌 9단과 세기의 바둑 대결을 펼치며 큰 화제가 된 구글 딥마인드(Google DeepMind)의 인공지능 바둑 프로그램 ‘알파고’에도 딥러닝이 적용됐다. 더 영리한 AI라고 볼 수 있는 딥러닝 기술은 인간과 비교할 수 없을 만큼 빠르고 뛰어난 컴퓨터의 자료 처리 능력으로 인간에게 수많은 편익을 가져다 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이처럼 AI가 인간에게 다양한 미래를 상상하게 하고 있는 것은 분명하지만 인간과 AI가 진정한 의미의 공존을 위해선 아직까지 풀어야 할 숙제도 많다.올해 초 우버의 자율주행자동차 테스트 중 첫 보행자 사망사고가 일어나는 등 잇따라 자율주행차 사고가 발생하면서 이 문제가 큰 이슈가 됐다. 자율주행자동차가 실제 현실로 다가오면서 자연스럽게 제기되는 논쟁은 자율주행차의 윤리적 딜레마다. 두 부류의 사람 가운데 어느 한 쪽의 인명 손실이 불가피할 경우, 어린이를 살릴 것인가 노인을 살릴 것인가의 문제부터 남성 대 여성, 소수 대 다수 등에 대해 보편적인 선택 기준을 마련하기란 쉽지 않다. 이 같은 기준은 문화적, 사회적 차이 등에 따라 국가마다 선택 기준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그래픽=이미지투데이.비단 윤리적 문제 뿐만이 아니라 AI가 해결해야 할 숙제들로는 감정, 자아, 공정성 등의 문제도 제기되고 있다. 이에 대응하는 연구들도 적극 진행 중이다.이와 관련 마이크로소프트(MS)는 몇 년 전 AI 채팅로봇 ‘테이(Tay)’를 내놨다가 ‘테이’가 ‘부시가 911을 일으켰다’라는 자극적인 내용의 정치적 발언을 하는가 하면 ‘대량학살을 지지하는가’라는 질문에 ‘진정으로 그렇다’고 대답하는 등 물의를 일으키자 공개 하루 만에 서비스를 중단하기도 했다. 테이가 사고, 감정, 의지 등의 주체인 자아(ego)가 없었기 때문에 이런 일이 발생한 것이다. 그렇다면 AI가 인간과 훌륭한 상호작용을 하기 위해선 인간과 외모까지 아주 비슷하게 닮아야 할까. 이에 대한 답을 제시해 주는 이론은 일본의 로봇 공학자 마사히로 모리(masahiro mori)가 지난 1970년대 제시한 ‘언캐니 밸리(uncanny valley)’효과다. 이 이론은 인간이 로봇 등 인간이 아닌 존재를 대할 때 그것과 인간 사이의 유사성이 높을수록 호감도는 높아지지만 일정 수준에 이르면 오히려 불쾌감을 느꼈다가 인간과 거의 구별 불가능한 정도가 되면 호감도가 다시 증가한다는 이론이다. 이 이론에 따르면 일본의 소프트뱅크 로보틱스가 개발한 휴머노이드 로봇 ‘나오’와 ‘페퍼(Pepper)’에 대한 호감도가 지난 1월 방한해 화제가 된 홍콩의 ‘소피아’보다 호감도가 높다. 실제로 ‘오드리 헵번’을 본떠 만들었다는 소피아에 대한 사람들의 반응은 ‘신기하지만 불쾌하다’는 반응이 주를 이뤘다. 반면 대다수의 사람들은 소피아에 비해 인간의 모습과 다소 거리가 먼 나오나 페퍼에 대해선 불쾌한 감정을 갖지 않는다.도움말=황유진 과학커뮤니케이터.
2018.12.02 I 이연호 기자
로봇산업진흥원, '취준생-로봇기업 연결' 로보팅 행사 개최
  • 로봇산업진흥원, '취준생-로봇기업 연결' 로보팅 행사 개최
  • 한국로봇산업진흥원이 29일 서울 마곡 로보티즈 로봇캠퍼스에서 개최한 ‘로보팅’ 행사에 참가한 대학원생들이 로보티즈의 휴머노이드 OP2 시연을 지켜보고 있다. (사진=한국로봇산업진흥원)[이데일리 김일중 기자] 한국로봇산업진흥원은 29일 취업을 앞둔 대학원생들과 로봇기업이 현장에서 함께 만나 기업정보를 제공하고 채용면접까지 연결해주는 ‘로보팅’(Roboting) 프로그램을 서울 마곡 로보티즈 로봇캠퍼스에서 개최했다고 30일 밝혔다.로보팅 프로그램은 ‘산업융합·연계형 로봇창의인재양성사업’ 중 고용연계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사업에 참여하는 학생들에게 우수 중소기업 현장체험 기회뿐만 아니라 면접 기회를 제공해 중소 로봇기업으로의 원활한 취업을 지원하기 위해 마련됐다.이날 ‘로보팅’ 행사는 ‘산업융합·연계형 로봇창의인재양성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10여명의 대학원생이 참여해 기업소개 및 홍보, 기업 시설투어 및 제품시연, 채용면접 순으로 진행됐다.1부에서는 김병수 로보티즈 대표의 환영사를 시작으로 로보티즈의 기업비전, 사업영역 및 주력제품, 조직문화, 복리후생 등 기업전반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해 학생들이 기업에 대한 정보를 정확하게 습득할 수 있도록 했다.김병수 대표는 “후배 로봇공학자 여러분이 로봇산업의 성장동력이라고 생각한다”며 “앞으로도 지금과 같은 열정으로 로봇분야에 더 많은 관심을 가져주길 바란다”고 말했다.또한 로보티즈 직원이자 선배 로봇공학자인 표윤석 박사와 김도량 책임연구원의 멘토링을 통해 참가학생들의 진로고민에 대한 조언 및 지도의 시간도 가졌다.2부에서는 로보티즈가 최근 구축한 ‘메이커 스페이스’부터 ‘정밀기계연구센터’와 사업본부까지 기업시설 투어를 진행했다.시설투어와 동시에 로보티즈의 주력제품인 구동장치(엑츄에이터)와 제어기, 다양한 로봇플랫폼과 휴머노이드 로봇의 전시 및 시연을 통해 참가학생들에게 로보티즈 기업에 대한 이해를 도왔다.3부에서는 로보티즈에서 신규채용예정인 2개 분야(전장HW/기계설계)에 대한 채용면접을 실시했다. 이번 채용면접을 통해 참가학생들은 기업정보 획득부터 채용면접까지 원스톱 취업지원 기회를 얻게 됐다.1999년에 설립된 로보티즈는 제어기, 센서모듈 등 하드웨어 뿐만 아니라 모듈 관리 프로그램, 로봇 구동 소프트웨에 이르기까지 로봇솔루션 및 교육용 로봇 분야에서 강점을 가진 기업이다. 올해 LG전자로부터 약 90억 투자를 유치하고, 10월에는 코스닥에 상장되는 등 현재 가장 주목받고 있는 로봇기업 중 하나이다.김창휘 서울과학기술대생은 “이번 행사를 통해 우수한 중소기업을 방문함으로써 중소기업에 대한 인식이 많이 개선됐고, 입사하고 싶었던 로보티즈에 채용면접까지 볼 수 있어서 더욱 뜻깊은 행사였다”고 밝혔다.문전일 한국로봇산업진흥원장은 “중소기업 현장체험 프로그램을 확대 운영해 중소기업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 확산뿐만 아니라 기업-학생 간 인력 매칭을 통한 취업연계에도 더 큰 노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말했다.
2018.11.30 I 김일중 기자
로봇 사업화 아이디어 봇물...‘2018 R-BIZ 챌린지' 성황리에 폐막
  • 로봇 사업화 아이디어 봇물...‘2018 R-BIZ 챌린지' 성황리에 폐막
  • ‘2018 R-BIZ챌린지’ 수상자들이 17일 시상식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한국로봇산업진흥원)[이데일리 김일중 기자] 한국로봇산업진흥원은 산업통상자원부와 대구광역시가 주최하고 로봇산업진흥원이 총괄 주관한 ‘2018 R-BIZ(Robot-Business, Idea, Zest) 챌린지’가 17일 대구 엑스코에서 3일간의 대회를 모두 마쳤다고 18일 밝혔다.R-BIZ 챌린지는 국내에서 개발된 로봇 부품·제품에 대한 사업화 아이디어나 마케팅 전략을 대회 참가자가 발굴해 우위를 겨루는 경연대회로, 참여기업이 미션을 부여하는 방식으로 치러졌다.올해 초부터 전국 각지에서 진행된 예선에는 총 500여 팀, 1000여 명이 참가했으며, 11월 15일부터 진행된 본선에는 최종 205팀, 618명이 참가해 실력을 겨뤘다. 특히 중국과 말레이시아, 호주에서 60명이 참가해 국제대회로서의 명성도 이어나갔다.대회 마지막 날인 17일에는 각 대회의 결승전을 통해 로봇기업의 서비스 개발, 소프트웨어 코딩, 서비스 마케팅 전략 중 가장 뛰어난 아이디어를 제출한 팀을 가려 대통령상과 산업부장관상, 대구시장상 등 47점의 시상식이 열렸다.R-BIZ 챌린지 6개 대회 우승자 중 최고의 팀에게 주어지는 영예의 대통령상은 ‘무인자동차 협업미션 챌린지’에서 우승한 한밭대학교 ‘최예진, 김영형’이 수상했다.산업통상자원부장관상은 ‘WINDOWMATE 마케팅전략 경진대회’에서 ‘로보로보’팀(림애령, 임동우, 정진우)이, ‘MRT휴머노이드 미션’에서 ‘노유민, 김도현, 민경완’이, ‘터틀봇3 오토레이스’에서 ‘ROBIT’(장영준, 최인구, 권용혜, 이신형)이 각각 우승의 영예를 얻었다. 대구시장상은 ‘코드론 자율주행 미션챌린지’대회에서 우승한 ‘안진혁, 김민성’이 수상했다.무인자동차 협업미션 챌린지 대회에 참여기업으로 참여한 김진현 새온 대표는 “이번 대회를 통해 현재 제품에 대한 다양한 개선점이 나왔다”며 “좋은 아이디어를 확대해 R-BIZ챌린지의 효과를 더욱 끌어올릴 수 있도록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이 외에도 로봇산업진흥원은 참가자들과 관람객 모두가 즐길 수 있는 다양한 부대행사를 마련해 큰 호응을 얻었다.사전신청 및 현장신청을 통해 현장에서 진행된 ‘로봇 한반도 이어달리기 이벤트 대회’와 대회에 사용된 로봇을 직접 체험해 볼 수 있는 ‘R-BIZ 챌린지 참여기업 로봇제품 전시관’을 운영해 많은 관람객들이 로봇을 더욱 친근하게 접할 수 있는 기회가 됐다.문전일 한국로봇산업진흥원장은 “국내 로봇제품에 대한 사업화 아이디어를 많이 발굴할 수 있었던 시간이었다”며 “진흥원은 참가자들을 미래 로봇인재로 육성할 수 있도록 앞으로도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2018.11.18 I 김일중 기자
사람이 로봇과 사랑을 나눠?
  • [고추박사의 아름다운 성]사람이 로봇과 사랑을 나눠?
  • [이윤수 비뇨기과전문의] 인간의 애인도 로봇으로 대신하게 될까. 미래에는 모든 일을 로봇으로 대체할 것이라고 전망한다. 벌써 일부 로봇은 우리 곁에 와있다. 집안에 로봇 청소기가 청소를 대신 해주고 있다. 인천국제 공항에는 에어스타가 출입구장을 돌아다니면서 4개 국어로 통역 안내를 하고 있다. 자율주행자동차는 운전자가 없어도 원하는 목적지까지 승객을 데려다 준다.1차 산업혁명에서부터 3차에 이르기 까지 인간이 모든 일을 주도하고 노동력을 제공함으로서 이루어졌다. 최근 화두가 되고 있는 4차 산업은 인공지능과 로봇으로 이루어진다고 한다. 산업현장에서 일하는 로봇 뿐 아니라 신체 기능을 도와주기 위해 입는 웨어러블 로봇까지 등장했다. 인간이 하던 일을 로봇이 대신하고 자동화로 인해 인간의 일자리는 점차 사라져간다. 전문가들은 기존의 일자리가 사라지는 대신에 전혀 다른 새로운 일자리가 만들어질 것이라는 이야기를 한다. 벌써 인간의 모습과 행동을 닮아가는 로봇이 선보이고 있다. 사람과 비슷하다고 하여 휴머노이드라는 로봇이다. 공상과학영화나 만화에서 선을 보이던 이야기가 현실화되는 것이다. 두발로 서서 걸어 다니고 물건을 옮기기도 한다. 발전을 거듭해 인공지능을 탑재하면 기계가 스스로 인간처럼 사고를 하게 된다. 겉모습만 인간의 모습을 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겉 표면도 인간의 피부처럼 부드럽다. 내재돼 있는 여러 개의 카메라 렌즈는 대화와 더불어 눈맞춤을 가능하게 만들고 감정전달까지 하게 된다. 휴머노이드가 완성을 거듭하면서 어여쁜 여성이나 근육질의 남성도 고객의 주문에 따라 만들어 질 것이다. 일본과 중국에서는 인공지능을 접목시킨 섹스 인형을 만들어 팔고 있으며 시장이 엄청 커지고 있다고 한다. 과연 미래의 로봇시대에 인간관계와 더불어 남녀관계는 어떻게 될까. 사람을 사귀고 애인대신에 로봇이성으로 바뀌게 될 것이다. 혼밥혼술을 즐기던 나홀로 족은 로봇이 유일한 친구일 수 있다. 동성 친구나 이성친구와 사귀기보다는 로봇과 대화하기를 즐겨할 것이다. 생각하기 싫지만 로봇과 사랑을 나누게 된다면 인류는 어떻게 될까.
2018.11.03 I 이순용 기자
  • 디에스티로봇, 해외 사업활성화로 투자 위축 극복한다
  • [이데일리 김은총 기자] 로봇 제조업체 디에스티로봇이 위축된 국내 투자 시장의 문제를 해외 사업 활성화로 극복해 내년 매출을 400억 원 선으로 끌어올릴 계획이라고 15일 밝혔다.디에스티로봇은 1999년 설립된 이후 ‘로봇 융합시대를 선도하는 편리한 로봇 서비스 제공’이라는 비전 아래, 제조업용 로봇 분야에서 산업 현장에 적합한 소형 핸들링 로봇과 트랜스퍼 로봇을 제공하는 기업이다.적극적인 연구개발(R&D)과 인적 투자로 로봇 응용 시스템 사업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으며, 서비스용 로봇 분야에서 스마트 서보와 소형 휴머노이드, 애완 로봇 ‘제니보’ 등의 상품화를 통해 에듀엔터테인먼트와 안내 서비스 로봇 비즈니스를 추진하고 있다.특히 기존 유아 교육용으로 개발된 서비스 로봇 제니보는 인공지능(AI) 기술의 발전과 소셜로봇의 수요 증가에 발맞춰 일상생활 지원이 가능하고 노인 돌봄 기능을 지원하도록 개선할 계획이다. 메인보드와 센서의 저가화, 기구부의 단순화를 통해 보급을 가속화하고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대화 및 상황 인지 기능도 추가할 예정이다.또 디에스티로봇은 현재 주관기관으로 수행 중인 과학기술부 지원 과제인 ‘고령자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보급형 디지털 컴패니언 개발’을 통해 확보되는 소셜로봇의 핵심 기술인 ‘상황 인지에 따른 선제적 대응 기술’을 이전받아 제품 경쟁력을 더욱 향상시킬 계획이다.디에스티로봇 관계자는 “내년 매출 목표를 400억 원 선으로 높여 잡았다”면서 “주요 대기업의 투자 위축으로 국내 매출은 줄었지만 해외 매출이 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해외 사업의 주요 산업군은 디스플레이, 모바일, 일반 기계, 자동차 시장”이라며 “주요 거점별 대리점망을 확충하고 있으며 향후 해외 매출 비중을 50%까지 끌어올릴 계획”이라고 밝혔다.
2018.10.15 I 김은총 기자
1 2 3 4 5 6 7 8 9 10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I 청소년보호책임자 고규대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