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렬
  • 영역
  • 기간
  • 기자명
  • 단어포함
  • 단어제외

뉴스 검색결과 6,763건

NIPA, ‘GITEX Africa 2024’에서 아프리카 ICT 개척 성공
  • NIPA, ‘GITEX Africa 2024’에서 아프리카 ICT 개척 성공
  • [이데일리 김현아 기자]정보통신산업진흥원(원장 허성욱)은 한·아프리카재단(이사장 여운기)과 협력하여 5월 29일부터 31일까지 모로코 마라케시에서 개최된 ‘GITEX Africa 2024’에 참가했다.이번 전시회에는 아프리카 시장 진출을 희망하는 국내 우수 ICT 기업 14개가 처음으로 참가하여, 아프리카 시장 개척 가능성을 타진하고 성과를 거뒀다.왼쪽부터 International Trade Centre Valeriu Stoian Associate Programme Officer, 다인리더스 이창배 전무, NIPA 허성욱 원장, 주모로코왕국 윤연진 한국대사, Hive Colab Dona Sava Program and Project Leader. 사진=NIPA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ICT 수출 신시장 개척 정책의 일환으로, NIPA는 그동안 미지의 시장이었던 아프리카 ICT 시장의 잠재력과 시장 진출 가능성을 타진하기 위해 국내 우수 ICT 기술과 제품을 아프리카에 처음으로 선보였다.GITEX Africa 2024는 작년 첫 회에 이어 두 번째로 개최되는 아프리카 최대 규모의 ICT 전시회로, 두바이에서 개최되는 세계적인 ICT 전시회인 GITEX Global 주관사인 DWTC(Dubai World Trade Center)가 모로코 ICT 정부기관인 ADD(Agency for Digital Development)와 공동으로 개최하는 전시회다.이번 전시회에서 NIPA는 한·아프리카재단과 협력하여 아프리카 ICT 시장의 수요와 기술 수용성을 고려한 우수 ICT 기업 14개를 선정하고, 참여 기업과 아프리카 바이어들 간의 매칭을 통해 수출 상담회를 지원하였다.짧은 기간에도 불구하고 수출 계약 3건(20만 달러), 양해각서(MoU) 체결 10건, 비밀유지계약(NDA) 체결 1건 등의 성과를 거뒀다.AI 전문기업인 플리토는 Supernova Challenge에서 International Startup Award를 수상하며 1만 달러의 상금을 받았다.NIPA 허성욱 원장은 “국내 ICT 기업의 아프리카 ICT 시장 진출은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이 좋을 것이나, 모로코는 북아프리카 주요 ICT 시장임과 동시에 중동과 유럽을 잇는 허브 국가로서 인근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로서의 가치가 크다”며 “유럽-북아프리카 또는 중동-북아프리카를 연결하는 수출시장 개척이 필요하다”고 밝혔다.NIPA는 미국, 아세안, 중동 등 전략 ICT 수출시장을 넘어 새로운 시장으로서의 가능성이 있는 지역이라면 전시회 등 다양한 형태로 새로운 미래 ICT 수출시장을 개척할 계획이다.
2024.06.01 I 김현아 기자
크래프톤, 배틀그라운드 이스포츠 국제 대회 ‘PGS 4’ 개막
  • 크래프톤, 배틀그라운드 이스포츠 국제 대회 ‘PGS 4’ 개막
  • [이데일리 김현아 기자] 크래프톤(대표 김창한)이 PUBG: 배틀그라운드의 이스포츠 국제 대회 ‘펍지 글로벌 시리즈(PUBG Global Series, 이하 PGS) 4’를 개최한다고 31일 밝혔다. PGS 4 그룹 스테이지 편성이번 대회는 6월 3일부터 9일까지 중국 상하이에서 열리며, 총상금 30만 달러(약 4억 원)를 두고 세계 정상급 24개 팀이 경쟁한다.한국에서는 광동 프릭스, 디플러스 기아, 지엔엘 이스포츠, 그리고 글로벌 파트너 팀 자격의 젠지가 참가한다. 광동 프릭스는 A조, 디플러스 기아와 지엔엘 이스포츠는 B조, 젠지는 C조에 편성됐다.대회는 그룹 스테이지와 파이널 스테이지로 나뉘어 진행되며, 그룹 스테이지에서 상위 16개 팀이 파이널 스테이지로 진출한다. 파이널 스테이지는 6월 7일부터 9일까지 열리며, 총 18매치의 경기 결과로 최종 우승팀이 결정된다.PGS 4의 최종 순위에 따라 각 팀은 올 연말 ‘펍지 글로벌 챔피언십(PUBG Global Championship, 이하 PGC) 2024’ 출전을 위한 PGS 포인트를 얻게 된다. PGS 4의 모든 경기는 오후 7시부터 배틀그라운드 이스포츠 공식 유튜브, 아프리카TV, 치지직, 틱톡, 네이버 이스포츠 채널을 통해 생중계된다.자세한 정보는 배틀그라운드 이스포츠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2024.05.31 I 김현아 기자
한화오션, 캐나다 방산 3개 업체와 협력합의서 체결
  • 한화오션, 캐나다 방산 3개 업체와 협력합의서 체결
  • [이데일리 김은경 기자] 한화오션(042660)이 캐나다 최대 방선 전시회에 참석해 캐나다 업체들과 협력합의서를 체결했다.한화오션은 한화에어로스페이스(012450)와 함께 캐나다 최대 방산 전시회인 ‘CANSEC’(Canada‘s Global Defence & Security Trade Show)에 참여해 CAE, Curtiss-Wright Indal Technologies, GASTOPS 등과 협력합의서를 체결했다고 31일 밝혔다.지난해에는 캐나다 잠수함 전문 포럼인 딥 블루 포럼 2023에서 CAE를 비롯한 4개 업체와 업무협약(MOU)를 체결했다. 이번 전시회를 계기로 CAU와 MOU보다 한 단계 격상된 Teaming Agreement를 체결했다.Curtiss-Wright Indal Technologies와는 예인소나 운용시스템에 대한 협력, GASTOPS와는 추진체계제어·모델링·시뮬레이션 관련 협력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캐나다 정부는 해군이 보유하고 있는 빅토리아급 잠수함 4척을 대체하기 위한 신형 잠수함 도입 사업을 추진 중이며 이를 통해 해양 작전 능력을 강화할 계획이다.한화오션은 기술력과 캐나다 현지 업체와의 협력을 통해 캐나다 잠수함 사업을 성공적으로 이끌어 설계, 건조 및 후속 군수지원 사업에 참여할 예정이다.이용욱 한화오션 특수선사업부장 부사장은 “이번 Teaming Agreement 및 MOU 체결은 캐나다 잠수함 사업에서 한화오션의 기술력과 캐나다 현지 업체들과의 협력 네트워크를 확장하는 중요한 발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캐나다 최대 방산 전시회인 CANSEC에서 한화오션 특수선사업부장인 이용욱 부사장(왼쪽에서 다섯번째)과 CAE 프랜스 허버트(France Hebert) 부사장(왼쪽에서 네번째) 등 양사 관계자들이 협력 합의서를 체결한 뒤 기념촬영하고 있다. (사진=한화오션)
2024.05.31 I 김은경 기자
거래소 "박찬수 청산결제본부장…글로벌 청산기관 협회 집행위원 선출"
  • 거래소 "박찬수 청산결제본부장…글로벌 청산기관 협회 집행위원 선출"
  • [이데일리 이용성 기자] 한국거래소는 박찬수 청산결제본부장이 글로벌 청산기관 협회(CCP Global) 집행위원 선출됐다고 31일 밝혔다. 거래소는 그리스 아테네에서 지난 30일(현지시간) 개최된 글로벌 청산기관 협회 정기총회에서 회원의 투표로 박 본부장이 집행위원회위원으로 선출됐다고 전했다. 한국거래소는 2022년부터 집행위원으로 참여 중이다. 글로벌 청산기관 협회 회원들은 한국거래소의 안정적 청산·결제 수행 및 글로벌 CCP 공조체계 강화를 위해 기여한 점을 높이 평가했다는 분석이다. 거래소는 “앞으로 글로벌 청산기관 협회 집행위원회를 통해 CCP 관련 글로벌 의제 논의에 주도적으로 참여하고, 네트워크를 강화하여 CCP 규제환경 변화에 기민하게 대응할 계획이다”라고 전했다. 한편 글로벌 청산기관 협회는 자본시장의 청산·결제 업무를 수행하는 31개국 42개 CCP로 구성된 글로벌 청산기관 협회로다. 글로벌 금융시장의 안정성과 효율성 제고를 위한 청산·위험관리 전문성 향상 및 효율적인 CCP 글로벌 규제체계 수립을 위한 활동을 이어오고 있다. 집행위원회는 16개 회원사 대표로 구성된 위원회로 글로벌 청산기관 협회의 주요 의사결정을 수행한다.
2024.05.31 I 이용성 기자
롯데카드, ESG경영 성과 담은 ‘2024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
  • 롯데카드, ESG경영 성과 담은 ‘2024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
  • [이데일리 정두리 기자] 롯데카드는 그간의 ESG경영 성과와 지속가능한 성장을 추구하는 비전을 담은 ‘2024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했다고 31일 밝혔다.이번 롯데카드 2024 지속가능경영보고서는 지난 2022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2개년의 ESG 성과와 활동을 담았으며, 지속가능경영 국제 보고 가이드라인인 ‘GRI(Global Reporting Initiative) 스탠더드’에 따라 작성됐다. 이해관계자의 접근성을 높이고 환경보호에 동참하기 위해 인쇄물 없이 인터랙티브 PDF 형식으로 발간했으며, 롯데카드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하다.롯데카드는 상품 경쟁력이 있지만 제품을 홍보할 수 있는 경로와 예산이 부족한 크리에이터들을 지원하는 ‘띵크어스(THINK US & EARTH) 캠페인’을 중심으로 ESG 활동을 펼치고 있다. 롯데카드의 데이터 분석 노하우와 디지털 역량을 기반으로 크리에이터들에게 홍보 채널과 브랜딩을 지원하고, 디지로카앱의 커머스 플랫폼인 ‘띵샵’을 통해 고객에게 상품을 소개함으로써, 판로확대 지원 및 가치소비 확산에 기여하고 있다.지난해부터는 띵크어스 캠페인의 일환으로 ESG경영을 실천하는 사회적 기업을 발굴해 지원하는 ‘띵크어스 파트너스‘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지난 4월에는 서울시와 협력해 ‘지역 연계형 청년 창업 및 지역 상생 ESG 활성화 업무협약’도 체결한 바 있다.본업과 연계한 다양한 디지털 기반의 ESG 활동을 진행 중이다. 지역 상권 활성화를 위해 고객 주변 착한가격업소 및 선호 가맹점의 혜택과 정보를 지도로 한눈에 보여주는 ‘내 주변’ 서비스를 지난해 말 디지로카앱에 오픈했고, 소상공인을 위한 점포경영관리 무료 지원 플랫폼인 개인사업자 플랫폼 ‘셀리(Selly)’도 운영 중이다.지배구조(Governance) 측면에서는 지난 2023년 5월 이사회 내에 ESG위원회를 설치해 투명하고 책임감 있는 ESG경영의 기틀을 마련했다. 지난해에는 지배구조 신뢰 확보를 위한 그간의 노력을 인정받아 한국ESG기준원이 실시하는 2023년 ESG 평가에서 금융사 지배구조 부문 A등급을 달성하는 성과도 거뒀다.조좌진 롯데카드 대표이사는 “앞으로도 일시적이고 표면적인 이벤트가 아닌 진정성 있는 ESG를 지향하고, 디지털을 기반으로 본업과 연계한 활동을 통해 지속가능한 가치를 창출하며, 궁극적으로 고객에게 긍정적인 영향력을 발휘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2024.05.31 I 정두리 기자
SK하이닉스 “차세대 HBM, 내년 공급 계획 이미 논의 중”
  • SK하이닉스 “차세대 HBM, 내년 공급 계획 이미 논의 중”
  • [이데일리 김응열 기자] SK하이닉스는 인공지능(AI) 메모리인 차세대 고대역폭 메모리(HBM) 공급과 관련해 내년 계획까지 이미 논의하고 있다고 30일 밝혔다.SK하이닉스는 이날 자사 뉴스룸에 이 같은 내용의 SK하이닉스 신임 임원 좌담회를 공개했다.좌담회에 참석한 SK하이닉스 임원들. (왼쪽부터)권언오 부사장(HBM PI), 김기태 부사장(HBM S&M), 이동훈 부사장(321단 낸드 PnR), 오해순 부사장(낸드 Advanced PI), 길덕신 부사장(소재개발), 손호영 부사장(Adv. PKG개발), 이재연 부사장(Global RTC). (사진=SK하이닉스)김기태 SK하이닉스 HBM 세일즈&마케팅(S&M) 부사장은 “현재 시장 상황을 보면 빅테크 고객들이 AI 시장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해 신제품 출시 시점을 앞당기고 있다”며 ”우리는 차세대 HBM 제품 등을 적기에 공급할 수 있도록 올해에 이어 내년까지 계획을 미리 논의하는 중“이라고 언급했다.HBM 시장 1위를 기록하고 있는 SK하이닉스는 5세대 제품인 HBM3E 양산에 돌입했고 6세대 HBM4 양산 시점도 내년으로 당겼다.좌담회에 참여한 신임 임원들은 SK하이닉스가 AI 메모리 시장에서 선도적 입지를 다진 배경으로 장기간 끈질긴 연구개발과 투자, 고객과의 긴밀한 협업 등을 꼽았다.권언오 SK하이닉스 HBM PI 부사장은 ”시장이 열리기 전부터 오랜 시간 동안 끈질기게 이어져 온 AI 메모리에 대한 투자와 연구가 회사 성장의 밑거름이 됐다“고 봤다.김기태 부사장은 ”항상 고객과의 최접점에서 협업하고, 고객에 대한 높은 이해도를 기반으로 요구 사항을 충족하는 것이 SK하이닉스의 강점“이라며 ”HBM을 적기에 공급하며 대규모 양산 경험을 보유한 것도 높은 신뢰를 받는 이유“라고 했다.AI 산업 확장과 함께 새로운 메모리 시장이 열리고 있다는 시각도 나왔다. 오해순 SK하이닉스 낸드 어드밴스드 PI 부사장은 ”그동안 AI 산업에서 낸드에 대한 주목도가 높지 않았지만, 대용량 AI 서버 수요가 늘면서 eSSD 같은 낸드 솔루션이 각광받기 시작했다“며 ”여러 분야에서 신시장이 열리는 만큼 다양한 메모리 제품들이 주목받는 상황“이라고 강조했다.이재연 SK하이닉스 글로벌 RTC 부사장은 ”차별화된 기술력을 갖추기 위해 기존 메모리의 한계를 뛰어넘는 ‘이머징 메모리’에도 관심이 커지고 있다“며 ”기존 D램의 고속 성능과 낸드의 고용량 특성을 동시에 갖춘 자기 저항 메모리(MRAM), 저항 변화 메모리(RRAM), 상변화 메모리(PCM) 등이 주목받는다“고 설명했다.미래 산업과 기술 변화상에 대해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고객관계 강화, 글로벌 협력이 중요하다는 의견도 나왔다.손호영 SK하이닉스 어드밴스드 패키징 개발 부사장은 “기존 메모리의 성능을 높이고, 메모리와 비메모리 등 이종 간 집적을 구현하려면 어드밴스드 패키징 기술을 고도화해야 한다”며 “다양한 분야의 글로벌 산학연 주체들과 함께 기존 메모리 분야부터 융복합 반도체에 이르기까지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2024.05.30 I 김응열 기자
과기정통부, AI 정상회의 ‘서울선언' 성과 국제무대 알린다
  • 과기정통부, AI 정상회의 ‘서울선언' 성과 국제무대 알린다
  • [이데일리 한광범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강도현 2차관이 ‘AI 서울 정상회의’ 성과를 국제사회에 확산하기 위해 국제전기통신연합(ITU)이 주최하는 ‘AI for Good Global Summit 2024’에 참여했다고 30일 밝혔다.강도현 과기정통부 2차관이 29일(현지시간) 스위스 제네바 국제회의 센터(CICG)에서 열린 ITU 개최 AI for Good 내 부대 행사 중 하나인 State of play of major global AI Governance process에서 패널 토론에 참여하고 있다. (사진=과기정통부)‘AI for Good’은 인공지능(AI)를 활용해 글로벌 도전과제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이를 통해 유엔의 ‘지속가능한 개발목표(SDG)’를 달성하고자 전 세계 정부·국제기구·학계·산업계가 참여해 아이디어를 공유하는 글로벌 플랫폼이다.강 차관은 29일 열린 ‘AI 거버넌스 데이’ 오전 행사(AI Governance Breakouts)와 오후 행사(State of Play of Major Global AI Governance Process)에 모두 초청돼 ‘AI 서울 정상회의’의 의미와 핵심 성과를 발표했다.그는 대한민국이 과거 정보화 시대에 정보통신 강국으로 발돋움하여 세계적 모범사례를 제시하였듯 AI시대에도 글로벌 AI 거버넌스 논의에 책임있게 기여하기 위해 영국과 함께 이번 ‘AI 서울 정상회의’를 개최했다는 배경을 소개하면서, 안전을 넘어 혁신과 포용의 가치까지 포괄한 이번 AI 서울 정상회의의 의미를 강조하고, 주요 핵심 성과인 ‘서울 선언’과 ‘서울 장관 성명’의 주요 내용과 의의에 대해 공유했다.이어 AI 유럽위원회 위원장, EU 집행위원회 연결총국의 사무총장, 미국 전기통신정보청 차관, 중국 산업정보기술부 차관, 일본 총무성 차관, 영국 과학기술혁신부 부국장 등과 함께 이번 AI 서울 정상회의를 포함해 디지털 권리장전, EU의 AI법, 미국의 AI 행정명령, 히로시마 AI 프로세스 등 그동안 AI 거버넌스 정립을 위한 국제사회의 노력들을 진단하고 향후 협력방안에 대해 논의했다.강 차관은 아울러 ITU 사무총장(Doreen Bogdan-Martin)과 양자면담을 통해 우리 정부의 새로운 AI·디지털 질서의 기본 방향을 담은 디지털 권리장전과 AI 서울 정상회의 성과에 대한 ITU 차원의 지지와 협조를 요청하고 AI·디지털 규범 선도를 위한 협력방안을 논의했다.강도현 차관은 “대한민국이 AI 서울 정상회의에 이어 이번 ITU가 주최한 AI for Good에서 또 한 번 주도적인 역할을 하게 된 것은 미국, 영국 등과 함께 AI 거버넌스에 관한 국제사회 논의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며 “앞으로도 과기정통부는 안전과 혁신, 포용의 가치를 담은 ‘서울 선언’을 국제 사회에 적극 확산·공유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2024.05.30 I 한광범 기자
삼바, 2030년까지 온실가스 32% 감축...2024 ESG 보고서 발간
  • 삼바, 2030년까지 온실가스 32% 감축...2024 ESG 보고서 발간
  • 삼성바이오로직스 본사.(사진=삼성바이오로직스)[이데일리 송영두 기자] 삼성바이오로직스는 2023년 ESG 경영 성과와 지속가능경영 현황을 담은 2024 ESG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30일 밝혔다.올해로 네 번째 발간된 이번 보고서는 GRI(Global Reporting Initiative) 표준, ESRS(European Sustainability Reporting Standards), IFRS(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 요구사항 등 글로벌 ESG 공시 트렌드를 반영하기 위해 노력했다.특히 올해 보고서에는 작년 새롭게 도입된 이중 중대성 평가가 확대 적용됐다. 이중 중대성 평가는 기업이 사회·환경에 미치는 영향과 지속가능경영이 기업에 미치는 재무적 영향을 양방향으로 고려한 평가다. 삼성바이오로직스(207940)는 해당 평가를 통해 도출된 1순위 이슈인 ‘탄소 중립(넷제로, Net Zero)’ 등 환경(Environment)과 관련한 성과 및 목표를 보고서에 상세히 담았다.먼저 지속가능한 저탄소 친환경 사업장 구축을 위한 성과와 향후 목표를 공개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2023년 한 해 BAU(Business As Usual) 대비 RE100 달성률 24.8%를 기록했다. 더불어 2030년까지 삼성바이오로직스 사업장 및 공급망 전체에서 온실가스 배출량을 각각 32%, 36% 감축하고 용수 재활용 및 재사용률 20% 달성한다는 방침이다.자연자본(TNFD) 공시 대응을 위한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신규 전략과 과제도 처음 공개됐다. 자연자본이란 살아있는 자연, 물, 토양, 광물 등으로 정의 될 수 있으며, 생물다양성이 파괴될 경우 자연은 생태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고 자연의 붕괴로 이어지기 때문에 중요한 지속가능성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수자원, 폐기물, 오염물질, 생물다양성 등 TNFD에 기반한 자연 관련 영역별 중점 추진 과제와 전략을 수립했다.삼성바이오로직스는 안전하고 지속가능한 사회(Society)를 구축하기 위한 다양한 활동도 전개 중이다. 회사는 구성원과 협력사 직원들이 안전하고 건강한 환경에서 근무할 수 있도록 2030년까지 중장기적인 안전경영 및 보건경영 목표와 실행과제를 포함한 로드맵을 수립했다.또한 지속가능한 공급망 관리를 위해 협력사 관리 및 운영 체계를 마련해 운영하고 있다. 우선 ESG 경영에 대한 협력사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ESG 평가에 참여한 협력사 수를 2022년 46개사에서 2023년 171개사로 약 3.7배 확대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책임 있는 비즈니스 활동(Governance)을 위해 ESG 경영을 강화하며 이사회 독립성과 투명성을 제고하는데 주력하고 있다.기존 재무, 사업, 운영 리스크 영역에 지속가능경영 리스크 영역을 추가해 전사적인 대내외 리스크 관리 역량을 고도화했다. 더불어 전체 이사회 구성원 7명 중 과반 이상인 4명의 사외이사를 구성하고 선임사외이사제를 도입해 경영진과의 독립성을 강화했다.존 림 삼성바이오로직스 대표는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이번 보고서를 통해 바이오 제약 업계 ESG 선도 기업으로서의 입지를 한층 강화할 수 있었다”며 “꾸준하고 투명한 ESG 경영을 바탕으로 지속가능한 바이오산업 생태계를 조성함으로써 인류의 더 나은 삶을 실현하기 위한 기반을 구축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2024.05.30 I 송영두 기자
전자칠판으로 수업…LG전자, AI로 미래교육 청사진 제시
  • 전자칠판으로 수업…LG전자, AI로 미래교육 청사진 제시
  • [이데일리 조민정 기자] LG전자(066570)는 29일부터 5일간 전라남도 여수 세계박람회장에서 열리는 ‘2024 대한민국 글로컬(Global과 Local의 합성어) 미래교육박람회’에 참가한다.LG전자가 29일부터 전남 여수에서 열리는 ‘미래교육박람회’서 공감지능(AI) 기반의 다양한 교육 솔루션을 선보인다. 사진은 AI 노트북 ‘LG 그램’을 비롯해 교육용 IT 기기, 전자칠판, AI 클로이(CLOi) 로봇 등으로 조성된 LG전자 미래교실 공간.(사진=LG전자)전라남도·경상북도 교육청과 전라남도, 교육부가 공동으로 주최하는 전시에는 구글, 네이버, 인텔 등 기업이 참여해 AI 기반의 에듀테크 솔루션을 선보인다. 특히 캐나다, 독일, 호주, 영국 등 세계 22개국 교육 기관이 참가해 국가별 미래교육 정책과 사례 등을 소개한다.LG전자는 이번 전시에서 온디바이스 AI 노트북 ‘LG 그램’을 비롯해 크롬북과 웨일북, 태블릿 PC 등 교육용 IT 기기, 다양한 교육용 템플릿을 제공해 수업 효율성을 높이는 전자칠판, AI 클로이(CLOi) 로봇 등을 선보인다. 방문객들은 디지털 교육에 최적화된 미래교실 콘셉트로 꾸며진 공간에서 차별화된 교육용 솔루션을 직접 체험할 수 있다.AI 연산에 특화된 최신 CPU를 탑재한 ‘LG 그램’은 별도의 인터넷 연결 없이도 최대 10대의 안드로이드/iOS 기기와 사진, 파일 등을 간편하게 주고받거나 화면을 공유하는 ‘AI 그램 링크’ 기능을 제공한다. 그램 링크를 활용해 교사는 학생들의 태블릿이나 모바일 기기로 수업 자료를 쉽게 전달하고 학생들 역시 과제나 수업의 결과물을 편리하게 제출할 수 있다.교실 내 설치된 86형 ‘LG 전자칠판’은 최대 40곳의 멀티 터치를 지원해 여러 학생이 동시에 문제 풀이 및 발표를 진행 가능하다. 도형, 도표 등 다양한 교육용 템플릿을 제공하고 저장 및 공유 기능을 제공해 수업 자료 관리도 더욱 편리하다. 또 무선으로 최대 9개의 화면 공유 기능을 지원해 수업 중 학생들의 결과물을 공유할 때도 유용하다.컴퓨터 프로그래밍과 AI 교육을 돕는 ‘LG 클로이’ 로봇도 선보인다. 학생들은 노트북을 활용해 로봇을 제어하는 앱을 만들어 직접 로봇을 구동하거나 로봇 홈 화면을 원하는 대로 재구성할 수 있다. 또 로봇 전·후면에 탑재된 27형 디스플레이에 시청각 자료 및 교육 화면을 공유하며 수업을 돕는 ‘보조교사’로서의 역할도 수행해 수업 참여도와 흥미도 높여준다.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에듀테크 시장은 지난 2020년 4조8000억 원 규모에서 2025년 8조6000억 원으로 연평균 약 12%씩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LG전자는 이번 박람회 참가를 시작으로 코딩 교육 솔루션 전문 업체인 ‘럭스로보’, AI 디지털 교육 선두 기업 ‘웅진씽크빅’, 최근 디지털 교육 플랫폼을 출시한 ‘LG 헬로비전’ 등 다양한 에듀테크 파트너사와 협업해 차별화된 교육 솔루션을 지속 고도화해 나갈 계획이다.장익환 LG전자 BS사업본부장은 “디지털로 빠르게 변화하는 교육 환경에서 LG전자의 차별화된 AI 기반 미래 교육 솔루션을 앞세워 누구나 즐기며 배우는 미래교실 경험을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LG전자가 29일부터 전남 여수에서 열리는 ‘미래교육박람회’서 공감지능(AI) 기반의 다양한 교육 솔루션을 선보인다. 사진은 AI 노트북 ‘LG 그램’을 비롯해 교육용 IT 기기, 전자칠판, AI 클로이(CLOi) 로봇 등으로 조성된 LG전자 미래교실 공간.(사진=LG전자)
2024.05.29 I 조민정 기자
SK스퀘어, 작년 사회적가치 창출 3874억…1년새 159%↑
  • SK스퀘어, 작년 사회적가치 창출 3874억…1년새 159%↑
  • [이데일리 한광범 기자] SK스퀘어는 지난해 연간 총 3874억원에 달하는 사회적가치(Social Value)를 창출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는 2022년 SK스퀘어 사회적가치(1498억원)와 비교해 159% 증가한 수치로서, 성과 영역별로 보면 지난해 △사회 성과 3229억원 △경제간접기여 성과 646억원 △환경 성과 -1억원을 달성했다.SK스퀘어사회 성과는 제품·서비스를 통한 이해관계자의 삶의 질 개선, 동반성장, 자원봉사, 기부 활동이 창출한 사회적가치를, 경제간접기여 성과에는 고용, 배당, 납세를 통해 사회에 기여한 부분이 포함된다. 환경 성과는 용수, 온실가스, 폐기물 등으로 인한 자원 소비와 환경 오염 영향을 반영해 측정한다.가장 뚜렷한 개선세를 보인 부분은 사회 성과다. 2022년 사회 성과(1246억원)와 비교해 2000억원 가까이 늘었다. 이는 SK스퀘어의 포트폴리오 회사인 티맵모빌리티가 제공하는 제품·서비스 중 하나인 ‘T맵 운전습관 서비스’를 통한 사고 예방 성과가 개선된 영향이 크다. 이는 운전자의 과속, 급가(감)속 등 운행 데이터를 기반으로 기준 점수를 넘기면 운전자 보험료를 할인해주는 서비스다.특히 T맵 운전습관 서비스는 지난해 협약 보험사를 기존 4개사에서 9개사로 늘려 전체 자동차 보험 시장의 98%에 이르는 커버리지를 확보했다. 이에 서비스 가입자가 증가하면서 교통사고 예방 성과가 개선됐다. 2022년 1228억원이었던 사고 예방 성과는 1년 새 3202억원으로 증가했다.SK스퀘어는 ‘미래를 생각하는 가치 투자를 통한 지속가능한 성장 실현’이라는 비전을 토대로 ESG 경영을 강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환경(E) 측면에서는 ‘넷 제로(Net Zero) 2040’ 목표를 설정하고 탄소 배출량 감축에 나섰다. 넷 제로 2040은 기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오는 2040년까지 온실가스 순배출량을 제로(0)로 만들겠다는 선언을 말한다. SK스퀘어는 업무용차량 전기차 전환, 재생에너지 구매 등을 통해 넷 제로 목표를 달성해 나갈 예정이다.사회(S) 부문에서는 지난해 정보보호경영시스템(ISO 27001) 국제 표준 인증을 획득했다. 인권영향평가를 실시하고 잠재적 인권 리스크를 식별하는 등 인권경영 강화에도 힘을 쏟았다. 특히 ESG 경영 확산 차원에서 SK스퀘어 구성원과 포트폴리오 회사를 대상으로 협의체를 운영하고 교육을 시행했다.또 거버넌스(G) 투명성을 강화하기 위해 부패방지경영시스템(ISO 37001) 인증도 취득했다. 사외이사 중심의 위원회와 이사회를 구성하면서 경영진 핵심성과지표(KPI)에 ESG 요소를 반영했다. 이와 더불어 지속가능경영보고서도 발간하면서 투명하고 적극적으로 ESG 활동을 알리고 있다.여기 힘입어 SK스퀘어는 대외적으로 ESG 경영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고 있다.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 Morgan Stanley Capital International)이 실시한 ‘2023년 MSCI ESG평가’에서는 지난해 8월 A등급을 획득했다. 이어 12월에는 미국 S&P Global이 발표한 ‘2023년 다우존스 지속가능경영지수(DJSI, Dow Jones Sustainability Indices)’에서 ‘코리아지수(Korea Index)’에 편입되기도 했다. 국내 유동 시가총액 상위 200대 기업 중 업종별 상위 30% 이내 평가 점수를 받은 기업만이 DJSI 코리아지수에 편입될 수 있다.국내에서는 한국ESG기준원의 ESG 평가에서 통합 A등급을 획득했다. 사회 부문에서는 A+, 환경과 지배구조 부문에서는 각각 A 등급으로 평가받았다.한명진 SK스퀘어 투자지원센터장은 “주주 및 이해관계자의 행복을 위해 사회적가치를 지속 창출하는 투자전문회사로 거듭나겠다”고 밝혔다.
2024.05.29 I 한광범 기자
2028년 올림픽 앞둔 美 LA컨벤션센터…확장 계획 보류
  • 2028년 올림픽 앞둔 美 LA컨벤션센터…확장 계획 보류 [MICE]
  • 미국 LA컨벤션센터 (사진=ASM Global)[이데일리 이선우 기자] 미국 로스앤젤레스(LA)시가 2028년 하계 올림픽에 맞춰 추진 중이던 LA컨벤션센터(LACC) 확장 계획이 잠정 보류됐다. LA시의회가 민간 투자사가 부담하는 예산 규모 등 계획이 불명확하다는 이유로 제동을 걸면서다. 시의회는 이번 결정에 앞서 지난해 12월 LACC 확장 및 현대화 계획을 만장일치로 승인한 바 있다.LA시는 기존 웨스트홀과 사우스홀 사이에 연면적 6만 5000㎡ 규모의 연결 건물을 신축하는 확장 프로젝트를 2021년부터 추진해왔다. 전시장(1만 8000㎡)과 회의실(5600㎡), 다목적홀(9000㎡), 야외 이벤트 공간(930㎡) 외에 지하도 개발, 주차시설 확장 등 센터 일대를 재개발하는 게 골자다. 건물 외벽에는 고화질의 대형 애니메이션 디지털 스크린도 설치할 예정이다. 신축 홀(New Hall)이 들어서면 LACC는 지금보다 규모가 50% 늘어나 총 10만㎡의 전시장(7만㎡)과 회의시설(3만㎡)을 갖추게 된다.LA시는 LACC에서 연간 열리는 300건이 넘는 전시컨벤션 행사들로 인해 도시 전체가 얻는 직접 경제효과가 연간 7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2020년엔 다른 지역에 비해 작은 규모의 센터로 인해 2014년부터 2017년 사이 LA시가 다른 도시에 빼앗긴 숙박 수요가 호텔 객실 기준 260여만 실에 달한다는 조사결과도 나왔다.미국 LA컨벤션센터 일대 전경 (사진=ASM Global)문제는 최소 50억달러(약 7조원)에서 최대 65억달러(약 9조원)까지 필요한 개발 비용이다. 시는 LACC를 포함한 일대 개발에 필요한 비용을 센터 운영과 투자를 맡고 있는 안슈츠 엔터테인먼트 그룹(AEG)과 플레너리 그룹(Plenary Group)을 통해 조달하려 하고 있다. 민간 기업이 비용을 대고 개발한 뒤 일정 기간 운영권을 보장받는 BTL(임대형민자사업) 방식이다. 1971년 개장 이후 40년 넘게 직접 센터를 운영하던 LA시는 2013년 연간 최대 50만달러를 지급하는 조건으로 전문 운영회사인 AEG(現 ASM Global)에 센터 운영을 위탁했다.2028년 7월 중순 열리는 올림픽 이전까지 공사를 마무리할 수 있을지도 미지수다. 의회 승인, 실시설계 확정 등이 지연돼 착공이 미뤄질 경우 마지노선인 올림픽 개막 1년 전 완공이 어려울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LA시 계획상 최소 28개월인 공사기간을 감안하면 LACC 확장공사는 최소 내년 3월엔 착공해야 한다. 2028 LA올림픽 기간 LACC는 농구(여자)와 복싱, 펜싱, 태권도, 탁구, BMX 프리스타일 등 6개 종목 경기장으로 활용될 예정이다.
2024.05.29 I 이선우 기자
과기정통부, '세계적 AI 석학 참여' 美 글로벌 AI 프론티어랩 구축
  • 과기정통부, '세계적 AI 석학 참여' 美 글로벌 AI 프론티어랩 구축
  • [이데일리 한광범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은 세계적 AI 석학의 참여 아래,미국과 대한민국 최고 우수 연구진이 세계 최고 수준의 AI 공동연구를 긴밀 수행하는 ‘글로벌 AI 프론티어랩(Global AI Frontier Lab)’을 미국 뉴욕대에 구축을 추진한다고 28일 밝혔다.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사진=연합뉴스)글로벌 기술패권 시대에 대한 선제적 대응, 세계 최고 수준의 연구성과 창출을 위해서는, 세계 최고의 연구기관·연구진과의 협력이 중요한 상황으로,그간 윤석열 대통령은 미국, 캐나다 등의 세계적 연구기관을 방문, 글로벌 석학들과 심도있는 대화를 갖는 등 과학기술 협력의 지평을 세계로 넓혀온 바 있다.이와 맞물려 과기정통부는 AI 분야에서 세계적 명성을 보유한 미국 대학들의 협력 의향과 기관 역량 등에 대해 심층적 검토를 거쳐 왔으며, 올해 글로벌 AI 프론티어랩을 미국 NYU에 구축하고, 공동연구에 참여하는 국내 연구진들이 해외파견 형식으로 현지 상주·수행토록 지원한다는 방침이다.뉴욕대는 노벨상 38명, 튜링상 8명 수상자 등 우수한 인재를 배출했으며 특히 인공지능 분야에서 세계적인 명성을 보유한 명문대학교 중 하나로 꼽힌다.기존의 국제공동연구 방식과 차별화해 초기부터 국내외 기관·전문가가 함께 연구과제를 공동 기획해 왔으며(IITP-NYU 공동기획위원회 구성·운영), 향후 해외 현지에 물리적 공동연구랩을 신설해 양국 연구자 간 보다 긴밀한 협력 네트워크 및 AI 공동연구를 뒷받침할 계획이다.이에 대한 일환으로 지난 24일 IITP와 뉴욕대는 원활한 글로벌 AI 프론티어랩 구축·운영 추진을 위한 협약(MoA)을 체결했으며 여기엔 글로벌 AI 프론티어랩과 관련된 △양 기관의 협력·준수사항 △공동연구 분야(AI 기초연구, 신뢰가능한 AI, 의료, 헬스케어 AI) △NYU 내 물리적 인프라 등이 폭넓게 포함됐다. 세계적 AI 공동연구 성과 창출을 뒷받침하기 위해 튜링상 수상자이자 글로벌 AI 4대 석학으로 불리는 얀 르쿤(Yann LeCun) 교수, 삼성호암상 공학상 수상자이자, 임용 4년 만에 종신교수로 임명된 조경현 교수가 글로벌 AI 프론티어랩의 공동 소장(Co-leader)을 맡을 계획이다.글로벌 AI 프론티어랩에 참여해 뉴욕대와 함께 세계적 수준의 공동연구를 수행할 실력있는 국내 연구진(컨소시엄)을 공모한다.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은 “글로벌 AI 프론티어랩은 새로운 국제공동연구 패러다임의 첫 발이자 대한민국의 AI G3 도약과 글로벌 연대·확장을 위한 디딤돌 역할을 할 것“이라며 ”최고의 역량을 갖춘 우리나라와 미국의 AI 연구진이 한 데 모여, AI 혁신과 지속가능한 AI 발전 등에 적극 기여할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을 뒷받침하겠다“고 밝혔다.
2024.05.28 I 한광범 기자
신한운용 '신한MAN글로벌하이일드펀드' 수탁고 300억 돌파
  • 신한운용 '신한MAN글로벌하이일드펀드' 수탁고 300억 돌파
  • [이데일리 이용성 기자] 신한자산운용은 ‘신한 MAN글로벌하이일드펀드’ 가 출시 5개월 만에 수탁고 300억원을 돌파했다고 28일 밝혔다. 우수한 성과가 꾸준한 자금 유입으로 연결된 셈이다. (사진=신한자산운용)신한 MAN글로벌하이일드펀드는 최근 3개월과 연초 이후 수익률은 각각 3.42%, 4.68%로 글로벌 하이일드 펀드 중 수익률 1위를 기록했다. 또한, 지난 24일 KG제로인 기준 동일 유형펀드의 3개월 평균 수익률인 1.66% 대비 두 배 이상의 초과성과를 달성했다. 신한 MAN글로벌하이일드펀드는 영국의 맨 하이 일드 오퍼튜니티스(Man High Yield Opportunities) 펀드에 투자하는 재간접 펀드다. 피투자펀드인 ‘MAN GLG 하이일드펀드’는 2019년 출시 이후 58.1%의 수익률을 기록하며 글로벌 하이일드 인덱스 대비 2배 이상의 초과 성과를 보여주고 있다. 일반적으로 하이일드 펀드의 성과를 가늠할 수 있는 연환산 수익률(YTW·Yield to Wors)은 10.4%로 비교지수 아이스 뱅크오브아메리카 글로벌 하이일드 지수(ICE BofA Global High Yield Index)의 연환산 수익률 7.8% 비해 우수한 성과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우수한 성과 비결은 차별화된 운용전략이라는 게 신한자산운용 측 설명이다. 일반적인 글로벌 하이일드 펀드의 경우 글로벌 하이일드 벤치마크와 유사하게 포트폴리오를 구성한다. 신한 MAN글로벌하이일드펀드는 이러한 인덱스 중심의 펀드와 다르게 크레딧 리서치를 통해 개별 기업 종목을 선정하는 것이 가장 큰 차이점이다. 특히 시장에서 리서치가 덜 되어 있는 섹터나 기업 중에서 뛰어난 펀더멘털(기초 체력)과 경쟁력 있는 가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종목들을 발굴 및 선별한다는 점이 강점이다. 피투자펀드인 맨 하이 일드 오퍼튜니티스는 최근 4년 동안 보유 종목이 부도난 사례가 없을 정도로 철저한 리스크 관리 또한 강점으로 꼽을 수 있다고 신한자산운용은 전했다. 박정호 신한자산운용 펀드솔루션 팀장은 “현재 시장에서는 미국보다 유럽 중앙은행이 더 빨리 금리 인하를 단행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며 “타 하이일드 펀드가 미국에 가장 큰 비중을 보유하고 있는 것과 달리 신한 MAN 글로벌하이일드 펀드는 유럽과 영국의 비중 확대를 통해 더 빠른 금리 인하에서 오는 수혜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신한MAN글로벌하이일드펀드는 현재 SC제일은행, 삼성증권, 한국투자증권, 유안타증권 등에서 가입할 수 있다.
2024.05.28 I 이용성 기자
한화오션·한화에어로, 캐나다 최대 방산 전시회 CANSEC 참가
  • 한화오션·한화에어로, 캐나다 최대 방산 전시회 CANSEC 참가
  • [이데일리 김성진 기자] 한화오션(042660)과 한화에어로스페이스(012450)가 함께 캐나다 최대 방산전시회인 CANSEC(Canada‘s Global Defence & Security Trade Show) 전시회에 참가해 세계 최고 수준의 잠수함 및 무인함정 기술, 그리고 각종 육상 무기를 대거 선보인다. 한화오션을 포함해 한화그룹은 올해 처음으로 CANSEC 전시회에 참가한다고 28일 밝혔다. 한화오션은 이번 전시회에서 장보고-III(KSS-III) 배치-II 잠수함, 무인전력지휘통제함(고스트커맨더·Ghost Commander), 잠수함용 리튬전지 모듈 등 총 3종을 선보인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K9 자주포, 레드백 장갑차 및 천무 발사대 등 지상체계장비를 전시한다.현재 건조중인 장보고-III 배치-II 잠수함은 장보고-III 배치-I(도산 안창호함급) 잠수함보다 잠항지속능력, 무장탑재 능력 등 성능이 개선된 디젤 잠수함이다.세계 최초로 공기불요추진체계(AIP)와 리튬이온 배터리를 동시에 탑재해 현존하는 디젤 잠수함 중 최고의 잠항지속 능력을 보유했다. 어뢰, 순항미사일 등 다양한 무장도 운용할 수 있다.한화오션은 이 잠수함을 통해 캐나다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빅토리아급 잠수함 4척을 대체하기 위한 신형 잠수함 도입 사업에 적극 참여한다는 계획이다.또 무인전력지휘통제함(고스트커맨더·Ghost Commander)도 눈길을 끈다. 이 함정은 대한민국 해군이 지향하는 미래 스마트 네이비(Smart Navy)의 유·무인 복합전투체계(Navy Sea GHOST)에 대응하는 함정이다. 또한 다양한 형태의 무인 항공기, 무인 수상함, 무인 잠수함 등의 무인 전력을 탑재, 지휘 통제하며 해상에서 작전을 수행한다.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글로벌 베스트셀러인 K9 자주포 및 K10 탄약운반차 등으로 구성된 ‘자주포 패키지’를 내세워 캐나다 지역 수요에 대응한다.미래형 보병전투장갑차(IFV)인 레드백, 고정밀 첨단 대공무기체계 비호복합과 함께 전술형 유도탄 천검, 다연장로켓 천무 등도 전시한다. 미래기술 기반의 첨단 방산 솔루션을 지역 특성에 맞게 현지화해 제공한다는 점을 강조할 계획이다. 또한 장보고함에 탑재되는 잠수함용 리튬전지체계도 함께 선보이며 한화오션과의 시너지도 강조한다.한화오션 관계자는 “현재 동급 세계 최강 성능을 보유한 장보고-III 배치-II 잠수함을 전면에 내세워 캐나다, 폴란드 등에 잠수함 수출을 실현해 K-해양 방산의 글로벌 시장 개척에 모범이 될 것이다”고 말했다.한화에어로스페이스 관계자는 “이번 전시회를 통해 신규 사업기회를 적극적으로 발굴하고 캐나다 군 및 방산업체와 전략적 협력방안을 추진할 계획이다”고 밝혔다.CANSEC은 매년 280여개 이상의 기업과 50여개국 이상의 대표단이 참가하는 캐나다 최대 방산전시회다. 올해는 5월 29일~30일 양일간 캐나다 오타와에서 열린다. 한화오션과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공동 전시 부스 조감도.(사진=한화오션.)
2024.05.28 I 김성진 기자
전세계는 ‘주 4일제 실험中’
  • 전세계는 ‘주 4일제 실험中’
  • [이데일리 노희준 기자] 선진국은 이미 주 4일 근무제(주 4일제) 적용을 위한 광범위한 실험을 하고 있다. 지금도 다양한 형태로 각국에서 시범 적용과 도입을 위한 준비가 진행 중이다. 싱가포르는 유연근무제를 확대해 아시아 최초로 주 4일제로 가는 발판을 마련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외신에 따르면 싱가포르 인력부는 지난달 16일(현지시간) 중소기업을 포함한 모든 근로자가 올해 12월부터 유연근무를 신청하면 모든 고용주가 이를 공정하게 검토해야 한다는 새 지침을 내놨다. 유연근무에는 주 4일제뿐 아니라 재택근무, 시차근무 등이 포함됐다. 고용주가 정당한 사유 없이 거절하면 인력부의 경고를 받고 관련 교육을 이수해야 한다. 미국에서는 지난 3월 급여 삭감 없는 ‘주 4일제’ 법안이 발의됐다. 미국의 대표적 진보 정치인 버니 샌더스 상원의원(무소속·버몬트)이 낸 법안이다. 법안은 초과근무 수당을 지급하는 기준이 되는 표준 근로시간을 기존 주간 40시간에서 32시간으로 낮추는 내용을 담고 있다. 샌더스 의원은 “급여 감액이 없는 주당 32시간은 급진적 구상이 아니다”며 “인공지능(AI)과 자동화 등 기술 발전에서 비롯된 이득은 기업 최고경영자와 월가 주주들뿐 아니라 근로자에게도 돌아가야 한다”고 했다.이미 주 4일 근무제를 도입해 대규모로 실험을 진행한 곳도 있다.영국 기업들은 2022년 6월 주 4일제를 6개월간 실시하고 긍정적인 결과를 지난해 2월에 내놨다. 영국 연구기관 ‘오토노미’, 비영리단체 ‘포데이 위크 글로벌(4 Day Week Global)’, 케임브리지대와 미국 보스턴대의 공동실험에는 ‘피시 앤 칩스’ 같은 소규모 레스토랑부터 채리티 은행 등 다양한 규모의 61개 기업들과 2900여명의 근로자가 참여했다. 참여기업의 92%, 참여 근로자의 90%가 지속적인 주 4일제 운영을 희망했다. 참여 기업들의 매출은 전년동기대비 평균 35%가 증가했지만 이직률은 57%나 낮아졌다.일본에서도 짧지만 주 4일제 시험을 시행했다. 마이크로소프트 일본지사는 2019년 8월 한 달간 2300여 명의 전 직원을 대상으로 주 4일제를 실시했다. 임금 삭감 없이 월~목 근무 후 금요일을 쉬었다. 설문 결과 직원의 92.1%는 주 4일제에 만족했고 주 4일제 시행 이후 인당 매출은 39.9% 증가했다. 직원들이 대면회의 시간을 30분 이내로 줄이고 원격회의 횟수를 늘리는 등 업무 효율성을 높인 덕분이다. 같은 기간 전기 사용량은 23.1% 감소하고 서류 출력과 복사 회수는 58.7% 감소하는 등 비용 절감 효과도 있었다. 부정적인 결과를 보인 주 4일제 실험도 있다. 스페인 통신회사인 텔레포니카는 2021년 10월부터 희망자를 대상으로 주 4일제를 추진했지만 시작도 해보지 못하고 끝이 나버렸다. 2022년 말까지 희망자를 대상으로 진행할 예정이었는데 지원율은 0.75%로 매우 저조했기 때문이다. 2만여명의 직원 중 단 150여명만이 지원한 것이다. 희망자의 임금을 15% 삭감한다는 규정이 크게 작용했다는 분석이다.2022년 기준 세계 주요국가의 연평균 근로시간(자료= 경제협력개발기구)
2024.05.28 I 노희준 기자
김웅기 글로벌세아 회장, ‘바이바이 플라스틱 챌린지’ 참여
  • 김웅기 글로벌세아 회장, ‘바이바이 플라스틱 챌린지’ 참여
  • [이데일리 김영환 기자] 김웅기 글로벌세아그룹 회장이 플라스틱 사용 절감 캠페인인 ‘바이바이 플라스틱 챌린지’(Bye Bye Plastic, BBP)에 동참했다.‘바이바이 플라스틱 챌린지’는 환경부가 지난해 8월부터 추진 중인 범국민 환경보호 SNS 릴레이 캠페인으로 △1회 용품 줄이기 △다회용품 사용 △물티슈, 플라스틱 빨대 사용 줄이기 등을 장려한다. 챌린지는 바이바이 플라스틱 실천을 약속하고 다음 참여자를 지목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김웅기 회장(사진=글로벌세아)김 회장은 “일상 속에서 무의식적으로 사용하는 플라스틱컵 대신 텀블러와 머그컵을 사용하는 등 작은 노력이 환경보호에 큰 변화를 이끌 수 있다”며 “글로벌세아는 이번 챌린지뿐 아니라 앞으로도 업계에서 ‘ESG경영’ 실천에 적극적으로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글로벌세아는 세아상역을 필두로 각 계열사 모두 업계에서 ESG 경영을 선도하고 있다. 세아상역은 이미 2008년부터 ‘지속가능성’ 전담 조직을 운영하며 공유가치창출에 앞장서고 있다. 업계 최초로 친환경 밸류 체인을 구축해 유기농 인증, 재활용 인증 제품을 생산하고 있으며 온실가스, 폐기물, 에너지 사용량, 용수를 핵심 평가 지표로 설정해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있다.또 사업부 내 ESG 전담팀을 운영하며 전 세계 사업장에서 전 세계 사업장에서 다양한 ESG 캠페인을 펼치고 있다. 지난해 ‘과학 기반 감축목표 이니셔티브’(SBTi)에 가입해 넷제로(Net-Zero) 이행 가속화에 나섰고, 최근에는 세계 최대 기업 지속가능성 이니셔티브인 유엔글로벌콤팩트(UN Global Compact, UNGC)에 가입하기도 했다. 태림포장은 국내 최초 100% 재생 페이퍼를 소재로 한 종이 옷걸이를 개발한데 이어, 최근 신선식품 포장용 친환경 보냉 박스(Teco Box) 개발 등 세계 환경 보호를 위한 친환경 기업으로 다양한 플라스틱 대체 포장재 개발에 적극 나서고 있다. 올해에는 최근 착공한 청원캠퍼스1o2에 태양광 발전설비 구축을 시작으로, 앞으로 10여개의 모든 공장에 태양광 발전 설비를 도입할 계획이다.김 회장은 함영주 하나금융그룹 회장의 추천을 받아 챌린지에 동참하게 됐다. 다음 참여자로 정태순 장금상선그룹 회장과 윤영준 현대건설 대표이사를 추천했다.
2024.05.27 I 김영환 기자
엔젠바이오, 고형암 환자 위한 ‘NGS 기반 면역항암제 바이오마커’ 연구 진행
  • 엔젠바이오, 고형암 환자 위한 ‘NGS 기반 면역항암제 바이오마커’ 연구 진행
  • [이데일리 박순엽 기자] NGS 정밀진단 플랫폼 기업 엔젠바이오(354200)가 고형암 환자의 면역 항암제 치료를 위한 NGS 기술 기반의 바이오마커 연구를 진행한다고 27일 밝혔다. 엔젠바이오 CI (사진=엔젠바이오)면역 항암제는 환자의 면역체계를 회복시켜 암세포를 공격하는 치료법으로, 기존 표적 항암제 대비 부작용이 적고 우수한 치료 효과를 보인다. 면역 항암제에 반응할 환자를 찾아내는 지표로 기존엔 PD-L1(Programmed Death Ligand 1) 단백질이 주로 사용됐다. 그러나 PD-L1만으로는 모든 치료 가능 환자를 찾아내기에는 한계가 있어 이를 보완할 수 있는 지표로 TMB(Tumor Mutational Burden·종양돌연변이부하)와 MSI-H(고빈도-현미부수체 불안정성)가 부각됐다. Foundation Medicine 사의 F1CDx 검사가 머크의 면역 항암제인 키트루다(Pembrolizumab)의 TMB 동반진단으로 FDA 승인을 받은 후 현재까지 면역치료제 처방을 위한 동반진단으로 활발히 사용되고 있다. 엔젠바이오는 이번 연구에서 NGS 정밀진단 제품 중 하나인 ONCOaccuPanel™(온코아큐패널)로 검사를 받은 암 환자의 암 유전체 데이터 약 9000건을 후향적으로 분석, 암 종별 TMB 분포와 면역 항암제의 효과를 검증해 TMB 판정기준의 임상적 근거를 확보할 계획이다. 특히 면역 항암제인 키트루다주(Pembrolizumab)와 티센트릭주(Atezolizumab)의 유효성을 확인해 주요 암종에 대한 면역 항암제 처방 결정에서 중요한 임상적 지표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엔젠바이오의 온코아큐패널은 정성적인 체세포 돌연변이와 함께 TMB와 같은 정량적인 돌연변이를 검사해 고형암 환자의 최적 치료제를 선택하는 데 사용되는 제품이다. 엔젠바이오는 이번 연구를 통해 얻은 TMB 판정 알고리즘은 암 환자에게 가장 정확한 면역 항암제 선택이 가능할 수 있도록 엔젠바이오의 암 패널 분석 소프트웨어인 NGeneAnalySys®(엔젠어날리시스)에 추가로 적용할 예정이다. 김광중 엔젠바이오 연구소장은 “3세대 암 치료법인 면역 항암제는 효과가 뛰어나지만, 아직 모든 암 환자에게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치료 시점에 따라 효능의 차이가 있다”며 “이번 고형암 면역 항암제 바이오마커 연구를 통해 암 환자에게 최적의 시점에 치료를 결정할 수 있는 맞춤 의료를 가능케 함으로써 치료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며, 암 환자들의 치료 효과 개선이 도움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글로벌 데이터(Global Data) 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면역 항암제 시장 규모는 2021년 약 50조원이 넘는 시장이며, 2022년부터 2030년까지 연평균 20.3%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2024.05.27 I 박순엽 기자
이노션, 해외법인 현지인 리더급 임원 한국 초청 행사
  • 이노션, 해외법인 현지인 리더급 임원 한국 초청 행사
  • [이데일리 신수정 기자] 이노션(214320)은 해외법인의 현지인 리더급 임원들을 한국에 초청, 이노션의 조직문화를 체험하게 하고 각국의 역량을 교류할 수 있는 ‘디스커버리(Discovery) 2024’를 실시했다고 27일 밝혔다.이노션 글로벌 네트워크 프로그램 디스커버리 2024 참여자 단체사진.(사진=이노션)‘디스커버리’는 해외 현지인 리더급 직원들이 이노션 본사에 직접 방문해 한국과 이노션만의 조직문화를 이해하고, 법인 별 역량 교류를 통해 글로벌 네트워크 시너지를 창출하는 이노션만의 특별한 사내 프로그램이다.코로나19 이후 5년 만에 재개해 올해 10회째를 맞이한 이번 프로그램은 이노션 글로벌 리더들의 교류를 증진시키고 조직에 대한 소속감 및 자긍심을 제고하기 위해 기획됐다. 또한, 글로벌 공동사업과 협업에 대한 논의를 통해 네트워크 시너지를 한층 더 강화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이번 행사에는 미국, 캐나다, 독일, 영국, 호주, 인도, 태국 등 18개국에서 26명이 참여했다. 이노션 미국법인의 최고 크리에이티브 책임자(CCO)이자 메타 출신 글로벌 크리에이티브 전문가 제이슨 스펄링(Jason Sperling),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전문가인 인도법인 최고 운영 책임자(COO) 산토시 쿠마르(Santosh Kumar) 등이 포함됐다.또한 미국 미디어 에이전시 캔버스(Canvas)의 대표(CEO) 폴 울밍턴(Paul Woolmington)과 호주 디지털 프로덕션 에이전시 웰컴(Wellcom)의 글로벌 대표(Global CEO) 데이빗 브릿지스(David Bridges) 등 이노션의 투자 자회사 전문경영인들도 참석했다.한국에 초청된 이들은 지난 21일부터 25일까지 4박 5일 동안 △이노션 글로벌 네트워크 협력 사업 협의 △현대차그룹 헤리티지 체험 △한국 문화 체험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했다.첫날에는 이노션 본사에 방문해 각 법인간 협력 사업 협의와 네트워킹을 시작으로 주요 글로벌 사업 현황, 크리에이티브 및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역량에 대해 교류하는 시간을 보냈다. 이후 현대모터스튜디오, 현대자동차 아산 공장 등 주요 랜드마크를 방문해 현대자동차그룹의 헤리티지와 순환 경제 생태계 현장을 체험했다.마지막 날에는 DMZ, 경복궁, 북촌마을 등 역사적 의미를 가진 지역 탐방을 통해 한국 문화의 다양성을 경험하고, 한국적 크리에이티브에 대한 영감을 얻을 수 있는 기회를 갖기도 했다.‘디스커버리 2024’에 참여한 해외법인 현지인 리더는 “이번 프로그램을 통해 이노션의 글로벌 네트워크 역량과 더 많은 잠재적 성장 기회를 확인할 수 있었다”며 “이노션의 글로벌 경쟁력과 네트워크간 협업 가능성을 몸소 체험하고, 소속감도 높일 수 있었던 뜻깊은 경험”이라고 소감을 전했다.이용우 이노션 대표이사는 “이노션만의 차별화된 글로벌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해 기획된 ‘디스커버리’는 해외시장에서 꾸준히 선전하고 있는 임직원들의 사기를 고취시키는 데에도 긍정적”이라며 “다양한 국가와 인종이 서로의 문화와 정서를 이해하고, 특히 현대차그룹 헤리티지 체험과 이노션에 대한 소속감이 제고될 수 있는 기회를 자주 마련할 예정”이라고 말했다.한편 올해 설립 19주년을 맞은 이노션은 현재 북?남미, 유럽, 중국, 호주, 인도, 중동, 아태지역 등 26개 해외법인과 3500여 명의 임직원을 보유하며 글로벌 네트워크를 확장해 나가고 있다.
2024.05.27 I 신수정 기자
中 리창 총리 만난 JY…글로벌 네트워크 강화
  • 中 리창 총리 만난 JY…글로벌 네트워크 강화
  • [이데일리 김응열 기자]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한·일·중 정상회의 참석차 방한한 리창 중국 국무원 총리와 한국에서 19년 만에 만났다. 리창 총리는 이번 방한 일정에서 국내 기업 중 유일하게 삼성전자와 별도 면담을 한 것이다. 이 회장으로선 중국 고위급 인사와 글로벌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계기가, 중국으로선 현지에 반도체 공장을 지은 삼성과 협력관계를 공고히 다지는 기회가 됐다는 평가가 나온다.26일 서울 신라호텔에서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과 리창 중국 총리가 악수하고 있다. (사진=삼성전자)26일 업계 등에 따르면 이 회장은 이날 오후 4시 25분부터 약 40분간 서울 신라호텔에서 리창 중국 총리와 면담했다. 이 자리에는 △우정롱 국무원 비서장 △진좡롱 공신부 부장 △왕원타오 상무부 부장 △마자오쉬 외교부 부부장 등이 배석했다. 삼성에서는 반도체 수장으로 새로 발령된 전영현 DS부문장 부회장을 비롯해 △노태문 DX부문 MX사업부장 사장 △최윤호 삼성SDI 대표이사 사장 △최주선 삼성디스플레이 대표이사 사장 △김원경 삼성전자 글로벌 퍼블릭 어페어(Global Public Affairs) 사장 등 주요 경영진들이 참석했다.이 회장은 리창 총리에게 “코로나19 팬데믹 시절 삼성과 삼성 협력사들이 위기를 극복하도록 도와주셔서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중국 정부는 코로나19 기간에 삼성전자 중국 출장 직원을 위한 전세기 운항 허가를 비롯해, 시안 봉쇄 기간 중 삼성전자 반도체 공장 생산중단 방지, 상하이 봉쇄 중 삼성SDI 배터리 핵심 협력사 조기 가동 지원 등 사업 차질을 최소화하도록 지원했다.아울러 이 회장과 리창 총리는 40분의 면담시간 동안 삼성과 중국의 미래 협력방안에 관해 얘기도 나눈 것으로 풀이된다. 중국은 삼성으로선 중요한 거점 중 하나다. 특히 삼성 핵심 사업인 반도체 생산기지가 중국에 있고 중국 내 반도체 수요도 상당하다.이 회장과 리창 총리가 한국에서 재회한 건 약 19년 만이다. 리창 총리는 2005년 시진핑 당시 저장성 서기가 방한했을 때 비서장 직책으로 삼성전자 수원·기흥 사업장을 방문한 바 있다. 이후에도 리창 총리는 삼성을 향해 꾸준히 관심을 표현했다. 3000여개 외자기업이 참여하는 수입제품 전시회 ‘중국국제수입박람회’가 2018년 11월 처음 열린 이후 매년 삼성전자 부스를 찾아 격려했다. 지난해 행사에서 삼성 부스를 찾은 리창 총리는 “수입박람회 1회부터 6년 연속 부스를 방문한 회사는 삼성이 유일하다”며 “삼성이 중국에서 계속 발전하기를 바란다”고 언급했었다.26일 서울 신라호텔에서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과 리창(오른쪽에서 두 번째) 중국 총리 일행이 면담하고 있다. (사진=삼성전자)이 회장도 기회가 될 때마다 중국을 찾아 고위급 인사들과 네트워크를 다져왔다. 지난해 3월 ‘중국발전고위층포럼’에 참석한 게 대표적이다. 이 포럼은 중국의 대표적 대외경제 교류 플랫폼으로, 당시 이 회장은 시진핑 주석의 최측근인 천민얼 톈진시 서기와 면담하며 중국 네트워크 강화에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뿐만 아니라 이 회장은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으로 기업인의 해외 출장에 제동이 걸린 상황에서도 중국 시안 반도체 사업장을 찾아 현장을 점검했었다.이 회장은 중국 고위 인사들이 한국을 찾을 때도 회동자리를 마련하는 등 네트워크 구축에 힘써왔다. 2015년 1월에는 ‘중국 방문의 해’ 행사 일환으로 방한한 왕양 중국 부총리와 신라호텔에서 만나 “중국 지방 정부 및 기업과도 협력을 확대해 한중 교류 활성화에 적극 동참하겠다”고 강조했다.삼성은 중국에서 사업뿐 아니라 현지 사회공헌 프로그램도 진행하고 있다. 과학기술분야 우수 여성 인재 양성을 위한 ‘삼성 STEM 걸스 프로그램’을 비롯해 빈곤 퇴지 목적의 중국 부빈기금회와 농촌 관광 사업을 지원하는 ‘나눔 빌리지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2024.05.26 I 김응열 기자
1 2 3 4 5 6 7 8 9 10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