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렬
  • 영역
  • 기간
  • 기자명
  • 단어포함
  • 단어제외

뉴스 검색결과 2,220건

  • (인사)대신증권·대신경제연·대신투신
  • [edaily 김희석기자] ◇대신증권 <임원승진>△부사장 文弘集 △상무이사 安湧洙 △상무이사 李周聲 △이사대우 吳在一 △이사대우 洪憲杓 △이사대우 朴昌在 △이사대우 朴祥相 <1급승진>(팀장)△국제영업 盧耀攝 △마케팅 吳益根 △e-Biz 金完圭 △증권관리 梁時昌 △전산정보 梁昌鉉 △법인2 申暻雨 (지점장)△동대문 金昌旭 △영등포 金正鎭 △마포 禹熙樂 △부천 金榮贊 △남인천 崔鍾泰 △서산 朴恩在 △오산 姜成鎬 △부전동 鄭七根 △대구서 鄭熙泰 △복현 李守煥 △구미 黃尙圭 △서방 金鍾栗 △서신동 金鉉萬 △운암동 宋龍鎬 (영업부장) △잠실 李仁洙 <2급승진>(팀장) △M&A 劉光祚 △선물옵션 裵映勳 (부부장)△국제영업 金洪男 △기업공개등록 朴鍾孝 △주식 黃炯淳 (영업부장)△중앙청 崔 炫 △제기동 林昶煥 △서초동 金喜玉 △대치동 李七永 △양재동 高昌吉 △양재동 金鍾均 △영등포 李容漢 △전자랜드 韓石熙 △대림동 朴軫圭 △보라매 李錫榮 △보라매 李丈熙 △화곡동 宋徹儀 △인천 金泰鉉 △남인천 南基允 △청주 朴炳華 △천안 劉起相 △서대전 朴判炷 △서대전 趙益萬 △평촌 姜花郞 △오산 柳義亨 △진주 李昇凡 △동래 金國鍾 △동래 金暻燮 △동대구 徐時敎 △복현 李相厚 △무거동 金正鉉 △광주 金璟根 △전주 金英秀 △군산 金南坤 △목포 徐鍾玟 △서방 愼平安 △익산 張鎭宇 (차장)△법무 崔根榮 △인사 權容範 △총무 宋炳憲 △전산개발 玄峻昊 △e-Biz 梁學俊 △자금 金周寧 △투자전략 李지烈 △투자전략 李龍珠 △ 뱅킹영업 朴鉉國 <3급승진>(차장)△서대문 丁富權 △종로 李根和 △명동 黃鍾勳 △홍제동 吳秉奎 △서초동 朴 勳 △관악 蔡國鎭 △제주 金聖翊 △광명 金大煥 △부천 金聖泰 △남인천 金官雄 △천안 全鎣達 △마산 李承柱 △창원 黃聖煇 △무거동 柳浩相 △목포 李太榮 △무등 崔璟珉 △광양 金永卨 △여천 鄭季均 △운암동 朴興哲 (과장)△회계 鄭成武 △인사 金漢準 △총무 崔圭哲 △증권관리 梁會炅 △전산정보 全鎭佑 △심사관리 朴燦明 △투자신탁 金基東 △홍콩현지법인 陳承郁 <전근>△비서실장 宋赫 (팀장)△기획 洪大韓 △리스크관리 李文洙△회계 鄭燦興 △총무 金松圭 △투자전략 羅民昊 (지점장)△명동 方然柱 △명일동 楊광錫 △창동 陸哲漢 △하계동 陳泳秀 △제기동 金在璂 △선릉역 朴鍾碩 △양재동 吳昌燮 △관악 張鍾燮 △대림동 張亨銀 △사당 南海鵬 △염창동 金熙正 △평촌 金昌彬 △마산 孔基烈 △진주 金鎭龍 △여천 李敏豪 △나주 朴三錫 △상무 李官哲 △법인2팀부부장 辛龍奎 (영업부장)△역삼동 李鍾弼 △신촌 朴永福 △시흥동 裵南澤 △목동 金善玖 △염창동 尹源哲 △대구서 玄浩鎔 △순천 金永煥 △무등 韓渟熙 (차장)△투자전략 羅東翼 △투자전략 李桂濬 △영업부 李洪滿 △남대문 宋柄鏞 △명동 李榮振 △일산 金太圭 △구의동 崔仁炳 △압구정 孫珉浩 △신사 沈康泌 △전자랜드 白根榮 △대림동 朴完根 △대구 李鍾哲 △부전동 李正華 △진주 李秀禎 △창원 李懸鎬 △창원 鄭守和 △동대구 白種末 △복현 李在相 △해운대 趙顯泰 △화정동 全載現 (과장)△총무 李興卓 △총무 宋相汶 △M&A 金동賢 △마케팅 金學喆 △마케팅 吳洪鎭 ◇대신경제연구소 <1급승진>△투자전략실 金永翊 (수석연구원)△투자전략실 趙容贊 △기업분석실 文晶業 △금융공학실 李丞鎔 (책임연구원)△투자전략실 咸成植 △기업분석실 金尙翼 △기업분석실 姜祿熙 ◇대신투자신탁운용 <1급승진>△주식운용팀장 李容林 <2급승진>△전산회계팀 차장 李千萬 <3급승진>△주식운용팀 과장 崔亨根
2002.03.31 I 김희석 기자
  • (인사)굿모닝증권 승진·이동
  • [edaily 김세형기자] 굿모닝증권은 30일 부장 차장 승진인사 및 지점장 부서장 이동인사를 단행했다. 인사내용은 다음과 같다. ◇승진 <차장 →부장(12명)> 목동지점장 김만기 (金滿基) 동광양지점장 김한태 (金漢泰) 연희동지점장 박찬영 (朴贊永) 창동지점장 임창숙 (林昌淑) 삼풍지점장 이헌기 (李憲麒) 태평로지점장 추경호 (秋炅浩) 여천지점장 김회삼 (金會三) 태평로지점장 황상훈 (黃相薰) 강남지점 김성곤 (金成坤) 법인금융영업부 양희건 (梁熙虔) 리테일영업기획부 임재택 (林宰澤) 기업금융부 윤석천 (尹錫天) <과장 →차장(28명)> 법인영업부 강승오 (姜昇吾) 법인금융영업부 강신태 (姜信泰) 굿아이사업부 강종근 (姜鍾根) 인사부 김 혁 (金 赫) 컴플라이언스부 임승열 (林承悅) 금융상품부 조성환 (曺聖歡) 동래지점 김달곤 (金達坤) 동래지점 김성철 (金聖澈) 대구지점 김현기 (金賢起) 수원지점 노미애 (盧美愛) 여천지점 방극용 (房極庸) 연희동지점 이경훈 (李京薰) 마포지점 이종학 (李宗學) 압구정중앙지점 최세열 (崔世烈) 트레이딩시스템부 김재천 (金載千) 시스템지원부 문현오 (文炫午) 영업부 이영농 (李永籠) 리스크관리부 이형연 (李炯淵) 영업부 조범규 (趙 圭) 정보시스템부 허성호 (許成豪) 영등포지점 김성태 (金聖泰) 남천동지점 김윤철 (金允哲) 울산지점 김현주 (金鉉周) 정읍지점 문훈식 (文焄式) 강남지점 설재환 ( 在煥) 전주지점 이덕성 (李德性) 목동지점 장규성 (張圭成) 삼풍지점 현주미 (玄珠美) ◇이동 <지점장(14명)> 방배동지점 서장덕 (徐將德) 영등포지점 권명석 (權明錫) 신 당지점 김봉수 (金峰秀) 올림픽지점 김상오 (金相午) 마 포지점 이민국 (李閔國) 주 안지점 정광호 (鄭光浩) 서귀포지점 고영종 (高暎宗) 부 산지점 황철관 (黃喆官) 중 부지점 김영범 (金榮範) 창 원지점 박일제 (朴一濟) 명 동지점 윤대수 (尹大守) 답십리지점 신창영 (申昌暎) 밀 양지점 이송학 (李松鶴) 해운대지점 오무택 (吳武澤) <부서장(4명)> 주식영업지원부 안상준 (安相浚) 마케팅부 정 환 (鄭 ) 시스템지원부 권형순 (權亨純) 콜센터 김태술 (金泰述)
2002.03.30 I 김세형 기자
  • (인사)서울은행 부점장급
  • [edaily] <부장> ▲기업금융부장 남상렬 ▲종합기획부장 전이중 ▲종합업무부장 김기동 ▲카드사업부장 이찬종 ▲IT운영부장 윤경우 <팀장> ▲마케팅팀장 이강복 ▲Loan Review 팀장 추견호 <지점장> ▲강남지점장 손환배 ▲경희의료원지점장 이선호 ▲고대지점장 진성홍 ▲광명지점장 최영환 ▲광안동지점장 김용문 ▲광주지점장 김한길 ▲군자동지점장 윤지량 ▲낙성대지점장 김용인 ▲남산동지점장 박영철 ▲남산지점장 강문수 ▲남서울지점장 김영욱 ▲대전중앙지점장 기희서 ▲돈암동지점장 장기룡 ▲동래지점장 정재찬 ▲명륜동지점장 구재선 ▲미남지점장 김윤식 ▲방이동지점장 장현기 ▲부산지점장 신병협 ▲북가좌지점장 이재한 ▲분당지점장 이장규 ▲산본지점장 전제창 ▲상도동지점장 권준형 ▲서교동지점장 배영석 ▲성서지점장 김병술 ▲세류동지점장 최병홍 ▲센트럴시티지점장 이등로 ▲시흥지점장 이덕수 ▲신대방동지점장 김대식 ▲신자양지점장 배동필 ▲신촌지점장 윤교중 ▲약수동지점장 안두식 ▲양정동지점장 유지수 ▲연신내지점장 박석기 ▲연희동지점장 김의철 ▲오목교지점장 임양택 ▲용마지점장 이강배 ▲용인지점장 정재수 ▲원주지점장 최송덕 ▲원효로지점장 조현기 ▲월산동지점장 윤재철 ▲이촌동지점장 동택영 ▲인사동지점장 이정대 ▲장유지점장 손광섭 ▲조치원지점장 김건규 ▲종암동지점장 김주석 ▲주안역지점장 권오범 ▲주안지점장 임종현 ▲청주지점장 홍성규 ▲청파동지점장 이규택 ▲춘천지점장 김병호 ▲충주지점장 이상복 ▲퇴계로지점장 이한규 ▲학동지점장 문창환 (이상60명)
2002.01.28 I 조용만 기자
  • (인사)대한투신증권 지점장
  • [edaily] ◇지점장(1급) ▲반포지점 김남석 金南錫 ▲ 신촌지점 김정구 金正九 ▲ 명동지점 최춘식 崔春植 ▲ 영등포지점 이상호 李相鎬 ▲ 천안지점 유국번 柳國蕃 ▲ 잠실역지점 조범수 趙範洙 ▲ 압구정지점 천기호 千祺鎬 ▲구의 지점 곽병선 郭丙善 ▲마산지점 박동헌 朴東憲 ◇지점장(2급) ▲ 강남구청역지점 이강우 李康羽 ▲ 강남역지점 장능원 張能遠 ▲서초지점 김성수 金誠水 ▲천호역지점 이종구 李琮求 ▲ 훼미리지점 송창근 宋昌根 ▲ 둔촌동지점 이우혁 李宇赫 ▲ 광장동지점 편무진 片茂珍 ▲ 화곡동지점 박병종 朴丙鐘 ▲서면지점 문형재 文炯才 ▲동래지점 유규철 劉圭鐵 ▲ 대신동지점 이한용 李漢龍 ▲ 서광주지점 정찬영 鄭燦英 ▲대전지점 박인규 朴仁圭 ▲ 둔산서지점 배철수 裵哲秀 ▲전주지점 신완섭 申完燮 ▲익산지점 윤창용 尹昌容 ▲ 원주지점 강광희 姜光熙 ▲인천지점 오정남 吳正男 ▲ 이수역지점 고강영 高岡泳 ▲연신내지점 이원석 李元錫 ▲부 평 지점 김대만 金大萬 ▲수 원 지점 이봉기 李奉基 ▲남문 지점 고진규 高振奎 ▲창원 지점 이한우 李漢雨 ▲강릉 지점 박순희 朴淳熙 지점장(3급) ▲분당지점 김정호 金正浩 ▲화정역지점 배정만 裵楨萬 ▲신대방지점 김제응 金濟應 ▲주안지점 남재균 南宰均 ▲평촌지점 최호웅 崔虎雄 ▲ 울산지점 백영빈 白永彬 ▲ 범어동지점 오원재 吳源在 ▲상인동지점 김대현 金大鉉
2002.01.14 I 박호식 기자
  • (인사)대신증권·대신경제연구소
  • [edaily] (대신증권) <2급 승진>◇부부장 ▲기업공개등록팀 鄭載三 ▲ 자산유동화팀 鄭永權 ▲채권팀 金赫彦 ◇차장 ▲감사팀 최규진 ▲기획팀 金凡哲 ▲인사팀 李得遠 ▲투자정보팀 李桂濬 <3급 승진>◇차장 ▲강북지점 韓相龍 ▲창동지점 洪潤錫 ▲하계동지점 李東昱 ▲화곡동지점 李春喆 ▲남인천지점 林成化 ▲천안지점 李彰浩 ▲마산지점 韓千石 ▲대구지점 金文赫 ▲부산지점 尹文載 ▲복현지점 李鍾哲 ◇과장 ▲심사관리팀 김동현 ▲전산시스템팀 宋寅垂 ▲상품개발팀 洪碩晙 <전근>◇지점장 ▲서대문지점 卞相仁 ▲종로지점 李鍾秀 ▲상계동지점 朴晋煥 ▲강북지점 崔明鎭 ▲홍제동지점 朴正寬 ▲서초동지점 文埰熙 ▲신사지점 芮文熙 ▲서여의도지점 張哲源 ▲보라매지점 南時峻 ▲대구지점 安淳廷 ▲부전동지점 鄭七根 ▲진주지점 孔基烈 ▲창원지점 徐龍萬 ▲대구서지점 鄭熙泰 ▲동래지점 崔基鎔 ▲동대구지점 金榮雲 ▲부산지점 吳世仁 ▲해운대지점 魏晧烈 ▲울산남지점 金鳳圭 ◇부부장 ▲영업부 辛相洪 ◇영업부장 ▲일산지점 李炳旼 ▲명동지점 趙商德 ▲하계동지점 吳圭兌 ▲잠실지점 崔興烈 ▲서여의도지점 鄭鎰昊 ▲대림동지점 崔秉三 ▲광주지점 閔炯鈺 ◇차장 ▲준법감시팀 柳完善 ▲명동지점 元鍾淵 ▲종로지점 朴壽健 ▲신사지점 朴完根 ▲영등포지점 閔炳喆 ▲시흥동지점 金載玉 ▲마포지점 白運善 ▲마포지점 盧廣均 ▲서여의도지점 金東振 ▲보라매지점 李丈熙 ▲사당지점 柳太香 ▲화곡동지점 李炳千 ▲부산지점 愼鏞達 ◇과장 ▲사이버마케팅팀 楊學俊 (대신경제연구소) <승진>◇책임연구원 ▲기업분석실 宋在鶴 韓丁太
2001.09.27 I 김희석 기자
  • 코리아링크,농심가에 무선전자가격 표시기 공급계약
  • [edaily] 코리아링크(37410)는 농심 시스템 통합 구축업체인 엔디에스와 매장 현대화장비 공급과 설치 및 보수에 대한 계약을 체결했다고 13일 밝혔다. 이에따라 코리아링크는 자체 개발한 무선전자가격 표시 시스템을 농심 계열사인 농심가 부산 동래 메가마트점에 9월10일까지 설치하게 된다. 또 무선기지국, 가격표시 라벨 및 관련 소프트웨어 일체 등을 설치한다. 무선가격표시기는 유통업체의 POS(판매시점정보) 시스템과 무선으로 연동해 제품가격 및 재고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한다. 이에따라 종업원의 수작업을 대폭 줄이고 효과적인 재고관리를 가능케 함으로써 비용절감 뿐 아니라 대고객 서비스 강화 및 물류비 절감효과를 거둘 수 있다는게 회사측 설명이다. 코리아링크 박형철 사장은 "이번 계약은 코리아링크가 지속적으로 추진해온 유통정보화 사업의 시작"이라며 "앞으로 농심가 뿐 아니라 신세계, 롯데 등의 대형 할인점 및 편의점등에 무선전자가격 표시기 설치가 이뤄질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한편 코리아링크는 올 상반기 전년 동기 대비 123% 증가한 494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또 영업이익은 전년동기 대비 68% 증가한 55억원, 경상이익과 순이익은 각각 45%와 43% 증가한 52억원과 35억원을 기록했다. 회사측은 대부분의 매출이 하반기에 집중되어 있어 올해 매출액은 전년 대비 120% 증가한 1400억원을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으며 순이익은 약 112억원으로 전망했다.
2001.08.13 I 권소현 기자
  • (300조를 움직이는 사람들)④백경호 주은투신 사장(하)
  • [edaily]“300조를 움직이는 사람들” 이번주 주인공은 백경호 주은투신운용 사장입니다.(인터뷰 중편에서 이어짐) -채안기금에서 같이 일한 매니저가 몇분이죠. ▲4명이었습니다. 정확한 판단을 위해서는 시각들이 다양해야 해요. 매니저들을 보면 각각 특성이 달라요. 분석을 잘하는 사람, 브로커들과 잘 싸우는 사람, 말로 브로커들을 잘 다루는 사람, 인적 네트웍이 폭넓은 사람 등등. 그 모든 것들을 고려해서 다양한 구성을 해야만 다양한 의견이 개진되고 활발한 토론이 일어나게 됩니다. 그래야 저한테도 다양한 정보가 보고될 수 있고요. -지금도 팀을 구성할 때 그런 기준 하에서 고릅니까. ▲물론입니다. -각각 다른 기관에서 온 펀드매니저들이 얼마나 조화를 이룰 수 있을 것인가. 또 자기회사의 이익과 독립적으로 행동할 수 있겠느냐. 뭐 이러한 문제들이 논란이 됐었는데…어떻게 관리하셨는지 궁금합니다. ▲처음에 매니저들을 불러놓고 이런 말을 했습니다. “이것이 성공할지 실패할지는 나도 모르고 당신들도 모른다. 그렇지만 일단 사명감을 가지고 한 번 해보자. 사명감을 가지려면 우리부터 깨끗해야한다”고. 깨끗해야 한다는 의미는 이겁니다. 매일매일의 장이 종료되면 그 사람들이 소속된 은행의 임원들이 틀림없이 이것저것 전화로 물어볼 게 뻔히 보이거든요. 자기은행의 자산이 걱정되니까 당연히 전화하겠죠. 오늘 어떻게 됐냐고 말입니다. 그렇게 물으면 이 사람들이 대답을 안 해줄 수 없잖아요. 그래서 제가 그랬습니다. “장 종료 후 오늘 상황이 어땠다는 그 얘기를 해주는 것은 막지않겠다. 대신 사전에 미리 당신이 어떻게 운영할 것이라는 의사를 알려주거나 당신의 의사를 내게 관철하려고 애쓰지는 마라. 모든 최종결정은 내가 한다.” 이렇게 말입니다. 다행스럽게도 전체적으로 잘 따라줬어요. -당시 4명의 펀드매니저들은 지금 뭐하시나요? ▲3명은 펀드매니저를 계속하고 있고 한 사람은 새롬기술에 가서 자산운용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채안기금을 운용하면서 가장 어려웠던 점은 무엇이었습니까? ▲채안기금의 기본적인 발의 자체가 시장이 파국으로 가는 것을 막고자하는 정부의 의지 때문에 생겨났기 때문에 적극적인 활동에는 처음부터 한계가 있었습니다. 정부 쪽에서는 금리가 일시적으로 오르면 불안하니까 거기에 관해서 많은 푸쉬를 했거든요. 그런 부분을 토론을 해나가야만 하는게 힘들었습니다. 또 10조라는 자금이 너무 작다보니 이것을 늘려야했지만 자금조성 문제에 있어서 벽이 많았어요. 여기저기서 반대하고. 뭐 그러한 점들이 어려웠었죠. -그 돈들 다 나눠주셨죠? 기금을 청산했을 때 이익이 났던 걸로 기억하는데. ▲다 나눠줬습니다. 그 때 이익이 조금 나긴 했는데… 시장이 완전히 안정화된 상황이 아니라서 이익이 별다른 의미가 없었어요. “시장정상화의 키가 채안기금의 소멸이라고 생각했다” -채안기금 막바지 시절 만났을 때 “이제 다시 여의도로 돌아가야죠” 라고 말씀하신적이 있습니다. 그 때 ‘이 정도 했으면 발을 빼겠다’ 뭐 이런 의미가 아닐까 생각했습니다만. 청산 즈음에 실제로 그런 의도를 윗분들에게 전달한 겁니까? ▲더 이상 끌고가기 힘들다는 것 보다는 시장에 관한 시각의 차이가 좀 있었죠. 채안기금의 존속 자체가 시장 정상화에 도움이 되느냐 안 되느냐하는 판단의 문제로 말입니다. 채안기금이 만들어진 이유는 대우사태 이후 침몰해가는 투신권이 자신들의 매물을 내놓으면 어디선가는 받아줘야한다는 논리 때문입니다. 그런데 투신권의 수탁고가 바닥을 찍고 주춤하는 모습이 보이더라구요. 그러면 더 이상 할 일이 없는 거에요. 그런 상황에서의 존속이유라는 것이 애매했습니다. 시작당시의 목표가 시장붕괴를 막는데 초점이 맞춰졌다면 시장의 실패를 막은 다음에는 다른 목표가 있어야하지 않겠습니까. 그건 바로 시장의 정상화죠. 저는 시장정상화의 키가 채안기금의 소멸이라고 생각했어요. 사람들이 매매를 할 때 채안기금 같은 공룡이 있으면 거기만 쳐다볼 것은 뻔하잖아요. 단기적으로는 채안기금에 기댔던 시장심리가 붕괴되면서 금리가 오를수도 있겠지만 공룡 자체를 없애주는 것이 시장을 위해 훨씬 도움이 된다고 본 겁니다. 김정태 행장께서 그런 생각을 가지시고 반대하는 다른 분들을 잘 설득한 걸로 알고 있습니다. -채안기금이 문을 닫고 금리가 실제로 올랐었죠. ▲조금 리바운드한 건 사실입니다. -채안기금 일을 모두 끝내놓고 이사로 승진하신 건가요. ▲이사승진은 채안기금에 있을 때 했습니다. -그때가 작년 초, 재작년 말 무렵이었죠? 그 당시의 채권시장을 어떻게 보셨나요. 금리가 내려간다 올라간다 말들이 많았는데요. ▲채안기금이 존속했을때는 채권을 운용하는 기관들이 펀더멘털에 관한 고민을 하기보다는 채안기금이 어떠한 입장을 취할 것인지에 관해 많은 신경을 썼습니다. 뭘 고민해야 될지 잘 몰랐던 것 같아요. 그러니 금리가 8-9%가 되면 상당기간 횡보하는 장세가 지속됐었죠. 그 당시만 하더라도 지금처럼 경기가 급격히 식으리라고 아무도 상상을 못했기 때문에 채권금리에 대해 섣부른 판단을 하기 힘들었습니다. 다만 시중의 유동성 측면에서 봤을 때 금리가 하락할 요인이 충분하다는 생각은 했습니다. 우리 주택은행이나 다른 기관도 모두 채안기금이 없어지고 자신만의 리듬을 찾는데 두 달 정도의 시간을 보낸 것 같아요. 메이저기관들의 모양이 우습게됐었죠. 채안기금에 출자를 해놓고도 거기다 자기 채권을 많이 팔아먹었거든요. 근데 어느날 그대로 그 채권이 자기한테 고스란히 돌아왔으니…허허..그러한 일련의 과정속에서 감각에 대한 혼란이 많이 왔으리라 생각합니다. -상대적으로 감각을 회복하는 속도가 빨랐겠습니다. 채안기금을 직접 만들고 해체시켰으니까요. ▲그건 그렇지 않습니다. 채안기금을 맡았다고 해서 다른 사람보다 배타적인 이익을 향유한다는 자체가 이익보다는 잃을 것이 훨씬 많거든요. 의도적으로 그런 상황들은 회피하려고 노력했습니다. 제가 주택은행으로 되돌아와서 바로 채권을 사면 사람들이 이렇게 말하지 않겠습니까. 채안기금을 해체해도 문제가 없다는 것을 보여주려고 인위적으로 금리를 끌어내린다고 말입니다. 시장이 무슨 생각을 하고 어떻게하면 무리없이 따라갈 수 있을까 고민을 많이 했어요. -채안기금 운용시 재미있는 에피소드는 없습니까. ▲이건 말씀드리기 좀 그런데…(웃음) 사람들은 채안기금 운용인력들이 눈코뜰새없이 바쁠 것이라 생각하시던데 운용을 안 하는 날은 사무실이 온통 수면실 분위깁니다. 시장도 전혀 안 보고. 왜 그런고 하니 우리가 시장을 보고있으면 우리가 보는 만큼 시장도 우리를 쳐다보게 되니까 볼 수가 없어요. 그래야만 우리가 없을 때 시장이 어떤 반응을 보이는지 체크를 할 수 있습니다. 그런 식으로 일부러 사흘 정도 안 할 예정을 잡아놓고 출근만 하고 쉬는 분위기를 만들었죠. 물론 어떤 돌발상황이 생길지 모르는 상태에서 직원들이 그 상황이라고 편안히 쉴 수는 없었겠지만요. 이런 일도 있습니다. 브로커들이 저희에게 접대를 많이 하고 싶어했죠. 하지만 접대를 받을 수는 없고 오후되면 출출하니까 피자나 얻어먹자는 의견이 나왔습니다. 그런데 일주일동안 매일 피자를 시켜도 5일뿐인데 전 증권사에서 다 피자를 주겠다는 거에요. 그래서 피자 받는 곳을 선정하려고 하니 다들 섭섭하다고 난리였어요. 왜 우리 피자는 안 받아주냐고. 하하 -제비뽑기라도 하시죠.(웃음) ▲그런 이유 때문에 채안기금을 접은 후 저희들에게 피자를 보내준 증권사들에게 운영수익금으로 다시 피자를 세 판이나 돌렸습니다. 하하 “채안기금을 통해 시장을 크게 보는 훈련을 했다” -채안기금을 운영했던 경험이 주은투신을 경영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됩니까. 아니면 그냥 그런 재미있는 일도 한 적이 있다라고 기억되는 정도입니까. ▲시장을 크게 보는 훈련을 했으니까 여러모로 큰 도움이 됩니다. 채안기금의 기본임무가 채권시장 전체를 방어하는 것이니까요. -은행권 최연소 이사가 되고 난 후 보이지 않게 견제도 많이 받았을 것 겉은데. ▲제가 처음에 은행에 갔을 때 제 나이또래가 대리직급이다 보니 많은 분들이 “관록이 일을 해줘야하는데 가능하겠냐”는 우려를 많이 하셨습니다. 견제라는 표현이 어떤 건지는 모르지만 우려섞인 시각으로 저를 쳐다보시는 분들은 좀 있었죠. -그게 행동의 제약이 되던가요. ▲자산운용을 잘 하는 문제는 제가 시장하고 얘기하는 것이지 내부 문제가 아니지 않습니까. 내부적인 문제는 제가 나이가 어리니까 거기에 맞게끔만 행동하면 되는거고. 금융기관이 보수적이니 대부분의 금융인들이 직장상사와 나이가 일치하는 조직에서 일을 해온 건 사실입니다. 지금 주은투신에서도 나이가 더 많은 직원들이 있지만 이것은 분리해서 생각하면 얼마든지 양립할 수 있는 문제라고 봐요. “좋은 펀드매니저가 되려면 공부를 많이 해야” -지금은 딜을 전혀 안 하시나요. ▲딜을 손에서 놓은지는 꽤 됐고..시장은 항상 보고 있습니다. -‘좋은 채권펀드매니저가 되려면 이렇게 하라’ 고 후배들에게 한 마디 조언해주신다면. ▲일단은 공부를 많이 해야죠. 우리 매니저들도 전반적인 시장분위기가 트레이딩에만 치우쳐 있어서 공부할 시간이 없다는 얘기를 많이 하는데 그래서는 안됩니다. 근본적인 것부터 공부를 많이하는 매니저가 결국 좋은 매니저가 되지 않겠나 생각합니다. 기본적으로 우리 채권시장이 선진국, 특히 미국의 시장을 따라가는 형태로 이뤄지고 있습니다. 그러니 공부를 하기 위해선 미국시장의 펀드매니저들을 열심히 벤치마크할 필요가 있습니다. -어떤 스타일의 부하직원을 높이 평가합니까? ▲자신의 철학, 소신을 가진 사람들. 펀드매니저는 이코노미스트나 스트레티지스트가 아니잖아요. 기본적 소양 이외에 펀드매니저만의 감성적인 자질들이 뛰어난 사람들이 우수한 펀드매니저라고 생각합니다. -기회가 닿으면 채권관련 저서를 저술할 생각은 없는지. ▲물론 있습니다. 아직 우리에게는 번듯한 채권교과서 하나 없잖아요. 채권시장의 후진성을 단적으로 표현해주는 것은 바로 한국 채권시장을 “우리들만의 리그”라고 표현할 수 있다는 데서 드러나요. 몇 안되는 채권브로커가 좌지우지 하는 상황 아닙니까. 이 커뮤니티가 개방적이지 못하단 말이죠. 그야말로 우리들만의 리그 그 자체에요. 외환딜러들만 해도 이쪽보다는 훨씬 유연합니다. 주식이야 뭐 대한민국 국민 자체가 주식전문가니 말할 필요도 없고. 하지만 채권시장은 그 누구도 채권관련 이론이나 실무를 널리 보급하고 확산시키려는 노력을 안 했어요. 채권종사자들 모두가 언젠가는 반드시 해야 할 의무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습니다. -CEO로 재직하는 동안 꼭 이뤄보고 싶은 목표는 무엇입니까. ▲사실 저희는 토종자본도 아닙니다. 신문에 외국자본에 잠식당한 국내시장..뭐 이런 기사도 나곤 하는데 ING와의 관계는 그런 면보다는 그야말로 전략적인 제휴의 입장에서 일하고 있어요. 외국사람들이 와서 “당신들도 이 정도로 일한다니 놀랍다” 뭐 이런 평가를 받을 수 있는 조직을 만들고 싶습니다. 똑똑한 한국사람들이 마음놓고 일할 수 있는 조직체계만 만든다면 나머지 문제점들은 쉽게 쉽게 풀려나가리라 생각합니다. (백경호 사장 약력) -61년 부산 출생 -동래고 졸업 -86년 부산대 경제학과 졸업 -88년 부산대 대학원 경제학 석사 -87년12~92년4월 동원증권 -92년4월~97년6월 SK증권 -98년10월 주택은행 -2000년2월~6월 주택은행 자본시장본부장 직대 -2000년6월 주은투자신탁운용 대표이사 사장
2001.03.30 I 정명수 기자
  • 대우자동차판매,반기 순익 354% 증가- 반기보고서
  • 대우자동차판매의 실적이 크게 좋아졌다. 이 회사의 올해 상반기 매출액은 2조632억1700만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의 1조6069억6000만원보다 4562억5700만원(28.4%) 증가했다. 이 회사의 상반기 영업이익은 지난해 같은 기간의 664억4600만원보다 526억6800만원(79.3%) 증가한 1191억1400만원에 달했다. 특히 자동차판매부문만 보면 상반기 영업이익이 약 1136억원에 달해 425억원가량의 순이익을 기록했다고 회사측은 밝혔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621% 증가한 것이다. 상반기 경상이익은 743억9700만원으로 전년 동기의 157억9400만원보다 586억300만원(371%) 늘어났다. 상반기 순이익은 지난해 108억3900만원보다 383억8700만원(354.2%) 늘어난 492억2600만원에 달했다. 부채비율은 지난해 6월말 179.2%에서 올해 6월말 223.2%로 44%포인트 높아졌다. 다음은 회사측이 설명한 영업개황. ◇자동차판매사업= 2000년 1월 차세대 미니밴『레조』를 출시하였고, 2000년 4월에『라노스Ⅱ』를 출시하여 판매하고 있으며, 8월부터『 마티즈Ⅱ』및 『누비라2001년형』을 출시하여 판매할 예정임. 회사는 지난 5월 16일부터 신개념의 마케팅 전략인 "새로운할부 2000"이라는 할부프로그램을 시행하여 6월중 3만7301대를 판매, 내수시장에서 2위의 판매순위를 확보함. 회사는 매출액증대와 비용절감을 통한 수익성위주의 전략을 전개한 결과 2000년 상반기 영업이익은 약 1136억원을 달성하였으며 약 425억원의 당기순이익을 시현하였음. 이는 전년동기대비 621%의 증가한 수치임. ◇건설부문= 사업초년도인 "97년부터 연속 3년간 흑자경영을 기록한 건설부문은 "99년 8월 1일에는 건설업진출 3년만에 1등급업체로 진입하는 쾌거를 이룸. 또한 건설경기 침체기에도 불구하고 부평, 부산동래, 김포고촌,부천상동 등에 건축한 아파트분양에서 100% 분양기록을 세우며 명실상부한 인천 최고의 건설사로 발돋움함. 2000년에는 인천공항외부기관건축공사등의 공공공사 및 쌍문동 재건축 ATP공사등 주택사업에도 적극 진출하여 수주 3200억원, 매출 1400억원을 목표로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상반기에는 624억의 매출에 67억원의 경상이익을 실현하였음. [대우자동차판매 반기실적] (단위:백만원) 구분 00년반기 99년반기 증감률 ------------------------------------- 매 출 액 2,063,217 1,606,960 28.4% 영업이익 119,114 66,446 79.3% 경상이익 74,397 15,794 371.0% 순이익 49,226 10,839 354.2% ------------------------------------- 순이익률 2.39% 0.67% 1.7%p 자산총계 1,956,434 2,130,248 -8.2% 부채총계 1,351,137 1,367,339 -1.2% 자본총계 605,296 762,910 -20.7% [자본금] 151,400 151,400 0.0% 부채비율 223.2% 179.2% 44%p *자료:반기보고서
2000.08.14 I 허귀식 기자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I 청소년보호책임자 고규대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