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렬
  • 영역
  • 기간
  • 기자명
  • 단어포함
  • 단어제외

뉴스 검색결과 129건

바이젠셀, 림프종 치료제 임상 순항 중
  • [인베스트 바이오]바이젠셀, 림프종 치료제 임상 순항 중
  • [이데일리 김지완 기자] 한 주(12월13일~12월17일) 국내 증권사에서 발간한 주요 제약·바이오 보고서다.[이데일리 노진환 기자] 제5회 이데일리 글로벌 제약바이오 콘퍼런스가 7일 오후 서울 중구 KG타워에서 개최됐다. 김태규 바이젠셀 대표가 ‘플랫폼 기반의 면역세포 치료제 개발’을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바이젠셀, R&D 순항 중신한금융투자는 지난 15일 ‘바이젠셀, R&D 계획대로 순항 중’이라는 보고서를 냈다.우선 임상 2상이 예정대로 진행 중이라는 진단이다. 장세훈 책임연구원은 “NK/T 림프종 국내 임상 2상 진행 중인 리드 파이프라인 ‘VT-EBV-N’은 환자 모집이 65% 정도 진행된 상황”이라며 “내년 상반기까지 환자 모집이 완료할 예정이고 오는 2024년 상반기 임상이 완료될 전망”이라고 내다봤다.해외 사업 확대와 기술수출을 통해 기업가치 확대를 꾀하고 있다는 점도 긍정적이다. 바이젠셀은 VT-EBV-N은 중국 합자회사(JV) 설립을 통한 개발 파트너십을 목표로 사업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또 호주 현지 법인 설립을 통해 바이레인저와 바이메디어의 글로벌 임상 데이터를 확보해 기술 이전 역량을 높일 계획으로 전해졌다.장 연구원은 “CAR-T를 비롯해 세포 치료제에 대한 글로벌 기업들의 관심도는 여전히 유효하다”며 “바이젠셀은 3가지 차별화된 세포치료제 플랫폼을 보유하고 있어 향후 사업개발 전략을 통한 글로벌 개발 파트너십을 기대할 수 있다”고 말했다.이날 신한금융투자는 바이젠셀(308080)에 대해 별도의 투자의견이나 목표주기를 제시하지 않았다.◇ 보령제약, BR2002 기대감↑ 이베스트투자증권은 지난 15일 ‘보령제약, BR2002 결과...나쁘지 않다’ 보고서를 냈다.보령제약은 13일(현지시간) 미국 혈액학회(American Society of Hematology, ASH)에서 자체 항암신약인 비호지킨성 림프종 치료제 ‘BR101801’(프로젝트명 BR2002) 임상 1a상 결과를 발표했다. 이 치료제는 암세포의 주요 성장인자인 PI3K 감마, PI3K 델타, 그리고 DNA-PK를 동시에 삼중 저해하는 비호지킨성 림프종 치료제다. 임상 1a상은 한국과 미국에서 동시에 진행됐다.보령제약이 발표한 결과에 따르면, 총 9명의 말초 T세포 림프종(Peripheral T-Cell Lymphoma, PTCL) 환자 중 1명에게서 암세포가 모두 사라진 상태의 ‘완전관해’, 2명에게서는 ‘부분관해’를 확인했다. 투여 2개월 차에 2명의 환자에서 부분관해가 확인됐고, 이후 추가적으로 다른 1명에게서 투여 5개월 차에 부분관해가 확인됐다. 이 환자는 9개월 차에 암세포가 모두 사라졌다.강하나 연구원은 “항암치료에서 가장 중요한 지표 중 하나인 PFS(무진행생존기간) 중앙값은 11.1개월로 유의미한 결과를 냈다”며 “이에 따라 PTCL환자군을 대상으로 임상1b/2상을 동시에 진행해 나갈 예정이다. 희귀의약품 특성상 높은 성공률, 빠른 조건부허가를 통한 임상승인을 기대해볼 수 있다”고 평가했다.그는 “임상 초기 단계에서 그레이드 4(Grade 4) 이상의 부작용도 없었던 만큼 T세포 림프종에 대한 우수한 효능과 안전성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며 “PI3K 저해제 항암제 중 글로벌리 가장 관심을 많이 받고 있는 베라스템온콜로지의 혈액암 치료제 코픽트라(두벨리십)가 PI3K 델타와 감마를 이중 억제하는 최초 기전의 약물 이후의 퍼스트인 클래스(FIRST-IN-CLASS)로서 삼중저해를 해낼 기전이라는 데에서 관심을 가져볼 만하다는 판단”이라고 부연했다.이날 이베스트투자증권은 보령제약(003850)에 대해 투자의견 매수를 제시하고 목표주가 2만원을 제시했다.
2021.12.19 I 김지완 기자
바이오 기술특례 논란 “취지 무색” VS “과거보다 기술력 낮아”
  • 바이오 기술특례 논란 “취지 무색” VS “과거보다 기술력 낮아”
  • [이데일리 송영두 기자] 바이오 벤처 기업들의 코스닥 상장이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다. 올해도 수십 개 기업이 출사표를 던졌지만, 기술성 평가에서 고배를 마시는 기업이 속출했다. 또한 기술성 평가 통과 후에도 상장예비심사 단계에서 탈락하거나 자진 철회하는 기업도 다수 발생하면서 업계 내부 불만이 높아지고 있다. 불확실성이 높고 익숙하지 않은 분야가 많아 기술특례상장 제도를 활용하고 있지만 제도 자체가 유명무실해졌다는 지적이다.1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올해 코스피 및 코스닥 상장을 추진한 바이오 기업은 37개사에 달한다. 이 중 상장에 성공한 기업은 SK바이오사이언스, HK이노엔, 툴젠, 바이젠셀, 에스디바이오센서 등 12개사다. 12개사는 상장예비심사 결과를 기다리고 있다.반면 기술성 평가 탈락, 상장예비심사 탈락 등으로 코스닥 입성에 실패한 기업은 12개사다. △딥바이오 △피노바이오 △스탠다임 △콘테라파마 등은 기술특례상장 기술성평가에서 탈락했고, △엑셀세라퓨틱스 △노보믹스 △와이바이오로직스 △엔지노믹스 △디앤디파마텍 △오상헬스케어 △셀비온 △이니스트에스티 등은 상장예비심사에서 탈락하거나 자진 철회했다. 이는 지난해 IPO에 실패한 바이오 기업(6개)을 넘어선 수치다.2005년 도입된 기술특례상장은 매출 또는 영업이익을 충족하지 못해도 기술력이 우수한 기업에 대해 상장 기준을 완화해주는 제도다. 바이로메드(현 헬릭스미스)와 신라젠이 기술특례상장으로 코스닥에 입성하면서, 그 이후 이런 상장 루트는 바이오 벤처기업에는 당연한 수순이 됐다.(자료=한국거래소, 이데일리 재구성)◇특례상장 유명무실-전문성 문제 제기도하지만 한국거래소가 올해 들어 기술특례상장의 문턱을 높였다는 볼멘소리가 업계 내에서 나오고 있다. 문턱을 높인 것뿐만 아니라 상장 여부를 관장하는 심사위원들의 전문성에도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 강하게 제기된다.AI 기반 신약개발 기업 스탠다임은 지난 9월 기술성 평가 관문을 넘지 못하며 코스닥 상장에 실패했다. 공교롭게도 이 회사는 최근 영국 제약·바이오 전문투자 리서치사 딥파마인텔레전스(DPI)가 선정한 ‘AI 신약 발굴 분야 선두 기업 TOP 33’에 포함됐다. 세계적인 기술력을 인정받은 것이다. 또한 SK케미칼(285130), 한미약품(128940), HK이노엔(195940) 등 국내 대형 제약·바이오 기업들이 고객사일 정도로 국내 최고 AI 기업으로 평가받는다.차세대 치료제로 주목받고 있는 세포치료제에 꼭 필요한 배지(세포 밥) 분야 세계 최고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는 엑셀세라퓨틱스도 상장예비심사 문턱을 넘지 못했다. 전 세계적으로 애브비, 다이치 산교, 이뮤노메딕스만 보유한 3세대 ADC(항체약물접합체) 플랫폼 기술을 개발한 피노바이오도 기술성 평가에서 고배를 마셨다.바이오 업계 관계자는 “심사위원들이 기술에 대한 충분한 지식이 없었다. 수익성과 사업성 측면에서 문제를 제기했다”며 “바이오 벤처들의 IPO가 밀려들면서 심사기간도 길어지고, 심사 기준도 까다로워졌다는 걸 느낀다”고 말했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기술특례상장을 추진하는 기업에 거래소는 실적과 사업성을 동시에 요구하고 있다. 옥석가리기라는 측면에서 이해는 가지만, 그 기준이 모호하고 특례상장의 취지가 무색해지고 있다”고 직격했다. 바이오투자 벤처캐피털(VC) 심사역도 “올해 들어 거래소가 심사를 까다롭게 하고 있다. 기술이전 사례가 나와도 기술성 평가나 상장예비심사에서 떨어지는 경우가 발생한다”며 “기업들 입장에서는 상장 준비에 더욱 신경써야 한다”고 덧붙였다.◇“과거보다 기술 수준 낮아, 옥석가리기 중요”반면 한국거래소는 기술특례상장 문턱을 높였다는 지적에 대해 그렇지 않다는 입장이다. 오히려 과거 상장된 기업들보다 기술력이 낮기 때문에 생기는 본질적인 문제라고 반박했다. 한국거래소 기술기업상장부 관계자는 “기술특례 바이오 기업들의 경우 기술력이 축적되는 과정이다. 기술의 사업성을 안 볼 수가 없다. 신약개발 기업들은 유효성과 안전성을 꼼꼼하게 따진다”며 “그 부분에서 통과를 많이 못하다 보니 심사 기준이 높아졌다고 느낄 수 있다. 실제로 과거와 현재 기술특례 기업들을 비교하면 과거 기업들의 기술력이 더 좋다”고 설명했다.특히 그는 “최근 바이오 기업들은 사업적으로 투자한 게 많다 보니까 옥석가리기가 되지 않고 상장 시장에 들어온다”며 “바이오 기업에 대한 옥석가리기 부담이 거래소에서 많이 지고 있는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심사위원들의 전문성 문제에 대해서도 “상장에 실패한 기업들의 방어적 측면의 논리라고 생각한다. 평가는 국내에서 가장 유명한 분들이 하고 있다. 전문가 그룹을 활용하고 있어 전문성이나 안목이 높다”며 “AI 기술의 경우 2년 전에는 특별한 기술이었지만 지금은 기본적인 기술이 됐다. 과거 대비 보편적인 기술 수준이 높아진 상황에서 기본 기술로 기술특례로 청구한다면 어폐가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2021.12.15 I 송영두 기자
바이젠셀, ‘면역체계 분석 진단키트’ 신사업 진출
  • 바이젠셀, ‘면역체계 분석 진단키트’ 신사업 진출
  • [이데일리 김지완 기자] 바이젠셀(308080)이 개인 맞춤형 면역치료를 위한 진단키트 사업에 진출한다고 15일 밝혔다.바이젠셀은 기존의 면역세포치료제, 유전자 치료제의 개발 뿐 아니라, 면역체계 분석 진단키트 사업을 통해 개인별 정밀맞춤의료를 실현하겠다는 계획이다.바이젠셀이 현재 개발중인 진단키트는 ‘T세포수용체 재배열 분석 제품’, ‘주조직적합성 항원 검사 제품’, ‘주조직적합성 항원 항체 검사 제품’이다. 코로나19 진단키트 등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감염성 질환 제품’과 달리, 암과 같은 난치병 치료를 위한 ‘면역체계 기반의 진단키트‘를 개발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특히, T세포 수용체 재배열 분석 제품은 국내 최초로 상용화를 시도하는 진단키트다. T세포 수용체 재배열 분석 제품은 종양의 진단에서부터 종양의 잔존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미세잔류질환 측정, 면역치료 후 경과 모니터링까지 할 수 있는 종합 진단키트다.T세포 수용체 재배열 분석 제품은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법(Next-Generation Sequencing)을 활용한 키트로, 기존에 쓰던 전기영동 분석법(Capillary Electrophoresis)이 종양의 진단과 잔존 여부만을 확인할 수 있었던 것에 반해, 정밀한 종양진단 및 면역치료 후 경과 모니터링도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T세포 수용체 재배열 분석 제품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T세포 샘플이 필요해, 그동안 국내에서는 상용화되지 못했다.전 세계적으로도 글로벌 정밀진단 기술개발사인 인비보스크라이브(Invivoscribe, Inc.) 한 곳 밖에 제작하지 않는 희귀 진단키트다. 2020년 인비보스크라이브에서 개발한 제품이 국내 신의료기술평가를 통과해 연구용이 아닌 병원 판매도 가능해지면서, 면역치료를 위한 T세포수용체 재배열 분석 제품의 수요는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바이젠셀은 유전자재배열 분석 키트를 2022년 말까지 상용화할 예정이다.바이젠셀은 면역체계 분석 진단키트 개발을 위해 정밀의료진단그룹을 신설하고 가톨릭대 의생물학 박사 출신의 최희백 상무를 영입했다. 이와 함께, 바이젠셀은 조직 개편을 통해 기존의 3개 본부를 9개 그룹으로 세분화해, 치료제 파이프라인 조기 상용화에도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한편, 보령제약의 관계사인 바이젠셀은 현재 바이티어(ViTier), 바이메디어(ViMedier), 바이레인저(ViRanger)라는 혁신적 플랫폼 기술 3종(국내 최다 보유)을 바탕으로 현재 6종의 난치성 질환 치료제를 개발 중에 있다. 최근에는 임상 가속화와 면역세포치료제 대량생산을 위한 ‘GMP 첨단시설’을 가산디지털단지에 착공했다.
2021.11.15 I 김지완 기자
계열사 상장 추진…제2의 SK바사 노리는 제약사들
  • 계열사 상장 추진…제2의 SK바사 노리는 제약사들
  • [이데일리 김영환 기자] 제약·바이오 기업들이 ‘알짜배기’ 계열사 상장을 경쟁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최근 제약·바이오 섹터에 시장의 관심이 몰리면서 기업공개(IPO)를 통해 투자수익을 얻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이를 바탕으로 신약 개발 등 성장동력 확보에 나서겠다는 의지다.15일 업계에 따르면 보령제약(003850)의 자회사 보령바이오파마가 미래에셋증권, 대신증권을 IPO 공동대표주관회사로 선정하고 본격적인 상장 준비에 돌입했다. 내년 상반기 중 상장예비심사청구를 거쳐 2022년 4분기 상장이 목표다.보령제약은 앞서 지난 8월 관계사인 면역세포 치료제 연구개발 전문 바이오벤처 바이젠셀(308080)을 상장하며 재미를 봤다. 2016년 바이젠셀에 30억원을 투자한 보령제약은 최대주주에 올랐다. 보령제약의 바이젠셀 지분율은 23.6%로, 바이젠셀의 시가총액은 15일 기준 3453억원이다. 보령바이오파마는 보령제약 3세 김정균 보령홀딩스 대표이사가 직·간접적으로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김 대표이사 외 특수관계자가 지분 100%를 보유한 오너일가 기업 보령파트너스가 보령바이오파마의 지분 78.6%를 들고 있다. 김 대표 역시 3.2%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보령바이오파마는 백신 개발 및 제조, 전문의약품 판매, 유전체 검사, 제대혈 은행 등 포트폴리오를 갖췄다. 지난해 처음으로 매출액 1154억원을 기록하며 1000억원을 돌파하는 등 지속적으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보령제약은 바이젠셀에 이어 보령바이오파마까지 잇따라 시장에 선보이는 것이다.이외에도 국내 유수의 제약사들의 상장 계획이 줄줄이 잡혀있다. 일동홀딩스(000230)도 건강기능식품 자회사 일동바이오사이언스의 상장을 추진하고 휴온스(243070)그룹은 휴온스메디케어와 휴온스바이오파마의 상장을 추진 중이다. 또 동국제약(086450)의 자회사 동국생명과학과, 제일약품(271980)의 자회사 온코닉테라퓨틱스, 대웅제약(069620)의 아이엔테라퓨틱스도 모두 상장 계획을 밝혔다. 제약·바이오 기업의 계열사 상장 추진 러시는 SK바이오사이언스(302440)의 상장 대박이 시그널이 됐다. 올 3월 상장한 SK바이오사이언스는 약 1조4000억원을 공모하는 데 성공했다. 이후 반년도 지나지 않아 12조9000억원 수준이던 상장 당시 시총이 두 배 가까이 늘어 24조원을 넘나들기도 했다.업계 관계자는 “국내 제약사들이 시장의 유동성을 확보해 자회사가 개발에 나서는 파이프라인에 투자를 하려는 의도가 있다”라며 “상장 이후 기업이 확보한 파이프라인 등을 통해 기업의 가치를 높이는 데에도 중점을 두고 있다”고 말했다.
2021.10.17 I 김영환 기자
①난치병 해결사로 등장한 '세포치료제'
  • [미래기술25]①난치병 해결사로 등장한 '세포치료제'
  • [이데일리 김지완 기자] 세포치료제는 1세대 재조합 단백질, 2세대 항체치료제를 이은 3세대 바이오 의약품으로 일찍부터 주목받아 왔습니다. 기존의 재조합 단백질 의약품은 체내에서 약효가 짧고 항체 의약품은 다양한 질환에서 활용되기 어렵다는 점이 한계로 지적받아 왔습니다. 반면 세포치료제는 이론적으론 질환의 근본적인 치료가 가능합니다.면역세포치료제 전문기업 바이젠셀의 김태규 대표는 “화학물 치료가 한계에 부딪히면서 바이오 의약품 치료제가 개발되기 시작했다”면서 “항체 치료제가 좋은 효과를 내면서 현재 글로벌 블록버스터 약물로 자리 잡았다. 또 세포치료제는 새로운 형태의 난치병 치료법으로 각광받고 있다”고 진단했습니다. 그는 “세포치료는 수혈, 조혈모세포 이식 등을 통해 이미 많은 생명을 살린 이력이 있다”면서 “세포치료제는 시작 단계이지만 난치병 치료에 새로운 영역을 구축할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이데일리 이미나 기자]세포치료제는 살아있는 세포를 치료에 이용합니다. 세포치료제에 쓰이는 세포의 종류는 줄기세포, 면역세포, 피부세포, 피부·연골 세포로 나눌 수 있습니다. 줄기세포에는 배아줄기세포, 역분화줄기세포, 성체줄기세포 등이 있고 파킨슨병 (Parkinson’s disease),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 척수손상, 뇌졸중, 화상, 심장병, 당뇨병, 류마티스성 관절염 등의 질환을 치료할 수 있습니다.면역세포는 T세포, 자연살해(NK)세포 등이 있고 백혈병, 림프종, 간암, 폐암, 전립선암, 자가면역질환 등을 치료합니다. 체세포는 피부세포와 연골세포가 있고 피부 화상, 흉터, 퇴행성 관절염 등을 치료할 수 있습니다.오늘날 기증된 장기와 조직을 이식함으로써 여러 질병을 치료하고 있으나 이식될 장기는 항상 부족한 실정입니다. 이를 보완할 방법으로 줄기세포를 특수한 형태의 세포로 분화시켜 질병 치료에 사용하는 방법이 개발되고 있습니다.정희진 홍익대 바이오화학공학과 교수는 ‘유전자·세포치료제 개발 현황 및 동향’을 통해 “세포 치료는 장기이식과 비교했을 때 5~10% 비용만으로 치료가 가능하고, 복수의 환자에게 이식이 가능하다”면서 “세포치료는 비침습적이기 때문에 간편한 방법으로 세포 이식이 가능하고 수술이 용이하다”고 설명했습니다. 정 교수는 이외에도 세포치료제가 △유전자 도입이 가능하고 △ 사망률을 낮추고(무병생존기간을 늘리고) △ 환자 자신의 세포를 자가 세포치료제로 개발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고 소개했습니다.면역세포치료는 현재 암 치료에 이용되는 외과적 수술과 방사선치료, 항암화학치료 등과 더불어 ‘제4의 치료법’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기존의 화학항암제에서 면역항암제로 패러다임 전환(Paradigm shift)이 빠르게 전개되고 있습니다. 세대별 항암제를 살펴보면, 1세대 화학항암제는 암세포뿐 아니라 정상세포까지 공격해 부작용이 크고, 2세대 표적항암제는 암세포의 특정 단백질 등을 타깃하여 부작용은 덜하지만 적용 대상이 제한적이고 내성이 생길 수 있습니다. 암이 생기는 근본적인 원인은 체내 면역시스템이 적절하게 작동하지 않아서인데, 3세대 면역항암제는 암과 면역질환의 치료에서 혁신적인 효과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면역항암제는 부작용 측면에서도 기존 항암 요법 대비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특히 ‘CAR-T’(키메라항원수용체) 세포치료제는 혈액암에서 암세포를 완전히 소멸시키며 완치 판정 가능성을 높이고 있습니다.노바티스의 세계 최초 CAR-T 세포치료제 ‘킴리아’(Kymriah)는 소아청소년 재발·난치성 B 세포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 (ALL18)을 대상 임상시험에서 3개월 내 83%의 완전 관해율을 보였습니다. 완전 관해율(Complete Response)은 질병에 대한 모든 임상적 증거가 사라진 비율, 즉 완치 비율을 말합니다.독일 카이트(Kite)사의 CAR-T 세포치료제 ‘예스카타’(Yescarta)는 재발·난치성 거대 B세포 림프종을 적응증으로 합니다. 2회 이상의 항암 치료에 실패한 재발·난치성 림프종 환자의 경우 기존 치료법으로 치료 시 6개월 후의 완전 관해율이 7%에 불과하지만, 예스카타 투여 시 51%의 완전 관해율을 보였습니다. 바이젠셀의 NK·T 세포 림프종 치료제 ‘VT-EBV-N’은 임상에서 5년 무재발 생존율이 90%로 나타났습니다. 종전 치료제의 생존율은 26%에 불과했습니다. 이 치료제는 지난 2019년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희귀의약품으로 지정받았습니다.[이데일리 문승용 기자]
2021.09.28 I 김지완 기자
크래프톤·롯데렌탈 대규모 IPO에 8월 주식발행 10.3% 증가
  • 크래프톤·롯데렌탈 대규모 IPO에 8월 주식발행 10.3% 증가
  • [이데일리 김소연 기자] 크래프톤(259960)·롯데렌탈(089860)·일진하이솔루스(271940) 등 대형 기업공개(IPO) 영향으로 지난달 주식 발행이 전월 대비 10.3% 증가했다. 회사채는 반기보고서 제출로 인한 계절적 요인과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금리 변동성 확대 등으로 일반회사채 중심으로 발행이 줄었다.24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8월 주식 발행 규모는 총 22건, 4조4741억원으로 전월(17건, 4조554억원) 대비 4187억원(10.3%) 증가했다. IPO는 유가증권(코스피)시장 크래프톤, 한컴라이프케어(372910), 아주스틸(139990), 롯데렌탈, 일진하이솔루스 5건을 비롯해 코스닥 7건(HK이노엔(195940)·원티드랩(376980)·플래티어(367000)·딥노이드(315640)·브레인즈컴퍼니(099390)·바이젠셀(308080)·아이비케이에스제16호 기업인수목적)으로 총 12건이었다. 크래프톤은 2조8008억원, 롯데렌탈 4255억원 등 코스피 상장을 위한 대형 IPO를 중심으로 발행 건수와 금액이 증가했다. IPO 자금 조달 규모는 4조877억원으로 전월(7건, 3조2083억원) 대비 27.4%(8794억원) 증가했다. 유상증자는 10건, 3864억원으로 전월(10건, 8471억원) 대비 4607억원(54.4%) 감소했다. 코스피 3건(STX(011810)·국도화학(007690)·콤텍시스템(031820))과 코스닥 7건(쌍용정보통신(010280)·파멥신(208340)·인텔리안테크(189300)놀로지스·로보로보(215100)·씨유메디칼(115480)시스템·에이디칩스(054630)·특수건설(026150))이다. 자료=금융감독원8월 회사채 발행규모는 총 14조8858억원으로 전월(16조9660억원) 대비 2조802억원(12.3%) 줄었다. 일반회사채는 4건,6200억원으로 전월(52건, 4조8230억원) 대비 4조2030억원(87.1%)이나 줄었다. 이는 반기보고서 제출과 휴가철로 계절적 비수기에 접어든 가운데 기준금리 인상으로 금리 변동성이 확대됨에 따라 발행건수가 급감한 영향이다. 일반회사채는 대부분 운영자금 조달 목적이었으며 만기 1년 초과 5년 이하 중기채 위주로 발행됐다. 금융채는 205건, 12조3740억원으로 전월(190건, 11조4050억원) 대비 9690억원(8.5%) 증가했다. 금융지주채가 2건, 2000억원으로 전월 대비 74.6%(5870억원) 감소했다. 은행채는 5조4700억원(27건)·기타금융채 6조7040억원(176건)으로 집계됐다. 신용카드사와 할부금융사는 금융채 발행을 확대했고, 증권사는 금융채 발행을 축소했다.ABS는 1조8918억원으로 전월보다 1조1538억원(156.3%)증가했다. 프라이머리 채권담보부증권(P-CBO) 발행이 없었던 전월과 달리 7733억원(6건)이 발행됐다.지난달 말 기준 전체 회사채 잔액은 615조1683억원으로 전월 대비 3조8210억원(0.6%)이 증가했다. 일반 회사채는 발행액 감소로 순상환으로 전환했다. 8월 기업어음(CP) 및 단기사채 발행실적은 152조2743억원으로 전월보다 15조3793억원(11.2%) 증가했다. 전체 CP 발행실적을 보면 총 38조1592억원으로 전월보다 5조4648억원(16.7%) 증가했다. 자료=금융감독원일반기업이나 금융사 등이 발행하는 일반CP는 13조5678억원으로 전월보다 13% 줄었고,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채권을 기초로 발행하는 PF 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은 3조1998억원, 기타 ABCP는 21조3916억원으로 전월보다 각각 54.3%, 42.4% 증가했다.8월말 기준 CP 잔액은 222조6868억원으로 전월 보다 4.6%(9조8236억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단기사채는 전월보다 9.5% 증가한 114조1160억원이 발행됐다. 단기사채 잔액은 지난달 말 기준 57조7043억원으로 전월보다 1.7% 줄었다.
2021.09.24 I 김소연 기자
②바이오 전성시대…전통 제약사 밸류는 제자리
  • [바이오 파워시프트]②바이오 전성시대…전통 제약사 밸류는 제자리
  • [이데일리 김영환 기자] 제약 권력이 이동하고 있다. 2000년대 초반 인간게놈프로젝트의 성공으로 주목받기 시작한 ‘바이오 산업’은 채 20년도 되지 않아 기존 제약 산업의 판을 뒤흔들고 있다. 전통 화학 의약품을 빠르게 대체하면서 최근들어 바이오의약품이 제약산업의 중심 자리를 꿰차는 형국이다.◇‘바이오’ 대세에 전통 제약사들도 관심바이오 의약품이 대세로 급부상하자 전통 제약사들까지 바이오로 사업의 중심축을 빠르게 옮겨가고 있다. 동아쏘시오그룹은 계열사 에스티팜을 통해 바이오 의약품 개발에 뛰어들었다. 휴온스그룹 지주회사인 휴온스글로벌도 바이오사업 부문을 분할해 독립 법인 휴온스바이오파마를 설립했다. 일동홀딩스는 지난 2019년 개발 중심 바이오벤처 모델 기반 신약개발 회사인 아이디언스를 설립하기도 했다. 전통 제약업체들이 연구개발(R&D) 중심의 바이오 전담 자회사를 설립하는 것은 바이오 의약품에 대한 관심이 제약·바이오 기업을 가리지 않고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바이오벤처 투자를 통한 기술력 확보에도 열을 올리고 있다. 대표적인 것이 지난달 상장에 성공한 보령제약의 관계사 바이젠셀 사례다. 보령제약은 면역세포치료제 전문기업 바이젠셀에 지난 2017년 전략적 투자자로 참여하며 최대주주 자리에 올랐다. 막 성장세를 보이는 바이오벤처를 직접 키우면서 기업 가치와 기술력을 동시에 확보하려는 전략이다.제약바이오 업계 전체로 봐도 바이오가 전통 케미칼 의약품을 압도하는 상황이다. 지난 2017년 이미 신약개발 파이프라인 중 바이오 의약품이 56.4%로 과반을 차지하며 전통 케미칼 의약품 비중을 넘어섰다. ◇셀트리온·삼성바이오로직스 등 바이오 업체 부상지난 2015년 제약·바이오 업계 빅5는 한미약품(128940), 유한양행(000100), 녹십자(006280), 광동제약(009290), 대웅제약(069620)이었다. 5년 뒤인 2020년 제약·바이오 업계 매출 순위는 셀트리온(068270), 유한양행, GC녹십자, 종근당(185750), 광동제약(009290) 순이다. 특히 셀트리온의 약진이 눈에 띈다. 바이오 기업의 대표주자로 떠오른 셀트리온이 전통 제약사를 밀어내고 매출 순위 1위에 이름을 올린 것이다.2015년, 2020년, 2021년 상반기 제약사 매출순위(자료=금감원)2021년 상반기 매출 순위를 보면 이 같은 경향은 더 명확히 드러난다. 셀트리온이 8887억원으로 1위를 지키는 가운데 삼성바이오로직스(207940)가 6730억원으로 새롭게 3위에 이름을 올렸다. 바이오 업체 강세가 더욱 심화되는 양상이다.바이오 기업의 매출 상승폭은 더욱 매섭다. 매출 순위에서는 10위권 밖이지만 코로나19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생산하는 SK바이오사이언스(302440)는 상반기 매출이 329.5%나 급성장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 역시 30.7% 성장세를 보여 대체로 한 자릿수 성장률을 보인 전통 제약사들을 압도했다.제약·바이오 업계 파워시프트로 시장의 관심도 바이오 기업으로 옮겨가는 추세다. 회사의 자산에 비해 주가가 어느 정도 수준에 있는지를 보여주는 주가순자산비율(PBR)에서 SK바이오사이언스와 삼성바이오로직스, 셀트리온 등 바이오 기업이 전통 제약사를 압도했다.코로나19 백신 임상 3상으로 시장의 기대를 한 몸에 모은 SK바이오사이언스는 PBR이 15.94배로 치솟았다. 이 밖에 삼성바이오로직스가 12.95배였고, 셀트리온제약(068760)은 17.76배로 주요 상장 제약·바이오 기업 중 가장 높았다. 반면 매출 순위로는 톱3를 벗어나지 않는 유한양행은 PBR이 2.27배에 그쳤다. 이밖에 GC녹십자홀딩스가 3.7배, 종근당 2.47배, 광동제약 0.71배 등으로 바이오 기업에 비해 전통 제약사들은 박한 밸류에이션을 기록하고 있다. 시장에서는 전통 제약 기업의 성장 가능성을 회의적으로 바라보는 셈이다. ◇대기업, 앞다퉈 ‘바이오 의약품’ 개발에 중점국내 유수의 대기업들도 바이오의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특히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을 거치면서 바이오 분야의 성장성을 확인한 대기업들이 앞다퉈 바이오 사업에 진출하는 모양새다. 삼성그룹은 바이오 산업을 ‘제2의 반도체’로 낙점하고 오는 2023년까지 이 분야에 약 20조원을 투자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이미 바이오 의약품 위탁개발·생산(CDMO) 규모 면에서 글로벌 1위인 삼성은 현재 송도에 건설 중인 4공장에 이어 향후 5·6공장도 추가로 건설해 바이오를 그룹 주력 먹거리로 삼겠다는 목표다.SK바이오사이언스는 아스트라제네카 위탁 생산(CMO)을 통해 경쟁력을 확인했고 특히 코로나19 백신 후보물질 ‘GBP510’가 국내 최초로 임상3상 시험 계획이 승인을 받으면서 성과도 얻었다. GS의 휴젤 경영권 확보나 CJ의 마이크로바이옴 기업 천랩 인수 등 대기업의 바이오 투자 사례는 계속되고 있다.2019 세계 상위 10개 의약품 매출액 현황(자료=2020 식품의약품통계연보)전세계에서 가장 많이 팔린 의약품의 면면을 살펴봐도 제약의 흐름이 바이오로 이동했음을 알 수 있다. 식품의약품통계연보 ‘세계 상위 10개 의약품 매출액 현황’에 따르면 지난 2019년 기준 의약품 10위 중 휴미라, 키트로다, 란투스, 엔브렐, 스텔라라, 옵디보, 트루리시티 등 7개 제품이 바이오 의약품이었다.케미칼 의약품이 바이오 의약품에 비해 열세인 것은 제품 개발 측면에서 사실상 포화상태여서다. 100여년의 제약 역사 동안 글로벌 제약사들이 다양한 신약을 발굴하면서 신약을 찾아내기 쉽지 않다. 바이오 의약품은 치매나 당뇨 등 상대적으로 열세였던 분야에서 발전 가능성이 열려 있다.기존에 정복하지 못한 질병 영역에서 신약이 나오는 만큼 신약은 높은 가치를 붙여 팔 수 있다. SK바이오사이언스와 셀트리온,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올 상반기 영업이익률이 각각 46.6%, 41.7%, 35.5%에 달했다. 유한양행(4.6%), 종근당(8.4%), GC녹십자(2.4%) 등 전통 제약사 영업이익률과 큰 격차를 보인다.이종혁 중앙대 약대 교수는 “바이오 의약품은 우리가 정복하지 못한 질환에 대해 미충족 수요 영역을 열 수 있는 해법을 제시할 가능성이 있다”라며 “바이오 의약품의 경우 부가가치가 높아 기업들이 도전할 수 있는 큰 매력이 있다”라고 말했다.
2021.09.16 I 김영환 기자
 김태규 대표 "면역항암제·억제제 동시 겨냥…세계 최고 목표"
  • [제약바이오 콘퍼런스] 김태규 대표 "면역항암제·억제제 동시 겨냥…세계 최고 목표"
  • [이데일리 박미리 기자] “빠르게 성장하는 글로벌 면역항암제 및 면역억제제 시장에서 세계 최고의 면역세포치료제 기업이 되겠다.”[이데일리 노진환 기자] 제5회 이데일리 글로벌 제약바이오 콘퍼런스가 7일 오후 서울 중구 KG타워에서 개최됐다. 김태규 바이젠셀 대표가 ‘플랫폼 기반의 면역세포 치료제 개발’을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김태규 바이젠셀(308080) 대표는 7일 오후 ‘글로벌 바이오 강소기업의 조건’이라는 주제로 열린 ‘제5회 이데일리 글로벌 제약바이오 콘퍼런스’에서 “난치질환 치료가 ‘전통적 치료’에서 ‘면역세포 치료’로 이동할 수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면역세포 치료제는 면역세포 기능 저하나 과도로 발생하는 질환을 치료하는 것이다.바이젠셀의 핵심 경쟁력은 독자 개발한 면역치료 신약개발 플랫폼 3종인 항원 특이 살해 T세포 치료제 기반기술 ‘바이티어’(VT), 감마델타 T세포 유전자 치료제 기반기술 ‘바이레인저’(VR), 제대혈 유래 골수성 억제세포치료제 기반기술 ‘바이메디어’(VM)다.김 대표는 “플랫폼 기술로 파이프라인 확장 능력을 보유했다”며 “이중 바이티어는 인체 친화적 기억기능보유 살해T세포로 상업화에 최적화된 우수한 배양기술을 지녔다”고 강조했다. 바이티어는 2019년 NK/T세포 림프종 대상 희귀의약품에 지정되기도 했다.바이젠셀은 면역항암제·면역억제제 시장을 동시 공략할 계획이다. 글로벌 면역항암제 시장은 2018년부터 연평균 16.4% 성장해 2024년 약 55조원, 면역억제제 시장은 연평균 16.8% 성장해 약 41조원 규모가 될 전망이다. 김 대표는 “맞춤 치료제(바이티어)와 범용 치료제(바이레인저·바이메디어) 특성에 최적화된 다각적인 사업화에 나설 것”이라고 했다.바이티어 관련 전략은 자체 cGMP를 구축해 직접 생산 및 품질 관리, 최대주주인 보령제약을 통한 국내 맞춤 치료제 공급 등이다. 바이레인저·바이메디어는 글로벌 공동개발 및 기술이전 추진, 기술이전 이후 연구개발 확장, 해외임상 등이다.
2021.09.07 I 박미리 기자
 글로벌 강소기업 떠오른 K-바이오, 비결을 파헤치다
  • [알림] 글로벌 강소기업 떠오른 K-바이오, 비결을 파헤치다
  • [이데일리 송영두 기자] 이데일리는 오는 7일 ‘제5회 이데일리 글로벌 제약바이오 콘퍼런스’를 개최합니다.‘글로벌 바이오 강소기업의 조건’이라는 주제로 열리는 이번 콘퍼런스에서는 바이오 벤처에서 출발, 해외에서도 러브콜을 보내는 글로벌 강소기업으로 키워낸 국내 대표적 바이오 대표들을 비롯해 바이오 투자에 주력하고 있는 벤처캐피털(VC) 수장들이 발표에 나섭니다. 국내 대형 벤처캐피털이자 바이오 분야 집중투자로 주목받고 있는 스마일게이트인베스트먼트 구영권 대표와 국내 최대 벤처캐피털 한국투자파트너스 황만순 대표가 K-바이오가 글로벌 도약을 위한 조건들과 VC역할에 대해 제언합니다.국내 마이크로바이옴 산업을 선도하고 있는 지놈앤컴퍼니(314130) 배지수 대표와 항체 분야 최고 기업으로 꼽히는 와이바이오로직스 박영우 대표는 각각 마이크로바이옴 신약개발을 통한 강소기업으로의 성장 비결과 다수 항체 기술이전 비즈니스로 글로벌 시장에서도 주목받는 비결 등을 공유합니다. 면역세포 치료제 다크호스로 떠오른 바이젠셀(308080) 김태규 대표와 코로나19로 관심이 급부상한 백신과 면역치료제 개발로 글로벌 진출을 노리는 차백신연구소 염정선 대표도 글로벌 성장 전략에 대해 발표에 나섭니다.코로나19로 인해 비대면으로 진행하는 이번 행사는 유튜브를 통해 실시간 생중계되니 누구나 관람할수 있습니다(행사 당일 유튜브에서 ‘약오른기자들’로 검색). 국내 K-바이오 기업들에 대해 관심을 갖고 있는 많은 분들의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일시: 9월7일(화) 14:00~16:20●장소 :KG타워 하모니홀●문의: 이데일리 글로벌 제약바이오 콘퍼런스 사무국(02-3772-0321)
2021.09.01 I 송영두 기자
바이젠셀, 상장 첫 날 '약세'… 공모가는 웃돌아
  • 바이젠셀, 상장 첫 날 '약세'… 공모가는 웃돌아
  • [이데일리 권효중 기자] 면역항암제 및 면역억제제를 개발하는 바이오 기업 바이젠셀(308080)이 코스닥 시장 상장 첫 날 약세다. 다만 시초가가 공모가보다 높게 형성된 만큼 공모가는 웃돌고 있다. 25일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오전 9시 4분 현재 바이젠셀은 시초가 대비 9.93%(7300원) 낮은 6만6200원을 기록중이다. 시초가는 공모가(5만2700원)보다 약 28.5% 높은 7만3500원으로 결정했다. 바이젠셀은 앞서 지난 6일과 9일 기관 대상 수요예측에서 경쟁률 1271.21대 1을 기록해 공모가를 희망밴드(4만2800~5만2700원) 최상단인 5만2700원으로 확정했다. 당시 수요예측에는 국내외 기관 1443곳이 참여했다.이어 지난 12~13일 진행된 청약에서는 경쟁률 886대 1을 기록, 증거금 약 11조131억원을 끌어모았다. 증권사별로는 △대신증권 908대 1 △KB증권 853.4대 1을 각각 기록했다.2013년 설립된 바이젠셀은 각종 암질환, 면역질환 등을 타깃으로 면역항암제 및 면역억제제를 연구개발하는 면역세포치료제 전문기업으로, 지난 2017년 보령제약(003850)이 전략적 투자자로 참여, 최대주주에 올랐다. 보령제약 등 최대주주의 지분율은 상장 후 기준 약 29.7%다. 회사는 △맞춤형 T세포 면역항암치료제 ‘바이티어’(ViTier, VT) △범용 감마델타T세포 면역항암치료제 ‘바이레인저’(ViRanger, VR) △범용 면역억제치료제 ‘바이메디어’(ViMedier, VM) 등 3종의 플랫폼을 보유하고 있다. 해당 플랫폼을 통한 의약품 개발을 통해 조건부 품목허가 획득, 조기 상업화 등에 나선다는 목표를 갖고 있다.
2021.08.25 I 권효중 기자
  • [증시캘린더]이번주(8월3주) 디앤디리츠·바이젠셀 상장 등
  • [이데일리 김겨레 기자] 이번 주에는 디앤디플랫폼리츠가 유가증권 시장에, 면역세포치료제 업체 바이젠셀이 코스닥시장에 상장한다. 유가증권 시장을 중심으로 2분기 실적 발표 컨퍼런스콜도 이어진다. 8월 23일△SK리츠 수요예측- 23일~24일 기관투자자 대상 수요예측. 30일~9월 1일 3일간 일반 청약-공모가 5000원.- 1조원 규모의 SK서린빌딩을 매입하고 클린에너지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클린에너지리츠)의 지분 100%를 편입.△LG(003550) 2분기 실적 기업설명회8월 24일 △에이비온 수요예측-이달 24~25일 기관투자자 대상 수요예측. 오는 30~31일 일반 청약. -공모 희망 밴드 1만4500~1만7000원.-코넥스에서 코스닥으로 이전 상장. 기술특례상장으로 지난해 100억원대 영업손실 기록.-환자 맞춤형 표적항암제(약물 투여 전에 암의 원인이 되는 특정 요인의 유무를 판별해 약물 반응이 높을 잠재 환자군에게 약물을 투여하는 방법)를 개발.△일진하이솔루스 청약 -24∼25일 일반 청약. -공모 희망 밴드 2만5700~3만4300원.-선박·자동차용 수소연료탱크 생산. 현대중공업, 삼성중공업과 수소 선박을 공동개발하고 현대차와 수소차 사업 협력. △IBKS제16호스팩 청약 -24~25일 일반 청약-공모가 2000원-합병 중점 산업군 디스플레이, 모바일, 게임, 바이오·의료, 화장품 등 선정.△에스앤디 청약-24~25일 일반 청약-공모 희망 밴드 3만~3만 2000원-불닭 볶음면을 비롯한 각종 라면에 들어가는 분말과 액상소스 생산. △현대차(005380)·롯데제과(280360) 2분기 실적 기업설명회8월 25일△바이젠셀 상장-암질환, 면역질환 등을 타깃으로 면역항암제 및 면역억제제를 연구개발하는 면역세포치료제 개발. -5만2700원, 일반 공모 청약 경쟁률 886.2대 1△와이엠텍 수요예측-25~26일 기관투자자 대상 수요예측. 31일~9월 1일 일반 청약.-공모 희망 밴드 2만1000~2만5000원.-전기차 및 에너지저장장치, 태양광 인버터 등에 들어가는 직류 고전압 릴레이 제조. 릴레이란 직류 고전압을 제어하는 스위치(개폐) 장치로, 파나소닉·덴소 등 소수의 해외 기업들이 주도하던 기술 국산화. △엔에이치스팩20호 수요예측-25~26일 기관투자자 대상 수요예측. 30~31일 일반 청약.-코스닥 시장에 상장하는 스팩 중 가장 큰 500억원 규모. △현대모비스(012330) 2분기 실적 기업설명회8월 26일 △유진스팩7호 수요예측-26~27일 기관투자자 대상 수요예측. 9월 2~3일 일반 청약. -공모가 2000원.△기아(000270)·종근당·미래에셋생명 2분기 실적 기업설명회8월 27일△디앤디플랫폼리츠 상장- SK디앤디가 개발한 신축 오피스인 세미콜론 문래와 백암 파스토 물류센터, 일본 오다와라 아마존 물류센터 등을 기초 자산으로 하는 리츠-공모가 5000원, 일반 공모 청약 경쟁률 36.43 대 1.
2021.08.22 I 김겨레 기자
바이젠셀, 공모 성황리 마감…보령제약, 50배 투자 이익 확보
  • 바이젠셀, 공모 성황리 마감…보령제약, 50배 투자 이익 확보
  • [이데일리 김영환 기자] 면역세포치료제 전문기업 바이젠셀이 공모주 청약에서 흥행을 기록하면서 최대주주인 보령제약도 웃었다. 5년전 투자한 30억원은 50배 가량 늘은 1500억원의 지분 가치로 평가받는다.16일 바이젠셀 상장주관사인 대신증권과 KB증권에 따르면 바이젠셀은 지난 12~13일 양일간 총 공모주식 수의 25%인 47만1620주에 대해 일반투자자 대상 공모주 청약을 진행한 결과 886.2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4억1795만4810주의 청약이 접수됐고 증거금은 약 11조131억원으로 집계됐다.앞서 바이젠셀은 지난 6일과 9일 기관투자자 대상 수요예측을 통해 공모가를 희망가 밴드(4만2800원~5만2700원) 최상단인 5만2700원으로 확정했다. 수요예측에는 국내외 기관 총 1443곳이 참여해 1271.21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바이젠셀은 지난 2013년 설립된 면역세포치료제 전문기업이다. 각종 암질환, 면역질환 등을 타깃으로 면역항암제 및 면역억제제를 연구·개발하고 있다. 2017년에는 보령제약이 전략적 투자자로 나서 최대주주로 올라섰다. 보령제약은 2016년 7월 바이젠셀 구주(6만주)와 전환사채(CB·7만5000주)에 총 30억원을 투자한 바 있다.보령제약은 바이젠셀의 지분 29.5%를 확보한 최대주주다. 이번 IPO 흥행으로 보령제약은 50배 가량의 지분 투자 이익을 얻었다. 바이젠셀은 상장 후 시가총액이 공모가 기준 4971억원 규모로 바이젠셀의 지분 가치는 1500억원 수준이다.상장주관사인 대신증권과 KB증권은 바이젠셀의 추정 실적을 2023년 62억3600만원, 2024년 238억3000만원, 2025년 786억5000만원으로 전망했다. 영업이익와 당기순이익은 2024년께야 흑자를 낼 것으로 봤다. 바이젠셀은 2023년 임상 2상 완료 후 조건부 품목허가를 취득해 조기 상업화에 나서겠다는 목표다.김태규 바이젠셀 대표이사(사진=바이젠셀)
2021.08.16 I 김영환 기자
바이젠셀, 청약경쟁률 886대1…11조 뭉칫돈 몰려
  • [마켓인]바이젠셀, 청약경쟁률 886대1…11조 뭉칫돈 몰려
  • [이데일리 김인경 기자] 바이젠셀이 일반 투자자를 상대로 한 공모주 청약에서 886.2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고 13일 밝혔다. 바이젠셀의 상장을 주관하고 있는 대신증권과 KB증권에 따르면 12~13일 양일간 실시한 바이젠셀 공모주 청약에 11조131억원이 몰렸다. 총 공모주식 수는 188만6480주로 이 중 25%인 47만1620주에 대해 일반 청약을 받았는데 무려 4조1795만4810주의 청약이 접수된 것이다. 증권사별 경쟁률은 대신증권이 908대1, KB증권이 853.4대1을 각각 기록했다. 바이젠셀은 이미 지난 6일과 9일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한 수요예측에서도 국내외 1443개 기관이 참가, 1271.21대 1이라는 경쟁률을 기록하며 뜨거운 관심을 모은 바 있다. 공모가 역시 회사 측이 제시했던 희망 범위(4만2800~5만2700원)에서 최상단인 5만2700원으로 확정했다.바이젠셀의 상장 예정일은 오는 25일 상장할 계획으로 공모가 기준 시가총액은 4971억원 규모이다. 이번 공모를 통해 바이젠셀은 994억원을 조달한다. 바이젠셀의 지난해 매출은 없었고, 영업손실 79억원, 당기순손실 104억원을 기록했으며 기술특례방식으로 코스닥에 상장하게 됐다.회사는 이번 공모를 계기로 △기술 고도화 및 임상시험을 통한 파이프라인 경쟁력 강화 △신규 파이프라인 발굴 및 연구개발 확대 △cGMP 시설 구축 및 주요 설비 도입 △사업화 전략 및 글로벌 시장 확대 등을 위한 집중 투자에 나설 계획이다. 김태규 바이젠셀 대표이사는 “회사의 잠재력과 성장성을 믿고 수요예측과 청약에 관심을 보내주신 모든 투자자들에 감사 드린다”면서 “상장을 계기로 혁신 신약 개발을 가속하고, 향후 임상, 기술이전 등의 성과를 창출하면서 세계적인 면역세포치료제 선도기업으로 도약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2013년 설립된 바이젠셀은 각종 암질환, 면역질환 등을 타깃으로 면역항암제 및 면역억제제를 연구개발하는 면역세포치료제 전문기업으로, 2017년 전략적 투자자로 최대주주에 오른 보령제약(003850)의 관계사이다. 보령제약 등 최대주주 지분율은 기존 37.17%에서 상장 후 29.7%로 다소 낮아진다. 회사는 △맞춤형 T세포 면역항암치료제 ‘바이티어’(ViTier, VT) △범용 감마델타T세포 면역항암치료제 ‘바이레인저’(ViRanger, VR) △범용 면역억제치료제 ‘바이메디어’(ViMedier, VM) 등 3종의 플랫폼을 보유하고 있다. 바이티어를 통해 발굴된 주력 파이프라인 NK/T 세포 림프종 치료제(VT-EBV-N)는 현재 국내 임상2상을 진행 중이며, 지난 2019년 개발단계 희귀의약품 지정을 받았다. 이에 따라 2023년 임상(2상) 완료 후 조건부 품목허가를 취득해 조기 상업화에 나선다는 목표다.
2021.08.13 I 김인경 기자
바이젠셀, 청약 1일차 경쟁률 118.15대 1 기록
  • [마켓인]바이젠셀, 청약 1일차 경쟁률 118.15대 1 기록
  • [이데일리 유준하 기자] 면역세포치료제 전문기업 바이젠셀이 일반 청약을 진행, 1일차 최고 청약 경쟁률 118.15대 1을 기록했다. 이날 증거금은 약 9806억원이 몰린 것으로 추산된다. 바이젠셀은 기술특례를 통한 코스닥시장 상장을 추진 중이다.12일 주관사인 대신증권(003540)에 따르면 청약 1일차 경쟁률은 52.75대 1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KB증권은 118.15대 1로 집계됐다. 각사별 공모 주식 수는 28만2972주, 18만8648주로 증거금이 5873억원, 3933억원이 몰렸다.바이젠셀은 지난 11일 최종 공모가를 희망 범위 최상단인 5만2700원에 확정했다. 상장을 주관하는 대신증권과 KB증권에 따르면 회사는 지난 6일과 9일 기관투자자 대상 수요예측을 진행했다. 수요예측에는 국내외 총 1443개 기관이 참여해 경쟁률은 1271.21대 1을 기록했다. 전체 참여 기관 중 99.6%가 공모가 밴드 상단 이상(미제시 포함)의 가격을 제시했다.상장 후 일정 기간 주식을 팔지 않겠다는 ‘의무보유확약’을 제시한 기관은 총 184곳으로 전체 건수의 12.75%였다. 바이젠셀의 총 공모주식 수는 188만6480주로 전량 신주 모집이다. 회사는 이번 공모를 통해 확정 공모가 기준 약 994억원을 조달하게 된다. 공모 자금은 상장 후 연구개발과 시설투자, 운영자금 등으로 활용될 예정이다.일반 투자자 청약은 오는 13일까지 진행 후 이달 말 상장할 전망이다. 상장 후 예상 시가총액은 공모가 기준 4971억원이다.
2021.08.12 I 유준하 기자
바이젠셀, 공모가 5만2700원 확정…12~13일 일반청약
  • [마켓인]바이젠셀, 공모가 5만2700원 확정…12~13일 일반청약
  • [이데일리 김재은 기자] 코스닥 상장을 추진 중인 면역세포치료제 전문기업 바이젠셀 공모가가 주당 5만2700원으로 확정됐다. 바이젠셀은 지난 6일과 9일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수요예측을 실시하고 공모가를 희망가 밴드 상단인 5만2700원으로 확정했다고 11일 밝혔다. 당초 공모 희망가 범위는 4만2800원부터 5만2700원이었다. 바이젠셀의 상장을 주관하고 있는 대신증권(003540)과 KB증권에 따르면 이번 수요예측에는 국내외 총 1443개 기관이 참여해 1271.21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으며, 참여 기관 중 99.6%가 공모가 밴드 상단 이상의 가격을 제시한 것으로 집계됐다. 김태규 바이젠셀 대표이사는 “많은 기관들이 당사의 비전과 잠재력을 믿고 수요예측에 적극적으로 참여해 주신 데 대해 깊이 감사 드린다”며 “회사의 핵심 경쟁력과 파이프라인을 강화하고 임상 및 사업화에 주력해 기업가치와 주주가치를 극대화하겠다”고 강조했다. 바이젠셀의 총 공모주식수는 188만6480주로 100% 신주 모집이다. 회사는 이번 공모를 통해 확정 공모가 기준 약 994억원을 조달할 예정이며, 이 자금은 연구개발 및 시설투자, 운영자금 등으로 활용된다. 특히 △기술 고도화 및 임상시험을 통한 파이프라인 경쟁력 강화 △신규 파이프라인 발굴 및 연구개발 확대 △cGMP 시설 구축 및 주요 설비 도입 △사업화 전략 및 글로벌 시장 확대를 위한 운영 등에 투자를 확대할 계획이다. 일반 투자자 청약은 오는 12일과 13일 양일간 진행된다. 바이젠셀은 기술특례를 통한 코스닥 상장을 추진 중이며, 8월 말께 상장 예정이다. 상장 후 예상 시가총액은 공모가 기준 4971억원 규모이다. 바이젠셀의 지난해 매출은 없었고, 영업손실 79억원, 당기순손실 104억원을 기록했다. 바이젠셀은 각종 암질환, 면역질환 등을 타깃으로 면역항암제 및 면역억제제를 연구개발하는 면역세포치료제 전문기업으로, 2013년 설립됐다. 2017년에는 보령제약(003850)이 전략적 투자자로 최대주주에 올랐다. 보령제약 등 최대주주 지분율은 기존 37.17%에서 상장 후 29.7%로 다소 낮아진다. 바이젠셀의 핵심 경쟁력은 독자 개발한 면역치료 신약 개발 플랫폼 기술로, 회사는 △맞춤형 T세포 면역항암치료제 ‘바이티어’(ViTier, VT) △범용 감마델타T세포 면역항암치료제 ‘바이레인저’(ViRanger, VR) △범용 면역억제치료제 ‘바이메디어’(ViMedier, VM) 등 3종의 플랫폼을 보유하고 있다. 주력 파이프라인은 ‘바이티어’를 통해 발굴된 NK/T 세포 림프종 치료제 ‘VT-EBV-N’으로, 현재 국내 임상2상을 진행 중이며, 지난 2019년 개발단계 희귀의약품 지정을 받았다. 이에 따라 2023년 임상(2상) 완료 후 조건부 품목허가를 취득해 조기 상업화에 나선다는 목표다. 그 외에도 바이티어 플랫폼의 급성골수성백혈병 ‘VT-Tri(1)-A’, 교모세포종 ‘VT-Tri(2)-G’, 바이레인저의 γδT세포(감마델타T세포) 범용 면역세포치료제 ‘VR-CAR’, 바이메디어의 이식편대숙주질환(GVHD) ‘VM-GD’, 아토피피부염 ‘VM-AD’ 등의 파이프라인을 보유하고 있다. 이 가운데 급성골수성백혈병과 이식편대숙주질환은 각각 임상1상, 임상1/2a상 중이다.
2021.08.11 I 김재은 기자
'시총 2조' HK이노엔 이어 딥노이드·바이젠셀 등 하반기 IPO 대기
  • '시총 2조' HK이노엔 이어 딥노이드·바이젠셀 등 하반기 IPO 대기
  • [이데일리 김영환 기자] 전세계적 코로나19 대유행 속에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의 기업공개(IPO)가 탄력을 받고 있다. 코로나19 4차 유행이 가라앉지 않으면서 제약·바이오 IPO에 대한 높은 관심도 유지되는 형국이다. 올 하반기에도 10개사 이상의 기업들이 IPO 후발주자로 대기 중이다.HK이노엔(195940)이 지난 9일 코스닥 입성 첫 날 시총 2조원을 넘어서면서 지난달 코스피와 코스닥에 각각 상장한 에스디바이오센서(137310)·큐라클(365270)과 함께 하반기 IPO 시장의 문을 열었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딥노이드, 바이오플러스, 바이젠셀, 프롬바이오 등 유망한 제약·바이오 기업이 줄줄이 상장을 예고한 상태다.딥노이드는 지난 2008년 설립된 의료 AI 솔루션 기업이다. 의료인의 진단·판독을 보조하는 의료 AI 솔루션 ‘딥에이아이(DEEP:AI)’, 코딩없이 다양한 AI 솔루션을 개발할 수 있는 툴 ‘딥파이(DEEP:PHI)’ 등이 대표적이다. 지난 2~3일 국내외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수요예측을 진행해 공모가 4만2000원을 확정했다.바이젠셀은 2013년 설립된 면역세포치료제 전문 기업으로 2017년 보령제약(003850)의 전략적 투자를 유치하며 시장의 관심을 받았다. 독자 개발한 △맞춤형 T세포 면역항암치료제 ‘바이티어’(ViTier, VT) △범용 T세포 면역항암치료제 ‘바이레인저’(ViRanger, VR) △범용 면역억제치료제 ‘바이메디어’(ViMedier, VM) 등 3종의 플랫폼이 핵심 경쟁력이다. 11일 확정 공모가를 발표할 예정이다.생체재료 응용 분야 전문기업 바이오플러스와 건강기능식품 기업 프롬바이오도 최근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본부로부터 상장을 위한 예비심사승인을 받았다. 바이오플러스는 오는 10월, 프롬바이오는 오는 9월 상장하겠다는 목표다. 이외에도 노보믹스, 레몬헬스케어, 애드바이오텍, 엑셀세라퓨틱스, 엔지노믹스, 와이바이오로직스, 지니너스, 차백신연구소 등 제약·바이오, 헬스케어 기업이 IPO를 추진 중이다.제약·바이오 업체가 줄지어 IPO에 나서는 것은 지난해부터 이어진 벤처캐피탈의 투자 확대와 금융감독원 기술특례 상장의 영향이라는 평가다. 바이젠셀, 차백신연구소 등이 현재 기술특례 상장을 추진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차별화된 기술을 보유한 회사는 기술성 평가와 함께 IPO를 준비한다”고 말했다.다만 일각에서는 제약·바이오주에 쏠리는 높은 관심에 우려 섞인 목소리도 나온다. 코로나19 영향으로 전례 없는 성장을 이루긴 했으나 뚜렷한 성장 모멘텀을 제시하지 못하면 ‘돈잔치’로만 얼룩질 수 있다는 지적이다. 하반기 높은 기대를 받았던 에스디바이오센서와 HK이노엔은 ‘따상’(시초가가 공모가 두 배로 결정된 후 상장 첫날 상한가)’에 실패했다.업계 관계자는 “코로나19 이후에 기업의 성장 모멘텀을 뚜렷하게 제시할 필요가 있다”라며 “바이오주 특성상 장기적인 시점에서 투자를 고려해야 할 것”이라고 전했다.
2021.08.10 I 김영환 기자
바이젠셀, 국내 임상 파이프라인만으로 기술성평가 통과한 비결
  • [바이오 스페셜]바이젠셀, 국내 임상 파이프라인만으로 기술성평가 통과한 비결
  • [이데일리 김유림 기자]바이젠셀이 국내 임상 파이프라인만으로 한국거래소의 기술성평가 벽을 넘고 코스닥 상장을 앞두고 있다. 회사는 상업화에 가장 근접한 신약 파이프라인 특성상 글로벌 임상이 적합하지 않다고 설명했다. 다만 업계에서는 보령제약(003850)이라는 굴지의 대형제약사가 최대주주라는 점이 기술성평가 통과에 주요하게 작용했을 것으로 분석했다. (사진=이미지투데이)9일 제약업계에 따르면 바이젠셀은 오는 8월 말 기술특례상장 방식으로 코스닥 시장에 입성한다. 2005년 도입된 기술특례상장은 거래소가 인증한 22개 전문 평가기관 중 2곳을 임의로 지정받아 1개 기관에서 A, 또 다른 기관에서 BBB 등급 이상의 평가 결과를 받아야 한다. 이후 거래소가 진행하는 상장 적격성 심사를 거치면 코스닥 상장 자격을 얻을 수 있다. 기술특례상장이 다른 특례상장(이익미실현, 성장성특례) 방식보다 어려운 점은 ‘기술성평가’다. 이익미실현과 성장성특례는 바이오텍이 직접 선택한 기관에서 평가를 받을 수 있다. 대형증권사 IPO 관계자는 “전문 평가기관 중에 유독 까다로운 곳이 있고, 좋은 등급을 받기 좀 더 수월한 곳이 있다”며 “평가 방식이 명확하게 없기 때문에 전문기관에 따라 합격이 갈릴 수가 있다. 당연히 회사가 선택한 곳보다 거래소에서 지정한 기관의 기술성평가 통과가 더 어렵다”고 설명했다. 바이젠셀은 지난 3월 거래소가 지정한 전문 평가기관 2곳으로부터 기술의 완성도 및 성장 잠재력, 기업의 성장 가능성, 인력 수준 등 다방면에 걸쳐 평가를 받은 결과, 각각 A, BBB 등급을 받으며 기술성평가를 통과했다. 업계에서는 바이오젠의 파이프라인 모두 국내 임상을 진행 중이라는 점에서 이례적이라고 평가했다. 바이젠셀의 핵심 기술은 맞춤형 T세포 면역항암치료제 바이티어(ViTier, VT), 범용 감마델타T세포 면역항암치료제 바이레인저(ViRanger, VR), 범용 면역억제치료제 바이메디어(ViMedier, VM) 등 3종의 플랫폼이다. 바이티어 기술을 적용한 림프종 치료제 VT-EBV-N은 현재 국내 임상 2상을 진행 중이며, 바이메디어 기술 파이프라인 이식편대숙주질환 VM-GD, 아토피피부염 VM-AD은 각각 국내 임상 1/2a상, 전임상 단계다. 바이레인저 고형암 및 혈액암 치료제 VR-CAR는 전임상 중에 있다.자산운용사 대표는 “특례상장 바이오기업의 사고가 연이어 터지면서 기술성평가를 통과하기가 더 힘들어졌다. 정량과 정성평가 비중이 따로 없기 때문에 탈락과 합격 사례를 업계에서 자체적으로 분석한 결과 글로벌 임상, 라이선스 아웃 두 가지를 충족할 경우가 많았다. 투자를 한 비상장사 바이오텍 대부분 이 조건을 충족시키려고 노력하는데, 바이젠셀의 사례는 흔치 않다. 아무래도 연구개발 능력이 검증된 보령제약이 바이젠셀 뒤에 있다는 점이 주요하게 작용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바이젠셀의 최대주주는 29.50%를 보유하고 있는 보령제약이다. 보령제약은 고혈압 신약 카나브 개발 및 상업화 성공을 시장에 입증한 바 있다. 카나브는 2010년 9월 국내 15호 신약으로 허가받았다. 2011년 3월 1일자로 보험약가에 등재돼 처방이 시작됐다. 총 6종의 카나브패밀리는 지난해 처방실적 1000억원 목표를 달성한 데 이어 올해 매출 2000억원에 도전한다.보령제약은 바이젠셀을 적극적으로 밀어주고 있다. 보령제약은 바이젠셀과 림프종 치료제 파이프라인 VT-EBV에 대한 공동투자 체결한 상태다. 계약을 통해 VT-EBV의 NK/T세포 림프종 적응증에 대한 국내 독점 판매권을 10년간 보유, 향후 적응증이 추가되면 해당 적응증의 독점 판매권에 대한 우선협상권을 보유한다.바이젠셀 측은 개발 속도가 가장 빠른 플랫폼기술 ‘바이티어’ 특성상 글로벌 임상이 적당하지 않다는 입장이다. 바이젠셀 관계자는 “바이티어는 맞춤형 세포치료제다. 해외 임상을 하게 되면 환자 혈액을 한국에 가져온 후 배양해서 다시 외국으로 보내서 환자에게 투여해야 한다. 시간이 안 맞고 효율적이지 않다”며 “독자 개발 플랫폼기술이기 때문에 기술이전을 하면 기술유출 위험도 있다. 국내 허가를 받은 이후 해외 환자를 국내로 유치하는 쪽으로 사업방향성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다만 개발 초기 단계인 범용 파이프라인 두 가지는 기술이전과 글로벌 임상을 할 수 있다”고 했다.
2021.08.09 I 김유림 기자
"공모주 투자=수익" 공식 통했다…새내기株 80%이상 공모가 웃돌아
  • "공모주 투자=수익" 공식 통했다…새내기株 80%이상 공모가 웃돌아
  • 올해 신규 상장한 공모주들의 기간별 수익 비율(단위: %, 자료: 한국거래소)*스팩·리츠·분할 후 상장은 제외[이데일리TV 성주원 기자] 최근 공모가 고평가 논란에 휩싸였던 카카오뱅크(323410)가 상장 후 2거래일 연속 주가 급등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9일 코스닥시장에 신규상장한 HK이노엔(195940)도 급등 출발하며 코스닥 시가총액 20위 진입을 시도하고 있다. 이처럼 올해 국내 주식시장에 데뷔한 새내기주 10종목 중 8~9종목은 투자자에게 수익을 안겨주며 ‘공모주 투자=수익’ 공식이 ‘참’임을 증명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올해 유가증권시장 또는 코스닥시장에 신규 상장한 공모주(스팩·리츠·분할 후 상장 제외) 46종목 가운데 공모가 대비 지난 6일 종가가 상승 마감한 종목은 40종목(87%)으로 집계됐다. 공모주 청약투자자 대부분이 현재 수익권에 있다는 뜻이다. 이 가운데 최고 상승률 종목은 자이언트스텝(289220)(716.4%)이다. 지난 3월24일 코스닥시장에 데뷔한 자이언트스텝은 지난 6일 8만9800원에 장을 마쳤다. 공모가 1만1000원 대비 8배 이상 뛰었다. 최고가는 지난 달 장중 기록한 11만3100원이다. 기간 대비 상승률로 보면 맥스트(377030)(446%)가 압도적이다. 지난 달 27일 코스닥 상장 후 불과 9거래일만에 공모가(1만5000원) 기준 5배 이상 급등했다. 지난 6일 종가는 8만1900원이다. 맥스트는 자이언트스텝과 함께 메타버스(Metaverse, 가상세계를 뜻하는 신조어) 관련주로 꼽히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자이언트스텝의 디지털휴먼 프로젝트 ‘빈센트’ 모습. 자이언트스텝 제공.기간별 수익 비율을 보면 상장 후 첫 1주일에 비해 1개월 경과 후 수익 유지 비율이 떨어졌다. 기관이 공모주를 많이 받는 대신 주가 안정성을 위해 일정기간(15일·1개월·3개월·6개월) 주식을 팔지 않겠다고 약속하는 ‘의무보유확약’ 영향으로 풀이된다. 의무보유 기간이 처음으로 풀리는 15일 또는 1개월 시점에 매물 부담이 가격에 반영됐다는 뜻이다. 상장 후 1주일이 지난 45종목 중 39종목(86.7%)이 수익권에 있지만 상장 후 1개월 기준으로는 수익권 비율이 80%(40종목 중 32종목)로 낮아졌다. D+3개월 기준 82.1%(28종목 중 23종목), D+6개월 기준 80%(10종목 중 8종목)으로 상장 1개월 이후로는 수익 유지 비율에 큰 변화가 없었다.크래프톤의 대표 게임 ‘배틀그라운드’ 모습. 크래프톤 제공.카카오뱅크와 HK이노엔, 크래프톤 등 IPO(기업공개) 초대어 청약은 마무리됐지만 이번 달 진행하는 공모주 청약은 여전히 많다. 이번 주에는 롯데렌탈, 브레인즈컴퍼니, 아주스틸(이상 9~10일), 바이젠셀(12~13일) 등이 청약을 진행한다. 특히 이날부터 이틀간 공모주 청약이 진행되는 롯데렌탈에 대해 호평이 잇따르고 있다. 최종경 흥국증권 리서치팀장은 “롯데렌탈은 오토렌탈(렌터카)과 일반렌탈(OA·IT기기 등)의 안정적인 실적에 중고차와 그린카(모빌리티) 부문의 고성장이 더해지는 균형 잡힌 실적과 효율성 증대에 따른 수익성 제고가 매우 매력적”이라며 “고성장 미래 모빌리티 플랫폼 그린카의 기업가치가 공모희망가격 계산에서 제외된 것도 투자시 참고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카카오뱅크가 공모가 고평가 논란에도 상장 이후 급등세를 이어가는 가운데 첫 거래를 하루 앞둔 크래프톤의 주가 흐름에도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김진구 KTB투자증권 연구원은 “크래프톤 신작 성과 업사이드 리스크, IP 확장성 및 공모자금 기반 투자 확대 등 우호적 여건을 최대로 반영하면 타깃 PER(주가수익비율) 30배를 적용할 수 있다”며 “시가총액 28조원에 해당하는 주당 58만원을 크래프톤의 적정가치로 제시한다”고 말했다.올해 신규 상장한 공모주의 공모가 대비 등락률 현황(지난 6일 종가 기준, 단위: 원, %, 자료: 한국거래소)
2021.08.09 I 성주원 기자
1 2 3 4 5 6 7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