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렬
  • 영역
  • 기간
  • 기자명
  • 단어포함
  • 단어제외

뉴스 검색결과 10,000건 이상

“우크라이나 리스크에 주가 조정…매수 대응 필요”
  • “우크라이나 리스크에 주가 조정…매수 대응 필요”
  • [이데일리 유준하 기자] 국내 증시가 최근 우크라이나 지정학적 리스크로 하락한 가운데 이같은 주가 조정은 매수 대응이 필요하다는 전문가 분석이 나온다.우크라이나군 병사들이 13일(현지시간) 리투아니아에서 키예프 보리스필 공항으로 공수된 미국산 FIM-92 스팅어 휴대용 지대공 미사일 박스 등 군사지원 물품을 옮기고 있다. (사진=AFP)지난 15일 코스피 지수는 2700선을 하회했다. 지난 11일부터 3거래일간 3.4%나 하락했으며 기관은 5650억원 어치 순매도세를 보였다. 김영환 NH투자증권 연구원은 “국내 기관 중에는 사모펀드가 2224억원, 금융투자가 1910억원을 매도하는 등 매도 규모가 컸다”면서 “동기간 코스닥 지수는 6.2% 하락해 코스피 지수 대비 더 큰 낙폭을 기록했다”고 짚었다.우크라이나 리스크는 유가 불안을 심화시키는 요인이라는 점에서 부정적이다. 김 연구원은 “미국이 예고한 2월16일 이후에도 군사 대치가 해소되지 않는 한 리스크가 급격하게 잦아들 가능성은 낮다”면서 “단기적으로는 현 주가 수준에서 높은 변동성 상황이 나타날 수 있다”고 설명했다.다만 러시아와 나토간의 경제전쟁이나 무력충돌이 격화되지만 않는다면 해당 리스크가 장기화될 가능성은 낮다고 판단했다. 이번 사태가 어떤 형태로 마무리되는 간에 중장기적으로 유가 자체는 안정될 가능성이 높다고 본 것이다.김 연구원은 “우크라이나 리스크로 인한 주가 조정은 매수 대응이 필요한 이벤트라고 판단한다”면서 “예상치를 뛰어넘은 물가상승세는 당분간 연준의 긴축 리스크 지속이 불가피함을 시사하지만 연준이 강경 일변도와 매파 스탠스를 보일 가능성은 낮아지고 있다”고 분석했다.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 위원들은 잇따라 인플레이션에 대한 신중한 대응을 촉구하며 시장의 우려에 대응하고 있다. 지난 13일 메리 데일리 샌프란시스코 연방은행 총재나 14일 토마스 바킨 리치몬드 연방은행 총재가 안정적 금리인상의 필요성을 언급한 바 있다.김 연구원은 “이는 통화정책 방향에 대한 연준 위원들 간의 명확한 합의가 이뤄지지 않았음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2022.02.16 I 유준하 기자
  • [재송]15일 장 마감 후 주요 종목뉴스
  • [이데일리 김범준 기자] 다음은 지난 15일 장 마감 이후 주요 종목 뉴스다.◇코스피△엔씨소프트(036570)=지난해 4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109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0.2% 감소했다고 15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34.9% 증가한 7572억원, 당기순이익은 51.7% 늘어난 1217억원으로 각각 잠정 집계됐다. 지난해 연간 매출액은 전년 대비 4.4% 감소한 2조3088억원, 영업이익은 같은 기간 54.5% 줄어든 3752억원을 기록했다.△엔씨소프트(036570)=2022~2024년 매년 연결 당기순이익의 30%를 현금 배당한다는 내용이 담긴 향후 3개년 배당정책을 15일 공시했다. 엔씨소프트 측은 “주주 환원 규모 예측 가능성과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 3개년 배당정책을 수립했다”며 “사업환경 변화, 투자계획 등 경영환경을 고려해 현저한 수준의 배당 감소 또는 증가가 있을 땐 사유를 제시하겠다”고 밝혔다.△티비에이치글로벌(084870)(=지난해 개별 기준 영업이익이 54억원으로 전년 대비 흑자 전환했다고 15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8.6% 증가한 1881억원, 당기순손실은 적자 지속한 238억원으로 각각 잠정 집계됐다.△코스모신소재(005070)=다음달 24일 오전 9시 충북 충주시 코스모신소재 대강당에서 정기 주주총회를 소집키로 결의했다고 15일 공시했다. 안건은 재무제표 승인, 이사 선임 등이다.△아주스틸(139990)=지난해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562억원으로 전년 대비 97.5% 증가했다고 15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63.8% 늘어난 9334억원, 당기순이익은 200.0% 증가한 351억원으로 각각 잠정 집계됐다.△조광페인트(004910)=보통주 1주당 100원의 결산 배당을 결정했다고 15일 공시했다. 시가배당율은 1.17%이며 배당금 총액은 10억원이다.△대한해운(005880)=지난해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2039억원으로 전년 대비 39.7% 증가했다고 15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30.5% 늘어난 1조1538억원, 당기순이익은 1013.8% 증가한 3066억원으로 각각 잠정 집계됐다.△광명전기(017040)=지난해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29억원으로 전년 대비 32.4% 감소했다고 15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10.9% 증가한 1371억원, 당기순이익은 3.1% 늘어난 47억원으로 각각 잠정 집계됐다.△이지스레지던스리츠(350520)=주당 132원을 배당한다고 15일 공시했다. 시가배당률은 2.5%이며 배당금 총액은 27억원이다.△이지스레지던스리츠(350520)=다음달 4일 오전 10시 서울 영등포구 전경련회관컨퍼런스센터에서 정기 주주총회를 소집키로 결의했다고 15일 공시했다. 안건은 재무제표 승인 등이다.△디씨엠(024090)=보통주 1주당 900원의 결산 배당을 결정했다고 15일 공시했다. 시가배당율은 3.98%이며 배당금 총액은 83억원이다. 이와 함께 디씨엠은 다음달 24일 오전 9시 경남 양산시 본사 강당에서 정기 주주총회를 소집키로 결의했다고 15일 공시했다. 안건은 재무제표 승인, 감사 선임 등이다.△한국가스공사(036460)=1월 도시가스용 천연가스 판매량이 298만5000톤(t)으로 전년 동월 대비 2.9% 감소했다고 15일 공시했다. 발전용 천연가스 판매량은 같은 기간 12.1% 줄어든 164만8000t으로 집계됐다.△우리금융지주(316140)=예금보험공사가 공적자금 회수를 위해 지난 11일 1586만주를 장내 매도해 지분율이 5.80%에서 3.62%로 변경됐다고 15일 공시했다.△삼성전자(005930)=김기남·김현석·고동직 대표가 사임하고 한종희 대표가 신규 선임한 데 따라 대표이사가 한종희 대표로 바뀐다고 15일 공시했다.△삼성전자(005930)=2022년 사회공헌 매칭기금으로 117억5000만원을 운영할 계획이라고 15일 공시했다. 이는 전년도 임직원 기부금과, 이에 동일한 금액을 회사가 출연해 조성됐으며 청소년 교육과 취약계층 관련 사회공헌 사업에 활용할 예정이다. 또 삼성전자는 학교법인 충남삼성학원에 23억2400만원을 3월 초 출연할 예정이라고 공시했다.△조광페인트(004910)=다음달 29일 오전 10시 부산 동래구 호텔농심에서 정기 주주총회를 소집키로 결의했다고 15일 공시했다. 안건은 재무제표 승인, 이사 선임 등이다.△롯데정밀화학(004000)=롯데케미칼(011170)이 29만4550주를 장내 매수해 보유 지분이 지난해 말 32.22%에서 33.37%로 변경됐다고 15일 공시했다.△종근당(185750)=이달 23일 오후 1시30분 미래에셋증권이 후원하는 헬스케어 업종 유망 기업 기업설명회(IR)에 참여해 주요 기관투자가를 대상으로 IR를 연다고 15일 공시했다.△솔루스첨단소재(336370)=이달 16일 오후 4시 해외 기관투자가를 대상으로 모건스탠리가 후원하는 기업설명회(IR)를 비대면 컨퍼런스콜 방식으로 진행한다고 15일 공시했다.△미원에스씨(268280)=미원스페셜티케미칼 우리사주조합이 지분 10.04%를 보유하고 있다고 15일 공시했다.△KT(030200)=클라우드·IDC사업의 가치를 높이고 전문기업으로 육성하고자 현물 1조6212억원, 현금 1500억원 등 총 1조7112억원을 출자해 케이티클라우드(kt cloud)를 취득키로 했다고 15일 공시했다. 취득 후 지분율은 100%다.△한국앤컴퍼니(000240)=지난해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2284억원으로 전년 대비 45.9% 증가했다고 15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17.7% 늘어난 9659억원, 당기순이익은 12.0% 증가한 2011억원으로 각각 잠정 집계됐다.△상상인증권(001290)=최대주주인 상상인을 대상으로 운영·채무상환자금을 조달하고자 100억원 규모의 제3자 배정 유상증자를 결정했다고 15일 공시했다. 신주 발행가액은 1005원이며 신주는 3월17일 상장될 예정이다. 또 상상인증권은 지난해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138억원으로 전년 대비 378.1% 증가했다고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32.2% 늘어난 482억원, 당기순이익은 259.3% 증가한 90억원으로 각각 잠정 집계됐다.△조광페인트(004910)=지난해 연결 기준 영업손실이 84억원으로 전년에 이어 적자 지속했다고 15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18.5% 증가한 2385억원, 당기순손실은 적자 전환한 291억원으로 각각 잠정 집계됐다.△현대자동차(005380)=이달 23일 오전 9시 해외 주요 기관투자가를 대상으로 JP모건이 후원하는 컨퍼런스에 참가해 기업설명회(IR)를 연다고 15일 공시했다.△CJ씨푸드(011150)=지난해 개별 기준 영업이익이 45억원으로 전년 대비 13.5% 증가했다고 15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8.8% 늘어난 1621억원, 당기순이익은 2.3% 증가한 22억원으로 각각 잠정 집계됐다.△SK케미칼(285130)=한국투자증권이 수원지방법원 성남지원에 주주명부 열람 및 등사 가처분 신청 취하서를 제출했다고 15일 공시했다.△더블유게임즈(192080)=이달 16일 오전 9시20분 국내 주요 기관투자가를 대상으로 삼성증권이 진행하는 NDR에 참여해 기업설명회(IR)를 진행한다고 15일 공시했다.△엔에스쇼핑(138250)=보통주 1주당 150원의 결산 배당을 결정했다고 15일 공시했다. 시가배당율은 1.2%이며 배당금 총액은 50억원이다. 이와 함께 엔에스쇼핑은 주주의 주식매수청구권 행사로 인해 취득한 주식 일부인 93만주를 총 120억원에 하림지주에 매각한다고 공시했다.△엔에스쇼핑(138250)=지난해 연결 기준 영업손실이 83억원으로 전년 대비 적자 전환했다고 15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8.3% 증가한 5838억원, 당기순손실은 적자 전환한 357억원으로 각각 잠정 집계됐다.△엔에스쇼핑(138250)=99억원 규모의 자사주 61만5390주를 소각키로 했다고 15일 공시했다. 아울러 엔에스쇼핑은 다음달 30일 오전 8시30분 경기 성남시 분당구 판교세븐벤처벨리 엔에스쇼핑동에서 정기 주주총회를 소집키로 결의했다고 15일 공시했다. 안건은 재무제표 승인, 사내이사 선임 등이다.△아이마켓코리아(122900)=지난해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454억원으로 전년 대비 12.1% 증가했다고 15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10.3% 늘어난 3조1325억원, 당기순이익은 54.5% 증가한 445억원으로 각각 잠정 집계됐다. 이와 함께 아이마켓코리아는 보통주 1주당 150원의 결산 배당을 결정했다고 공시했다. 시가배당율은 1.3%이며 배당금 총액은 47억원이다.△아이마켓코리아(122900)=신규사업 진출·기존 사업과의 시너지 창출을 목적으로 간판·광고물 제조업체 밸류포인트 지분 80.63%를 260억원에 취득키로 했다고 15일 공시했다. 이는 2020년 말 자기자본 대비 6.2%에 해당한다.△진원생명과학(011000)=지난해 연결 기준 영업손실이 275억원으로 전년에 이어 적자 지속했다고 15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6.8% 감소한 387억원, 당기순손실은 적자 지속한 140억원으로 각각 잠정 집계됐다.△대동(000490)=지난해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370억원으로 전년 대비 11.6% 증가했다고 15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31.7% 늘어난 1조1798억원, 당기순이익은 59.3% 증가한 335억원으로 각각 잠정 집계됐다.△SUN&L(002820)=지난해 연결 기준 영업손실이 213억원으로 전년에 이어 적자 지속했다고 15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12.8% 증가한 4653억원, 당기순손실은 적자 지속한 233억원으로 각각 잠정 집계됐다.△KTcs(058850)=지난해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210억원으로 전년 대비 17.7% 증가했다고 15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3.7% 늘어난 9657억원, 당기순이익은 68.1% 증가한 190억원으로 각각 잠정 집계됐다. 이와 함께 KTcs는 보통주 1주당 100원의 결산 배당을 결정했다. 시가배당율은 3.9%이며 배당금 총액은 40억원이다.△아이에이치큐(003560)=최대주주인 KH E&T를 대상으로 타법인 증권 취득자금을 조달하고자 46억원 규모의 사모 전환사채(CB) 발행을 결정했다고 15일 공시했다. 표면·만기 이자율은 각 2.0%이며 만기일은 2025년 2월16일이다.△일동제약(249420)=식품의약품안전처에 경구용 코로나 치료 후보물질 ‘S-217622’의 제2·3상 임상시험계획 변경승인을 신청했다고 15일 공시했다.△세원정공(021820)=계열사인 Sewon America에 대해 455억원 규모의 채무보증을 결정했다고 15일 공시했다. 이는 2020년 말 자기자본 대비 8.3%에 해당한다.△풍산홀딩스(005810)=자회사인 풍산특수금속이 지난해 영업손실 8억원으로 적자 지속했다고 15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50.3% 증가한 1285억원, 당기순이익은 흑자 전환한 180억원으로 각각 잠정 집계됐다. 또 풍산특수금속은 주당 100원의 결산 배당을 결정했다. 배당금 총액은 6억원이다.△코웨이(021240)=지난해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6402억원으로 전년 대비 5.6% 증가했다고 15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13.2% 늘어난 3조6643억원, 당기순이익은 15.0% 증가한 4655억원으로 각각 잠정 집계됐다. 코웨이는 보통주 1주당 1250원의 결산 배당을 결정했다. 시가배당율은 1.6%이며 배당금 총액은 907억원이다. 아울러 코웨이는 다음달 31일 오전 10시 충남 공주시 코웨이 본점에서 정기 주주총회를 소집키로 결의했다고 15일 공시했다. 안건은 재무제표 승인, 정관 일부 변경 등이다. 또 코웨이는 자회사인 COWAY (Malaysia) SDN. BHD.에 2397억원 규모의 채무보증을 결정했다. 이는 2020년 말 자기자본 대비 16.1%에 해당한다.△F&F홀딩스(007700)=지난해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2220억원으로 전년 대비 81.1% 증가했다고 15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13.2% 감소한 7271억원, 당기순이익은 2266.2% 증가한 2조197억원으로 각각 잠정 집계됐다.△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161390)=지난해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6418억원으로 전년 대비 2.2% 증가했다고 15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10.7% 늘어난 7조1423억원, 당기순이익은 56.0% 증가한 6008억원으로 각각 잠정 집계됐다.△아시아나항공(020560)=지난해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916억원으로 전년 대비 흑자 전환했다고 15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11.2% 증가한 4조3323억원, 당기순손실은 적자 지속한 6181억원으로 각각 잠정 집계됐다.△에이프로젠 MED(007460)=지난해 연결 기준 영업손실이 27억원으로 전년 대비 적자 전환했다고 15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11.1% 증가한 1412억원, 당기순손실은 적자 지속한 132억원으로 각각 잠정 집계됐다.△SK디앤디(210980)=부동산 개발 투자에서 경쟁력 있는 투자자를 확보하고 공동투자를 진행하고자 디디아이엘브이씨위탁관리모부동산투자회사(DDILVC)·디앤디인베스트먼트와 공동투자에 관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고 15일 공시했다. 이들은 부동산 관련 개별 투자대상자산별로 각 투자기구를 설립해 투자대상자산에 투자할 예정이다. 목표 투자액은 각각 DDILVC 1200억원, SK디앤디 300억원이다. △계양전기(012200)=재무팀 직원 김모씨에 대해 245억원 규모의 횡령 혐의로 고소를 제기했다고 15일 공시했다. 이는 2020년 말 자기자본 대비 12.7%에 해당한다. 계양전기 측은 “적법한 절차에 따라 조치를 취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계양전기(012200)=한국거래소는 계양전기가 직원 횡령 혐의 발생 사실을 공시해 상장 적격성 실질심사 사유가 발생했다고 15일 밝혔다. 기업심사위원회 심의대상에 해당되는지를 결정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코스닥△액토즈소프트(052790)=지난해 연결기준 영업이익이 258억5400만원으로 전년대비 44.8% 증가했다고 15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582억2772만원으로 22.5% 늘었고, 당기순이익은 389억8575만원으로 150% 증가했다.△머큐리(100590)=지난해 개별기준 영업이익이 56억4302만원으로 전년대비 68.1% 증가했다고 15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1216억410만원으로 3.2% 늘었고, 당기순이익은 56억5706만원으로 31% 감소했다.△샘코(263540)=“현재 2020회계연도 기말재무제표에 대한 재감사가 진행 중인 관계로 2021회계연도 기초재무제표의 확정이 늦어지고 있다”면서 “확정되는 즉시 기말재무제표를 작성하여 제출할 것”이라고 15일 공시했다. 샘코는 제출 예정일이 이달 21일이라고 밝혔다.△덴티스(261200)=지난해 연결기준 영업이익이 4억6866만원으로 전년대비 흑자전환했다고 15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657억4065만원으로 40.7% 늘었고, 당기순이익은 1억2128만원으로 흑자전환했다.△큐라클(365270)=지난해 영업손실 66억원으로 적자가 지속됐다고 15일 공시했다. 매출액은 63억원을 기록했고, 당기순손실은 65억원으로 전년보다 늘었다. 회사 측은 “기술이전에 따라 매출액이 처음으로 인식됐다”며 “경상연구개발비와 직원 증가로 인해 판관비가 증가했다”고 말했다.△클래시스(214150)=지난해 영업이익이 517억원으로 전년보다 27.3% 늘었다고 15일 공시했다. 매출액은 31.6% 증가한 1005억9693만원을 기록했고, 순이익은 428억8744만원으로 12.4% 늘었다.△이미지스(115610)=지난해 개별기준 영업이익이 8억4000만원으로 전년 대비 흑자전환했다고 15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20.1% 늘어난 214억4100만원, 당기순이익은 12억3500만원으로 흑자전환했다.△에프엔에스테크(083500)=보통주 1주당 50원의 현금 결산배당을 결정했다고 15일 공시했다. 시가배당율은 0.41%이며 배당금총액은 4억원이다.△휴맥스홀딩스(028080)=작년 연결기준 영업손실이 135억8400만원으로 전년대비 적자가 지속됐다고 15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77억5600만원으로 52% 늘었고, 순손실은 215억8800만원으로 적자가 지속됐다.△휴맥스(115160)=지난해 영업손실이 484억원을 기록해 적자전환됐다고 15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25.7% 줄어든 6498억원, 당기순손실은 399억원을 기록했다.△피피아이(062970)=작년 개별기준 영업손실이 118억원으로 전년대비 적자가 지속됐다고 15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38% 감소한 134억원, 당기순손실은 147억원으로 적자가 지속됐다.△iMBC(052220)=지난해 연결기준 영업이익이 24억원으로 전년대비 116.4% 증가했다고 15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468억원으로 7.1% 늘었고, 당기순이익은 13억7000만원으로 5.7% 증가했다.△애드바이오텍(179530)=작년 연결기준 영업손실이 18억6500만원으로 전년 대비 적자가 지속됐다고 15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118억4000만원으로 20.6% 증가했지만, 당기순손실은 29억8900만원으로 적자가 지속됐다.△테라셈(182690)=15일 서울회생법원에 회생절차 개시신청을 했다고 공시했다. 신청 사유는 “경영정상화와 계속기업으로서의 가치보전을 위해서”라고 설명했다. 회사 측은 “신청 이후 서울회생법원에서 당사가 제출한 회생절차개시신청서와 첨부서류 등의 심사를 통한 회생절차개시 여부의 결정이 있을 예정”이라고 설명했다.△오하임아이엔티(309930)=지난해 연결기준 영업이익이 36억9445만원으로 전년대비 7.8% 감소했다고 15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323억2889만원으로 16.2% 증가했고, 당기순이익은 31억5786만원으로 1693.6% 늘었다.△케이티알파(036030)=지난해 개별기준 영업이익이 41억8300만원으로 전년대비 64.57% 감소했다고 15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4714억7600만원으로 35% 증가했고, 당기순손실은 93억4000만원으로 적자가 지속됐다.△YBM넷(057030)=지난해 연결기준 영업이익이 36억2900만원으로 전년대비 흑자전환했다고 15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583억3100만원으로 11% 증가했고, 당기순이익은 25억4000만원으로 흑자전환했다.△펄어비스(263750)=지난해 연결기준 영업이익이 430억3700만원으로 전년대비 72.6% 감소했다고 15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4037억8900만원으로 17.4% 줄었고, 당기순이익은 611억원으로 39.4% 감소했다.△쎄노텍(222420)=지난해 개별기준 영업이익이 26억7400만원으로 전년대비 흑자전환했다고 15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328억8500만원으로 40.5% 증가했고, 당기순이익은 8억3100만원으로 흑자전환했다.△인화정공(101930)=작년 연결기준 영업이익이 36억2900만원으로 전년대비 흑자전환했다고 15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1104억7500만원으로 4.5% 늘었고, 당기순이익은 151억6700만원으로 52.32% 감소했다.△부방(014470)=작년 연결기준 영업손실이 51억9700만원으로 전년대비 적자가 지속됐다고 15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3198억원으로 4.5% 증가했고, 당기순손실은 143억원으로 적자가 지속됐다. △ES큐브(050120)=작년 연결기준 영업이익이 5억7800만원으로 전년보다 94.39% 감소했다고 15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1300억8200만원으로 61% 증가했으나, 당기순손실은 29억원으로 적자가 지속됐다. △우리기술투자(041190)=지난해 연결기준 영업이익이 7926억원으로 전년대비 2064.9% 증가했다고 15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8241억원으로 1744.2% 늘었고, 당기순이익은 6194억원으로 2065.2% 증가했다.△하림지주(003380)=지난해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전년보다 109.4% 증가한 7415억3550만원이라고 15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10조8049억5365만원으로 39.9% 늘었고, 당기순이익은 5722억347만원으로 229.6% 증가했다. 보통주 1주당 100원의 현금 결산배당을 결정했다. 시가 배당률은 1.07%로 배당금 총액은 75억5000만원이다.△하림지주(003380)=자회사인 엔에스쇼핑(138250)이 보통주 1주당 150원의 현금 결산배당을 결정했다고 15일 공시했다. 시가배당률은 1.2%로 배당금 지급 예정일은 오는 4월 22일이다. 엔에스쇼핑은 보통주 61만5390주 규모의 주식소각을 결정했다. 소각예정금액은 99억원이며, 소각 예정일은 오는 28일이다.△원준(382840)=작년 연결기준 영업이익이 123억4800만원으로 전년대비 흑자전환했다고 15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620억9100만원으로 3% 감소했고, 당기순이익은 87억5000만원으로 98% 증가했다.△멜파스(096640)=작년 연결기준 영업이익이 9억원으로 전년보다 24.01% 감소했다고 15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240억원으로 52% 감소했고, 당기순손실은 131억원으로 적자가 지속됐다. △나라엠앤디(051490)=작년 연결기준 영업이익이 62억원으로 전년대비 273.69% 증가했다고 15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1942억원으로 9.2% 증가했고, 당기순이익은 40억원으로 168.26% 증가했다. 보통주 1주당 50원의 현금 결산배당을 결정했다. 시가배당률은 0.5%로 배당금 총액은 7억원이다. △라이온켐텍(171120)=작년 개별기준 영업이익이 99억4100만원으로 전년대비 37.31% 감소했다고 15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1504억원으로 13.4% 증가했고, 당기순이익은 89억5400만원으로 16.2% 늘었다. △아스트(067390)=작년 연결기준 영업손실이 116억8300만원으로 전년대비 적자가 지속됐다고 15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48.93% 증가한 811억6100만원, 당기순손실은 175억4300만원으로 적자가 지속됐다.△진매트릭스(109820)=작년 개별기준 영업손실이 10억9000만원으로 전년대비 적자전환 했다고 15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121억억원으로 23.9% 감소했고, 당기순손실은 7억원으로 적자전환했다. △맘스터치(220630)=작년 연결기준 영업이익이 402억6000만원으로 전년대비 53.25% 증가했다고 15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3008억원으로 5.2% 증가했고, 당기순이익은 232억원으로 1% 감소했다. △까스텔바작(308100)=작년 연결기준 영업손실이 32억8900만원으로 전년대비 적자전환했다고 15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 772억원으로 15% 증가했지만, 당기순손실은 58억원으로 적자전환했다.△본느(226340)=작년 연결기준 영업손실이 14억4800만원으로 전년대비 적자가 지속됐다고 15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537억원으로 49% 증가했으나 당기순손실은 2억4600만원으로 적자가 지속됐다. △동일기연(032960)=보통주 1주당 40원의 현금 결산 배당을 결정했다고 15일 공시했다. 시가배당률은 0.27%로 배당금총액은 1억3186만원이다.△슈피겐코리아(192440)=작년 연결기준 영업이익이 448억8900만원으로 전년대비 44% 감소했다고 15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3854억원으로 4% 감소했고, 당기순이익은 407억원으로 26% 줄었다. 한편 회사는 이날 보통주 1주당 840원의 현금 결산배당을 결정했다. 시가배당률은 1.96%다. △고영(098460)=작년 연결기준 영업이익이 413억5100만원으로 전년대비 161.00% 증가했다고 15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2473억원으로 37.7% 증가했고, 당기순이익은 395억원으로 전년대비 332% 늘었다. 보통주 1주당 120원의 현금 결산배당을 결정했다. 시가 배당률은 0.5%로 배당금 총액은 81억원이다. △피에스케이(319660)(319660)는 보통주 1주당 600원의 현금 결산배당을 결정했다고 15일 공시했다. 시가배당률은 1.18%로 배당금총액은 87억7000만원이다.△대명소노시즌(007720)=작년 연결기준 영업손실이 189억7900만원으로 전년 대비 적자가 지속됐다고 15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1613억7100만원으로 25% 증가했고, 당기순손실은 242억6600만원으로 적자가 지속됐다.△디에이테크놀로지(196490)=작년 연결기준 영업손실이 122억9200만원으로 적자가 지속됐다고 15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453억원으로 20.3% 감소했고, 당기순손실은 104억원으로 적자가 지속됐다.△코리아에스이(101670)=작년 연결기준 영업이익이 1억원으로 전년대비 흑자전환했다고 15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179억원으로 38% 증가했고, 당기순이익은 2억7200만원으로 흑자전환했다.△멜파스(096640)=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본부는 15일 멜파스에 대해 불성실공시법인지정을 예고했다. 멜파스는 소송 등의 제기·신청(경영권 분쟁 소송) 지연공시했다. 멜파스는 최근 1년간 불성실공시법인 부과벌점이 6.5점이다. 거래소는 “최종 불성실공시법인으로 지정되는 경우로서 당해 부과 벌점이 8점 이상인 경우 매매거래가 1일간 정지될 수 있다”면서“이 건 부과벌점을 포함해 최근 1년간 누계벌점이 15점이상이 될 경우 상장적격성 실질심사 대상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파크시스템스(140860)=보통주 1주당 250원의 현금 결산배당을 결정했다고 15일 공시했다. 시가배당률은 0.17%로, 배당 기준일은 지난해 12월 31일이다.△에이치엔티(176440)=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본부는 15일 에이치엔티에 대해 관리종목 지정 사유 또는 상장폐지 사유발생이 추가됐다고 공시했다. 에이치엔티는 지난해 12월 1일 ‘상장적격성 실질심사 대상 결정’, 2020년 8월 18일 ‘반기검토(감사)의견 부적정, 의견거절 또는 범위제한 한정’ 사유로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53조에 따라 관리종목으로 지정된 바 있다. 거래소는 “에이치엔티가 오늘(15일) 내부결산시점 관리종목지정 또는 상장폐지 사유발생 공시에서 매출액 30억원 미달, 최근 분기 매출액 3억원 미만(4분기), 최근 반기 매출액 7억원 미만 사실을 공시했다”고 전했다.△포티스(141020)=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본부는 15일 포티스에 대해 2020년 3월 ‘상장폐지사유 발생’, 같은 해 8월 ‘반기검토(감사)의견 부적정, 의견거절 또는 범위제한 한정‘, 지난해 3월 ’회생절차 개시신청‘, 작년 12월 ’자본잠식률 50% 이상‘, ’자기자본 10억원 미만‘, ’매출액 30억원 미달‘ 사유로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53조에 따라 관리종목으로 지정된 바 있다고 공시했다. 포티스는 이날 ’내부결산시점 관리종목지정 또는 상장폐지 사유발생‘ 공시에서 자본잠식률 50% 이상 발생 사실을 알렸다.△상상인이안제2호스팩(329560)=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본부는 15일 상상인이안제2호스팩에 대해 존립기한 만기 6월 전까지 상장예비심사 청구서를 제출하지 않는 경우 관리종목으로 지정될 우려가 있다고 밝혔다. 상장예비심사 청구서 제출기한은 오는 22일이며, 관리종목 지정일(예정)은 같은 달 23일이다.△피씨엘(241820)=파생상품금융부채(전환사채)평가손실이 발생했다고 15일 공시했다. 손실 누계 잔액은 80억원으로 자기 자본대비 17.93%에 해당한다.△테스나(131970)=보통주 1주당 160원의 현금 결산배당을 결정했다고 15일 공시했다. 시가배당률은 0.3%로 배당 기준일은 지난해 12월 31일이다.△유니슨(018000)=작년 연결기준 영업이익이 49억9900만원으로 전년대비 흑자전환했다고 15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1496억원으로 86.6% 증가했고, 당기순손실은 46억1500만원으로 적자가 지속됐다.
2022.02.16 I 김범준 기자
  • [미리보는 이데일리 신문]기업 자금조달 초비상…회사채시장 급랭
  • [이데일리 김범준 기자] 다음은 2월 16일자 이데일리 신문 주요 뉴스다.△1면-기업 자금조달 초비상…회사채시장 급랭-구직 의욕 갉아먹은 구직급여…넷 중 셋, 돈만 받고 취업 포기-우크라이나 ‘운명의 날’…유가 100달러 초읽기-거리두기 8명·밤 10시로 완화 추진-사설: 내는 사람만 더 내는 세금 양극화, 조세 원칙 흔들린다-사설: 고물가에 고용 없는 성장, 스태그플레이션 대비해야△종합-궁즉답: 도핑 논란 발리예바, 시상식 ‘보류’…의혹 풀릴 때까진 ‘임시 메달리스트’-‘의사과학자’에 꽂힌 괴짜 총장 “과기의전원 만들겠다”-美 구인난도 실업수당이 한몫△기업 자금조달 초비상-금리 더 뛰기 전에…이자 더 주고서라도 서둘러 회사채 찍는 기업들-보릿고개 넘고 보자…발행 미루고 ‘몸 사리기’도-증권사에 미매각분 떠안으라는 기업…개미에게 떠넘기는 증권사△종합-1월 코픽스 0.05%p 하락…오늘부터 주담대 변동금리 낮춘다-‘강남 마지막 판자촌’ 구룡마을, 1.2만가구 단지 변신하나-우크라이나 전운 고조…물밑 외교에 실낱 희망-“방역만 전환, 진단키트 허가는 미적…준비 없던 식약처 탓에 국민만 고통”△불붙은 온라인 명품 시장-①백화점보다 저렴 ②종류 많고 재고 충분 ③편리하게 배송·반품-“정품 증명은 소비자 몫”…명품 열풍에 판치는 가품-“명품의 질은 정교함…시간·돈 들어도 제대로 고칩니다”△대선 공식 선거운동 스타트-급할 거 없단 尹 “더 드릴 말 없다”…재차 압박한 安 “尹 직접 답해야”-김혜경, 곧 비공개 활동 재개할 듯…김건희, 문화·종교 공개행보 검토-공정선거 주문한 文대통령, 윤석열엔 “지켜보고 있다”△정치-실용정치 표방한 李 “박정희 정책도 쓸 것”-정권교체 강조한 尹 “부패·무능 심판하자”-TK 민심잡기 나선 安, 호남서 출정식 연 沈-“李, 민생공약 ‘쏙쏙’ 배달 갑니다”-지하철·유튜브·거리 인사…군소주자들 얼굴 알리기 총력△경제-사상 첫 경상·재정 ‘쌍둥이 적자’ 눈앞…자본유출 안전판이 흔들린다-경제학자 절반 “韓 성장률 5년 뒤 1%대 추락”-맥주·탁주세 올랐는데 주세 징수액은 감소, 왜?-지질硏 등 5개 기관, 핵심광물 공급망 구축 맞손△금융-가입심사 늦어지는 청년희망적금…은행-서금원 ‘네탓 공방’-충당금 확대 압박, 新회계제도 대비…역대급 실적에도 배당 줄인 보험사들-2%대 금리에 최대 6.3억…카뱅, 주담대 돌풍 예고-강호 보험개발원장 “자동차·실손보험 누수방지 시스템 개발”△Global-“러 우크라 침공 땐 크림병합 때보다 증시에 더 큰 충격”-‘백신 반대’ 트럭 봉쇄 시위 18일째…캐나다, 긴급조치 발동-오미크론 확산세 심각…美 ‘한국여행 금지’ 권고-인텔, 이스라엘 반도체기업 7조원에 인수△산업-LG엔솔·SK온 “확장”…삼성SDI “내실”-LG가 창조한 AI디자이너 ‘틸다’뉴욕 패션위크 데뷔-아시아나항공, 지난해 영업익 4565억…항공화물 특수에 3년 만에 흑자전환-볼보 전기 SUV ‘C40 리차지’ 파격가에 韓 출시-4대 그룹 경영올림픽 연다면…삼성, 금메달 9개로 1위-LG전자 전장사업, 글로벌 정보보안 인증 ‘티삭스’ 획득△ICT-3N “블록체인 게임, 장르 다변화로 공격 경영”-빗썸, 유니콘 등극…“블록체인 백화점 만들 것”-정부가 택시앱을…尹 후보 발언에 업계 근심-“크리에이트립, 해외 구직자들에겐 삼성만큼 유명한 회사죠”△소비자생활-택배노조 불법점거로 손실 커져가는데…수수방관하는 정부-편의점 선두 GS25 뒤쫓는 CU, 미니스톱 품은 롯데 ‘다크호스’-CJ제일제당, 국내 통합 김 브랜드 ‘CJ명가’ 선봬-작년 하반기 영엽익 14.5억…형지엘리트 흑자전환 성공△증권-손해만 잔뜩, 앞날도 캄캄…위기의 코스피, 등지는 동학개미-실적·배당 쏠쏠…외국인, 2월 들어 금융주 잔뜩 담았다-“하락장이 기회다”…서학개미, 美 빅테크 매수-최근 6개월간 코스피·코스닥 지수-금·은 가격△2022 대한민국 펀드 어워즈-‘혁신상품 운용 규모 넘사벽’…미래에셋·한투운용 대상 영예-‘최우수 운용사’ 비결은 “해외투자·퇴직연금”-4차산업부터 메타버스까지…30%대 꾸준한 수익률△부동산-삐걱대는 여의도 통합재건축…주민간 합의점 찾는 게 관건-집값 잡았다더니…국민주택채권 목표 늘린 정부-서울 거래절벽 속 중저가 아파트 매수세 늘어-LH, 운정·고덕 등 1분기 1만가구 공급△엔터테인먼트-시청자가 함께 발굴한 K팝 아이돌 데뷔…‘서바이벌돌’ 다시 날다-코로나 장기화에…예능 시즌제 일상화△건강-‘생명 위협’ 고관절 골절…응급수술·협진치료·조기재활 ‘원스톱 관리’-위 내 풍선삽입술, 고도비만자 감량에 효과적-전문의 칼럼: 목·어깨 찌릿,팔 저림 생기면…‘거북목 증후군’ 의심△Book-출근은 했으나 퇴근하지 못한 노동자-진상 민주당원이 쓴 진상 쓴소리-원조 신데렐라는 고대 이집트 출신이다?-200자 책꽂이△오피니언-이코노믹View: 주식투자, 눈높이 낮춰라-기고: 혁신중기의 실패·재도전 응원해야-기자수첩: 대선레이스 시작…비방보다 비전 보이길-e갤러리: 윤기원 ‘봄에도 마스크는 써야겠지’△피플-생활고로 큐 놨던 자동차 영업맨 ‘프로당구 우승’ 반전-SK에코엔지니어링 공식 출범…“하이테크 ENG 전문기업 도약”-“AI로 횡령 방지…제2의 오스템 사태 막는다”-KT, 클라우드·IDC 사업 분사한다-마리화나 검출로 올림픽 못간 리처드슨 “발리예바는 백인이니까”-문무일 전 검찰총장, 변호사 등록 완료 상태-박진규 산업부 차관, 현대차 남양연구소 방문-남궁훈 카카오 대표 내정자 “연봉 예산15% 증액”-인사가 만사-명복을 빕니다△사회-“일당 25만원 줄게” 대선 예비후보에 속아…개인정보 털리 선거운동원-‘법무장관 수사지휘권 폐지’ 공약에…법조계 “방향 동의, 통제장치 필요”-자영업자들 두번째 항의 삭발…“더는 못 참아” 24시간 영업 선언-솜방망이 처벌에…독버섯처럼 퍼지는 ‘사이버불링’-사건프리즘: “천안함이 벼슬이냐” 막말 교사…사과했지만
2022.02.15 I 김범준 기자
  • 15일 장 마감 후 주요 종목뉴스
  • [이데일리 김범준 기자] 다음은 15일 장 마감 이후 주요 종목 뉴스다.◇코스피△엔씨소프트(036570)=지난해 4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109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0.2% 감소했다고 15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34.9% 증가한 7572억원, 당기순이익은 51.7% 늘어난 1217억원으로 각각 잠정 집계됐다. 지난해 연간 매출액은 전년 대비 4.4% 감소한 2조3088억원, 영업이익은 같은 기간 54.5% 줄어든 3752억원을 기록했다.△엔씨소프트(036570)=2022~2024년 매년 연결 당기순이익의 30%를 현금 배당한다는 내용이 담긴 향후 3개년 배당정책을 15일 공시했다. 엔씨소프트 측은 “주주 환원 규모 예측 가능성과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 3개년 배당정책을 수립했다”며 “사업환경 변화, 투자계획 등 경영환경을 고려해 현저한 수준의 배당 감소 또는 증가가 있을 땐 사유를 제시하겠다”고 밝혔다.△티비에이치글로벌(084870)(=지난해 개별 기준 영업이익이 54억원으로 전년 대비 흑자 전환했다고 15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8.6% 증가한 1881억원, 당기순손실은 적자 지속한 238억원으로 각각 잠정 집계됐다.△코스모신소재(005070)=다음달 24일 오전 9시 충북 충주시 코스모신소재 대강당에서 정기 주주총회를 소집키로 결의했다고 15일 공시했다. 안건은 재무제표 승인, 이사 선임 등이다.△아주스틸(139990)=지난해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562억원으로 전년 대비 97.5% 증가했다고 15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63.8% 늘어난 9334억원, 당기순이익은 200.0% 증가한 351억원으로 각각 잠정 집계됐다.△조광페인트(004910)=보통주 1주당 100원의 결산 배당을 결정했다고 15일 공시했다. 시가배당율은 1.17%이며 배당금 총액은 10억원이다.△대한해운(005880)=지난해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2039억원으로 전년 대비 39.7% 증가했다고 15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30.5% 늘어난 1조1538억원, 당기순이익은 1013.8% 증가한 3066억원으로 각각 잠정 집계됐다.△광명전기(017040)=지난해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29억원으로 전년 대비 32.4% 감소했다고 15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10.9% 증가한 1371억원, 당기순이익은 3.1% 늘어난 47억원으로 각각 잠정 집계됐다.△이지스레지던스리츠(350520)=주당 132원을 배당한다고 15일 공시했다. 시가배당률은 2.5%이며 배당금 총액은 27억원이다.△이지스레지던스리츠(350520)=다음달 4일 오전 10시 서울 영등포구 전경련회관컨퍼런스센터에서 정기 주주총회를 소집키로 결의했다고 15일 공시했다. 안건은 재무제표 승인 등이다.△디씨엠(024090)=보통주 1주당 900원의 결산 배당을 결정했다고 15일 공시했다. 시가배당율은 3.98%이며 배당금 총액은 83억원이다. 이와 함께 디씨엠은 다음달 24일 오전 9시 경남 양산시 본사 강당에서 정기 주주총회를 소집키로 결의했다고 15일 공시했다. 안건은 재무제표 승인, 감사 선임 등이다.△한국가스공사(036460)=1월 도시가스용 천연가스 판매량이 298만5000톤(t)으로 전년 동월 대비 2.9% 감소했다고 15일 공시했다. 발전용 천연가스 판매량은 같은 기간 12.1% 줄어든 164만8000t으로 집계됐다.△우리금융지주(316140)=예금보험공사가 공적자금 회수를 위해 지난 11일 1586만주를 장내 매도해 지분율이 5.80%에서 3.62%로 변경됐다고 15일 공시했다.△삼성전자(005930)=김기남·김현석·고동직 대표가 사임하고 한종희 대표가 신규 선임한 데 따라 대표이사가 한종희 대표로 바뀐다고 15일 공시했다.△삼성전자(005930)=2022년 사회공헌 매칭기금으로 117억5000만원을 운영할 계획이라고 15일 공시했다. 이는 전년도 임직원 기부금과, 이에 동일한 금액을 회사가 출연해 조성됐으며 청소년 교육과 취약계층 관련 사회공헌 사업에 활용할 예정이다. 또 삼성전자는 학교법인 충남삼성학원에 23억2400만원을 3월 초 출연할 예정이라고 공시했다.△조광페인트(004910)=다음달 29일 오전 10시 부산 동래구 호텔농심에서 정기 주주총회를 소집키로 결의했다고 15일 공시했다. 안건은 재무제표 승인, 이사 선임 등이다.△롯데정밀화학(004000)=롯데케미칼(011170)이 29만4550주를 장내 매수해 보유 지분이 지난해 말 32.22%에서 33.37%로 변경됐다고 15일 공시했다.△종근당(185750)=이달 23일 오후 1시30분 미래에셋증권이 후원하는 헬스케어 업종 유망 기업 기업설명회(IR)에 참여해 주요 기관투자가를 대상으로 IR를 연다고 15일 공시했다.△솔루스첨단소재(336370)=이달 16일 오후 4시 해외 기관투자가를 대상으로 모건스탠리가 후원하는 기업설명회(IR)를 비대면 컨퍼런스콜 방식으로 진행한다고 15일 공시했다.△미원에스씨(268280)=미원스페셜티케미칼 우리사주조합이 지분 10.04%를 보유하고 있다고 15일 공시했다.△KT(030200)=클라우드·IDC사업의 가치를 높이고 전문기업으로 육성하고자 현물 1조6212억원, 현금 1500억원 등 총 1조7112억원을 출자해 케이티클라우드(kt cloud)를 취득키로 했다고 15일 공시했다. 취득 후 지분율은 100%다.△한국앤컴퍼니(000240)=지난해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2284억원으로 전년 대비 45.9% 증가했다고 15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17.7% 늘어난 9659억원, 당기순이익은 12.0% 증가한 2011억원으로 각각 잠정 집계됐다.△상상인증권(001290)=최대주주인 상상인을 대상으로 운영·채무상환자금을 조달하고자 100억원 규모의 제3자 배정 유상증자를 결정했다고 15일 공시했다. 신주 발행가액은 1005원이며 신주는 3월17일 상장될 예정이다. 또 상상인증권은 지난해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138억원으로 전년 대비 378.1% 증가했다고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32.2% 늘어난 482억원, 당기순이익은 259.3% 증가한 90억원으로 각각 잠정 집계됐다.△조광페인트(004910)=지난해 연결 기준 영업손실이 84억원으로 전년에 이어 적자 지속했다고 15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18.5% 증가한 2385억원, 당기순손실은 적자 전환한 291억원으로 각각 잠정 집계됐다.△현대자동차(005380)=이달 23일 오전 9시 해외 주요 기관투자가를 대상으로 JP모건이 후원하는 컨퍼런스에 참가해 기업설명회(IR)를 연다고 15일 공시했다.△CJ씨푸드(011150)=지난해 개별 기준 영업이익이 45억원으로 전년 대비 13.5% 증가했다고 15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8.8% 늘어난 1621억원, 당기순이익은 2.3% 증가한 22억원으로 각각 잠정 집계됐다.△SK케미칼(285130)=한국투자증권이 수원지방법원 성남지원에 주주명부 열람 및 등사 가처분 신청 취하서를 제출했다고 15일 공시했다.△더블유게임즈(192080)=이달 16일 오전 9시20분 국내 주요 기관투자가를 대상으로 삼성증권이 진행하는 NDR에 참여해 기업설명회(IR)를 진행한다고 15일 공시했다.△엔에스쇼핑(138250)=보통주 1주당 150원의 결산 배당을 결정했다고 15일 공시했다. 시가배당율은 1.2%이며 배당금 총액은 50억원이다. 이와 함께 엔에스쇼핑은 주주의 주식매수청구권 행사로 인해 취득한 주식 일부인 93만주를 총 120억원에 하림지주에 매각한다고 공시했다.△엔에스쇼핑(138250)=지난해 연결 기준 영업손실이 83억원으로 전년 대비 적자 전환했다고 15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8.3% 증가한 5838억원, 당기순손실은 적자 전환한 357억원으로 각각 잠정 집계됐다.△엔에스쇼핑(138250)=99억원 규모의 자사주 61만5390주를 소각키로 했다고 15일 공시했다. 아울러 엔에스쇼핑은 다음달 30일 오전 8시30분 경기 성남시 분당구 판교세븐벤처벨리 엔에스쇼핑동에서 정기 주주총회를 소집키로 결의했다고 15일 공시했다. 안건은 재무제표 승인, 사내이사 선임 등이다.△아이마켓코리아(122900)=지난해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454억원으로 전년 대비 12.1% 증가했다고 15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10.3% 늘어난 3조1325억원, 당기순이익은 54.5% 증가한 445억원으로 각각 잠정 집계됐다. 이와 함께 아이마켓코리아는 보통주 1주당 150원의 결산 배당을 결정했다고 공시했다. 시가배당율은 1.3%이며 배당금 총액은 47억원이다.△아이마켓코리아(122900)=신규사업 진출·기존 사업과의 시너지 창출을 목적으로 간판·광고물 제조업체 밸류포인트 지분 80.63%를 260억원에 취득키로 했다고 15일 공시했다. 이는 2020년 말 자기자본 대비 6.2%에 해당한다.△진원생명과학(011000)=지난해 연결 기준 영업손실이 275억원으로 전년에 이어 적자 지속했다고 15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6.8% 감소한 387억원, 당기순손실은 적자 지속한 140억원으로 각각 잠정 집계됐다.△대동(000490)=지난해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370억원으로 전년 대비 11.6% 증가했다고 15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31.7% 늘어난 1조1798억원, 당기순이익은 59.3% 증가한 335억원으로 각각 잠정 집계됐다.△SUN&L(002820)=지난해 연결 기준 영업손실이 213억원으로 전년에 이어 적자 지속했다고 15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12.8% 증가한 4653억원, 당기순손실은 적자 지속한 233억원으로 각각 잠정 집계됐다.△KTcs(058850)=지난해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210억원으로 전년 대비 17.7% 증가했다고 15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3.7% 늘어난 9657억원, 당기순이익은 68.1% 증가한 190억원으로 각각 잠정 집계됐다. 이와 함께 KTcs는 보통주 1주당 100원의 결산 배당을 결정했다. 시가배당율은 3.9%이며 배당금 총액은 40억원이다.△아이에이치큐(003560)=최대주주인 KH E&T를 대상으로 타법인 증권 취득자금을 조달하고자 46억원 규모의 사모 전환사채(CB) 발행을 결정했다고 15일 공시했다. 표면·만기 이자율은 각 2.0%이며 만기일은 2025년 2월16일이다.△일동제약(249420)=식품의약품안전처에 경구용 코로나 치료 후보물질 ‘S-217622’의 제2·3상 임상시험계획 변경승인을 신청했다고 15일 공시했다.△세원정공(021820)=계열사인 Sewon America에 대해 455억원 규모의 채무보증을 결정했다고 15일 공시했다. 이는 2020년 말 자기자본 대비 8.3%에 해당한다.△풍산홀딩스(005810)=자회사인 풍산특수금속이 지난해 영업손실 8억원으로 적자 지속했다고 15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50.3% 증가한 1285억원, 당기순이익은 흑자 전환한 180억원으로 각각 잠정 집계됐다. 또 풍산특수금속은 주당 100원의 결산 배당을 결정했다. 배당금 총액은 6억원이다.△코웨이(021240)=지난해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6402억원으로 전년 대비 5.6% 증가했다고 15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13.2% 늘어난 3조6643억원, 당기순이익은 15.0% 증가한 4655억원으로 각각 잠정 집계됐다. 코웨이는 보통주 1주당 1250원의 결산 배당을 결정했다. 시가배당율은 1.6%이며 배당금 총액은 907억원이다. 아울러 코웨이는 다음달 31일 오전 10시 충남 공주시 코웨이 본점에서 정기 주주총회를 소집키로 결의했다고 15일 공시했다. 안건은 재무제표 승인, 정관 일부 변경 등이다. 또 코웨이는 자회사인 COWAY (Malaysia) SDN. BHD.에 2397억원 규모의 채무보증을 결정했다. 이는 2020년 말 자기자본 대비 16.1%에 해당한다.△F&F홀딩스(007700)=지난해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2220억원으로 전년 대비 81.1% 증가했다고 15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13.2% 감소한 7271억원, 당기순이익은 2266.2% 증가한 2조197억원으로 각각 잠정 집계됐다.△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161390)=지난해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6418억원으로 전년 대비 2.2% 증가했다고 15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10.7% 늘어난 7조1423억원, 당기순이익은 56.0% 증가한 6008억원으로 각각 잠정 집계됐다.△아시아나항공(020560)=지난해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916억원으로 전년 대비 흑자 전환했다고 15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11.2% 증가한 4조3323억원, 당기순손실은 적자 지속한 6181억원으로 각각 잠정 집계됐다.△에이프로젠 MED(007460)=지난해 연결 기준 영업손실이 27억원으로 전년 대비 적자 전환했다고 15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11.1% 증가한 1412억원, 당기순손실은 적자 지속한 132억원으로 각각 잠정 집계됐다.△SK디앤디(210980)=부동산 개발 투자에서 경쟁력 있는 투자자를 확보하고 공동투자를 진행하고자 디디아이엘브이씨위탁관리모부동산투자회사(DDILVC)·디앤디인베스트먼트와 공동투자에 관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고 15일 공시했다. 이들은 부동산 관련 개별 투자대상자산별로 각 투자기구를 설립해 투자대상자산에 투자할 예정이다. 목표 투자액은 각각 DDILVC 1200억원, SK디앤디 300억원이다. △계양전기(012200)=재무팀 직원 김모씨에 대해 245억원 규모의 횡령 혐의로 고소를 제기했다고 15일 공시했다. 이는 2020년 말 자기자본 대비 12.7%에 해당한다. 계양전기 측은 “적법한 절차에 따라 조치를 취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계양전기(012200)=한국거래소는 계양전기가 직원 횡령 혐의 발생 사실을 공시해 상장 적격성 실질심사 사유가 발생했다고 15일 밝혔다. 기업심사위원회 심의대상에 해당되는지를 결정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코스닥△액토즈소프트(052790)=지난해 연결기준 영업이익이 258억5400만원으로 전년대비 44.8% 증가했다고 15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582억2772만원으로 22.5% 늘었고, 당기순이익은 389억8575만원으로 150% 증가했다.△머큐리(100590)=지난해 개별기준 영업이익이 56억4302만원으로 전년대비 68.1% 증가했다고 15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1216억410만원으로 3.2% 늘었고, 당기순이익은 56억5706만원으로 31% 감소했다.△샘코(263540)=“현재 2020회계연도 기말재무제표에 대한 재감사가 진행 중인 관계로 2021회계연도 기초재무제표의 확정이 늦어지고 있다”면서 “확정되는 즉시 기말재무제표를 작성하여 제출할 것”이라고 15일 공시했다. 샘코는 제출 예정일이 이달 21일이라고 밝혔다.△덴티스(261200)=지난해 연결기준 영업이익이 4억6866만원으로 전년대비 흑자전환했다고 15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657억4065만원으로 40.7% 늘었고, 당기순이익은 1억2128만원으로 흑자전환했다.△큐라클(365270)=지난해 영업손실 66억원으로 적자가 지속됐다고 15일 공시했다. 매출액은 63억원을 기록했고, 당기순손실은 65억원으로 전년보다 늘었다. 회사 측은 “기술이전에 따라 매출액이 처음으로 인식됐다”며 “경상연구개발비와 직원 증가로 인해 판관비가 증가했다”고 말했다.△클래시스(214150)=지난해 영업이익이 517억원으로 전년보다 27.3% 늘었다고 15일 공시했다. 매출액은 31.6% 증가한 1005억9693만원을 기록했고, 순이익은 428억8744만원으로 12.4% 늘었다.△이미지스(115610)=지난해 개별기준 영업이익이 8억4000만원으로 전년 대비 흑자전환했다고 15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20.1% 늘어난 214억4100만원, 당기순이익은 12억3500만원으로 흑자전환했다.△에프엔에스테크(083500)=보통주 1주당 50원의 현금 결산배당을 결정했다고 15일 공시했다. 시가배당율은 0.41%이며 배당금총액은 4억원이다.△휴맥스홀딩스(028080)=작년 연결기준 영업손실이 135억8400만원으로 전년대비 적자가 지속됐다고 15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77억5600만원으로 52% 늘었고, 순손실은 215억8800만원으로 적자가 지속됐다.△휴맥스(115160)=지난해 영업손실이 484억원을 기록해 적자전환됐다고 15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25.7% 줄어든 6498억원, 당기순손실은 399억원을 기록했다.△피피아이(062970)=작년 개별기준 영업손실이 118억원으로 전년대비 적자가 지속됐다고 15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38% 감소한 134억원, 당기순손실은 147억원으로 적자가 지속됐다.△iMBC(052220)=지난해 연결기준 영업이익이 24억원으로 전년대비 116.4% 증가했다고 15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468억원으로 7.1% 늘었고, 당기순이익은 13억7000만원으로 5.7% 증가했다.△애드바이오텍(179530)=작년 연결기준 영업손실이 18억6500만원으로 전년 대비 적자가 지속됐다고 15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118억4000만원으로 20.6% 증가했지만, 당기순손실은 29억8900만원으로 적자가 지속됐다.△테라셈(182690)=15일 서울회생법원에 회생절차 개시신청을 했다고 공시했다. 신청 사유는 “경영정상화와 계속기업으로서의 가치보전을 위해서”라고 설명했다. 회사 측은 “신청 이후 서울회생법원에서 당사가 제출한 회생절차개시신청서와 첨부서류 등의 심사를 통한 회생절차개시 여부의 결정이 있을 예정”이라고 설명했다.△오하임아이엔티(309930)=지난해 연결기준 영업이익이 36억9445만원으로 전년대비 7.8% 감소했다고 15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323억2889만원으로 16.2% 증가했고, 당기순이익은 31억5786만원으로 1693.6% 늘었다.△케이티알파(036030)=지난해 개별기준 영업이익이 41억8300만원으로 전년대비 64.57% 감소했다고 15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4714억7600만원으로 35% 증가했고, 당기순손실은 93억4000만원으로 적자가 지속됐다.△YBM넷(057030)=지난해 연결기준 영업이익이 36억2900만원으로 전년대비 흑자전환했다고 15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583억3100만원으로 11% 증가했고, 당기순이익은 25억4000만원으로 흑자전환했다.△펄어비스(263750)=지난해 연결기준 영업이익이 430억3700만원으로 전년대비 72.6% 감소했다고 15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4037억8900만원으로 17.4% 줄었고, 당기순이익은 611억원으로 39.4% 감소했다.△쎄노텍(222420)=지난해 개별기준 영업이익이 26억7400만원으로 전년대비 흑자전환했다고 15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328억8500만원으로 40.5% 증가했고, 당기순이익은 8억3100만원으로 흑자전환했다.△인화정공(101930)=작년 연결기준 영업이익이 36억2900만원으로 전년대비 흑자전환했다고 15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1104억7500만원으로 4.5% 늘었고, 당기순이익은 151억6700만원으로 52.32% 감소했다.△부방(014470)=작년 연결기준 영업손실이 51억9700만원으로 전년대비 적자가 지속됐다고 15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3198억원으로 4.5% 증가했고, 당기순손실은 143억원으로 적자가 지속됐다. △ES큐브(050120)=작년 연결기준 영업이익이 5억7800만원으로 전년보다 94.39% 감소했다고 15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1300억8200만원으로 61% 증가했으나, 당기순손실은 29억원으로 적자가 지속됐다. △우리기술투자(041190)=지난해 연결기준 영업이익이 7926억원으로 전년대비 2064.9% 증가했다고 15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8241억원으로 1744.2% 늘었고, 당기순이익은 6194억원으로 2065.2% 증가했다.△하림지주(003380)=지난해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전년보다 109.4% 증가한 7415억3550만원이라고 15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10조8049억5365만원으로 39.9% 늘었고, 당기순이익은 5722억347만원으로 229.6% 증가했다. 보통주 1주당 100원의 현금 결산배당을 결정했다. 시가 배당률은 1.07%로 배당금 총액은 75억5000만원이다.△하림지주(003380)=자회사인 엔에스쇼핑(138250)이 보통주 1주당 150원의 현금 결산배당을 결정했다고 15일 공시했다. 시가배당률은 1.2%로 배당금 지급 예정일은 오는 4월 22일이다. 엔에스쇼핑은 보통주 61만5390주 규모의 주식소각을 결정했다. 소각예정금액은 99억원이며, 소각 예정일은 오는 28일이다.△원준(382840)=작년 연결기준 영업이익이 123억4800만원으로 전년대비 흑자전환했다고 15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620억9100만원으로 3% 감소했고, 당기순이익은 87억5000만원으로 98% 증가했다.△멜파스(096640)=작년 연결기준 영업이익이 9억원으로 전년보다 24.01% 감소했다고 15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240억원으로 52% 감소했고, 당기순손실은 131억원으로 적자가 지속됐다. △나라엠앤디(051490)=작년 연결기준 영업이익이 62억원으로 전년대비 273.69% 증가했다고 15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1942억원으로 9.2% 증가했고, 당기순이익은 40억원으로 168.26% 증가했다. 보통주 1주당 50원의 현금 결산배당을 결정했다. 시가배당률은 0.5%로 배당금 총액은 7억원이다. △라이온켐텍(171120)=작년 개별기준 영업이익이 99억4100만원으로 전년대비 37.31% 감소했다고 15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1504억원으로 13.4% 증가했고, 당기순이익은 89억5400만원으로 16.2% 늘었다. △아스트(067390)=작년 연결기준 영업손실이 116억8300만원으로 전년대비 적자가 지속됐다고 15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48.93% 증가한 811억6100만원, 당기순손실은 175억4300만원으로 적자가 지속됐다.△진매트릭스(109820)=작년 개별기준 영업손실이 10억9000만원으로 전년대비 적자전환 했다고 15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121억억원으로 23.9% 감소했고, 당기순손실은 7억원으로 적자전환했다. △맘스터치(220630)=작년 연결기준 영업이익이 402억6000만원으로 전년대비 53.25% 증가했다고 15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3008억원으로 5.2% 증가했고, 당기순이익은 232억원으로 1% 감소했다. △까스텔바작(308100)=작년 연결기준 영업손실이 32억8900만원으로 전년대비 적자전환했다고 15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 772억원으로 15% 증가했지만, 당기순손실은 58억원으로 적자전환했다.△본느(226340)=작년 연결기준 영업손실이 14억4800만원으로 전년대비 적자가 지속됐다고 15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537억원으로 49% 증가했으나 당기순손실은 2억4600만원으로 적자가 지속됐다. △동일기연(032960)=보통주 1주당 40원의 현금 결산 배당을 결정했다고 15일 공시했다. 시가배당률은 0.27%로 배당금총액은 1억3186만원이다.△슈피겐코리아(192440)=작년 연결기준 영업이익이 448억8900만원으로 전년대비 44% 감소했다고 15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3854억원으로 4% 감소했고, 당기순이익은 407억원으로 26% 줄었다. 한편 회사는 이날 보통주 1주당 840원의 현금 결산배당을 결정했다. 시가배당률은 1.96%다. △고영(098460)=작년 연결기준 영업이익이 413억5100만원으로 전년대비 161.00% 증가했다고 15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2473억원으로 37.7% 증가했고, 당기순이익은 395억원으로 전년대비 332% 늘었다. 보통주 1주당 120원의 현금 결산배당을 결정했다. 시가 배당률은 0.5%로 배당금 총액은 81억원이다. △피에스케이(319660)(319660)는 보통주 1주당 600원의 현금 결산배당을 결정했다고 15일 공시했다. 시가배당률은 1.18%로 배당금총액은 87억7000만원이다.△대명소노시즌(007720)=작년 연결기준 영업손실이 189억7900만원으로 전년 대비 적자가 지속됐다고 15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1613억7100만원으로 25% 증가했고, 당기순손실은 242억6600만원으로 적자가 지속됐다.△디에이테크놀로지(196490)=작년 연결기준 영업손실이 122억9200만원으로 적자가 지속됐다고 15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453억원으로 20.3% 감소했고, 당기순손실은 104억원으로 적자가 지속됐다.△코리아에스이(101670)=작년 연결기준 영업이익이 1억원으로 전년대비 흑자전환했다고 15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179억원으로 38% 증가했고, 당기순이익은 2억7200만원으로 흑자전환했다.△멜파스(096640)=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본부는 15일 멜파스에 대해 불성실공시법인지정을 예고했다. 멜파스는 소송 등의 제기·신청(경영권 분쟁 소송) 지연공시했다. 멜파스는 최근 1년간 불성실공시법인 부과벌점이 6.5점이다. 거래소는 “최종 불성실공시법인으로 지정되는 경우로서 당해 부과 벌점이 8점 이상인 경우 매매거래가 1일간 정지될 수 있다”면서“이 건 부과벌점을 포함해 최근 1년간 누계벌점이 15점이상이 될 경우 상장적격성 실질심사 대상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파크시스템스(140860)=보통주 1주당 250원의 현금 결산배당을 결정했다고 15일 공시했다. 시가배당률은 0.17%로, 배당 기준일은 지난해 12월 31일이다.△에이치엔티(176440)=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본부는 15일 에이치엔티에 대해 관리종목 지정 사유 또는 상장폐지 사유발생이 추가됐다고 공시했다. 에이치엔티는 지난해 12월 1일 ‘상장적격성 실질심사 대상 결정’, 2020년 8월 18일 ‘반기검토(감사)의견 부적정, 의견거절 또는 범위제한 한정’ 사유로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53조에 따라 관리종목으로 지정된 바 있다. 거래소는 “에이치엔티가 오늘(15일) 내부결산시점 관리종목지정 또는 상장폐지 사유발생 공시에서 매출액 30억원 미달, 최근 분기 매출액 3억원 미만(4분기), 최근 반기 매출액 7억원 미만 사실을 공시했다”고 전했다.△포티스(141020)=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본부는 15일 포티스에 대해 2020년 3월 ‘상장폐지사유 발생’, 같은 해 8월 ‘반기검토(감사)의견 부적정, 의견거절 또는 범위제한 한정‘, 지난해 3월 ’회생절차 개시신청‘, 작년 12월 ’자본잠식률 50% 이상‘, ’자기자본 10억원 미만‘, ’매출액 30억원 미달‘ 사유로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53조에 따라 관리종목으로 지정된 바 있다고 공시했다. 포티스는 이날 ’내부결산시점 관리종목지정 또는 상장폐지 사유발생‘ 공시에서 자본잠식률 50% 이상 발생 사실을 알렸다.△상상인이안제2호스팩(329560)=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본부는 15일 상상인이안제2호스팩에 대해 존립기한 만기 6월 전까지 상장예비심사 청구서를 제출하지 않는 경우 관리종목으로 지정될 우려가 있다고 밝혔다. 상장예비심사 청구서 제출기한은 오는 22일이며, 관리종목 지정일(예정)은 같은 달 23일이다.△피씨엘(241820)=파생상품금융부채(전환사채)평가손실이 발생했다고 15일 공시했다. 손실 누계 잔액은 80억원으로 자기 자본대비 17.93%에 해당한다.△테스나(131970)=보통주 1주당 160원의 현금 결산배당을 결정했다고 15일 공시했다. 시가배당률은 0.3%로 배당 기준일은 지난해 12월 31일이다.△유니슨(018000)=작년 연결기준 영업이익이 49억9900만원으로 전년대비 흑자전환했다고 15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1496억원으로 86.6% 증가했고, 당기순손실은 46억1500만원으로 적자가 지속됐다.
2022.02.15 I 김범준 기자
'두나무·리디·애니원'…VC 뺨치게 투자한 증권사는
  • [마켓인]'두나무·리디·애니원'…VC 뺨치게 투자한 증권사는
  • [이데일리 김연지 기자] 국내 증권사들이 비상장 기업 투자에 힘입어 역대급 실적을 내는 가운데 코리아에셋투자증권(190650)이 지난 한 해 동안 알짜 기업에 투자를 속속 단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증권사들에게 비상장 기업 투자가 새로운 미래 먹거리로 부상한 가운데 코리아에셋투자증권도 투자 선점 경쟁을 통해 몸집 불리기에 나선 것으로 분석된다.15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코리아에셋투자증권은 지난 한 해 총 18건(비상장 12건, 상장 6건)의 투자를 단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2건의 비상장 투자와 3건의 상장사 투자를 단행했던 지난 2020년과는 대조되는 행보다. 비상장사 투자는 최근 들어 증권사에게 새로운 먹거리로 통하고 있다. 성장가능성이 높은 알짜 기업을 발굴 및 투자할 경우 향후 지분 매각 또는 기업공개(IPO) 추진을 통해 수 십배에 달하는 차익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투자 기업이 상장하면 주관 업무를 맡을 수 있다는 점도 매력 포인트로 꼽힌다. 일부 증권사에서 투자은행(IB) 부서와 리서치센터 간 협업을 꾀하거나 관련 팀까지 신설하는 배경이다.코리아에셋증권은 지난 한 해 일명 ‘핫’한 비상장사에 속속 투자했다. 대표적으로 회사는 지난 2월 가상자산 거래소 업비트를 보유하고 있는 두나무 지분 0.1%를 약 116억원에 확보했다. 두나무는 나스닥에 상장하면 기업가치가 최대 10조원에 달할 것으로 기대되는 대표적인 가상자산 관련 기업이다. 특히 지난해 가상자산 가격 상승에 힘입어 기업가치가 폭발적으로 상승하면서 지분을 확보한 일부 기업들은 함박웃음을 짓기도 했다. 예컨대 한화투자증권은 지난해 2월 두나무 지분 6.15%를 약 583억원에 취득했다. 그로부터 9개월 사이(3분기 기준) 두나무의 기업가치가 천정부지로 뛰어오르면서 한화투자증권의 두나무 지분가치도 1조1105억원으로 불어났다.코리아에셋투자증권은 가상자산과 더불어 지난 한 해 핫한 키워드로 통한 바이오 분야에도 투자를 단행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회사는 지난 9월 표적치료제 신약개발 기업 보로노이 지분 0.1%를 약 5억원에 확보했다. 보로노이는 세포 안팎에서 신호를 전달하는 단백질 ‘인산화효소’에 결합해 기능을 억제 및 치료하는 표적치료제를 개발 중인 바이오 기업이다. 최근 코스닥 시장에 상장하기 위해 금융위원회에 증권신고서를 제출한 만큼, 빠른 차익 실현이 기대되는 종목이다. 이 외에도 회사는 코리아에셋투자증권은 지난 12월 리디와 애니원, HMM, 금호석유, LG전자 등에 투자하며 광폭 행보를 보이기도 했다.증권가에서는 코리아에셋투자증권이 연말까지 꽉꽉 채워 알짜로 통하는 비상장 기업에 투자를 단행한 것을 두고 ‘트렌드를 따른 행보’라는 평가를 내린다. 증권가 한 관계자는 “증권사들이 비상장사 투자를 늘리는 궁극적 이유는 투자 수익 실현을 위한 것”이라며 “투자 리스크도 크기 때문에 기존 IB 부서와 리서치 센터 간 협업해 발굴 및 투자하는 경우도 심심찮게 포착되고 있다”고 말했다.
2022.02.15 I 김연지 기자
“100만 바이오 개미 움직인다”...대정부 투쟁 본격화
  • “100만 바이오 개미 움직인다”...대정부 투쟁 본격화
  • 15일 신라젠주주연합이 한국거래소 앞에서 시위를 하고 있다.(사진=신라젠주주연합)[이데일리 송영두 기자] 셀트리온과 신라젠이 각각 회계 문제와 상장폐지 이슈로 위기에 몰리자 약 100만명에 달하는 소액주주들이 정부를 상대로 단체 행동에 나서고 있다. 국민청원 및 금융감독원을 향한 집단 항의는 물론이고, 한국거래소를 상대로 소송전도 불사하는 모양새다.15일 제약바이오 업계에 따르면 셀트리온(068270)과 신라젠(215600) 주주들의 집단행동이 본격화 되고 있다. 셀트리온, 셀트리온헬스케어(091990), 셀트리온제약(068760) 등 3사 소액주주들은 약 80만명에 달하고, 신라젠 소액주주들도 약 17만명에 달한다. 회계감리와 상장폐지 이슈 등으로 자신들이 투자한 회사가 어려움에 처하고, 주가 폭락 및 거래정지가 이어지면서 약 100만명의 바이오 개미들이 정부를 상대로 부당함을 주장하고 있다.먼저 신라젠 상장폐지 철회를 주장하고 있는 신라젠주주연합은 이날 서울경찰청에 한국거래소에 대한 강제수사(압수수색)를 촉구하는 의견서를 제출했다. 신라젠주주연합은 지난달 18일 한국거래소 기업심사위원회가 신라젠 상장폐지를 결정한 것과 관련해 거래소 측이 이미 상장폐지로 결론을 내리고 움직였다고 의혹을 제기하고 있다. 당시 기심위 회의가 시작되고 20분 뒤인 2시 20분부터 신라젠 최대주주 엠투엔 주식을 보유한 기관투자자들의 주식대량매도 주문이 쏟아졌다. 평소 거래량의 10~100배인 185만주가 순매도 되면서 주가가 약 11% 폭락했다.주주연합은 기심위가 한창 진행 중인 상태에서 기관이 보유한 엠투엔 주식을 대규모 장내 매도한 것은 신라젠 상장폐지를 사전에 결론 내려놓고, 그 결론이 유출됐기 때문이라고 보고 있다. 신라젠주주연합은 기심위 다음날 손병두 한국거래소 이사장과 임직원들을 경찰에 고발했고, 지난 8일에는 한국거래소 앞에서 공중시위를 한 바 있다. 한국거래소 기업심사위원장을 상대로 추가 고발도 검토 중이다.신라젠주주연합 법률대리인 법무법인 YK는 “사회적 책무가 있는 기관에서 미공개중요정보를 유출함으로서 정보를 지득한 이들로 하여금 특정주식(엠투엔)을 매도해 손실을 회피하도록 했다”면서 “선량한 개인투자자와 다른 기관투자자들이 전부 부담하도록 했고, 더 나아가서는 대한민국 자본시장 질서의 근간을 흔들어 자본시장에 대한 신뢰가 저하되도록 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한 “정보 사전유출이라는 행위를 한 것은 투자자들의 사익을 침해함은 물론이고 자본시장 질서 저해라는 공익도 침해한 중대한 법 위반”이라며 “범죄의 실체를 밝히기 위해 신속한 강제수사가 이루어져야만 한다”고 강조했다. 코스닥 시장위원회는 18일까지 신라젠 상장폐지 여부를 결정할 계획이다.셀트리온은 5년째 회계 감리 이슈 영향을 받고 있다. 금융감독원은 지난 2018년부터 셀트리온 회계감리에 나섰는데, 핵심은 셀트리온헬스케어가 재고자산 손실을 축소하는 등 부정을 저질렀다고 보고 있다. 이 같은 사안을 금융위원회에 전달했고, 금융위 감리위원회를 거쳐 증권선물위원회가 분식 회계 여부와 고의성 등에 대해 논의 중이다. 증선위는 다음 달 중 분식회계 고의성 여부 등을 결정할 계획이다.이와 관련 셀트리온그룹 소액주주들은 △분식회계 혐의를 적용할 수 없다는 점 △회계 감리 이슈가 불필요하게 4년째 이어지고 있는 점 △기밀사안인 금감원 감리 내용을 언론에 유출했다는 점 등을 들어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셀트리온 소액주주연대는 지난딜 17일 금융감독원 정문에서 대규모 시위를 통해 회계감리 진행 사안 유출에 대한 대국민 사과와 재발 방지 및 공정한 주식시장 확립, 감독기능 정상화에 앞장설 것을 촉구했다.청와대 국민청원도 진행 중이다. 주주연대 측은 “셀트리온그룹은 국제회계기준(K-IFRS)과 의약품 국제 허가 및 품질관리기준(cGMP)을 준수했다. 분식회계 혐의는 절대 없다”며 “회계감리 연장에 관한 내부 승인 규정 없이 4년 이상 감리를 끄는 것은 국가 공권력 남용에 해당한다. 기업의 실적과 무관하게 주가가 65%나 폭락했다면 금융감독원은 투자자 보호 등 적절한 대응책을 강구해야 함에도 주식시장의 주가 변동성으로 치부해 투자자 보호 책무를 소홀히 했다”고 비판했다. 업계 관계자는 “바이오 소액주주들은 과거에도 단체행동을 통해 공매도 한시적 금지라는 결과물을 얻어낸 경험이 있다. 최근 셀트리온과 신라젠 등 회계 문제와 상장폐지 문제에 대해서도 이들은 단합된 모습으로 정부를 압박하고 있는 모양새”라며 “이들 소액주주들의 숫자는 무려 100만명에 달한다. 정부도 좀 더 신중하게 문제의 사안을 들여다 볼 수 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2022.02.15 I 송영두 기자
우크라이나 공포에 짓눌린 증시
  • [ET의 시황레터]우크라이나 공포에 짓눌린 증시
  • [이데일리TV 심영주 기자] 뻔한 시황 기사는 가라. 이데일리TV(ET)가 주린이(주식투자 초보자)와 MZ세대 눈높이에 맞춰 쉽고 읽기 편한 시황 기사를 제공합니다. 하루 2분만 투자하면 그날의 시황과 주요 이슈, 종목 뉴스까지 한번에 해결할 수 있어요.바뀌지 않는 파란불 :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긴축 우려와 우크라이나발 불확실성이 주식시장을 계속 압박하고 있어요. 15일에도 코스피와 코스닥지수 모두 1%대의 하락률을 기록했어요. 특히 코스닥지수는 830선까지 추락하며 1년 3개월 만에 최저점을 경신한거에요.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통화정책에 대한 부담이 증폭된 상황에서 여전히 우크라이나 사태를 둘러싼 지정학적 리스크가 고조돼 투자심리가 위축됐다”고 진단했어요.(사진=네이버 금융 갈무리)한 줄기 붉은 빛 : 싸이월드제트가 새로운 어플 출시를 위해 관련 심사를 구글과 애플에 제출할 것이라는 소식이 알려지면서 관련주가 강세를 보였어요. 싸이월드의 BGM 서비스 구축을 지원하고 필요 음원을 공급하는 NHN벅스(104200)는 가격제한폭까지 올라 1만4750원에 거래를 마쳤어요.국내 최대 컨테이너 선사 HMM(011200)도 강세를 보였어요. HMM은 전 거래일보다 1.00% 오른 2만5250원에 상승 마감했는데요. 상승 폭이 크지는 않지만 앞으로가 기대됩니다. 우선 전날 창사 이래 역대 최대 실적을 발표했어요. 더불어 선박 운임 상승으로 수익성 개선 효과도 기대된데요. 증권가에서도 긍정적인 전망 일색인데요. 신영증권과 유진투자증권은 HMM에 대한 투자의견을 기존 ‘중립’에서 ‘매수’로 상향 조정했고요. 신영증권은 목표주가도 기존 2만7000원에서 3만3000원으로 올려 잡았어요.반면 건축자재 기업 KCC(002380)는 지난해 실적 부진의 여파로 21.04% 급락한 29만6500원에 마감했어요. KCC는 전날 4분기 실적을 발표했는데 ‘어닝쇼크’라는 평가를 받았어요.
2022.02.15 I 심영주 기자
1200원 턱 밑서 마감한 환율…"달러 매수 수요가 끌어 올려"
  • [외환마감]1200원 턱 밑서 마감한 환율…"달러 매수 수요가 끌어 올려"
  • [이데일리 이윤화 기자] 원·달러 환율이 9원 가량 오르면서 1200원 턱 밑에서 마감했다. 장중 고가 기준으로는 1200.20원까지 오르면서 하루 만에 1200원선을 넘나들기도 했다. 글로벌 달러인덱스는 강세 흐름이 일부 제한되고 있지만, 결제(달러 매수) 우위 등 수급 요인이 지배한 흐름이었다. 사진=AFP15일 서울외국환중개에 따르면 이날 원·달러 환율은 1199.80원으로 전날 종가(1191.10원) 대비 8.70원 가량 상승 마감했다. 이날 환율은 전장 대비 5.90원 오른 1197.00원에서 시작해 장중 1200.20원까지 올랐다. 이날 환율 상승은 전날 환율이 1190원대 초반으로 하락한 만큼 대기하고 있던 결제 수요가 밀어 올린 모습이다. 김승혁 NH선물 연구원은 “수급적으로 1190원대 중반선에서 결제가 출회했다. 달러인덱스는 조용했는데, 수급이 장을 주도한 흐름”이라면서 “역내외 매수 물량이 점심 이후 들어오면서 1200원선까지 올랐지만 상단이 막힌 전날 경험 등 경계감이 있어서 1200원선에서 횡보하다가 매수세 몰린 것이 지나간 뒤 환율은 일부 빠져서 1190원대 후반에서 마감했다”고 말했다. 이어 “연준의 긴급회의 소식도 나왔었지만, 급격히 금리 인상을 단행할 우려를 일축하는 발언이 나오면서 그에 대한 파장은 제한되는 모습이고 결과도 아직 나오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긴축 우려 증대, 우크라이나 지정학적 리스크 확대에 달러화가 힘을 받으면서 달러인덱스는 96선에서 등락하고 있지만, 선반영되면서 움직임은 제한되는 모습이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지정학적 리스크 갈등이 더 심화하거나 16일(현지시간) 공개를 앞둔 1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내용을 보고 추가적으로 상승할 수 있을지 방향성을 탐색할 것으로 보인다. 15일(현지시간) 오전 2시께 달러인덱스는 전장 대비 0.20포인트 하락한 96.17을 기록, 96선 초반대에서 약보합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미 국채 금리도 하락하는 중이다. 10년물 금리는 전장 대비 0.014%포인트 내린 1.982%, 2년물 금리는 0.026%포인트 하락한 1.563%에서 움직이는 중이다.연준이 기준 금리를 큰 폭으로 올리기 위해 긴급회의를 소집할 수 있다는 시장 전망 관한 분위기는 한풀 꺾인 모습이다. 연준 내 매파(통화 긴축 선호)로 분류되는 제임스 불러드 세인트루이스 연방은행 총재는 CNBC방송과의 인터뷰에서 “높은 수준의 물가상승률로 인해 연준의 신뢰가 위태로워졌다”면서도 ”계획에 따라대응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다만 국내증시는 외국인 투자자가 장중 순매도 전환하면서 낙폭을 확대했다. 이날 외국인은 코스피 시장에서 닷새만에 매도 전환, 2700억원 가량 팔면서 지수는 정장 대비 1.03% 내린 2670선으로 떨어졌다. 코스닥 시장에서도 외국인이 110억원, 개인이 160억원 팔면서 지수는 1.51% 가량 내려 830선으로 하락했다. 한편, 이날 서울외국환중개와 한국자금중개에서 거래된 규모는 95억1400만달러로 집계됐다.
2022.02.15 I 이윤화 기자
티케이케미칼, 지난해 영업익 649억원…'상장 후 최대'
  • 티케이케미칼, 지난해 영업익 649억원…'상장 후 최대'
  • [이데일리 경계영 기자] 티케이케미칼이 지난해 영업이익 649억원으로 2011년 코스닥시장에 상장한 이후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티케이케미칼(104480)은 지난해 4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26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흑자 전환했다고 15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100.4% 늘어난 2209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 지난해 연간 매출액은 6939억원, 영업이익은 649억원으로 전년 대비 각각 61.6% 증가, 흑자 전환했다. 티케이케미칼 관계자는 “지난해 4분기 비수기임에도 미국으로의 수출이 많은 브라질·멕시코 페트(PET) 업체의 생산이 줄어 미국 시장 내 PET 공급이 차질을 빚으면서 화학부문의 실적이 개선됐다”며 “올해도 기존 사업의 수익성을 개선하는 동시에 재활용 PET 사업에도 역량을 집중해 결실을 맺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티케이케미칼은 지난해 9월 LG화학과 체결한 ‘친환경 생분해 소재 양산 및 사업협력 협약’(MOU)을 합의에 따라 종료한다고 밝혔다. 대내외 환경 변화에 따른 결정이라는 설명이다. 티케이케미칼은 재활용 사업부문을 강화하고 관련 소재를 개발해 지속 성장을 도모하겠다는 방침이다. ‘K-rPET’ 브랜드를 마케팅해 제조부문의 폴리·수지 연계사업인 투명 페트병 재활용 사업을 강화한다. 또 병 마개까지 PET 동일 소재로 만들어 재활용 과정을 개선한다. 이미 지난해 9월 ‘PET 용기용 PET 마개’ 특허 출원 신청을 마쳤고 상업화를 위한 품질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다. (자료=티케이케미칼)
2022.02.15 I 경계영 기자
비씨엔씨 "반도체 소재 국산화 성공, 글로벌 기업 도약"
  • [IPO출사표]비씨엔씨 "반도체 소재 국산화 성공, 글로벌 기업 도약"
  • [이데일리 김겨레 기자] 반도체 식각 공정용 소재인 합성 쿼츠를 국산화한 비씨엔씨가 다음 달 코스닥 시장에 성장한다. 비씨엔씨는 공모 후 글로벌 시장에 적극적으로 나설 예정이다. 김돈한 비씨엔씨 대표(왼쪽)이 5일 온라인 기업공개(IPO) 간담회에서 발표하고 있다. (사진=비씨엔씨)김돈한 비씨엔씨 대표는 15일 온라인 기업공개(IPO) 간담회를 열고 “소재와 부품 생산을 수직계열화 해 글로벌 반도체 소재 기업으로 도약하겠다”고 밝혔다. 2003년 설립된 비씨엔씨는 반도체 식각 공정에서 웨이퍼를 고정시키는 포커스링 등의 부품을 반도체용 합성쿼츠를 활용해 ‘QD9’이란 브랜드로 개발했다. 반도체 식각 공정은 웨이퍼에 회로를 제외한 불필요한 부분을 깎아내는 과정으로 소모성 부품 예산의 70%를 차지할 만큼 비중이 크다. 미세 공정이 진행될 수록 반도체를 깎아내는 플라즈마의 강도가 높아져 부품의 수명도 줄어든다. QD9은 기존 소재인 천연쿼츠로 만들어진 부품에 비해 내구성과 내플라즈마성이 우수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김 대표는 “합성 쿼츠는 이산화규소로 구성된 고순도 소재로 재료 자체에 불순물이 없고 빛 투과율이 높다”며 “기존 증착 과정에 사용하던 유해가스를 사용하지 않고 도시가스를 사용해 친환경 제조 공정도 구축했다”고 설명했다. 합성쿼츠는 기존에도 광학용이나 광섬유 등에 사용됐지만 반도체 공정 전용 제품은 존재하지 않았다. 비씨엔씨는 기존 합성쿼츠를 성분 조절과 표면 처리를 통해 반도체 미세 공정에 적합하도록 설계했다. 현재까지는 미국에 합성 쿼츠 생산을 맡겼지만, 올해부터는 국내에서 직접 양산할 계획이다.지난 2015년과 2016년 각각 140억원과 186억원이었던 매출은 지난해 454억원으로 성장했다. 삼성전자(005930)와 SK하이닉스(000660)를 비롯한 국내 반도체 회사 매출이 전체의 83%, 해외 매출이 17%를 차지한다. 공모 후 비씨엔씨는 해외 시장 매출을 적극적으로 늘리겠다는 계획이다. 공모 후 최대주주는 김돈한 대표로, 김 대표와 특수관계인이 64.32%를 차지할 전망이다. 김 대표는 공모 후 13억원 규모의 지분을 회사에 증여할 계획도 가지고 있다. 상장 직후 유통가능물량은 24.18%에 해당하는 299만1131주로 최근 상장한 공모주와 비교해 적은 편이다. 공모가 희망 범위는 9000원~1만1500원이며, 희망범위 상단 기준 최대 288억원을 조달한다. 김 대표는 공모가 산정 과정에서 비교회사 대비 할인율이 높아진 데 대해 “최근 시장 상황에 맞춰 공모가를 선정했다”고 밝혔다. 비씨엔씨는 16일과 17일 양일간 기관투자자를 상대로 수요예측을 통해 공모가를 확정한 후, 21~22일 일반투자자를 상대로 청약을 진행한다. 코스닥 상장은 3월 3일 예정이다. 상장주관사는 NH투자증권이다.
2022.02.15 I 김겨레 기자
“지난해 불공정거래 70%가 미공개 정보이용”
  • “지난해 불공정거래 70%가 미공개 정보이용”
  • [이데일리 유준하 기자] 한국거래소 시장감시위원회는 15일 지난해 이상거래 심리 결과 금융위원회에 109건의 불공정거래 혐의 사건을 통보했다고 밝혔다. 혐의 사건 통보건수는 지난 2020년부터 감소세를 보였고 유형별로는 미공개 정보이용이 가장 많았다. 자료=한국거래소유형별로 살펴보면 미공개 정보이용은 전체 109건 중 77건으로 70.6%를 차지하며 압도적인 비중을 보였다. 이어 시세조종이 13건(11.9%), 부정거래가 10건(9.2%)으로 집계됐다. 시장별로는 코스닥 시장이 71건으로 65.1%를 차지했고, 코스피가 31건(28.4%), 코넥스는 3건(2.8%)을 기록했다.지난해 불공정거래의 주요 특징은 상장사 임직원의 사회적 이슈를 이용한 미공개 정보 이용행위가 증가했고, 최대주주 지분 담보가치를 유지한 채 유리한 전환가액 형성 등을 목적으로 하는 시세조종행위 등이 증가했다는 점이었다.거래소 측은 “지난해 미공개 정보이용 사건은 실적정보 등을 정보 공개 전 이용하는 형태에서 벗어나 코로나19 및 미래사업 테마와 관련된 호재성 정보의 이용 비중이 증가했다”면서 “해당 비중은 지난 2020년 42%에서 지난해 66.2%로 집계됐다”고 설명했다.코로나19 극복과 기업의 미래먹거리에 대한 투자자 관심이 증가하면서 내부자 또한 이같은 미공개 정보를 이용하는 불공정 거래 유인이 증가한 것으로 분석된다.시세조종 동기가 다변화된 점도 눈에 띄었다. 전통적인 시세조종은 유통물량·거래량이 적은 주식을 다수계좌로 사전 매집한 후 인위적으로 주가를 견인해 차익 실현하는 형태였으나, 최근에는 전환사채 이익 극대화와 최대주주 지분 담보가치 유지 등 시세조종 동기가 다양해졌다는 게 위원회 측 설명이다.부정거래는 다양화·지능화됐다. 지난해 부정거래의 80%는 경영권 인수 후 차익실현 목적의 기업사냥형 불공정거래로 유사한 방식으로 매년 발생되고 있는 상황이다. 거래소 측은 “부정거래 세력은 대량보유 및 소유주식 보고사항 등의 거짓기재와 사회적 테마, 장래경영계획을 교묘하게 풍문으로 만들어 유포해 투자자들을 유인하는 모습을 보였다”고 설명했다.시장간 연계를 이용한 새로운 유형의 불공정 거래도 적발됐다. 거래소 관계자는 “파생상품 시장에서 초단기 허수성 호가를 반복 제출하거나 다수의 통정매매를 반복적으로 체결하는 행위를 적발했다”면서 “미공개 정보를 이용해 기초자산과 레버리지가 높은 파생상품을 매매해 이중의 부당이득을 실현한 행위”라고 설명했다.이어 “주가 급변에는 이유가 있다”면서 “시세 조종은 다양한 상황에서 여러 양태로 일어날 수 있으므로 기업 가치와 무관하게 주가, 거래량이 급변하는 종목 투자시 기업의 주요 이벤트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주의를 당부했다.
2022.02.15 I 유준하 기자
환율, 7원 이상 오르며 전날 낙폭 만회…하루만에 상승 반전
  • 환율, 7원 이상 오르며 전날 낙폭 만회…하루만에 상승 반전
  • [이데일리 이윤화 기자] 원·달러 환율이 하루 만에 상승 반전해 1200원 직전까지 올랐다.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의 군사적 긴장감 고조와 미국 긴축 우려가 더해져 달러화가 강세를 나타낸 영향이다. 환율은 전날 7.40원 가량 하락해 1191.10원까지 내렸으나 하루 만에 다시 낙폭을 만회하며 오르는 중이다. 사진=AFP15일 서울외국환중개에 따르면 환율은 오전 9시 15분께 전 거래일 종가(1191.10원)보다 7.15원 상승한 1199.25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환율은 전일 대비 5.90원 뛴 1197.00원에 상승 출발한 뒤 상승폭을 키우더니 장 초반 1199.10원까지 올랐다가 1190원대 후반에서 등락하는 중이다.국내증시는 외국인 투자자가 순매도 전환하면서 하락하는 중이다. 코스피 시장에서 외국인 투자자는 닷새 만에 610억원 가량 팔면서 순매도 전환했다. 지수는 전장 대비 0.09% 하락하는 중이다. 코스닥 시장에서도 외국인이 80억원 순매도하고 있으나, 개인과 기관이 44억원, 52억원 매수 우위를 보여 지수는 0.19% 오르는 중이다.글로벌 달러인덱스는 96선 초반대에서 오르는 중이다. 14일(현지시간) 오후 8시께 달러인덱스는 0.21포인트 상승한 96.29를 나타내고 있다. 이는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의 군사적 긴장감 고조, 16일(현지시간) 공개를 앞둔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1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록 발표를 대기하면서 달러화가 강세를 나타내고 있어서다. 특히 연준이 14일(현지시간) 긴급 회의를 열고 연준이 중앙은행에 대출하는 재할인율(discount rates)을 0.50%포인트 올릴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 이는 3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0.50%포인트 금리 인상에 힘을 실어주는 조치라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반면 10년물 금리는 0.015%포인트 하락한 1.981%, 2년물 금리는 0.016%포인트 내린 1.573%를 기록하고 있다.
2022.02.15 I 이윤화 기자
우크라 전쟁·연준 긴축 우려…환율, 상승 전환하나
  • [외환브리핑]우크라 전쟁·연준 긴축 우려…환율, 상승 전환하나
  • [이데일리 이윤화 기자] 원·달러 환율이 전날 네고(달러 매도)와 외환당국 미세조정 등에 하락했던 7원 가량의 낙폭을 메우면서 하루 만에 상승 반전할 것으로 보인다. 우크라이나를 둘러싼 전쟁 위기설이 이어지는 가운데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1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록 공개를 앞두고 글로벌 달러 강세 흐름이 이어지고 있어서다. 사진=AFP15일 서울외국환중개에 따르면 간밤 뉴욕차액결제선물환(NDF)시장에서 거래된 원·달러 1개월물은 1198.30원에 최종 호가됐다. 1개월물 스와프포인트가 0.65원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이날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 종가(1191.10원)보다 6.55원 가량 상승 출발할 것으로 보인다. 전날 환율은 1200원선에서 하루 만에 7.40원 가량 떨어져 1190원대 초반으로 내렸으나, 이날엔 역외 환율 상승을 따라 전날 낙폭을 대부분 메우고 1190원대 중후반에서 등락할 가능성이 높다. 위험자산 선호 위축은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의 군사적 긴장이 전쟁설로 번지면서 이어지는 중이다. 간밤 뉴욕증시는 일제히 내렸다. 14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블루칩을 모아놓은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거래일 대비 0.49% 하락 마감했다. 대형주 중심의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0.39% 내렸고,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장중 보합권에서 등락하다 0.23포인트 소폭 내렸다. 전날 낙폭보단 줄어든 모습이나 월가 공포지수로 불리는 시카고옵션거래소 변동성 지수(VIX)는 4.39% 오른 28.56을 기록, 30선을 눈앞에 두며 투자 심리 악화를 증명했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갈등은 좀처럼 해결될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이날 “16일이 공격의 날이 될 것이라고 들었다”고 전했다. 토니 블링컨 국무장관도 성명을 내고 “우크라이나 국경에서 러시아의 군사력 증강이 급격히 가속화하고 있다”며 “남아 있는 미국인들은 즉각 우크라이나를 떠나야 한다”고 말했다. 여기에 현지시간 16일 공개를 앞둔 1월 FOMC 의사록에 앞서 연준 인사들의 매파적 메시지가 더해지면서 달러화는 강세 흐름으로 전환했다. 제임스 불러드 세인트루이스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는 이날 CNBC와의 인터뷰에서 “인플레이션 상승에 놀랐다”며 오는 7월까지 기준금리를 1.00%포인트까지 인상해야 한다는 입장을 재차 확인했다. 미 국채 금리와 달러인덱스는 상승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14일(현지시간) 오후 6시께 미 국채 10년물 금리는 전장 대비 0.045%포인트 오른 1.988%를 나타내며 2%대에 가까워졌고, 2년물 금리도 1.57%를 기록해 전날 보다 소폭 올랐다. 달러인덱스는 전장 대비 0.21포인트 뛴 96.29를 나타내면서 달러화 강세 기조를 유지하는 중이다. 전날 2%~3%대 가까이 하락했던 국내증시에서 외국인 투자자들은 순매수 흐름을 유지했으나 지수 방어에 실패했다. 전날 외국인 투자자들은 코스피 시장, 코스닥 시장에서 각각 705억원, 950억원 가량 샀으나 개인이 각각 1900억원, 1200억원 가량 팔면서 지수는 전장 대비 1.57%, 2.81% 가량 떨어졌다. 2700선 초반, 850선으로 떨어진 상황이다. 이날도 위험회피 심리에 지수 하락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수출업체의 네고(달러 매도) 물량은 여전한 환율 상단 제한 요인이지만, 전날 환율이 1190원대 초반으로 낮아진 만큼 달러화 강세에 배팅하는 역외 롱(달러 매수) 심리가 다시 살아난다면 환율 상승을 지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에 장중 수급 동향과 국내증시 외국인 투자자 동향, 글로벌 달러화 강세 등에 주목하며 1190원대 중후반에서 등락할 것으로 보인다.
2022.02.15 I 이윤화 기자
우크라이나 전운에 파랗게 질린 증시
  • 우크라이나 전운에 파랗게 질린 증시
  • [이데일리 안혜신 이정현 기자] 우크라이나를 둘러싼 지정학적 위기가 고조되면서 14일 한국 증시가 파랗게 질렸다. 코스피는 장중 2700선 아래로 내려갔고, 코스닥은 3%에 가까운 낙폭을 보였다.마켓포인트에 따르면 이날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43.23포인트(1.57%) 하락한 2704.48에 거래를 마쳤다. 코스닥 지수는 24.63포인트(2.81%) 빠진 852.79를 기록했다. 코스피 지수가 장중 2700선을 뚫고 내려간 것은 지난달 28일 이후 8거래일만에 처음이다. 주말 사이 우크라이나 관련 불확실성이 커진 점이 투자심리를 급격히 악화시켰다. 일본, 중국, 홍콩, 대만 등 아시아 증시 모두 약세였다.[이데일리 문승용 기자]러시아와 우크라이나와의 갈등은 장기전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일부 언론에서는 오는 16일(이하 현지시간) 러시아의 공격이 시작될 것이라는 보도가 나오고 있다. 앞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지난 13일 전화로 50분간 현안에 대해 논의했지만 뾰족한 해법을 도출하지는 못했다.지난주 7.5%를 기록하면서 40년 만에 최고치까지 솟아오른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 여진도 이어지는 모습이다. 높은 물가 상승률은 연준의 빠른 긴축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어서다. 시장에서는 오는 3월 15~16일로 예정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0.5%포인트의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이 높게 점쳐지고 있는 상황이다.하인환 KB증권 연구원은 “연준 긴축 이슈와 함께 우크라니아 불확실성까지 더해지면서 이날 지수 하락으로 이어졌다”면서 “당분간 추세적인 반등은 어려워보이고 3월 FOMC와 관련된 불확실성이 해소되기 전까지는 등락을 반복할 것”이라고 전망했다.한편 이날 문재인 대통령은 대외경제안보전략회의에서 “우크라이나 사태가 해결의 돌파구를 찾지 못한 채 정세 불안이 이어지고 있어 시급한 대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모두발언을 통해 “우리 국민의 안전한 대피와 철수에 만전을 기하고, 우리 기업의 피해를 최소화하는 방안을 미리 강구해야 한다”면서 이같이 밝혔다.문 대통령은 회의에서 “국내 실물 경제와 금융시장에 미치는 불확실성을 줄여야 한다”면서 “수출 기업과 현지 진출 기업을 전방위로 지원하고 에너지, 원자재, 곡물 등의 수급 불안에 선제적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경제와 안보에는 임기가 없다”며 “경제팀과 안보팀이 힘을 모아 급변하는 대외경제 안보 환경에 빈틈없이 대응하고 우리 경제의 흔들림 없는 도약에 끝까지 최선을 다해 달라”고 당부했다.
2022.02.14 I 안혜신 기자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I 청소년보호책임자 고규대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