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 데이터센터, 에너지절감 노력 미흡…기관평가 반영해야"

■[이제는 무탄소경제(CFE)]데이터센터④
나연묵 단국대 컴퓨터공학과 교수 인터뷰
  • 등록 2024-01-29 오전 5:06:40

    수정 2024-01-29 오전 5:06:40

[이데일리 임유경 기자] “최근 설계된 민간 인터넷데이터센터(IDC)는 에너지효율이 양호한 편인데 문제는 공공입니다. 기관 목표에 데이터센터 에너지 절감이 들어가 있지 않고, 예산도 없다 보니 관심 자체가 없는 상황입니다.”

나연묵 단국대 컴퓨터공학과 교수는 최근 이데일리와의 인터뷰에서 “그린데이터 인증제도가 도입된 지 10년이 지났지만, 정식 인증을 받은 공공기관은 한 곳도 없다”며 이같이 지적했다.

나연묵 단국대 컴퓨터공학과 교수
그린데이터센터 인증은 데이터센터의 에너지 사용 효율과 절감 노력을 평가한다. 데이터센터 전력 효율을 나타내는 지표인 전력사용효율(PUE)이 1.8 이하일 경우 부여된다. 투입전력의 100%를 컴퓨터 서버 가동에만 쓰면 PUE가 1이고, 서버실 냉각 등에 낭비되는 전력이 늘어나면 PUE가 1보다 커진다. 즉 낭비되는 에너지를 20% 아래로 낮춘 데이터센터만 인증을 받을 수 있는 셈이다.

나 교수는 “서울시가 예비인증을 턱걸이로 한 번 받은 이후 다른 공공 기관은 아예 시도도 안 하고 있다”며 “PUE가 1.8 이하로 나올 자신이 없으니 신청조차 하지 않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이는 민간 기업들이 친환경 데이터센터를 구현하기 위해 갖은 노력을 펼치고 있는 것과 대비된다. 나 교수는 국내 우수 친환경 데이터센터 사례로 네이버 데이터센터 춘천 각과 LG CNS의 미음지구 데이터센터를 꼽았다. 네이버 춘천 각은 겨울엔 찬바람을 먼지만 필터링한 후 전산실에 바로 투입하는 장치 등을 활용해 PUE를 1.02~1.05까지 낮췄고 여름에도 1.3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LG CNS가 부산 미음지구에 구축한 데이터센터도 특허 출원한 ‘빌트업 항온·항습 시스템’을 적용하는 등의 노력을 통해 PUE 1.3을 기록했다. 글로벌 베스트 사례로 꼽히는 구글과 메타의 데이터센터 기록인 PUE 1.1과 비슷한 수준까지 따라온 것이다. 나 교수는 “최근 만들어지는 국내 데이터센터 대부분은 PUE 1.5 이하로 설계됐다”며 “글로벌 평균이 2.0인 것을 고려하면 우수한 편”이라고 평가했다.

공공의 데이터센터 에너지 절감 노력이 민간에 비해 미흡한 이유는 뭘까. 나 교수는 “민간 기업들은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이 중요해지면서 친환경 데이터센터 구축에도 많은 투자를 하고 있지만, 공공 기관은 동기부여가 부족하다”고 짚었다. 구축한 지 오래된 레거시 데이터센터의 PUE를 1.8 이하로 낮추려면 서버실마다 ‘컴퓨터 룸 에어 컨디셔닝’(CRAC) 장비를 갖춰야 하는데, 그 비용이 대당 1000만원~2000만원에 달해 최소 수억 원의 예산이 든다. 하지만 데이터센터 소비전력을 낮추는 것이 공공 기관의 경영 목표에 포함되지 않아 예산을 따내고 장비를 도입할 동기가 떨어진다는 설명이다.

공공의 참여를 이끌어 내려면 그린데이터센터 인증을 기관 평가에 반영해야 한다는 게 나 교수의 생각이다. 그는 “대부분의 기관들은 데이터센터를 사고 없이 운영하는 게 최우선 목표라 오히려 과냉방을 하고 있다”며 “데이터센터 소비전력을 낮췄을 때 기관 경영평가에 가점을 주는 등 인센티브가 있어야 변화가 생길 것”이라고 진단했다.

PUE 공인제 도입도 제안했다. 기관이 자체 측정한 PUE를 인정하면 과대 평가될 수 있어서다. 나 교수는 “공공기관이 그린데이터인증을 안 받으려면 적어도 PUE 공인제도를 통해 친환경 노력을 평가 객관적으로 입증하고 그것을 기관 경영평가지표에 넣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데일리
추천 뉴스by Taboola

당신을 위한
맞춤 뉴스by Dable

소셜 댓글

많이 본 뉴스

바이오 투자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왼쪽 오른쪽

스무살의 설레임 스냅타임

왼쪽 오른쪽

재미에 지식을 더하다 영상+

왼쪽 오른쪽

두근두근 핫포토

  • 이런 모습 처음이야!
  • 이제야 웃는 민희진
  • 나락간 '트바로티' 김호중
  • 디올 그 자체
왼쪽 오른쪽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