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금융센터 해외증시동향(20일)

  • 등록 2000-06-21 오전 8:10:36

    수정 2000-06-21 오전 8:10:36

다음은 국제금융센터가 요약한 6월20일 해외 증시 동향입니다. 1. 지수별 움직임 o 일부 기업들의 수익 악화 전망 등으로 전반적인 경기위축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면서 전통가치주 위주의 다우지수는 하락한 반면, 첨단기술중 중심의 나스닥 지수의 경우 향후 전망을 밝게 보는 투자자들의 매수세로 인해 소폭이나마 상승세를 이어가며 4.11일 이후 처음으로 4,000선을 돌파 - 다우지수는 전일 급락한 Honeywell이 다시 큰 폭으로 하락한 외에 United Technologies, GM, IBM 등이 하락을 주도함에 따라 전일대비 122.68p(1.16%) 하락 - 반면 나스닥지수는 반도체주가 강세를 이어가는 가운데 소프트웨어, 인터넷 주 등의 상승으로 전일대비 23.53p(0.59%) 상승하여 4,013.36p 기록 - S&P500 지수는 0.68% 하락하였으며 Russel2000 지수는 0.55% 상승 - 다우지수: 10,435.16p (-122.68p, -1.16%) - S&P 500지수: 1,475.95p (-10.05p, -0.68%) - 나스닥지수: 4,013.36p (23.53p, 0.59%) - NYSE 상승/하락 1,268/1,621 - 나스닥 상승/하락 1,898/2,090 o 다우지수: - 상승: Amex 0.93%, Boeing 0.80%, GE 1.49%, Intel 1.33%, MS 1.70%, - 하락: Coca-Cola -2.76%, GM -3.69%, Honeywell Int"l -10.56%, IBM -3.32%, United Technologies -3.05% o 나스닥지수 - 상승: MS 1.70%, Intel 1.33%, Oracle 0.04%, Sanmina 7.05%, Red Hat 18.97%, Digital Island 30.98%, - 하락: JDS Uniphase -1.91%, Cisco -2.63%, Dell -2.02%, Commerce One -16.40% 2. 종목별 움직임 o Micron Technology : 메모리 반도체 제조업체로 솔로몬 스미스 바니가 추천등급 및 목표주가를 상향조정한 후 10% 상승 o Broadcom : 향후 S&P500지수의 구성항목으로 편입될 것이라는 발표가 있은 후 13% 급등 o Policy Management System : 보험관련 소프트웨어 회사로 Computer Science에 46%의 프리미엄으로 매각된다는 발표로 36% 상승. 반면 Computer Science는 15% 하락 3. 전문가 의견 o First Union Securities의 Rao Chalasani, chief investment officer : 기본적으로 첨단기술주들은 잘해 나가고 있는 반면 다른 주식들은 그렇지 못하다. 투자자들은 지난 몇 달간의 주가하락으로 종목선정에서 매우 조심스러워졌다. 일부 투자자에게 나스닥 4,000선은 매도시점이 될 것이다. o Commerce Investment Management Group의 John Bartlett, director of market strategy : 투자자들이 금융 및 경기에 민감한 주식에서 나와서 가장 편안하다고 생각하는 주식, 즉 넓은 의미의 기술주 부문으로 옮겨가고 있다.

이데일리
추천 뉴스by Taboola

당신을 위한
맞춤 뉴스by Dable

소셜 댓글

많이 본 뉴스

바이오 투자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왼쪽 오른쪽

스무살의 설레임 스냅타임

왼쪽 오른쪽

재미에 지식을 더하다 영상+

왼쪽 오른쪽

두근두근 핫포토

  • 우리 엄마 맞아?
  • 토마토에 파묻혀
  • 개더워..고마워요, 주인님!
  • 공중부양
왼쪽 오른쪽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I 청소년보호책임자 고규대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