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일 도산서원장·전 기획예산처 장관]우리는 잘 살고 자유롭고 수명도 늘어나 선진 국민이라 자부한다. 하지만 근대화 과정에서 들어온 개인주의는 이기심으로 빗나가고 자본주의는 물질만능주의로 잘못 흐르고 있다. 그 결과 인간관계는 뒤틀어지고, 가장 가까운 부모, 형제 사이도 그전과 너무 다르다. 행복하게 살아가려면 이렇게 얼룩진 세상을 바꾸어야 한다.
이를 근본으로 삼으려면 사회의 기초단위인 가정에서부터 변화가 일어나야 한다. 특히 젊은 세대가 앞장서야 한다. 미래는 이들의 세상이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무엇보다 효 문화가 부활해야 한다. 효는 예전에 만행의 근본이요, 인간다움의 첫 걸음이라 하였는데 이제는 행복의 마스터키(Master Key)라는 생각이 든다.
효는 어떻게 실천해야 할까? 공자는 말했다. 부모와 애완견의 보살핌은 엄연히 달라야 한다고. 애완견은 의식주로 몸[體]을 챙겨주면 되지만 부모는 다르다. 이성과 감성을 갖춘 인간이고, 또 연륜과 내 삶과 연결된 추억을 간직한 분이기에 무엇보다 뜻[志]을 받들어야 한다. 부모의 뜻을 받들면 어느 새 자식들로부터도 저절로 효도를 받게 된다. 이 불변의 이치를 한국을 대표하는 사상가인 퇴계 선생의 삶에서 배워보자.
퇴계는 평생 홀어머니의 마음을 헤아리며 말씀을 지켜나가려 혼신을 다했다. 자식이 일곱 딸린 서른셋 나이에 홀로 된 어머니는 안팎의 살림을 도맡으며 시어머니까지 모시는 엄청 바쁘고 힘든 처지여서 막내아들 퇴계를 공부시키는 데 전념할 수 없었다. 하지만 그런 가운데서도 아버지 없이 자란 자식은 남보다 백배 노력하고, 몸가짐과 행실을 삼가야 한다고 늘 일렀다. 퇴계는 자라서 《중용》을 배울 때 남보다 백배 노력하라는 뜻인 ‘인십기천(人十己千)’이라는 구절을 보고 좌우명으로 삼아 늘 정진하였다. 훗날 어머니는 “나는 이 아이를 별로 가르치지 않았지만 옷을 단정하게 입지 않고 다리를 뻗고 앉거나 기대거나 눕거나 엎드려 있는 것을 본 적이 없다.”는 말씀을 남긴다.
퇴계는 벼슬생활에서도 어머니의 타이름을 잊지 않고 따르려고 애썼다. 퇴계는 인간의 올바른 인격완성을 위한 공부에 뜻을 두었다가 과거에 급제한 형님과 어머니의 권유로 뒤늦게 과거에 응시하여 34세에 관직에 나아갔다. 그러나 퇴계의 성품을 누구보다 잘 알고 계시던 어머니는 마냥 기뻐만 하지 않고 “막내는 고을원 자리에 그치거라.”라고 타일렀다. 이를 두고 퇴계는 “내가 어리석고 막혀서 세상에서 행세하기 어려움을 깊이 걱정하셨다.”라고 하면서, 이 훈계를 평생 지키려고 하였다.
49세 때 풍기 고을원으로 있다 3차례 제출한 사표가 수리되지 않았는데도 돌아와 늘 꿈꾸던 강학에 전념했다. 이 후 20년간 수십 차례 관직을 제수 받았지만 사양하다 도저히 거절할 수 없을 때 잠시 나갔다가 돌아오곤 했다. 받은 벼슬이 마지막에 정승 아래 종1품까지 이르렀다.
조선시대에는 2품 이상 고위 관리의 3대 조상(부모, 조부모, 증조부모)에게 벼슬을 추증(追贈)하는 제도가 있었다. 마침 퇴계가 마지막 조정에 머물던 1568년 말 어느 날, 해당되는 고관들이 추증해 달라고 신청하였는데 퇴계는 하지 않았다. 이를 두고 아들과 조카가 까닭을 물었더니 퇴계의 답변은 이랬다. “나의 헛된 이름이 너무도 지나쳐 종1품에 이르고 말았는데, 어찌 감히 추은(推恩)을 바랄 수 있겠는가? 하물며 어머니께서 고을원만 하라고 간곡히 일러주셨는데도 그 가르침을 따르지 아니하고 이 지경에 이르렀다. 추은은 어머니의 뜻이 아닌데 감히 이를 더 어길 수 있겠는가!” 그 뒤 사람들의 비평이 너무 많아 어쩔 수 없이 늦게 증직을 받긴 했지만, 그 마음새김을 충분히 엿볼 수 있다. 노년에 이르러 생일상을 올리려는 집안사람에게 “내가 태어날 때 어머니가 힘드셨는데 생전에 드리지 못한 상을 받을 수 없다.”며 사양하였다.
퇴계는 어머니에 대한 그리움과 고마움을 안동 도산에 있는 생가 뒷산 묘소 앞 비석에 손수 써서 남겼다. 그 비문은 사람의 일생에서 가장 큰 은혜를 베풀고 이끌어주신 분의 뜻을 어떻게 받들고 보은을 해야 하는지를 알려주려는 듯 오늘도 우리를 반가이 맞는다.